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119B1 -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119B1
KR101715119B1 KR1020150046728A KR20150046728A KR101715119B1 KR 101715119 B1 KR101715119 B1 KR 101715119B1 KR 1020150046728 A KR1020150046728 A KR 1020150046728A KR 20150046728 A KR20150046728 A KR 20150046728A KR 101715119 B1 KR101715119 B1 KR 10171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wave
guide cylinder
exerciser
buffer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303A (ko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젬테크
Priority to KR102015004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1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5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 A61B17/22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between the apparatus, e.g. shock wave apparatus or locating means, and the patient, e.g. details of bags, pressure control of bag on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18/2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for producing a shock wave, e.g. laser lithotrips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는 내부에 삽입된 운동자가 직선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운동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실린더;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일 끝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운동자에 의해 충격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충격파 진동자;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내주면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일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일 끝단부에 위치한 충격파 진동자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운동자; 및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다른 일 끝단면에 위치하고,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운동자가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다른 일 끝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운동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EXTRACORPOREAL SHOCK WAVE MEDICAL APPARATUS}
본 발명은 의료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체외 충격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외 충격파 치료 요법은, 신행 혈관의 생성을 유도하고 혈류공급을 증가시킴으로써 병변조직의 치유를 촉진하는 치료요법이다. 즉, 체외 충격파 치료 요법은 골절, 신경압박 증상, 근골격계의 퇴행성 병변, 인대의 파열, 관절 주위에 생긴 석회 생성 등과 같은 통증을 느끼는 시술 부위에 충격파 치료기를 접촉시켜 반복적으로 충격파를 체내로 전달하여 병변부위에 일시적인 미세 손상을 일으키는 치료 요법이다.
체외 충격파 치료기는 기타 혈관이나 신경, 피부 조직에 손상이 가지 않으면서 치료가 가하다. 뿐만 아니라, 시술에 의한 상처, 출혈 및 통증이 거의 없어 치아 지지기관 질환, 결석 및 지방 세포 파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84568호는 충격파 생성장치의 진동구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음이 작게 발생하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의 수리 및 교체에 따른 비용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는 내부에 삽입된 운동자가 직선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운동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실린더;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일 끝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운동자에 의해 충격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충격파 진동자;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내주면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일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일 끝단부에 위치한 충격파 진동자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운동자; 및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다른 일 끝단면에 위치하고,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운동자가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다른 일 끝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운동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음이 작게 발생하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의 수리 및 교체에 따른 비용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완충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완충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완충 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완충 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c는 완충 부재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완충 부재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의 내구성 및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 장치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의 내구성 및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완충 부재 및 운동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의 내구성 및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완충 부재 및 운동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체외 충격파 장치","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및 "장치"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충격파는 작은 공간에서 갑자기 에너지가 방출됐을 때 공기 또는 물 속에서 발생되는 높은 압력의 고에너지로 정의할 수 있다. 충격파는 저, 중, 고의 3가지 에너지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0.12 mJ/mm2을 기준으로 고에너지, 저에너지로 분류하기도 한다. 저에너지는 진통, 과자극 효과가 있고 중에너지는 대사 활성을 증가시키며 고에너지는 미세환부 및 골절에 효과가 있다.
체외 충격파(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는 대부분 마취가 필요하지 않고 단시간 내에 시행할 수 있는 비수술적 요법으로 비교적 안전하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꼽힌다. 흉터가 남지 않기 때문에 미용적인 장점이 있고 도핑과 무관해 스포츠 선수에서 효과적이며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에 관련하여 불편함을 야기하는 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체외 충격파 장치의 사용시 상당히 큰 소음이 발생한다.
2. 체외 충격파 장치의 사용에 따라 충격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의 소모가 상당하다.
3. 체외 충격파 장치의 사용에 따라 소모 및/또는 고장나는 컴포넌트들의 수리 및/또는 교체에 드는 비용이 상당하다.
