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667B1 -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 Google Patents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667B1
KR101714667B1 KR1020160103541A KR20160103541A KR101714667B1 KR 101714667 B1 KR101714667 B1 KR 101714667B1 KR 1020160103541 A KR1020160103541 A KR 1020160103541A KR 20160103541 A KR20160103541 A KR 20160103541A KR 101714667 B1 KR101714667 B1 KR 10171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rve
preform
tooth
roo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6010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gebr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e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경치료의 실습을 위해 치아의 신경 부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신경치료 중 치아의 상아질 손상을 최소하면서 치아신경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신경치료 실습이 가능하도록, (a) 신경 체류부 및 상기 체류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고, 바디와 커버의 결합 시 상기 체류부를 포함하는 신경공간이 형성되는 프리폼 제조단계; (b) 상기 바디의 개구부에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조립된 프리폼의 외면에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리폼의 조립 이전 또는 조립 이후에, 상기 신경공간에 신경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TOOTH MODEL FOR PRACT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경치료의 실습을 위해 치아의 신경 부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신경치료 중 치아의 상아질 손상을 최소하면서 치아신경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신경치료 실습이 가능하도록, (a) 신경 체류부 및 상기 체류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고, 바디와 커버의 결합 시 상기 체류부를 포함하는 신경공간이 형성되는 프리폼 제조단계; (b) 상기 바디의 개구부에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조립된 프리폼의 외면에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리폼의 조립 이전 또는 조립 이후에, 상기 신경공간에 신경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신경 치료란, 충치 등이 치아몸체(치관)의 상아질을 넘어, 치아신경(치수강 및 치근관) 부위까지 침범하여 통증이 느껴질 때 행하는 것으로,
치아에 신경 치료 진단이 확인 되면, 치과 치료용 드릴 기구로 치아몸체에 구멍을 뚫고, 신경 제거용 전동 기구를 이용해 치아신경의 치아조직 내지 혈관 등을 제거한 다음, 근관공동을 소독한 후 근관공동 및 구멍에 대체 재료를 충진하고 메우는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 일종의 보철 치료이다.
이러한 치과 신경 치료는 치아의 상아질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치아신경을 완전하게 제거해야만, 통증 재발을 방지하고 자연치아를 최대한으로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 치료 기술의 숙달을 위해 많은 실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일반 치과 대학에서는, 이러한 신경 치료의 실습을 위해, 치아 내부의 신경 구조까지 구현된 치아 모형이 충분하게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수가 신경 치료를 실시하는 것을 견학하고 이를 녹화한 시청각 자료에 의지하여 일반 치아 모형을 이용해 신경 치료를 배우고 있어, 실습의 효용성이 떨어진다.
즉, 일반 치아 모형의 경우 치아나 구강의 외형만을 본 뜬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치아 내부에 형성된 신경 부위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 실습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해 실습을 행하더라도 신경 구조에 대한 정확한 식별 내지 치아신경 제거를 위한 직접적인 시술을 할 수 없어, 신경 치료의 숙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일부 치과 대학에서는, 저가의 진료비를 받고 교수나 전공의의 주도 아래 비전공의들이 실제 환자의 신경 치료 등을 실시할 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나, 이 역시도 충분한 실습이 선행되지 않으면, 의료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으므로 신경 치료를 미리 쉽고 정확하게 실습할 수 있으면서, 저가로 공급 가능하여 충분한 실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실습용 치아 모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신경 치료 등의 실습을 위해, 치아 내부의 신경 구조까지 정밀하게 제작된 특수 치아 모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532645호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치수부(치아신경); 상기 치수부 외측에 형성된 상아질부; 및 상기 상아질부 외측에 형성된 사기질부(치아)를 포함하되, 상기 치수부는 알루미나(Alumina)(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um oxide)), 아말감 알로이 파우더(Amalgam alloy powder) 및 수지(Resin)에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아질부는 알루미나(Alumina)(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um oxide)), 철가루, 소뼈 및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사기질부는 (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um oxide)), 오페이크(opaque), 철가루, 소뼈 및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X-선 촬영 실습용 치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치아 모형을 실제 치아와 유사한 재질 및 구조를 갖게 제조하여 X-선 촬영 실습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치아 모형을 이용하면 신경 치료 실습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아 모형의 경우, 치아 내부 구조가 상세하게 표현됨에 따라 치아 모형 자체가 매우 고가일 수밖에 없고,
