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991B1 -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991B1
KR101714991B1 KR1020160170596A KR20160170596A KR101714991B1 KR 101714991 B1 KR101714991 B1 KR 101714991B1 KR 1020160170596 A KR1020160170596 A KR 1020160170596A KR 20160170596 A KR20160170596 A KR 20160170596A KR 101714991 B1 KR101714991 B1 KR 10171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lay
transmission unit
power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국
김종열
Original Assignee
김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열 filed Critical 김종열
Priority to KR102016017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연장이나 무대 장치에서 장비 설치대(구조물)를 승하강시키는 세트 바튼(Set Batten)에 대해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회로에 무접점 릴레이와 보조 릴레이를 설치하여 마그네트 접촉 부위를 강제적으로 동작시켜도 구동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상 리미트 스위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는, 구조물을 승하강하기 위한 와이어(Wire)가 연결된 바튼(batten); 상기 바튼에 연결된 와이어(W)를 권취하여 상기 바튼을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를 비롯한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마그네트 접촉부; 상기 마그네트 접촉부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무접점 릴레이; 상기 전원이 상기 무접점 릴레이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여 상기 무접점 릴레이의 동작을 단속하는 보조 릴레이; 및 상기 보조 릴레이의 동작을 선택하는 비상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THEATRE COMPLEX 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공연장이나 무대 장치에서 장비 설치대(구조물)를 승하강시키는 세트 바튼(Set Batten)에 대해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회로에 무접점 릴레이와 보조 릴레이를 설치하여 마그네트 접촉 부위를 강제적으로 동작시켜도 구동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상 리미트 스위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이나 공연 건물의 내부 천장에는 조명등과 같은 천장 시설물이 설치되어, 필요한 천장 시설물을 승강시켜 경기 또는 공연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천장 구조물이 위치하는 곳까지 작업자 또는 연출자가 올라가지 않고, 천장 구조물을 지면으로 편리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승강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무대장치는 발판, 프레임, 승강기, 영사기, 조명기 등을 갖추고 있으며, 승강기는 전동모터와 와이어를 구비한 승강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즉, 조명기, 영사기, 스크린 등의 무대장비가 무거우므로 무대장치를 수동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없어 동력 승강기를 이용하는 바, 승강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으로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풀게 되고, 와이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장비 설치대를 승강하여 장비 설치대에 설치된 무대장비를 동력으로 승강하게 된다.
무대장치에서 세트 바튼(batten)은 구동부에 의한 장비 설치대(구조물)를 승하강시키는 장치로서, 정상적인 작동시 모터부와 연결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의 셋팅값에 의해 자동으로 정지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구동부의 바튼에서 비상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거나, 콘솔에서 스위치 불량 시에는 모터부가 절대 동작되지 않아야 한다. 이때 관리자가 임의로 제어 판넬에서 마그네트 접촉부위를 강제 동작시킴으로써 세트 바튼이 그리드 프레임에 닿는다든지 그로인해 구조물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강제로 마그네트 접촉 부위를 동작시킬 경우에 와이어 로프의 절단으로 인한 구조물의 추락 사고를 야기시켜서 심각한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즉, 무대나 공연장에서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무대 위의 물체 또는 배우를 감지하는 수단이 없어 공연 중이나 무대 위에 배우와 관계자가 다치거나, 무대 소품이 장비설치대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대나 공연장에서 천장 구조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6281호(등록일 : 2014년06월03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연장이나 무대 장치에서 장비 설치대(구조물)를 승하강시키는 세트 바튼(Set Batten)에 대해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회로에 무접점 릴레이와 보조 릴레이를 설치하여 마그네트 접촉 부위를 강제적으로 동작시켜도 구동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상 리미트 스위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는, 구조물을 승하강하기 위한 와이어(Wire)가 연결된 바튼(batten); 상기 바튼에 연결된 와이어(W)를 권취하여 상기 바튼을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를 비롯한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마그네트 접촉부; 상기 마그네트 접촉부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무접점 릴레이; 상기 전원이 상기 무접점 릴레이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여 상기 무접점 릴레이의 동작을 단속하는 보조 릴레이; 및 상기 보조 릴레이의 동작을 선택하는 비상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리미트 스위치가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전원이 상기 보조 릴레이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보조 릴레이가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바튼의 승하강을 명령하는 승하강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스위치의 고장 시에 상기 보조 릴레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릴레이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원이 상기 무접점 릴레이에도 공급되지 않아 상기 무접점 릴레이도 동작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무접점 릴레이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지 않아 상기 동력 전달부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동작 방법은, 구조물을 승하강하기 위한 와이어(Wire)가 연결된 바튼(batten); 상기 바튼에 연결된 와이어(W)를 권취하여 상기 바튼을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를 비롯한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마그네트 