이에, 충격파 장치의 사용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당 업계에 니즈가 존재한다. 나아가, 충격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의 수명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당 업계에 니즈가 존재한다. 동시에, 체외 충격파 장치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컴포넌트들의 수리 및/또는 교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에 대한 당 업계의 수요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컴포넌트들을 보호하고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을 돕기 위하여 외부 케이스를 갖는다.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외부 케이스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컴포넌트들을 보호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외부 케이스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케이스는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었으나 외부 케이스의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외부 케이스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는 컴포넌트들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공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케이스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예컨대, 도 2의 80, 61 ,63, 70, 30, 및 31) 및 하나 이상의 캡(예컨대, 도 2의 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내부에 수용된 컴포넌트들의 파손에 의한 교체나 수리의 용이함을 위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으로 나누어져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하우징의 결합 및/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체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원터치 체결 방식, 원푸시 체결 방식, 끼움 체결 방식, 회전 체결 방식, 스냅 체결 방식, 슬라이드 체결 방식 및 나사 체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외부 케이스는 일측면을 중심으로 피봇(pivot)형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컴포넌트들을 용이하게 교체 및/또는 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용이한 사용을 돕기 위한 손잡이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는 사용자의 편의 및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디자인 설계 사항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케이스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강철, 알루미늄, 유리섬유, 카본,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 케이스는 절연성 물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고무 및/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손잡이부는 실리콘 부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를 사용할 때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외부 케이스의 외면은 외부 케이스의 내면과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외부 케이스의 외면은 외부 케이스 내면과 상이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 내면을 구성하는 소재는 탄성부재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등이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케이스의 외면을 구성하는 소재는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경화성 부재 또는 가소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소재들로 외부 케이스의 외면 및/또는 내면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와 같이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외형에 해당하는 하우징(즉, 외부 케이스) 내부에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충격파 진동자(10), 운동자(20), 가이드 실린더(30) 및 완충 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을 고정 및/또는 연결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실린더(30)는 가이드 실린더 캡(31)에 의해 고정되고, 솔레노이드 밸브(50) 및 건블럭(60)과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가이드 실린더 캡(31) 및 건블럭(60)은 제 1 건케이스(61) 및 제 2 건케이스(63) 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컴포넌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케이스(70) 및 제 2 케이스(80)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내용들은 도 2를 참조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충격파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충격파 발생부는 방사형 및 초점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충격파 발생 방식은 스파크갭(spark gap) 방식, 피에조(Piezoelectric)방식, 전자기식(Electromagnetic) 방식, 전기수력학적(Electrohydraulic)방식 및 공기압(Pneumatic)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충격파 및 충격파 발생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충격파(shockwave)는 음파의 일종으로, 급격히 상승하는 압력을 가해 순간적으로 압력이 강하되면서 음압이 매질을 통과해 충격을 주게 되고 조직에 자극을 가해 치료 효과를 유발하게 된다.
체외충격파(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생 원리에 따라 집중형(focus type)과 방사형(radial type)으로 나뉜다. 집중형은 충격을 발생시키는 부위에서 집진판을 통해 한 지점으로 파를 모으는 형태이고, 방사형은 공기의 진자를 이용해 압축한 공기가 풀어지면서 발생한 파를 이용하는 공압식(pneumatic) 형태이다. 집중형은 한 지점으로 모이기 때문에 강한 충격파를 가할 수 있고, 방사형은 퍼져나가는 형태로 인해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충격파가 점차 약해지는 특성이 있다.
집중형은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따라 전기수력학식(electrohydraulic), 전자기식(electromagnetic), 압전식(piezoelectric)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 전자기식이 가장 안정적으로 일정한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기수력학식은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발생시킨 파를 반사시켜 한 지점에 모으는 방식이며 전자기식은 자기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켜 집중된 파를 만드는 방식이다. 압전식은 작은 크기의 입전소자를 조합해 각 소자의 충격파를 한 지점에 모아 에너지를 얻는 방식이다.
방사형인 공압식은 진자에 의해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공기 압력을 진자로 만들어 압축해 보내기 때문에 집중형에 비해 에너지가 약하다. 집중형의 치료 효과는 주로 세포 수준에서 나타나고 방사형은 조직 수준에서 나타난다.
나아가,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채용된 충격파 발생부에 따른 부가적인 컴포넌트를 더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기초하여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실린더(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실린더(30)는 내부에 삽입된 운동자(20)가 직선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충격파 발생부에 의해 가속된 운동자(20)는 가이드 실린더(30)의 일 끝단부에 결합된 충격파 진동자(10)와 충돌할 수 있다. 충격파 진동자(10)와 운동자(20)의 충돌에 의해 충격파가 발생할 수 있다.