X-선 촬영 실습과 달리, 신경 치료 실습의 경우 드릴 천공 및 신경 제거 등으로 인해 치아 모형의 파괴가 수반되므로, 신경 치료 실습 후 치아 모형이 폐기될 것을 감안하면,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치아 모형을 신경 치료 실습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과 시술, 특히 치과 신경 치료 실습을 위한 치아 모형의 제작이 쉽고, 저가로 공급 가능하며, 치아 내부의 신경 부위에 대한 육안 식별이 용이하여 치료 실습을 보다 정확한 판단아래 실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경 제거 실습의 핵심만을 쉽고 빠르게 습득함으로써, 신경치료 중 치아의 상아질 손상을 최소하면서 치아신경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신경치료 실습이 가능하도록,
(a) 신경 체류부 및 상기 체류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고, 바디와 커버의 결합 시 상기 체류부를 포함하는 신경공간이 형성되는 프리폼 제조단계; (b) 상기 바디의 개구부에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조립된 프리폼의 외면에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리폼의 조립 이전 또는 조립 이후에, 상기 신경공간에 신경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경 제거 실습 중, 신경 제거 기구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아질, 즉 치아 뿌리 내부에 형성된 신경 부위의 표면만을 제거하는 시술 방법을 쉽게 습득 및 숙달 가능하도록, 바디의 체류부에 투입되는 신경을 액상 신경을 이용하여, 신경 공간이 액상 신경에 의해 페인팅 내지 도포되어 식별될 수 있는 실습용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프리폼 조립 후 외피 형성 이전에, 바디와 커버가 분리되어 투입된 신경, 특히 액상 신경이 치아 모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리폼의 바디와 커버의 접면에 밀폐성 향상을 위한 엇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은,
(a) 신경 체류부 및 상기 체류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고, 바디와 커버의 결합 시 상기 체류부를 포함하는 신경공간이 형성되는 프리폼 제조단계;
(b) 상기 바디의 개구부에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조립된 프리폼의 외면에 외피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리폼의 조립 이전 또는 조립 이후에, 상기 신경공간에 신경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에서,
상기 (b) 단계의 신경은, 액상 신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에서,
상기 프리폼의 바디와 커버의 접면에는 밀폐성 향상을 위한 엇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은, 치과 시술, 특히 치과 신경 치료 실습을 위한 치아 모형의 제작이 쉽고, 저가로 공급 가능하며, 치아 내부의 신경 부위에 대한 육안 식별이 용이하여 치료 실습을 보다 정확한 판단아래 실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경 제거 실습의 핵심, 즉 치아 뿌리 내부에 형성된 신경 부위의 표면만을 제거하는 시술 방법을 쉽게 습득 및 숙달할 수 있어, 신경치료 중 치아의 상아질 손상을 최소하면서 치아신경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신경치료 실습이 가능하여, 치과 전문의 양성을 위한 치과 치료 교육의 효용성 향상 및 실습 부족에 따른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을 샘플 사진을 통해 설명한 흐름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치아 모형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치아 모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을 샘플 사진을 통해 단계별로 촬영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인 도 1,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을 각각 좌측 상부 및 우측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인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은, 크게 (a) 프리폼(10) 제조 단계, (b) 프리폼(20) 조립 단계, (c) 외피(20) 형성 단계 및 (d) 신경(30) 투입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 단계는, 신경 체류부(14a) 및 상기 체류부(14a)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15)로 구성되고, 바디(11)와 커버(15)의 결합 시 상기 체류부(14a)를 포함하는 신경공간(14)이 형성되는 프리폼(1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바디(11)는 치관 및 치아뿌리의 내부에 형성된 상아질(속뿌리)의 외관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관에 대응하는 치아몸체(12)와, 상기 치아몸체(12) 하부에 연결되어 치아뿌리 내부의 상아질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속뿌리부(13)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속뿌리부(13)의 내측 외표면과 치아몸체(12)의 하면을 따라 치아신경의 모양으로 형성된 제1 체류부(14a)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5)는, 상기 제1 속뿌리부(13)에 대응하는 제2 속뿌리부(16)로 이루어져, 치아뿌리 내부에 형성되는 상아질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체류부(14a)에 대응하여, 제2 속뿌리부(16)의 외측 외표면 및 상면을 따라 치아신경의 모양으로 형성된 제2 체류부(14b)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바디(11)의 개구부에 커버(15)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바디(11)의 하부에 상기 커버(15)를 결합하면, 제1, 제2 속뿌리부(13)(16)가 상호 결합되면서, 치관에 대응하는 치아몸체(12) 하부에, 치아뿌리 내부에 위치하는 상아질에 대응하는 속뿌리가 형성되고,
