KR101715570B1 -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 Google Patents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70B1
KR101715570B1 KR1020160111445A KR20160111445A KR101715570B1 KR 101715570 B1 KR101715570 B1 KR 101715570B1 KR 1020160111445 A KR1020160111445 A KR 1020160111445A KR 20160111445 A KR20160111445 A KR 20160111445A KR 101715570 B1 KR101715570 B1 KR 10171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roke
piston
pressu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295A (ko
Inventor
손영득
Original Assignee
손영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득 filed Critical 손영득
Priority to KR102016011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5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63D15/083Means, integrated in the cue, for actuating the ball, e.g.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63D15/12Tip fastenings

Landscapes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발에 의해 당구 큐를 당구공에 타격 되도록 함으로써 타격시 당 점의 정확성과 더불어 공의 위치에 따라 점수를 올리기 위한 힘의 배분 및 전달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당구를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숙련자에게는 또 다른 당구의 묘미를 선사할 수 있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에 관한 것으로,
상대(10)와 하대(20)로 구성되는 당구 큐(30)에서 상기 상대(10)를 탄성 복원력과 소정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격발장치(S)의 격발에 의해 스트록(타격)이 되며, 상기 격발장치(S)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대(10)가 삽입되는 격발가이드(100)와, 상대(10)에 어느 정도의 중량이 발생 되도록 해주는 웨이트밸런스(200)와, 스트록시 힘과 속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스트록 조절부(300)와, 상대가 스트록 되고 난 후 재 스트록을 위해 상대를 재장전해주는 상대 재장전부(400)와, 스트록 전, 후의 에어 압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감압조절부(500)와, 에어 압이 생성 및 충진 되도록 하는 스트록압생성부(6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Billiard cue that percussion strokes by}
본 발명은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격발에 의해 당구 큐를 당구공에 타격 되도록 함으로써 타격시 당 점의 정확성과 더불어 공의 위치에 따라 점수를 올리기 위한 힘의 배분 및 전달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당구를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숙련자에게는 또 다른 당구의 묘미를 선사할 수 있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경기를 할 때 사용되는 당구 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샤프트)와 하대(버트)가 이음 결합 된 긴 막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되고 상대는 끝단에 팁이 고정되며, 타격시 당구공에 닿는 부분이 팁이다.
상기와 같은 당구 큐를 이용하여 당구 경기를 할 때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오른손은 당구 큐의 하대 부분을 파지하고, 왼손은 큐걸이(브릿지)를 하여 당구 큐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당구 공에 타격을 하여 점수를 올리는 방식이다.
당구에 입문 한지 얼마 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 큐걸이(브릿지)가 안정되지 않아 정확한 당점에 타격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당 점에 정확하게 타격을 한다고 하더라도 힘의 배분이 적절하기 않아 점수를 올리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타격을 하는 과정에서 알려지고 있는 방법으로는 시계추 타법이 보편화 되어 있으나, 실제 초보자에게 시계추 타법을 익히기에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곧 당구가 어렵다는 인식과 더불어 거리감을 두게 됨은 물론, 취미와 여가생활로 자리 잡고 있는 현시점에서 무엇보다 당구에 대해 흥미를 잃어 버린다는데 더 큰 문제가 있는 것이다.
