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481A -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481A
KR20230116481A KR1020220013465A KR20220013465A KR20230116481A KR 20230116481 A KR20230116481 A KR 20230116481A KR 1020220013465 A KR1020220013465 A KR 1020220013465A KR 20220013465 A KR20220013465 A KR 20220013465A KR 20230116481 A KR20230116481 A KR 2023011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coupler
practice
jaw model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이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이인환 filed Critical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481A/ko
Publication of KR2023011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4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76Body hygiene; Dressing; Knot tying
    • G09B19/0084Dent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치아배열에 맞춰서 복수의 치아 장입공들을 형성하는 턱모형부; 상기 턱모형부 하부에서 치아 장입공에 장입 설치되는 복수 개의 커플러; 상기 턱모형부 하면에 결합되어 커플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대; 상기 턱모형부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치아 장입공들과 동일 축선상에 치아 정렬공들을 형성하는 잇몸부; 및 상기 잇몸부의 치아 정렬공에 상측이 지지되고 하측이 치아 장입공을 관통하여 커플러에 착탈 결합하는 개별치아부;를 포함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Teeth Model Assembly}
본 발명은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치료 실습에 사용된 후의 개별치아부를 턱모형부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신경 치료란, 충치 등이 치아베이스몸체(치관)의 상아질을 넘어, 치아신경(치수강 및 치근관) 부위까지 침범하여 통증이 느껴질 때 행하는 것으로, 치아에 신경 치료 진단이 확인되면, 치과 치료용 드릴 기구로 치아베이스몸체에 구멍을 뚫고, 신경 제거용 전동 기구를 이용해 치아신경의 치아조직 내지 혈관 등을 제거한 다음, 근관공동을 소독한 후 근관공동 및 구멍에 대체 재료를 충진하고 메우는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 일종의 보철 치료이다.
이러한 치과 신경 치료는 치아의 상아질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치아신경을 완전하게 제거해야만, 통증 재발을 방지하고 자연치아를 최대한으로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 치료 기술의 숙달을 위해 많은 실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일반 치과 대학에서는, 일반 치아 모형의 경우 치아나 구강의 외형만을 본 뜬 일반 치아 모형을 이용한 실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치아 내부에 형성된 신경부위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 실습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해 실습을 행하더라도 신경 구조에 대한 정확한 식별 내지 치아신경 제거를 위한 직접적인 시술을 할 수 없어, 신경 치료의 숙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4667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 치료 실습에 사용된 후의 개별치아부를 턱모형부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교체 사용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잇몸부를 이용해 개별치아부들을 치아배열에 맞춰 미리 선 조립한 상태에서 턱모형부에 일시에 조립되거나 일시에 탈거되도록 하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치아부를 커넥터기둥부와 상기 커넥터 기둥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 머리부로 형성함으로써, 치아 머리부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어 개별치아부의 커넥터 기둥부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별치아부의 치아 머리부를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로 구성된 상아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아질층 외부에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의 크라운층을 형성하여 실제 치아 느낌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치아배열에 맞춰서 치아 장입공을 형성하는 턱모형부; 상기 턱모형부 하부에서 치아 장입공에 장입 설치되는 커플러; 상기 턱모형부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치아 장입공과 동일 축선상에 치아 정렬공을 형성하는 잇몸부; 및 상기 잇몸부의 치아 정렬공에 상측이 지지되고 하측이 치아 장입공을 관통하여 커플러에 착탈 결합하는 개별치아부;를 포함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턱모형부는 치아배열을 갖추기 위한 외형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베이스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주연에는 치아배열에 맞춰서 개별치아 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치아 장입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아 장입공은 개별치아부의 커넥터 기둥부가 삽입 관통하는 제1직경부가 형성되고, 턱모형부 하부 측에는 제1직경부에 연결되는 확관된 형태의 제2직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는 원통형의 커플러몸체가 형성되고, 상반부를 슬릿홈으로 절개시켜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하며, 상기 슬릿홈에 분할된 커플러의 각 영역에는 내경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부는 치아배열을 갖추기 위한 "U"자 외형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몸체를 형성하고, 턱모형부 측에 형성된 치아 장입공들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치아 정렬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치아부는 잇몸부의 치아 정렬공에 상측이 지지되고 하측이 치아 장입공을 관통하여 커플러에 착탈 결합하는 커넥터 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기둥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 머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 기둥부는 턱모형부의 치아 장입공에 축 결합되는 제1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축부 하단에 환형의 