접촉부를 포함하는 장치의 공연장 복합 안전 동작 방법으로서, (a)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이 상기 마그네트 접촉부와 무접점 릴레이 및 보조 릴레이에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마그네트 접촉부에서 상기 전원을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하는 단계; (c) 비상 리미트 스위치에서 보조 릴레이의 동작을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보조 릴레이에서 상기 전원이 공급이 중단되어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및 (e) 상기 무접점 릴레이가 상기 보조 릴레이의 동작 정지에 따라 동작을 중단하여 상기 마그네트 접촉부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연장이나 무대 장치에서 세트 바튼(Set Batten)을 통해 장비 설치대(구조물)를 승하강 시킬 때, 비상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거나, 콘솔에서 스위치 불량 시에 관리자가 임의로 제어 판넬에서 마그네트 접촉부위를 강제 동작시키더라도 무접점 릴레이와 보조 릴레이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상 리미트 스위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의 주요 기능 블록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에 대한 회로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릴레이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리미트 스위치의 동작 시에 비정상적으로 동력 전달부에 전원이 투입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의 주요 기능 블록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100)는, 바튼(batten)(110), 권취드럼(120), 동력 전달부(130), 전원부(140), 마그네트 접촉부(Magnet Contact, MC)(150), 무접점 릴레이(SOLID STATE RELAY)(160), 보조 릴레이(170),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 및 콘트롤(승하강) 스위치(190)를 포함한다.
바튼(110)은 무대 설비나 구조물을 승하강하기 위한 와이어(Wire)가 연결된다.
권취드럼(120)은 바튼(110)에 연결된 와이어(W)를 권취하여 바튼(110)을 승하강시킨다.
동력 전달부(130)는 권취드럼(120)에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구동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동력 전달부(130)는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므로 '모터부' 또는 '구동부'라고도 칭할 수도 있다.
전원부(140)는 동력 전달부(130)를 비롯한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부(140)는 교류(AC) 380V 또는 220V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를 통해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24V의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마그네트 접촉부(150)는 전원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되도록 한다.
무접점 릴레이(160)는 마그네트 접촉부(150)에서 출력된 전원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한다.
보조 릴레이(170)는 전원이 무접점 릴레이(160)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여 무접점 릴레이(160)의 동작을 단속한다.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는 보조 릴레이의 동작을 선택 입력한다.
콘트롤(승하강) 스위치(190)는 바튼(110)이 승하강 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에 대한 회로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100)는, 전원부(140)에서 교류 전압 380V 또는 220V의 전원을 공급하고, 이러한 메인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메인 차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 상에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암페어미터와,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볼트미터 및 역상을 방지하기 위한 역상 방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40)로부터 메인 전원이 마그네트 접촉부(150)와 무접점 릴레이(160)를 경유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전원의 공급 라인 상에 메인 전원이 마그네트 접촉부(15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3P 30AF/5AT)와, 과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과부하 계전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원이 전원부 회로를 통해 조작 전원으로 안전 장치부에 공급될 수 있으며,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를 통해 24V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콘솔 전원으로 무접점 릴레이의 보조 회로(16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릴레이 및 보조 릴레이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릴레이(160)는, 마그네트 접촉부(150)에서 출력된 전원을 동력 전달부(130)에 입력하기 위한 모터부 입력 단자와, 무접점 릴레이(160)에서 동력 전달부(130)로 출력하기 위한 모터부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무접점 릴레이(160)는 모터부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메인 전원을 릴레이에 SSR 전원으로 공급하는 SSR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SSR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여 모터부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보조 릴레이(170)를 포함한다.
이때, 보조 릴레이(170)는 PCB(Printed Circuit Board)(164) 상에 구비되고, PCB(164)는 비상 리미트 확인 램프(165)와 전환 스위치(166), 스위치 확인 램프(167) 및 전환 스위치(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 리미트 확인 램프(165)는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의 동작 상태를 램프의 점등으로 표시하고, 스위치 확인 램프(167)는 콘트롤 스위치(190)의 동작 상태를 램프의 점등으로 표시한다.
전환 스위치(166)는 부득이한 사정으로 긴급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 전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마그네트 접촉부(150)를 통해 전원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가 동작되는 경우에, 전원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보조 릴레이(170)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어 보조 릴레이(170)가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승하강 스위치(190)의 고장 시에 보조 릴레이(17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릴레이(170)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전원이 무접점 릴레이(160)에도 공급되지 않아 무접점 릴레이(160)도 동작하지 않는다.