당구 경기를 하면서 대다수의 초보자가 겪는 어려움인 타격시의 정확도와 힘의 조절에 대해 관련업계에서 제시한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13229호(고안의 명칭 : 당구 큐 스트로크 연습용구) 및 특허출원 제10-2007-0118926호(발명의 명칭 : 당구 큐용 타력 강화장치) 등이 있으나, 본원발명에서 추구하는 바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 한 것이며, 초보자도 정확한 브릿지를 할 수 있으며, 타격(스트록)하고자 하는 당 점에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의 위치에 따라 전달되어야 하는 힘의 전달 역시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보자가 쉽게 당구를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구에 대한 묘미를 만끽할 수 있도록 하고, 숙련자에게는 기존에 느끼지 못했던 당구 묘미를 선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S)는, 상대(10)와 하대(20)로 구성되는 당구 큐(S)에서 상기 상대(10)의 끝단에 탄성 복원력과 소정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격발장치(S)를 장착하여 격발에 의해 상대(10)가 스트록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발장치(D)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당구 큐의 상대(10)가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상태로 내부에서 일정구간 왕복 작동이 되도록 안내하며, 일측 끝단에는 스트록조절부(300)와 결합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120)가 구성된 격발 가이드(100) 및 상기 격발 가이드(10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됨과 동시에 당구 큐의 상대(10)와 나사 결합 고정되도록 구비된 장착홈(210)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홈(210)의 일측에는 탄성 복원력을 구비하는 격발레버(220)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격발레버(220)의 일측에는 격발레버의 끝단부가 걸림 고정이 될 수 있도록 걸림홈(23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장착홈(210)의 타측 끝단에는 커넥팅로드(320)와 연결 고정되는 고정홈(240)이 구성되어 스트록 과정에서 힘을 전달하는 웨이트밸런스(200) 및 파이프의 형상을 구비하는 내부에는 수용공간(361)이 마련되며, 수용공간의 양측 끝단에는 격발가이드(100) 및 상대 재장전부(400)와 결합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362)를 구비하는 에어실린더(360)와, 상기 에어실린더(360)의 수용공간(361)에 삽입 구성되며, 에어 압의 충진 및 소멸에 따라 스트록용스프링(340)을 수축 및 팽창시킴과 동시에 내설 된 공간에서 스트록용스프링(3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런저(350)와, 플런저(350)와 피스톤(331)의 사이에서 상대(10)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 되도록 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당구 큐의 상대(10)가 스트록이 되도록 구성되는 스트록용 스프링(340)과, 상기 플런저(350)의 중심에 관통 결합 고정되며, 피스톤(331)의 수축과 이완을 수행하는 피스톤 로드(332)와, 상기 피스톤 로드(332)와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커넥팅로드(320)와 연결 고정되며, 에어실린더(3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저장실(330)에 에어 압을 충진시키는 피스톤(331)과, 상기 에어저장실(3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에어저장실 내부에 충진 된 에어를 조절하여 스트록시 속도와 힘을 조절하는 에어조절밸브(310)로 구성되어 스트록시 힘과 속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록 조절부(300) 및 상기 플런저(350)의 끝단과 연결 고정되어 에어 압력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410)와, 상기 커넥팅로드(410)의 끝단에 연결 고정되어 에어 압의 충진 및 소멸에 따라 복귀스프링(420)을 수축 및 팽창시킴과 동시에 내설 된 공간에서 복귀스프링(4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스톤(430)과, 상기 커넥팅로드(410)와 피스톤(430) 및 복귀스프링(420)이 내설 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451)이 형성되며, 피스톤(430)의 작동시 에어가 저장되는 에어저장실(460)이 마련되고, 수용공간의 양측 끝단에는 스트록조절부(300)의 에어실린더(360)와,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조절유닛(550)과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452)가 형성된 에어실린더(450)와, 상기 에어실린더(450)에 내설 되는 피스톤(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격발 후 상대(10)를 재장전 상태가 되도록 후퇴시키는 복귀스프링(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대 재장전부(400) 및 내부에는 에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통기로(530)가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상대 재장전부(400)의 에어실린더(450) 및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에어생성유닛(610)과 견고한 결합고정이 되도록 하는 결합부(551)가 각각 형성되며, 충진된 에어가 압축 저장되는 에어압축실(570)이 구비된 에어조절유닛(550)과, 상기 에어압축실(570)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트록압생성부(600)에 발생 되는 에어 압이 당구 큐의 상대(10) 방향으로만 작용하도록 하는 체크밸브(510)와, 상기 에어압축실(570)과 체크밸브(510) 사이에 고정되어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이 복원스프링(6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항상 원상복귀가 될 수 있도록 에어압축실(570)의 잔여 공기를 배출제거 하는 에어조절밸브(540)와, 상기 체크밸브(510)를 통과한 에어 압력에 대해 사용자가 스트록을 하는 과정에서 힘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트록 후에는 에어실린더(450)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를 