서로 대응하는 제1, 제2 체류부(14a)(14b)가 밀폐되면서 결합되어, 치아신경의 모양에 대응하는 신경공간(14)이 형성된다.
이러한 프리폼(10)의 바디(11) 및 커버(15)는,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해 사출 성형 방식 등으로 제작되며, 특히 내부의 신경공간(14)에 투입될 신경(30), 즉 액상 신경(31)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무색투명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리폼(10)은, 바디(11)와 커버(15)의 결합 시, 신경공간(14)의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바디(11)와 커버(15)의 접면에는 서로 암수 결합되는 엇물림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엇물림부(17)는, 하나의 체류부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와, 다른 체류부 테두리를 따라 오목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으로 형성되며,
이때 결합돌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결함홈의 전체적인 크기보다 미세하게 크게 하여, 결합돌기가 결합홈으로 억지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바디(11)와 커버(15)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엇물림부(17)를 대표하여, 커버(15)의 제2 체류부(14b)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7b)와, 이에 대응하여 바디(11)의 제1 체류부(14a) 테두리를 따라 오목 형성된 결합홈(17a)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와 반대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d) 단계에서 바디(11)를 뒤집은 상태로 액상 신경(31)을 투입한 후 그 위에 커버(15)를 조립하게 되므로, 도면과 같이, 결합돌기(17b)를 커버(15)에 형성하고 결합홈(17a)을 바디(11)에 형성하는 것이 조립성 측면에서 보다 편리하다.
이때 상기 바디(11)와 커버(15)의 조립 시, 상기 엇물림부(17)와 별개로 본딩 접착 방식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신경(30)이 투입되어 조립된 프리폼(10)만으로도, 신경 치료 실습이 가능하나, 바디(11)와 커버(15)의 조립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실습 중 바디(11)와 커버(15)의 분리 및 액상 신경(31)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실습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선, 실체 치아 배열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치아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실습에 사용되는 치아 모형은 낱개의 개별 치아가 아닌 사람의 구강 구조에 맞는 다수개의 치아가 배열된 치아 모형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프리폼(10)의 속뿌리 외부 표면을 감싸도록, (c) 상기 조립된 프리폼(10)의 외면에 외피(2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한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뿌리의 외형에 상응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치아뿌리에 대응하는 형상의 겉뿌리(21)를 구비한 외피(20)를 개별 제작한 후, 조립된 프리폼(10)의 하부에 외피(20)를 직접 결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다만, 외피 형성의 편의성 확보 및 실제 치열 구조의 구현을 위해선, 프리폼(10)과 외피(20)의 조립에 의한 단차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디(11)와 외피(20)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c) 단계는, 상기 조립된 프리폼(10)을 이중 사출하여, 프리폼(10)의 속뿌리를 감싸면서, 바디(11), 보다 엄밀하게는 치아몸체(12)와 일체로 연결된 겉뿌리(21)를 구비한 외피(20)가 성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11)는, 상기 치아몸체(12)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상기 제1 속뿌리부(1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단차부(12a)가 구비되어,
(c) 단계에서 외피(20)를 이중 사출하여 성형할 때, 외피(20)의 상단부가 상기 단차부(12a)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외피(20) 역시, 프리폼(10)과 동일한 무색투명의 합성수지 소재가 사용되어, 신경공간(14)에 투입된 신경(30), 특히 신경공간(14)에 충진된 액상 신경(31)의 식별력을 보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d) 단계는, 상기 프리폼(10)의 신경공간(14)에 신경(30)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d) 단계는, 신경(30)의 종류에 따라, 상기 (b) 단계의 프리폼(10) 조립 전이나 조립 후 또는, 상기 (c) 단계의 외피 형성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류부(14a)에 투입되는 신경(30)은, 치아신경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된 신경모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형태의 신경모형을 사용하는 경우, 신경공간(14)에 신경(30) 투입을 위해 상기 (d) 단계는 상기 (b) 단계의 프리폼(10) 조립 전에 실시된다.