그리고, 무접점 릴레이(16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전원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되지 않아 동력 전달부(130)의 동작이 중단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리미트 스위치의 동작 시에 비정상적으로 동력 전달부에 전원이 투입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에는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가 동작하지 않고, 콘트롤 스위치(190)를 통해 마그네트 접촉부(150)가 작동하여 3상 전원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된다.
그런데, 콘트롤 스위치(190)의 고장 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 접촉부(160)가 강제 눌림으로 비정상적으로 마그네트 접촉부(150)를 통해 동력 전달부(130)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에 마그네트 접촉부(1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무접점 릴레이(160)를 통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되고, 파워 서플라이를 통한 DC 24V(-)의 전원은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를 통과하며, 승하강 스위치(190)가 동작할 때 파워 서플라이를 통한 DC 24V(+)의 전원이 보조 릴레이(170)에 공급된다.
그러나, 보조 릴레이(170)가 턴 오프(Turn Off) 동작하게 됨에 따라 무접점 릴레이(160)도 턴 오프 동작하게 되며, AC 220V 전원이 무접점 릴레이(160)에 공급되어도, 무접점 릴레이(160)가 동작하지 않게 됨에 따라 동력 전달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중단되는 것이다.
즉, 마그네트 접촉부(150)를 강제적으로 동작한다고 하더라도 무접점 릴레이(160) 및 보조 릴레이(170)를 통해 동력 전달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킴으로써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100)는, 전원부(140)에서 전원을 마그네트 접촉부(150)와 무접점 릴레이(160) 및 보조 릴레이(170)에 공급한다(S510).
즉, 전원부(140)로부터 380V 또는 220V 전원이 마그네트 접촉부(150)를 통해 무접점 릴레이(160)를 경유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되거나, 파워 서플라이를 통해 DC 24V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보조 릴레이(170)를 통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마그네트 접촉부(150)는 전원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한다(S520).
이어,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에서 보조 릴레이의 동작을 선택한다(S530).
즉,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의 턴 온(Turn On) 동작에 따라 보조 릴레이(170)가 턴 오프(Turn Off)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때,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의 이상 발생시 PCB(164)의 비상 리미트 확인램프(165)의 LED 램프가 소멸되어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 스위치(190)의 이상 발생시에도 PCB(164)의 스위치 확인램프(167)의 LED 램프가 소멸되어 승하강 스위치(190)의 이상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이어, 보조 릴레이(170)에서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동작을 정지한다(S540).
이어, 무접점 릴레이(160)가 보조 릴레이(170)의 동작 정지에 따라 동작을 중단하여 마그네트 접촉부(150)에서 출력된 전원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S550).
한편, 부득이한 사정으로 긴급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 PCB(164)의 전환 스위치(166, 168)를 통한 전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마그네트 접촉부(150)를 통해 전원이 동력 전달부(13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에 DC 24V(-) 전압이 통과되는 것을 이용하였으며, 그 DC 24V(-) 전압을 이용하여 PCB(164)의 보조 릴레이(170)에 DC 24V(-) 전압을 투입하였으며, 승하강 스위치(190)의 접점에서 DC 24V(+) 전압이 통과되는 것을 이용하여 PCB(164)의 보조 릴레이(170)에 DC 24V(+) 전압을 투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DC 24V 전원 (+), (-)를 이용하여 보조 릴레이(170)를 구동시키고, 그 접점을 이용하여 AC 220V 전압을 무접점 릴레이(160)의 전원부에 투입한다.
무접점 릴레이(160)의 접점 단자를 통해 동력 전달부(130)에 3상 전원이 전달되는 방식으로 무접점 릴레이(160)가 동작되지 않을 시에는 3상 전원이 동력 전달부(130)에 전달되지 못하므로, 마그네트 접촉부(150)를 강제 작동한다 하여도 동력 전달부(130)의 모터는 가동되지 않는 것이다.