제거하여 복귀스프링(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430)이 후퇴가 되도록 에어를 수시로 조절하는 스트록용 에어조절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트록 전, 후의 에어 압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감압조절부(500) 및 내부에는 수용공간(612)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612)의 일측 끝단에는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조절유닛(550)과 견고한 결합고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61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11)의 타측에는 압축용 피스톤(620)이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640)가 결합고정되는 에어생성유닛(610)과, 상기 에어생성유닛(610)의 수용공간(612)에 내설 되어 압축용 피스톤(630)을 항상 원상복귀시키는 피스톤 복귀용 복원스프링(650)과, 상기 에어생성유닛(610)의 수용공간(612)에 내설 되며, 끝단에서 상대(10) 방향으로 가압시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압축실(570)에 에어 압이 충진 되도록 하는 압축용 샤프트(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트록압생성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당구 큐의 상대(10) 일측 끝단에는 팁(11) 및 팁을 지지고정해 주는 페룰(12)의 마모시 수시로 교환이 용이하도록 팁(11)과 페룰(12)이 고정되는 큐 헤드(13)가 구성되되, 상기 큐 헤드(13)는 상대(10)와 연결나사(14)에 의해 분리 및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록조절부(300)의 에어조절밸브(310)와, 플런저(350)의 외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조절하는 에어 압 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게이지(370,380)가 각각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 외측에는 복원스프링(660)의 팽창시 압축용 피스톤(630)이 에어생성유닛(6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6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 끝단에는 소음 감소 기능과 충격으로부터 부품의 결함을 방지하는 완충패드(670)가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발 가이드(100)와, 스트록조절부(300)와, 상대 재장전부(400)와, 감압조절부(500)와, 스트록압발생부(600)의 연결 결합은 기밀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결합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압조절부(500)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일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 될 때 정상압력으로 조절해주는 오버플로밸브(5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큐 헤드(13)의 내측에는 정확한 당 점을 조준할 수 있도록 레이저빔(700)이 고정되되 상기 레이저빔(7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에서 온/오프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는 초보자도 정확한 브릿지를 할 수 있어 타격(스트록)하고자 하는 당 점에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공의 위치에 따라 전달되어야 하는 힘의 전달 역시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도 쉽게 당구경기를 접할 수 있으며, 격발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숙련자에게는 기존에 느끼지 못했던 당구 묘미를 선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당구 큐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중 당구 큐의 상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중 격발 가이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중 웨이트 밸런스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중 스트록조절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중 상대 재장전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중 감압조절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 중 스트록압생성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S)의 핵심은 상대(10)와 하대(20)로 구성되는 당구 큐(30)에서 상기 상대(10)를 탄성 복원력과 소정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격발장치(S)의 격발에 의해 스트록(타격)이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격발장치(S)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대(10)가 삽입되는 격발가이드(100)와, 상대(10)에 어느 정도의 중량이 발생 되도록 해주는 웨이트밸런스(200)와, 스트록시 힘과 속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스트록 조절부(300)와, 상대가 스트록 되고 난 후 재 스트록을 위해 상대를 재장전해주는 상대 재장전부(400)와, 스트록 전, 후의 에어 압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감압조절부(500)와, 에어 압이 생성 및 충진 되도록 하는 스트록압생성부(60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대(1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당구 큐의 상대(10) 일측 끝단에 팁(11) 및 팁을 지지고정해 주는 페룰(12)의 마모시 수시로 교환이 용이하도록 팁(11)과 페룰(12)이 고정되는 큐 헤드(13)가 구성되되, 상기 큐 헤드(13)는 상대(10)와 연결나사(14)에 의해 분리 및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큐 헤드(13)의 내측에는 정확한 당 점을 조준할 수 있도록 레이저빔(700)이 고정되되 상기 레이저빔(7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에서 온/오프가 용이하며, 큐 헤드(13)가 분리 및 결합이 되기 때문에 파손시 교체가 수월하다.