테두리홈을 형성하여 커플러의 후크돌기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제1축부의 상측에는 잇몸부의 치아 정렬공에 정합되는 외형을 갖는 제2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축부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치아 정렬공의 형상은 제2축부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 머리부는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로 구성된 상아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아질층 외부에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의 크라운층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실제 치아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턱모형부 하면에 받침대가 결합되어 커플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가 결합되는 턱모형부 측 베이스몸체의 하면 둘레에 일정폭의 테두리를 돌출시켜 내측에 판형의 받침대가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치아배열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과 치료 실습에 사용된 후의 개별치아부를 턱모형부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잇몸부를 이용해 개별치아부들을 치아배열에 맞춰 미리 선 조립한 상태에서 턱모형부에 일시에 조립되거나 일시에 탈거되도록 하는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개별치아부의 교체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치아부를 커넥터기둥부와 상기 커넥터 기둥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 머리부로 형성함으로써, 치아 머리부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어 개별치아부의 커넥터 기둥부의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치아부의 치아 머리부를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로 구성된 상아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아질층 외부에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의 크라운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제 치아 느낌을 제공하여 실습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치아모형 조립체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턱모형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별치아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별치아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플러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평면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치아모형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턱모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개별치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개별치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커플러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내지 도 6의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는 크게 턱모형부(110), 커플러(120), 받침대(130), 잇몸부(140), 개별치아부(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턱모형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턱모형부(110)는 치아배열을 갖추기 위한 외형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베이스몸체(111)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몸체(111)의 외주연에는 치아배열에 맞춰서 개별치아 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치아 장입공(113)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치아 장입공(113)은 직경이 다른 2개의 홀이 상, 하 위치에 2단계의 층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턱모형부(110) 상부 측에는 개별치아부(150)의 커넥터 기둥부(151)가 삽입 관통하는 제1직경부(113a)가 형성되고, 턱모형부(110) 하부 측에는 제1직경부(113a)에 연결되는 제2직경부(113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직경부(113a)의 하부에 제2직경부(113b)가 확관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턱모형부(110)의 하면 둘레에는 일정폭의 테두리를 돌출시켜 단턱부(115)를 형성하고, 단턱부(115) 내측에 판형의 받침대(13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대 고정수단(117)이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117)으로는 도 1,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턱부(115)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받침대(130)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나사 또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130)는 측면을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피라미드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117)의 해제 시, 자중에 의해 턱모형부(110)로부터 낙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 도 1, 도 2, 도 6을 참조하여 커플러(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플러(120)는 턱모형부(110) 하부에서 치아 장입공(113)의 제2직경부(113b) 측에 장입 설치되어 상측으로는 제1직경부(113a)의 단차부에 걸려서 상측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하측으로는 받침대(130)에 막혀서 하측 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한 커플러(120)는 원통형의 커플러몸체(121)를 형성하는데, 제2직경부(113b)의 깊이와 직경에 각각 해당하는 높이와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120)의 내경을 개별치아부(150)의 커넥터 기둥부(151) 외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커플러(120) 내경에 커넥터 기둥부(151)가 삽입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120)의 상반부를 슬릿홈(125)으로 절개시켜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대향 위치에 슬릿홈(125) 한 쌍이 형성되어 커플러(120)의 상반부를 2분할하는 예가 도시된다.