한편 고체 형태의 신경모형의 재질에 따라 실습 시 근관공동 성형이 어렵거나, 신경 제거 기구의 오작동 내지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d) 단계에서 투입되는 신경(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신경(31)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치관의 천공을 위해 사용되는 치과 진료용 드릴 기구의 가용 압력에 비해, 치아신경의 제거를 위해 근관공동을 성형하는 신경 제거용 전동 기구의 가용 압력이 약하기 때문에,
고체 형태의 신경모형을 사용하는 경우, 신경모형의 재질이나 경도 등에 따라, 근관공동 성형이 용이하지 않거나, 신경 제거용 전동 기구의 오작동 내지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경모형 대신 액상 신경(31)을 투입함으로써, 바디(11)와 커버(15)가 조립된 프리폼(10)의 신경공간(14)(제1 체류부(14a)와 제2 체류부(14b)로 밀폐된 공간)에 충진된 액상 신경(31)이 신경공간(14)의 내부 표면에 페인팅 내지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치아신경의 모양만을 육안 식별 가능하도록 하고,
신경 제거용 전동 기구를 이용해 액상 신경(31)이 페인팅 내지 도포된 신경공간(14)의 내부 표면만을 적은 힘으로 제거하여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액상 신경(31)은, 상기 바디(11) 및 커버(15)와 반대로, 유색 불투명의 액체가 사용되어 육안 식별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액상 신경(31)이 사용되는 경우, (d) 단계는 상기 (b) 단계의 프리폼(10) 조립 전에 실시되거나, 상기 (b) 단계 또는 상기 (c) 단계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바디(11)를 뒤집은 상태에서 제1 체류부(14a)에 액상 신경(31)을 투입한 후 커버(15)를 조립하고 프리폼(10)을 뒤집으면, 액상 신경(31)이 제2 체류부(14b)의 내부 표면까지 페인팅 내지 도포되므로, 이후 (c) 단계에서 무색투명의 합성수지로 외피(20)를 형성하게 되면, 치아 모형 내부에 형성된 치아신경의 외부 육안 식별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리폼(10) 또는 프리폼(10)과 외피(20)에, 상기 신경공간(14)과 연통된 미세 구멍을 형성하고, 이러한 미세 구멍을 통해 액상 신경(31)을 주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a) 단계에서, 프리폼(10)의 바디(11) 또는 커버(15)(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5)) 및 외피(20)에 액상 신경(31)을 주입할 수 있는 미세 구멍을 형성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b) 단계에서 바디(11)와 커버(15)의 조립 전에 액상 신경(31)을 투입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프리폼(10) 조립 후 외피(20)의 형성 이전 또는 이후에 상관없이 액상 신경(31)을 신경공간(14)에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외피(20) 형성 이후에 액상 신경(31)을 주입하는 경우, 일정 이상의 주입 압력을 제공하는 액상 주입기(미도시)가 사용된다.