또한, 상기 격발가이드(10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당구 큐의 상대(10)가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상태로 내부에서 일정구간 흔들림이 없이 왕복 작동되도록 안내하며, 일측 끝단에는 스트록조절부(300)와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120)가 구성되는 한편, 외측에는 상대가 웨이트밸런스와 결합이 이루어질 때 웨이트밸런스가 유동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1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밸런스(2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 가이드(10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됨과 동시에 당구 큐의 상대(10)와 나사 결합 고정되도록 구비된 장착홈(210)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홈(210)의 일측에는 탄성 복원력을 구비하는 격발레버(220)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격발레버(220)의 일측에는 격발레버의 끝단부가 걸림 고정이 될 수 있도록 걸림홈(23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장착홈(210)의 타측 끝단에는 커넥팅로드(320)와 연결 고정되는 고정홈(240)이 구성되어 스트록 과정에서 중량물에 의해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의 중량물이라 함은, 합성수지 또는 비철금속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록 조절부(30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형상을 구비하는 내부에는 수용공간(361)이 마련되며, 수용공간의 양측 끝단에는 격발가이드(100) 및 상대 재장전부(400)와 결합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362)를 구비하는 에어실린더(360)가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360)의 수용공간(361)에는 에어 압의 충진 및 소멸에 따라 스트록용스프링(340)을 수축 및 팽창시킴과 동시에 내설 된 공간에서 스트록용스프링(3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런저(350)와, 플런저(350)와 피스톤(331)의 사이에서 상대(10)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 되도록 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당구 큐의 상대(10)가 스트록이 되도록 구성되는 스트록용 스프링(340)과, 상기 플런저(350)의 중심에 관통 결합 고정되며, 피스톤(331)의 수축과 이완을 수행하는 피스톤 로드(332)와, 상기 피스톤 로드(332)와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커넥팅로드(320)와 연결 고정되며, 에어실린더(3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저장실(330)에 에어 압을 충진시키는 피스톤(331)이 각각 삽입 구성되며, 상기 에어저장실(330)의 일측에는 에어저장실 내부에 충진 된 에어를 조절하여 스트록시 속도와 힘을 조절하는 에어조절밸브(310)가 구성되어 스트록시 힘과 속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록조절부(300)의 에어조절밸브(310)와, 플런저(350)의 외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조절하는 에어 압 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게이지(370,380)가 각각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시로 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트록시의 에어 압력에 기준을 학습효과를 통해 체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 재장전부(40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350)의 끝단과 연결 고정되어 에어 압력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410)와, 상기 커넥팅로드(410)의 끝단에 연결 고정되어 에어 압의 충진 및 소멸에 따라 복귀스프링(420)을 수축 및 팽창시킴과 동시에 내설 된 공간에서 복귀스프링(4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스톤(430)과, 상기 커넥팅로드(410)와 피스톤(430) 및 복귀스프링(420)이 내설 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451)이 형성되며, 피스톤(430)의 작동시 에어가 저장되는 에어저장실(460)이 마련되고, 수용공간의 양측 끝단에는 스트록조절부(300)의 에어실린더(360)와,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조절유닛(550)과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452)가 형성된 에어실린더(450)와, 상기 에어실린더(450)에 내설 되는 피스톤(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격발 후 상대(10)를 재장전 상태가 되도록 후퇴시키는 복귀스프링(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압조절부(50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에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통기로(530)가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상대 재장전부(400)의 에어실린더(450) 및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에어생성유닛(610)과 견고한 결합고정이 되도록 하는 결합부(551)가 각각 형성되며, 충진된 에어가 압축 저장되는 에어압축실(570)이 구비된 에어조절유닛(550)과, 상기 에어압축실(570)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트록압생성부(600)에 발생 되는 에어 압이 당구 큐의 상대(10) 방향으로만 작용하도록 하는 체크밸브(510)와, 상기 에어압축실(570)과 체크밸브(510) 사이에 고정되어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이 복원스프링(6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항상 원상복귀가 될 수 있도록 에어압축실(570)의 잔여 공기를 배출제거 하는 에어조절밸브(540)와, 상기 체크밸브(510)를 통과한 에어 압력에 대해 사용자가 스트록을 하는 과정에서 힘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트록 후에는 에어실린더(450)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를 제거하여 복귀스프링(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430)이 후퇴가 되도록 에어를 수시로 조절하는 스트록용 에어조절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트록 전, 후의 에어 압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조절부(500)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일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 될 때 정상압력으로 조절해주는 오버플로밸브(560)가 구성되어 인위적으로 압력을 발생시킬 경우에도 부품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록압생성부(600)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수용공간(612)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612)의 일측 끝단에는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조절유닛(550)과 견고한 결합고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61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11)의 타측에는 압축용 피스톤(630)이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640)가 결합고정되는 에어생성유닛(610)과, 상기 에어생성유닛(610)의 수용공간(612)에 내설 되어 압축용 피스톤(630)을 항상 원상복귀시키는 피스톤 복귀용 복원스프링(650)과, 상기 에어생성유닛(610)의 수용공간(612)에 내설 되며, 끝단에서 상대(10) 방향으로 가압시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압축실(570)에 에어 압이 충진 되도록 하는 압축용 샤프트(620)와, 상기 에어생성유닛(610)의 내부에서 일정 구간 왕복 작동을 하며, 압축용 샤프트(620)와 연결 고정되는 압축용 피스톤(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에어의 충진은 본원 발명의 당구 큐(S)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바닥에 가볍게 내려치기만 하면 압축용 피스톤(630)의 상승과 동시에 에어 압이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압축실(570)에 충진 및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 끝단에는 소음 감소 기능과 충격으로부터 부품의 결함을 방지하는 완충패드(670)가 끼움 고정되며, 상기 격발 가이드(100)와, 스트록조절부(300)와, 상대 재장전부(400)와, 감압조절부(500)와,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연결 결합은 기밀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며, 그 일예로 오링(333,431,580, 650)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S)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트록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에 가압(당구 큐를 세운 상태에서 수직으로 가볍게 치면 됨)을 하면, 연동된 압축용 샤프트(620)에 의해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압축실(570)에 에어가 충진되기 시작을 한다.