이때, 상기 슬릿홈(125)에 2분할된 커플러(120)의 각 영역에는 내경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돌기(123) 한 쌍이 각각 대향 위치에 마주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슬릿홈(125)을 2개 이상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분할 영역에 한 개씩의 후크돌기(123)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3개의 슬릿홈(125)을 등 간격 형성하여 커플러(120) 상반부를 3개 영역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영역에 1개씩의 후크돌기(123) 즉 3개의 후크돌기(12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4개의 슬릿홈(125)을 등 간격 형성하여 커플러(120) 상반부를 4개 영역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영역에 1개씩의 후크돌기(123) 즉 4개의 후크돌기(12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후크돌기(123)는 개별치아부(150)의 커넥터 기둥부(151)가 삽입될 때, 커넥터 기둥부(151) 외경과의 간섭이 발생되고, 이때의 간섭으로 인해 동심원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후크돌기(123)가 형성된 분할영역이 함께 밀려나면서 슬릿홈(125)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예컨대, 상기 슬릿홈(125)에 의해 분할된 커플러(120)의 분할영역들은 개별치아부(150)의 결합시, 커넥터 기둥부(151)와 간섭으로 인해 벌어지고, 간섭이 해재될 경우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복원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커플러(120)가 턱모형부(110)의 제2직경부(113b)에 장입되면, 턱모형부(110)의 하면에 받침대(130)가 결합되어 커플러(120)가 턱모형부(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커플러(120)는 치아배열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어금니쪽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커플러(120)들을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부품으로 관리하거나, 앞니쪽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커플러(120)들을 일체형로 연결시켜 하나의 부품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치아배열을 이루는 모든 커플러(120)들을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부품으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각각의 커플러(120)들은 슬릿홈(125)이 형성되지 않는 하반부 측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턱모형부(110) 상부에는 잇몸부(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잇몸부(140)는 치아배열을 갖추기 위한 "U"자 외형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몸체를 형성하고, 턱모형부(110) 측에 형성된 치아 장입공(113)들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치아 정렬공(141)들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치아 정렬공(141)들은 개별치아부(150) 각각이 치아배열에 맞게 배치되도록 결합방향과 위치를 세팅하는 가이드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도 1,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여 개별치아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개별치아부(150)는 잇몸부(140)의 치아 정렬공(141)에 상측이 지지되고 하측이 치아 장입공(113)을 관통하여 커플러(120)에 착탈 결합하는 커넥터 기둥부(151)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 기둥부(151)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 머리부(153)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 기둥부(151)는 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금속재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치아 머리부(153)는 실제 치아와 유사한 느낌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아 머리부(153)는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로 구성된 상아질층(153a)을 형성하고, 상기 상아질층 외부에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의 크라운층(153b)을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실제 치아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기둥부(151)는 턱모형부(110)의 치아 장입공(113)에 축 결합되는 제1축부(151a)를 형성하고, 상기 제1축부(151a) 하단에 환형의 테두리홈(151b)을 형성하여 커플러(120)의 후크돌기(123)가 걸리도록 하여 분리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축부(151a)의 상측에는 잇몸부(140)의 치아 정렬공(141)에 정합되는 외형을 갖는 제2축부(151c)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축부(151c)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고, 치아 정렬공(141)의 형상은 제2축부(151c)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예컨대, 치아 정렬공(141)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결합되는 개별치아부(150)는 제2축부(151c) 및 치아 정렬공(141)의 역방향 경사면의 형태로 인해서, 잇몸부(140)에 일정 깊이 이상으로는 삽입되지 못하고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고, 잇몸부(140) 하측으로 제1축부(151a)가 돌출되어 턱모형부(110)에 장입된 커플러(120)와 착탈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축부(151c)의 외형은 어금니나 앞니 등 각각의 개별치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제2축부(151c)의 상부에는 치아 머리부(153)가 결합되도록 하는 치아 결합부(151d)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를 세팅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턱모형부(110)에 커플러(120) 및 받침대(130)를 조립한다.
이때, 턱모형부(110)의 치아 장입공(113) 하부로부터 커플러(120)가 진입하여 제2직경부(113b)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플러(120)는 치아배열 위치에 따라 크기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어금니나 앞니 등 각각의 개별치아들이 크기나 형태를 달리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커플러(120)의 크기나 형태도 제 각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치아배열에 맞춰서 커플러(120)들이 제2직경부(113b)에 안착되면, 받침대(130)를 턱모형부(110) 하면에서 결합하여 커플러(120)들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130)의 외형을 감싸도록 턱모형부(110)의 단턱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15)의 외측, 복수 개소에서 받침대(130) 방향으로 관통시켜 체결나사 및 볼트로 이루어진 받침대 고정수단(117)을 체결시켜 받침대(130)가 턱모형부(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잇몸부(140)의 치아 정렬공(141)에 해당하는 개별치아부(150)를 세팅한다.