이 경우 외피(20)의 겉뿌리(21)에 미세 구멍을 형성하게 되면, 액상 신경(31) 주입 후 미세 구멍이 개구된 상태라 하더라도, 이를 통해 액상 신경(31)이 유출되지 않는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된 목적 중 하나가, 액상 신경(31)이 신경공간(14)의 내부 표면에 페인팅 내지 도포되어 치아 내부의 신경 모양을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므로, 액상 신경(31)의 일부 유출이 발생하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은, 치아신경에 대응하는 신경(30), 즉 액상 신경(31)에 의해 표시되는 신경공간(14)의 외부 식별이 가능해지므로,
이를 바탕으로, 치관의 천공 실습을, 정확한 너비 및 깊이만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실습 가능하다.
나아가 신경공간(14)에 액상 신경(31)이 충진된 실습용 치아 모형을 사용하게 되면, 신경공간(14)의 내부 표면에 페인팅 내지 도포된 액상 신경(31)의 제거만으로 신경 제거 시술 실습이 가능하여, 상술한 신경 제거용 전동 기구의 오작동 내지 고장 발생을 방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연치아를 최대한으로 보전하기 위해, 속뿌리(제1, 제2 속뿌리부(13)(16))의 손상, 즉 실체 치아에 형성된 상아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경 치료 연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과 같이 액상 신경(31)을 이용한 실습용 치아 모형을 신경 치료 실습을 실시하는 경우, 신경 제거용 전동 기구로 제거하는 부위는 액상 신경(31)이 페인팅 내지 도포된 신경공간(14)의 내부 표면에 한정되고,
따라서 액상 신경(31)이 외부 식별 되지 않는 정도로만, 신경공간(14)의 내부 표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실습하게 되면, 실제 신경 치료 시, 상아질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철물이 씌워진 자연치아를 최대한으로 보전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치료 가능하다.
이는 실제 신경 치료 중에는 X-선 촬영을 통해 치아 내부 구조의 정확한 식별 내지 판단이 가능하나, 실습 중에는 X-선 촬영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실습자의 육안 식별로 대체하여 실습의 편리성 및 효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본 명세서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낱개의 치아 형태로 제조된 치아 모형을 대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강 구조에 맞게 다수개의 치아가 배열된 치아 모형에도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실습용 치아 모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리폼 11 : 바디
12 : 치아몸체 12a : 단차부
13 : 제1 속뿌리부 14 : 신경공간
14a : 제1 체류부 14b : 제2 체류부
15 : 커버 16 : 제2 속뿌리부
17 : 엇물림부 17a : 결합홈
17b : 결합돌기 20 : 외피
21 : 겉뿌리 30 : 신경
31 : 액상 신경

Claims (4)

  1. (a) 신경 체류부 및 상기 체류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15)로 구성되고, 바디(11)와 커버(15)의 결합 시 상기 체류부를 포함하는 신경공간(14)이 형성되는 프리폼(10) 제조단계;
    (b) 상기 바디(11)의 개구부에 커버(15)를 결합하는 프리폼(10) 조립 단계;
    (c) 상기 조립된 프리폼(10)의 외면에 외피(20)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리폼(10)의 조립 이전 또는 조립 이후에, 상기 신경공간(14)에 신경(30)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디(11)는, 치관에 대응하는 치아몸체(12)와, 상기 치아몸체(12) 하부에 연결되어 치아뿌리 내부의 상아질에 대응하는 제1 속뿌리부(13)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속뿌리부(13)의 내측 외표면과 상기 치아몸체(12)의 하면을 따라, 치아신경의 모양으로 형성된 제1 체류부(14a)가 오목 형성되고,

    상기 커버(15)는, 치아뿌리 내부의 상아질에 대응하는 제2 속뿌리부(16)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속뿌리부(16)의 외측 외표면 및 상면을 따라, 치아신경의 모양으로 오목 형성된 제2 체류부(14b)가 오목 형성되어,
    상기 (b) 단계에서 프리폼(10) 조립 시, 제1, 제2 체류부(14a)(14b)가 밀폐되면서 상기 신경공간(14)을 형성하되,

    상기 바디(11)는, 상기 치아몸체(12)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상기 제1 속뿌리부(1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단차부(12a)가 구비되어,

    상기 (c) 단계는, 조립된 프리폼(10)을 이중 사출하여, 프리폼(10)의 속뿌리를 감싸면서 상단부가 상기 단차부(12a)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치아몸체(12)와 연결된 겉뿌리(21)로 이루어진 외피(20)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신경(30)은, 액상 신경(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10)의 바디(11)와 커버(15)의 접면에는 밀폐성 향상을 위한 엇물림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KR1020160103541A 2016-08-16 2016-08-16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KR10171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541A KR101714667B1 (ko) 2016-08-16 2016-08-16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541A KR101714667B1 (ko) 2016-08-16 2016-08-16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667B1 true KR101714667B1 (ko) 2017-03-09