이때, 에어의 충진 량이 많을수록 에어 압력은 강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스트록용스프링(340)은 최대 수축이 되는 것인데, 강한 스트록을 하고자 할 경우 압축용 피스톤(630)을 반복 작동시켜 에어를 충진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어압축실(570)에 에어가 충진되면, 동시에 상대 재장전부(400)의 피스톤(430)과, 재장전용 복귀스프링(420) 및 스트록조절부(300)의 스트록용 스프링(340)과 피스톤(331)이 수축을 하게 되고, 이 순간 각각의 에어실린더(360,450) 내부는 긴장상태 즉, 팽창직전의 상태가 순간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저장실(330)의 내부에 에어가 완충된 상태가 되면, 스트록용 스프링(340)의 탄성력에도 스트록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에어조절밸브(310)를 개방시킨 후 격발레버(220)를 작동시키면 상대가 격발이 되면서 스트록이 되는 것이다.
또한, 강한 스트록은 스트록용 스프링(340)의 충분한 수축 및 에어조절밸브(310)의 완전한 개방에 의해 얻을 수 있고, 반대로 약한 스트록은 그 반대의 경우가 될 것이지만, 스트록용 스프링(340)을 충분하게 수축시킨 상태에서 에어조절밸브(310)를 미세하게 개방하게 되면, 최대와 최소의 중간 정도의 힘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는 수치게이지(370,380)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록의 힘과 속도의 조절은 에어조절밸브(310)와, 에어조절버튼(520) 및 스트록용 스프링(340)을 사용자가 어떻게 조작하느냐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탄성력과, 공기압이 서로 융화가 되어 최적의 스트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트록 후 상대를 후퇴시켜 재장전을 하고자 할 때는 에어조절버튼(520)을 눌러 에어실린더(450) 내부에 충진되었던 잔여 에어를 제거하면 복귀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상대 재장전부(400)의 피스톤(430) 및 이와 연결고정된, 웨이트밸런스(200), 상대(10)가 후퇴를 하면서 재장전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에어의 생성은 압축용 피스톤(630)을 반복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생성이 되는데, 압축용 피스톤(630)을 반복적으로 가압하더라도, 에어압축실(570) 및 에어생성유닛(610)의 내부에는 진공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복원스프링(660)이 작동을 함에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게 되고, 가압 후에는 항상 원상복귀가 되어 반복적이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단턱(631)과, 스토퍼(640)에 의해 정해진 구간에서만 반복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격발을 할 때는 레이저빔(700)을 켠 상태로 격발을 하게 되면, 보다 정확한 당점 조준이 가능한 것이며, 상대(10)의 격발에 따른 이동 거리는 5 내지 10cm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S: 당구 큐 D:격발장치
10:상대 11:팁
12:페룰 13:큐 헤드
14:연결나사 20:하대
100:격발가이드 110:고정구
120:결합부 200:웨이트 밸런스
210:장착홈 220:격발레버
230:걸림홈 240:고정홈
300:스트록 조절부 310:에어조절밸브
320:커넥팅로드 330:에어저장실
331:피스톤 332:피스톤로드
333,431:오링 340:스트록용 스프링
350:플런저 360:에어실린더
361:수용공간 362:결합부
370,380:수치게이지
400:상대 재장전부 410:커넥팅로드
420:복귀스프링 430:피스톤
450:에어실린더 451:수용공간
452:결합부 460:에어저장실
500:감압조절부 510:체크밸브
520:에어조절버튼 530:통기로
540:에어조절밸브 550:에어실린더
551:결합부 560:오버플로밸브
570:에어압축실 580:오링
600:스트록압생성부 610:에어생성유닛
612:수용공간 620:압축용샤프트
630:압축용피스톤 631:단턱
640:스토퍼 650:오링
660:복원스프링 670:완충패드
700:레이저빔

Claims (9)

  1. 상대(10)와 하대(20)로 구성되는 당구 큐(S)에서 상기 상대(10)의 끝단에 탄성 복원력과 소정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격발장치(D)를 장착하여 격발에 의해 상대(10)가 스트록이 되도록 하되,
    상기 격발장치(D)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당구 큐의 상대(10)가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상태로 내부에서 일정구간 왕복 작동이 되도록 안내하며, 일측 끝단에는 스트록조절부(300)와 결합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120)가 구성된 격발 가이드(100);
    상기 격발 가이드(10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됨과 동시에 당구 큐의 상대(10)와 나사 결합 고정되도록 구비된 장착홈(210)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홈(210)의 일측에는 탄성 복원력을 구비하는 격발레버(220)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격발레버(220)의 일측에는 격발레버의 끝단부가 걸림 고정이 될 수 있도록 걸림홈(23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장착홈(210)의 타측 끝단에는 커넥팅로드(320)와 연결 고정되는 고정홈(240)이 구성되어 스트록 과정에서 힘을 전달하는 웨이트밸런스(200);