충격파 진동자(10)와 충돌한 운동자(2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추가적인 컴포넌트(예컨대, 운동자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초기 위치로 복귀한 운동자(20)는 충격파 발생부에 의해 가속되어 가이드 실린더(30)의 일 끝단부에 결합된 충격파 진동자(10)와 다시 충돌할 수 있다.
즉, 운동자(20)는 가이드 실린더(30)의 내부에서 직선으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충격파 진동자(10)와 반복적으로 충돌하여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격파는 충격파 진동자(10)가 환부에 닿을 때 인체 내부에 퍼져나갈 수 있다. 인체로 들어간 충격파는 치료 영역의 조직을 자극하여 이상 부위를 치료하고 통증의 완화를 돕는다.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부에는 완충 부재(4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40)는 가이드 실린더(30)의 일 끝단부에 위치한 충격파 진동자(10)와 충돌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운동자(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40)에 의해 운동자(20)가 상기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부로 복귀하는 경우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3a 내지 도 6c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충격파 발생부로 공기압(Pneumatic)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충격파 발생부로 공기압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압축공기의 토출압력에 따라 운동자(20)가 전방으로 발사될 수 있다.
또한, 운동자(20)에 압축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충격파 발생부가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충격파 발생부는 공기를 압축해서 저장하는 에어컴프레셔, 토출 압력을 조정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레귤레이터, 압축 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0)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압축 공기의 토출에 의해 운동자(20)가 발사되어 충격파 진동자(10)와 충돌함으로써 충격파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운동자(20)가 발사되어 충격파 진동자(10)와 충돌한 후, 반발력에 의해 다시 후방으로 이동되면 다시 압축 공기 토출에 의해 발사된다. 즉, 운동자(20)는 충격파 진동자(10)와 재차 충돌하며 충격파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하에서,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충격파 진동자(10)는, 가이드 실린더(30)의 일 끝단부에 결합되며, 운동자(20)에 의해 충격받아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충격파 진동자(10)는 가이드 실린더(30)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운동자(20)와의 충돌로부터 충격파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를 인체 환부에 전달한다.
이러한 충격파 진동자(10)는, 캡(11)에 수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충격파 진동자(10)의 일부분은 캡(11) 외부로 노출되어 인체 환부에 접촉할 수 있다. 나아가, 충격파 진동자(10)는 중공을 갖는 제 2 케이스(80)에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 충격파 진동자(10)는 캡(11) 및/또는 제 2 케이스(80)에 수용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파 진동자(10)는 캡(11) 및/또는 제 2 케이스와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충격파 진동자(10)와 충격파 진동자(10)를 수용하는 캡(11) 사이에는 운동자(20)와 충격파 진동자(10)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품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컴포넌트(예를 들어, 고무 링)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
충격파 진동자(10)는, 고정된 위치에서 지속적인 충격을 당하게 되는 컴포넌트이므로, 충격에 강한 재질의 선택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충격파 진동자(10)는 캡(11)에 내삽되어 운동자(20)와 닿는 접촉면과 캡(11) 외부로 노출되어 환부에 닿는 접촉면이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격파 진동자(10)와 캡(11) 사이에는 충격 에너지가 분산되지 않고 환자의 환부로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부가적인 컴포넌트가 더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파 진동자(10)는 충격파 에너지를 환부에 전달하는 별도의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충격파 진동자(10)가 내입된 캡(11)의 단부 외연에는 충격파를 환부에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자(20)는, 가이드 실린더(30)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운동자(20)가 가이드 실린더(30)의 일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일 끝단부에 위치한 충격파 진동자(20)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운동자(20)는 충격파 발생부에 의해 충격파 진동자(10)로 발사되어 충격파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충격파 진동자(20)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을 갖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운동자(20)는 순간 가속도에 의한 충격력을 높이기 위하여 단위 부피당 비교적 비중이 높은 금속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운동자(20)는 가이드 실린더 내부에서 원활한 왕복 운동을 하기 위하여 가이드 실린더(3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자(20)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을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실린더(30)는, 충격파 진동자(10)와 완충 부재(40) 사이에 형성된다. 즉, 가이드 실린더(30)의 일 끝단부에는 충격파 진동자(10)가 존재하며,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부에는 완충 부재(40)가 존재한다.