이때, 개별치아부(150)는 어금니나 앞니 등과 같이 모든 치아배열에 맞춰 크기나 형태를 달리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 개별치아부(150)는 제2축부(151c) 및 치아 정렬공(141)의 역방향 경사면의 형태로 인해서, 잇몸부(140)에 일정 깊이 이상으로는 삽입되지 못하고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고, 잇몸부(140) 하측으로 제1축부(151a)가 돌출되어 턱모형부(110)에 장입된 커플러(120)와 착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잇몸부(140)에 모든 개별치아부(150)가 세팅되면, 이들을 일시에 턱모형부(11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개별치아부(150)의 하단 제1축부(151a)가 치아 장입공의 제1직경부(113a)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진입하게 된다.
제1직경부(113a)를 관통한 제1축부(151a)의 외경이 커플러(120)의 후크돌기(123)를 만나서 간섭이 발생되는데, 이때의 간섭 저항력보다 강한 힘으로 개별치아부(150)를 누르게 되면, 개별치아부(150)의 제1축부(151a)가 슬릿홈(125)에 의해 분할된 커플러(120)를 벌리면서 진입하게 된다.
이후, 제1축부(151a)에 형성된 환형의 테두리홈(151b)이 후크돌기(123)에 위치하게 되면, 각각의 후크돌기(123)들이 테두리홈(151b) 내로 진입하여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후크돌기(123)가 테두리홈(151b)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는 개별치아부(150)의 분리가 어렵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세팅과정을 통해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가 완성되고, 이를 치과 치료 실습현장에서 사용하게 된다.
치과 치료 실습이 끝난 후에는 훼손된 개별치아부(150)의 교체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개별치아부(150)의 교체작업을 위해서 작업자는 잇몸부(140)를 턱모형부(110)로부터 분리시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커플러(120) 측의 후크돌기(123)와 개별치아부(150) 측의 테두리홈(151b)이 정합된 상태이므로 저항이 발생되는데, 이때의 저항력보다 큰 힘으로 잇몸부(140)를 들어올리게 되면, 커플러(120)의 분할된 상반부가 벌어지면서 개별치아부(150)의 제1축부(151a)가 턱모형부(110)의 치아 장입공(113)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턱모형부(110)로부터 분리된 잇몸부(140)에 결합된 상태의 개별치아부(150)를 잇몸부(14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려서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개별치아부(150)가 분리된 자리에는 새로운 개별치아부(150)를 세팅하여 치과 실습 교재로서 재사용하게 된다.
이때, 실습 후 훼손된 개별치아부(150)는 기공소로 보내져서 치아 머리부(153) 만을 재생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치과 치료 실습에 사용된 후의 개별치아부를 턱모형부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적이며, 잇몸부를 이용해 개별치아부들을 치아배열에 맞춰 미리 선 조립한 상태에서 턱모형부에 일시에 조립되거나 일시에 탈거되도록 하는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개별치아부의 교체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치아부를 커넥터기둥부와 상기 커넥터 기둥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 머리부로 형성함으로써, 치아 머리부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어 개별치아부의 커넥터 기둥부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개별치아부의 치아 머리부를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로 구성된 상아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아질층 외부에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의 크라운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제 치아 느낌을 제공하여 실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턱모형부 111: 베이스몸체
113: 치아 장입공 113a: 제1직경부
113b: 제2직경부 115: 단턱부
117: 받침대 고정수단 120: 커플러
121: 커플러몸체 123: 후크돌기
125: 슬릿홈 130: 받침대
140: 잇몸부 141: 치아 정렬공
150: 개별치아부 151: 커넥터 기둥부
151a: 제1축부 151b: 테두리홈
151c: 제2축부 151d: 치아 결합부
153: 치아 머리부 153a: 상아질층
153b: 크라운층

Claims (12)

  1. 치아배열에 맞춰서 치아 장입공을 형성하는 턱모형부;
    상기 턱모형부 하부에서 치아 장입공에 장입 설치되는 커플러;
    상기 턱모형부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치아 장입공과 동일 축선상에 치아 정렬공을 형성하는 잇몸부; 및
    상기 잇몸부의 치아 정렬공에 상측이 지지되고 하측이 치아 장입공을 관통하여 커플러에 착탈 결합하는 개별치아부;를 포함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모형부는 치아배열을 갖추기 위한 외형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베이스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주연에는 치아배열에 맞춰서 개별치아 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치아 장입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장입공은 개별치아부의 커넥터 기둥부가 삽입 관통하는 제1직경부가 형성되고, 턱모형부 하부 측에는 제1직경부에 연결되는 확관된 형태의 제2직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원통형의 커플러몸체가 형성되고, 상반부를 슬릿홈으로 