    파이프의 형상을 구비하는 내부에는 수용공간(361)이 마련되며, 수용공간의 양측 끝단에는 격발가이드(100) 및 상대 재장전부(400)와 결합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362)를 구비하는 에어실린더(360)와, 상기 에어실린더(360)의 수용공간(361)에 삽입 구성되며, 에어 압의 충진 및 소멸에 따라 스트록용스프링(340)을 수축 및 팽창시킴과 동시에 내설 된 공간에서 스트록용스프링(3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런저(350)와, 플런저(350)와 피스톤(331)의 사이에서 상대(10)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 되도록 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당구 큐의 상대(10)가 스트록이 되도록 구성되는 스트록용 스프링(340)과, 상기 플런저(350)의 중심에 관통 결합 고정되며, 피스톤(331)의 수축과 이완을 수행하는 피스톤 로드(332)와, 상기 피스톤 로드(332)와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커넥팅로드(320)와 연결 고정되며, 에어실린더(360)의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저장실(330)에 에어 압을 충진시키는 피스톤(331)과, 상기 에어저장실(3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에어저장실 내부에 충진 된 에어를 조절하여 스트록시 속도와 힘을 조절하는 에어조절밸브(310)로 구성되어 스트록시 힘과 속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록 조절부(300);
    상기 플런저(350)의 끝단과 연결 고정되어 에어 압력을 전달하는 커넥팅로드(410)와, 상기 커넥팅로드(410)의 끝단에 연결 고정되어 에어 압의 충진 및 소멸에 따라 복귀스프링(420)을 수축 및 팽창시킴과 동시에 내설 된 공간에서 복귀스프링(4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스톤(430)과, 상기 커넥팅로드(410)와 피스톤(430) 및 복귀스프링(420)이 내설 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451)이 형성되며, 피스톤(430)의 작동시 에어가 저장되는 에어저장실(460)이 마련되고, 수용공간의 양측 끝단에는 스트록조절부(300)의 에어실린더(360)와,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조절유닛(550)과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452)가 형성된 에어실린더(450)와, 상기 에어실린더(450)에 내설 되는 피스톤(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격발 후 상대(10)를 재장전 상태가 되도록 후퇴시키는 복귀스프링(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대 재장전부(400);
    내부에는 에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통기로(530)가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상대 재장전부(400)의 에어실린더(450) 및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에어생성유닛(610)과 견고한 결합고정이 되도록 하는 결합부(551)가 각각 형성되며, 충진된 에어가 압축 저장되는 에어압축실(570)이 구비된 에어조절유닛(550)과, 상기 에어압축실(570)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트록압생성부(600)에 발생 되는 에어 압이 당구 큐의 상대(10) 방향으로만 작용하도록 하는 체크밸브(510)와, 상기 에어압축실(570)과 체크밸브(510) 사이에 고정되어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이 복원스프링(6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항상 원상복귀가 될 수 있도록 에어압축실(570)의 잔여 공기를 배출제거 하는 에어조절밸브(540)와, 상기 체크밸브(510)를 통과한 에어 압력에 대해 사용자가 스트록을 하는 과정에서 힘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트록 후에는 에어실린더(450)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를 제거하여 복귀스프링(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430)이 후퇴가 되도록 에어를 수시로 조절하는 스트록용 에어조절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트록 전, 후의 에어 압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감압조절부(500);