가이드 실린더(30)는 내부에서 운동자(20)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 실린더(30)는 가이드 실린더(30)에 내삽된 운동자(20)의 직선 왕복 운동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이드 실린더(30)는 운동자(20)의 외주면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실린더(30)의 직경은 운동자(2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운동자(20)는 가이드 실린더(30)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고 직진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실린더(30)는 에너지의 손실 없이 충격의 정확한 전달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부에는 완충 부재(4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완충 부재(40)는 가이드 실린더(30)의 일 끝단부에 위치한 충격파 진동자(10)와 충돌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운동자(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40)에 의해 운동자(20)가 상기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부로 복귀하는 경우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실린더(30)의 상기 다른 일 끝단부에는 운동자(20)를 충격파 진동자(10)로 발사될 수 있도록 충격파 발생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충격파 발생부는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 실린더(30)와 체결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실린더(30)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30)를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 실린더 캡(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40)는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부에 위치한다. 즉, 완충 부재(40)와 운동자(20)는 상기 운동자(20)가 충격파 진동자(10)와 충돌하여 충격파 에너지를 생성한 후 다시 최초 위치로 복귀할 때 충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부에는 완충 부재(4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 부재(40)는 상기 운동자(20)가 상기 가이드 실린더(30)의 다른 일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운동자(20)와 접촉 시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완충 부재(40)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0)는, PVC(polyvinyl chloride), PU(polyurethane), NBR(nitrile-butadiene rubber), HNBR(Hydrogenated nitrile rubber), SBR(styrene butadien rubber), CR(polychloroprene rubber), IIR(isoprene-isobutyl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IR(isoprene rubber),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및 불소고무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완충 부재의 소재는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완충 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자(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마모될 수 있고, 또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내부 컴포넌트들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소음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완충 부재(40)는 접촉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도 3a 내지 도 3b 참고). 나아가, 완충 부재(40)는 접촉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 4a 내지 도 4c 참고). 추가적으로, 완충 부재(40)는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 후면은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 후면은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40)는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 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 후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 5 참고). 나아가, 완충 부재(40)는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 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 후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완충 부재(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완충 부재(40)는 가이드 실린더(30)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내지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완충 부재(40), 가이드 실린더(30) 및 운동자(20))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제 2 케이스(8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가 채용한 충격파 발생부에 따라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컴포넌트들의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운동자(20)의 전방에는 왕복 이동되는 운동자(2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복귀부재로는 탄성 부재 및/또는 마그네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운동자(20)를 탄성 지지할 때 탄성 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컴포넌트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운동자(20)와 복귀부재(미도시)의 접촉 시 소음 방지 및 충격 완화를 위한 추가적인 컴포넌트(예를 들어, 고무 링)가 설치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부재에 따른 구동 신호에 의해 충격파 발생부의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어 부재를 통해 사용자는 운동자(20)의 왕복 운동 동작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외부케이스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조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명부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ssion Diode)를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LED의 점멸을 통하여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또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에 대한 디자인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조명부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 중 잠시 정지하는 경우, 사전 결정된 시간(예컨대, 5분)이 경과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점등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는 사전 결정된 출력 강도별(예컨대, 1Bar 및 1MJ/㎟), 사전 결정된 주파수별(Hz), 사전 결정된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100)의 사용 각도별, 사전 결정된 충격파 발생 빈도별로 점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측면 또는 후면에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팬(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의료용 체외 충격파 장치(100)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용 체외 충격파 치료기를 하측 방향을 향해 배치할 경우 중력에 의해 이동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의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완충 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완충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완충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 부재(40)는 운동자(20)가 초기 위치로 돌아올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이고 운동자(20)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실린더(30)의 일 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부재(4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접촉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는 가이드 실린더(30)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운동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의 사용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운동자(20)의 수명을 늘리며 사용자의 편의 또한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면'이란 운동자와 접촉하는 완충 부재의 일단면을 통칭한다.