즉, 비상 리미트 스위치(180)의 동작 시 DC 24V(-) 전원이 차단되어 보조 릴레이(170)의 구동이 불가능해지고, 승하강 스위치(190)의 고장 시에도 DC 24V(+) 전원이 차단되어 보조 릴레이(170)의 구동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렇게 보조 릴레이(170)가 작동되지 않을 시에 무접점 릴레이(160)가 동작하지 않으며, 무접점 릴레이(160)가 작동되지 않을 시에 동력 전달부(130)의 모터에 3상 전원이 전달되지 않아 동력 전달부(130)는 가동되지 않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연장이나 무대 장치에서 장비 설치대(구조물)를 승하강시키는 세트 바튼(Set Batten)에 대해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회로에 무접점 릴레이와 보조 릴레이를 설치하여 마그네트 접촉 부위를 강제적으로 동작시켜도 구동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상 리미트 스위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110 : 바튼(batten)
120 : 권취드럼 130 : 동력 전달부
140 : 전원부 150 : 마그네트 접촉부
160 : 무접점 릴레이 170 : 보조 릴레이
164 : PCB 165 : 비상리미트 확인램프
166 : 전환 스위치 167 : 스위치 확인 램프
168 : 전환 스위치 180 : 비상 리미트 스위치
190 : 콘트롤(승하강) 스위치

Claims (6)

  1. 구조물을 승하강하기 위한 와이어(Wire)가 연결된 바튼(batten);
    상기 바튼에 연결된 와이어(W)를 권취하여 상기 바튼을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를 비롯한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마그네트 접촉부;
    상기 마그네트 접촉부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무접점 릴레이;
    상기 전원이 상기 무접점 릴레이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여 상기 무접점 릴레이의 동작을 단속하는 보조 릴레이; 및
    상기 보조 릴레이의 동작을 선택하는 비상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비상 리미트 스위치가 동작되면 상기 전원이 상기 보조 릴레이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보조 릴레이가 동작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상기 무접점 릴레이에도 상기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무접점 릴레이도 동작하지 않는,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튼의 승하강을 명령하는 승하강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스위치의 고장 시에 상기 보조 릴레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 릴레이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원이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공급되지 않아 상기 동력 전달부의 동작이 중단되는,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6. 삭제
KR1020160170596A 2016-12-14 2016-12-14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KR101714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596A KR101714991B1 (ko) 2016-12-14 2016-12-14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596A KR101714991B1 (ko) 2016-12-14 2016-12-14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991B1 true KR101714991B1 (ko) 2017-03-09

Family

ID=5840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596A KR101714991B1 (ko) 2016-12-14 2016-12-14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6150A (zh) * 2018-05-17 2018-11-13 浙江工业大学 升降台的安全保护支撑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386A (ja) * 1993-11-30 1995-08-08 Seiichi Saito 停止位置設定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舞台機構の停止位置設定方法
KR100709685B1 (ko) * 2005-05-31 2007-04-19 김병두 모형막 구동 장치
KR101406281B1 (ko) 2013-12-18 2014-06-13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기기
KR101574938B1 (ko) * 2014-11-11 2015-12-08 (주)하온아텍 무대 장치의 가상 위치 운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386A (ja) * 1993-11-30 1995-08-08 Seiichi Saito 停止位置設定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舞台機構の停止位置設定方法
KR100709685B1 (ko) * 2005-05-31 2007-04-19 김병두 모형막 구동 장치
KR101406281B1 (ko) 2013-12-18 2014-06-13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기기
KR101574938B1 (ko) * 2014-11-11 2015-12-08 (주)하온아텍 무대 장치의 가상 위치 운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6150A (zh) * 2018-05-17 2018-11-13 浙江工业大学 升降台的安全保护支撑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72023A1 (en) Portable emergency and inspection interface for elevators
CN103508275B (zh) 电梯控制装置
CN104828658A (zh) 一种施工升降机的控制系统
KR101714991B1 (ko) 공연장 복합 안전 장치
KR101008425B1 (ko) 무대장비 승강기용 승강높이제한 리미트스위치의 검사장치
KR100880036B1 (ko) 구동부의 원격 및 현장제어 일체형 무대장치
CN109951096B (zh) 电力转换装置
KR101419518B1 (ko)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CN112456267B (zh) 一种用于电梯检修运行的电气安全检测控制电路
JP2006264821A (ja)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装置の照明装置制御方法
KR20170071226A (ko) 무선 제어 기능을 적용한 비상 조명 장치 및 시스템
JP200622509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0543427B1 (ko) 누전시 점호회로 차단기능을 내장한 조광 제어 장치
KR100728576B1 (ko) 수처리 장치의 비상전원 공급시스템
JPH0130755B2 (ko)
KR100513997B1 (ko) 리프트 전자식 출입문 안전장치
JP7113057B2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給電方法
KR20060032027A (ko) Ac/dc 겸용 램프의 비상전원 공급 제어장치
JPH0753169A (ja) エスカレータ
CN202587551U (zh) 具有快速检测功能的照明指引系统
JPH08102210A (ja) 昇降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21165501A (ja) 移動制御装置及びシャッターシステム
JPH07257837A (ja) エレベータの工事運転用制御装置
JP2008265922A (ja) エレベータ
RU2328438C2 (ru) Подъемник и способ спасательной операции в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м оборудовании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