    내부에는 수용공간(612)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612)의 일측 끝단에는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조절유닛(550)과 견고한 결합고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61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11)의 타측에는 압축용 피스톤(630)이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640)가 결합고정되는 에어생성유닛(610)과, 상기 에어생성유닛(610)의 수용공간(612)에 내설 되어 압축용 피스톤(630)을 항상 원상복귀시키는 피스톤 복귀용 복원스프링(650)과, 상기 에어생성유닛(610)의 수용공간(612)에 내설 되며, 끝단에서 상대(10) 방향으로 가압시 감압조절부(500)의 에어압축실(570)에 에어 압이 충진 되도록 하는 압축용 샤프트(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트록압생성부(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록조절부(300)의 에어조절밸브(310)와, 플런저(350)의 외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조절하는 에어 압 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게이지(370,380)가 각각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 외측에는 복원스프링(660)의 팽창시 압축용 피스톤(630) 에어생성유닛(6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6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록압생성부(600)의 압축용 피스톤(630) 끝단에는 소음 감소 기능과 충격으로부터 부품의 결함을 방지하는 완충패드(670)가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 가이드(100)와, 스트록조절부(300)와, 상대 재장전부(400)와, 감압조절부(500)와, 스트록압발생부(600)의 연결 결합은 기밀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결합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조절부(500)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일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 될 때 정상압력으로 조절해주는 오버플로밸브(5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9. 삭제
KR1020160111445A 2016-08-31 2016-08-31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KR10171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445A KR101715570B1 (ko) 2016-08-31 2016-08-31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445A KR101715570B1 (ko) 2016-08-31 2016-08-31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295A KR20160110295A (ko) 2016-09-21
KR101715570B1 true KR101715570B1 (ko) 2017-03-22

Family

ID=5708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445A KR101715570B1 (ko) 2016-08-31 2016-08-31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5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28Y1 (ko) * 1989-09-30 1992-08-18 고병모 당구채
KR20100045560A (ko) * 2008-10-24 2010-05-04 김영현 레이저 당구 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295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6941B (zh) 可调节杆头速度的高尔夫球练习杆
KR101779838B1 (ko) 휴대용 당구 스트로크 연습기
US6780130B1 (en) Lighted shuttlecock
US20070123399A1 (en) Golf Swing Exerciser
US4498464A (en) Chiropractic instrument
US20100087281A1 (en) Adjustable weighted field hockey stick
JP2006198385A (ja) パターヘッド
US20110244975A1 (en) Golf Club
KR101548253B1 (ko) 완구총
EP2763760B1 (en) A streamer ball
US5355866A (en) Power dart launcher
KR101715570B1 (ko) 격발에 의한 타격이 되는 당구 큐
US3447805A (en) Spring-powered cue
US3303863A (en) Momentum hammer with a handle carried slidable weight
JP7126295B2 (ja) 教育用ゴルフクラブ
US2938512A (en) Combined pop and squirt toy gun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WO2015057867A1 (en) Cue stick for billiards sports
JP2013537831A (ja) 粘弾性材料から成るクッションを伴うゴルフクラブ
KR20230001277U (ko) 파크골프용 골프채 헤드
US20230249053A1 (en) Cue stick support for billiards having improved grip feeling
JP2005348753A (ja) ゴルフスイング補助装置
KR20200117281A (ko) 파크골프용 클럽
CN203874420U (zh) 一种高尔夫挥杆头
US1887263A (en) Impelling device for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