여기서 '접촉 후면'이란 완충 부재의 다른 일단면으로 운동자와 접촉하지 않는 완충 부재의 일단면을 통칭한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완충 부재(41)는 접촉면의 중심에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1)는 접촉면의 가장 자리에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완충 부재(41)는 접촉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위치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돌출부가 형성된 접촉면에서부터 돌출부의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를 '돌출부의 임의의 지점의 높이'라고 칭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돌출부가 형성된 접촉면에서부터 돌출부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거리를 '돌출부의 높이'라고 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완충 부재(41)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것 같이, 곡면의 형상을 가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출부의 서로 다른 임의의 지점까지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완충 부재(41)의 돌출부의 높이는, 돌출부를 제외한 완충 부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41)의 높이가 4.3mm로 형성되고, 돌출부의 높이는 1.5m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를 제외한 완충 부재의 높이는 2.8mm, 돌출부의 높이는 1.5mm로 완충 부재(41)의 돌출부는 돌출부를 제외한 완충 부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완충 부재(4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완충 부재(41)의 높이보다 큰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완충 부재(41)의 돌출부는 평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돌출부의 서로 다른 임의의 지점까지의 높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즉, 돌출부의 임의의 지점까지의 높이가 돌출부의 높이일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41)는 일반적으로 가이드 실린더(30)와 동일한 둘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른 다양한 둘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완충 부재(41)는 가이드 실린더(30)가 원통형인 경우 가이드 실린더(3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실린더(30)의 직경이 8.0mm인 경우 완충 부재(41) 역시 8.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완충 부재(41)는 가이드 실린더(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가이드 실린더(30)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완충 부재(41)는 가이드 실린더(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가이드 실린더(30)를 감싸는 형태로 가이드 실린더(30)와 결합되어 운동자(20)의 충격을 흡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41)는 도 2에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예를 들어, PVC(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는 접촉후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접촉후면'이란 운동자와 접촉하는 완충 부재의 일단면의 반대쪽 일단면을 통칭한다.
도 4a는 완충 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완충 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c는 완충 부재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 부재는 접촉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완충 부재(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접촉면의 중심에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3)의 접촉면에는 가장 자리에 두 개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완충 부재(43)의 접촉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어 위치한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접촉면에서부터 홈의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를 '깊이'라고 칭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접촉면에서부터 홈의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 중 가장 큰 것에 해당하는 것을 '돌출부의 깊이'라고 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완충 부재(43)의 홈의 깊이는 완충 부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43)의 높이가 2.8mm로 형성되고, 홈의 깊이는 2.7mm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홈은 완충 부재(43)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완충 부재(43)는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완충 부재(43)는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것 같이, 곡면의 형상을 가진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홈의 서로 다른 임의의 위치까지의 깊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완충 부재(43)의 홈은 평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완충 부재(43)의 접촉면에서부터 완충 부재(43)의 홈에 위치한 서로 다른 임의의 지점까지의 깊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는 접촉후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완충 부재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충 부재(45)는 접촉면에 돌출부를 포함하고, 접촉후면에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45)는 접촉면의 중심부에 곡면의 형상을 가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완충 부재(45)는 접촉후면의 중심부에 곡면의 형상을 가진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45)는 직경이 8.0mm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접촉면에 높이 1.5mm의 돌출부를 갖고 접촉 후면에 깊이 2.7mm이 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는 접촉면에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고 접촉후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를 통해 운동자(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완충 부재의 접촉면에 포함된 돌출부와 운동자(20)가 충돌하면 완충 부재는 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완충 부재 및 운동자의 충돌에 의한 충격 에너지가 완충 부재의 모양 변형을 위한 에너지로 변경됨으로써 완충 부재가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완충 부재는 가이드 실린더의 일단면에 대응하는 일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가이드 실린더 내부에서 충격을 받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완충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력과 복원력이 뛰어난 소재(예를 들어, PV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완충 부재가 임의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그 설명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완충부재의 파손은 곧 운동자(20)와 가이드 실린더(30)의 파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체외 충격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에 대한 수명기준이 되기도 한다.
또한, 운동자(20)와 충돌시 완충 부재에 의해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운동자(20) 및/또는 가이드 실린더(30)(도 1 참고)의 손상도를 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완충 부재는 충격파 발생부의 일정한 동작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에어가 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압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의 내구성 및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 장치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의 내구성 및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완충 부재 및 운동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의 내구성 및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완충 부재 및 운동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의 내구성 및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도 6a의 실험장치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충 부재의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는 지그(jig)형태 테스트 장치 2개 및 장비 형태 테스트 장치 3개가 존재한다.