Family

ID=5840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541A KR101714667B1 (ko) 2016-08-16 2016-08-16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6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903B1 (ko) 2016-05-18 2019-02-13 박규태 치아 블록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2175A (ko) * 2017-10-16 2019-04-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용 치아 모델 제조 방법 및 교육용 치아 모델
KR20230116481A (ko) 2022-01-28 2023-08-04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66937Y (zh) * 2007-12-13 2008-12-17 张养荣 牙模型教具
JP5689272B2 (ja) * 2010-10-04 2015-03-25 Jsr株式会社 歯牙模型および歯牙模型ブロック、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66937Y (zh) * 2007-12-13 2008-12-17 张养荣 牙模型教具
JP5689272B2 (ja) * 2010-10-04 2015-03-25 Jsr株式会社 歯牙模型および歯牙模型ブロック、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Q Dental Crystal Base Hard Plastic Teeth Tooth Molar Model ((http://www.ebay.com/itm/HQ-Dental-Crystal-Base-Hard-Plastic-Teeth-Tooth-Molar-Model-Separable-Teaching-/121586554400)* *
용인 동백 치과 - 신경치료 모형으로 하는 동영상)(2014.03.29.)(http://blog.naver.com/ddsn/150187777584)*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903B1 (ko) 2016-05-18 2019-02-13 박규태 치아 블록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2175A (ko) * 2017-10-16 2019-04-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용 치아 모델 제조 방법 및 교육용 치아 모델
KR102022360B1 (ko) * 2017-10-16 2019-09-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용 치아 모델 제조 방법 및 교육용 치아 모델
KR20230116481A (ko) 2022-01-28 2023-08-04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667B1 (ko)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JP2020110628A (ja) 歯科修復物成形技術
KR1017971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638558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디지털 원바디 어버트먼트 및 그의 제조방법
TWI394560B (zh) 植牙手術導板及其製作方法
KR20200064962A (ko)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WO2010131779A1 (ja) 三半規管障害患者の治療用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388111A (zh) 钛材料根管塞尖及设备
KR10210490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ITRM20070590A1 (it) Vite per la stabilizzazione di una frattura ossea e relativo kit.
KR101675500B1 (ko)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EP2544165B1 (de) Lehrmodell zum Erlernen der Kariesbehandlung
DE102011013191A1 (de)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r Bohrschablone für eine Implantat-OP
KR101741228B1 (ko) 임플란트 드릴링 가이드 장치
JP2021167866A (ja) 歯根模型
DE102010005497B4 (de)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r Bohrschablone für eine Implantat-OP in einem Kiefer.
JP2008506485A (ja) 歯冠上部構造システム用上部構造体
KR102569275B1 (ko)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주입식 보철 장치
KR20240063612A (ko) 치과 임플란트
CN209827918U (zh) 可提高超声检测敏感性的介入治疗导管
US20160351077A1 (en) Dental-pulp-cavity model
CN211156380U (zh) 一种基于slm成型的种植牙结构
AU2021245261B2 (en) Tooth model for tooth treatment pract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10749585U (zh) 一种牙种植体组件
WO2007060023A1 (de) Sonde, verfahren und kit und ihre verwendung zum apikalen abdichten eines zahnwurzelka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