완충 부재의 종류에 따른 완충 부재의 내구성 및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강도 및 주파수를 각각 3Bar 및 10Hrz로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공기압 방식의 체외 충격파를 선택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는 육안 검사시 완충 부재가 찢어지거나 백화 현상을 보이는 경우 완충 부재가 훼손되었다고 특정하도록 한다. 이하 [실험 기준]을 참고하도록 한다.
[실험기준]
1. 강도: 3Bar
2. 주파수: 10Hrz
3. 충격파 발생부 방식: 공기압
4. 실험 대상: 접촉면 및 접촉평면이 편평한 제 1 완충 부재 및 접촉면에 돌기를 포함하고 접촉후면에 홈을 포함하는 제 2 완충 부재 (제 1 완충 부재 및 제 2 완충 부재의 소재는 PVC로 동일하게 형성됨)
5. 실험 방식: 운동자를 완충 부재에 5000번 충돌시킨 후 5분 휴식 후 테스트 반복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완충 부재 및 제 2 완충 부재의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또한 도 6b내지 도 6c의 완충 부재(4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제 1 완충 부재로서, 훼손된 상태이다. 또한, 도 6b 내지 도 6c의 완충 부재(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제 2 완충 부재이다. 나아가, 도 6b 내지 도 6c의 완충 부재(4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된 제 2 완충 부재로서, 훼손된 상태이다.
회차 제 1 완충 부재 제 2 완충 부재
1회차 525,000 4,000,000
2회차 875,000 4,000,000
3회차 950,000 4,000,000
4회차 500,000 3,555,000
5회차 545,000 4,000,000
6회차 900,000 4,000,000
7회차 895,000 4,000,000
8회차 835,000 4,000,000
9회차 795,000 4,000,000
10회차 555,000 4,000,000
11회차 400,000 4,000,000
12회차 455,000 4,000,000
13회차 405,000 4,000,000
14회차 855,000 4,000,000
15회차 875,000 4,000,000
16회차 500,000 4,000,000
17회차 450,000 4,000,000
18회차 855,000 4,000,000
19회차 900,000 4,000,000
20회차 755,000 4,000,000
21회차 725,000 4,000,000
22회차 800,000 4,000,000
23회차 555,000 4,000,000
24회차 675,000 4,000,000
25회차 595,000 4,000,000
26회차 855,000 4,000,000
27회차 945,000 4,000,000
28회차 400,000 4,000,000
29회차 855,000 4,000,000
30회차 475,000 4,000,000
평균 690,167 3,985,166.66
표 1은 제 1 완충 부재 및 제 2 완충 부재가 운동자와의 충돌을 견딘 횟수이다.
[표 1]에 의하면, 제 1 완충 부재(47)는 운동자(20)와 평균 690,167회 충돌 시 훼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완충 부재(49)의 경우 4회차 실험에서 운동자(20)와 3,985,166.66회 충돌시 훼손된 것을 제외하면 운동자(20)와 제 2 완충 부재(49)의 충돌을 4,000,000회까지 시행한 후 더 이상의 충돌 시험을 시행하지 않았다. 즉, 제 2 완충 부재(49)는 [표 1]에 기재된 것보다 보다 많은 충돌을 견딜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골격계 질환의 경우 1회 치료시 평균 1000~1500회의 충격파를 가한다. 결석을 부수려면 2400회까지 늘어난다. 예를 들어 1회 치료시 1500회의 충격파를 가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제 1 완충 부재(47)의 경우 약 460회 사용하면 완충 부재(47)가 갖는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1회 치료시 1500회의 충격파를 가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제 2 완충 부재(49)의 경우 약 2656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2 완충 부재(49)를 사용할 경우 제 1 완충 부재(47)를 사용할 경우보다 완충 부재의 교체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결과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완충 부재로서 바람직한 소재 및/또는 형상 또한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완충 부재를 통해 충격파 장치의 사용시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나아가, 충격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운동자 및 가이드 실린더 등)의 수명을 늘릴 수도 있다. 이로써, 체외 충격파 장치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컴포넌트들의 수리 및/또는 교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주장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출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7)

  1.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로서,
    내부에 삽입된 운동자가 직선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운동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실린더;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일 끝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운동자에 의해 충격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충격파 진동자;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내주면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외주면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일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일 끝단부에 위치한 충격파 진동자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운동자; 및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다른 일 끝단면에 위치하고,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운동자가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다른 일 끝단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운동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면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완충 부재의 접촉 후면은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PVC(polyvinyl chloride), PU(polyurethane), NBR(nitrile-butadiene rubber), HNBR(Hydrogenated nitrile rubber), SBR(styrene butadien rubber), CR(polychloroprene rubber), IIR(isoprene-isobutyl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IR(isoprene rubber),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및 불소고무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KR1020150046728A 2015-04-02 2015-04-02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KR10171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728A KR101715119B1 (ko) 2015-04-02 2015-04-02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728A KR101715119B1 (ko) 2015-04-02 2015-04-02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303A KR20160119303A (ko) 2016-10-13
KR101715119B1 true KR101715119B1 (ko) 2017-03-14

Family

ID=5717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728A KR101715119B1 (ko) 2015-04-02 2015-04-02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47047A1 (en) 2020-11-12 2022-11-03 Itc Co., Ltd Extracorporeal shock wave medical device with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treatment functions
KR20230161300A (ko) 2022-05-17 2023-11-27 (주)아이티시 고주파 및 저주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체외 충격파 의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672A (ja) * 2002-05-28 2003-12-02 Sakai Medical Co Ltd 身体機能測定装置
JP2005145535A (ja) 2003-11-19 2005-06-09 Ricoh Co Ltd 緩衝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緩衝装置
KR100944713B1 (ko) * 2009-03-11 2010-03-03 주식회사 아케아 체외 충격파 치료기
JP2011256992A (ja) 2010-06-11 2011-12-22 Yakumo Kk 振動衝撃力緩衝装置及び該振動衝撃力緩衝装置を含む立体駐車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672A (ja) * 2002-05-28 2003-12-02 Sakai Medical Co Ltd 身体機能測定装置
JP2005145535A (ja) 2003-11-19 2005-06-09 Ricoh Co Ltd 緩衝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緩衝装置
KR100944713B1 (ko) * 2009-03-11 2010-03-03 주식회사 아케아 체외 충격파 치료기
JP2011256992A (ja) 2010-06-11 2011-12-22 Yakumo Kk 振動衝撃力緩衝装置及び該振動衝撃力緩衝装置を含む立体駐車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303A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971B1 (ko) 체외 치료기
US20060025710A1 (en) Instrument for applying vibrations to the human body
US8500665B2 (en) Instrument for applying vibrations to the human body
US20100137752A1 (en) Medical Apparatus For Treatment Of The Human Or Animal Body By Mechanical Pressure Waves Or Shock Waves
KR101583630B1 (ko) 볼탄도식 체외 충격파 치료기
RU23864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упрессуры головы с применением давления воздуха
US9265689B2 (en)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for scar tissue therapy having intermediate and opposed heads
KR101715119B1 (ko) 의료용 체외 충격파 발생 장치
US20090221940A1 (en) Apparatus for treating biological body substances by mechanical shockwaves
KR102564195B1 (ko) 충격파 장치
KR102051307B1 (ko) 이중 구조의 충격파 전달부를 구비한 체외 치료기
KR20190028411A (ko) 초점 조절이 용이한 체외 치료기
CN105107095A (zh) 一种冲击波治疗仪
KR101904131B1 (ko) 충격파 마사지 기기
KR100864310B1 (ko) 인장스프링을 이용한 이차 충격파 발생 실린더
KR20190090366A (ko) 체외 치료기
KR101967355B1 (ko) 초점 조절이 용이한 체외 치료기
KR100944713B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
KR100771216B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KR200431910Y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KR101610774B1 (ko) 기능성 에어건 복합치료장치
KR101610770B1 (ko) 에어건 피에조핸드피스 복합치료장치
KR100738490B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
KR102027318B1 (ko) 티타늄 충격부를 이용한 기능성 공기압 체외 충격파치료기
KR101265892B1 (ko) 안마기의 타격기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