절개시켜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하며, 상기 슬릿홈에 분할된 커플러의 각 영역에는 내경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부는 치아배열을 갖추기 위한 "U"자 외형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몸체를 형성하고, 턱모형부 측에 형성된 치아 장입공들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치아 정렬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치아부는 잇몸부의 치아 정렬공에 상측이 지지되고 하측이 치아 장입공을 관통하여 커플러에 착탈 결합하는 커넥터 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기둥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 머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기둥부는 턱모형부의 치아 장입공에 축 결합되는 제1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축부 하단에 환형의 테두리홈을 형성하여 커플러의 후크돌기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제1축부의 상측에는 잇몸부의 치아 정렬공에 정합되는 외형을 갖는 제2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부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치아 정렬공의 형상은 제2축부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머리부는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로 구성된 상아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아질층 외부에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의 크라운층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실제 치아 느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모형부 하면에 받침대가 결합되어 커플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결합되는 턱모형부 측 베이스몸체의 하면 둘레에 일정폭의 테두리를 돌출시켜 내측에 판형의 받침대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치아배열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KR1020220013465A 2022-01-28 2022-01-28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KR20230116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465A KR20230116481A (ko) 2022-01-28 2022-01-28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465A KR20230116481A (ko) 2022-01-28 2022-01-28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481A true KR20230116481A (ko) 2023-08-04

Family

ID=8756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465A KR20230116481A (ko) 2022-01-28 2022-01-28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64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667B1 (ko) 2016-08-16 2017-03-09 김정훈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667B1 (ko) 2016-08-16 2017-03-09 김정훈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58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디지털 원바디 어버트먼트 및 그의 제조방법
DE19945354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mplantatgetragene Zahnprothese
JP2018086276A (ja) 歯科用工具および案内装置
DE10300301A1 (de) Verfahren zur automatischen Erzeugung einer dentalen Suprastruktur zur Verbindung mit einem Implantat
KR102243831B1 (ko) 치은막의 손상 없이 보철물의 조립이 가능한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CN115089329A (zh) 牙齿修复用愈合组合件
CN107928821A (zh) 一种快速制作数字化种植导板的方法及其专用定位颌架
US20230011825A1 (en) Jaw model, tooth model and system for practicing techniques of operative dentistry
KR20200064962A (ko)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KR20190082725A (ko) 힐링 어버트먼트
KR20230116481A (ko) 연습용 치아모형 조립체
KR102146836B1 (ko) 힐링 어버트먼트
JPH0653126B2 (ja) 補綴上部構造の保寺用歯科支柱
KR101714667B1 (ko) 실습용 치아 모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실습용 치아 모형
KR20200014645A (ko) 구강내 스캐닝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 방법
KR200483373Y1 (ko) 스캔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세트
EP2544165A1 (de) Lehrmodell zum Erlernen der Kariesbehandlung
KR20180009302A (ko) 보철물 제거 장치
KR20230005568A (ko) 치아 치료 실습용 치아 모형 및 이의 제조방법
US11925524B1 (en) Dental tooth grasper
KR20120010343A (ko) 마찰력이 향상된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KR102415340B1 (ko) 발치 연습용 기구
CN211427689U (zh) 一种龋病充填术、盖髓术、活髓切断术一体化教学模型
KR100915682B1 (ko) 픽스츄어 절삭공구
DE1119462B (de) Phantom-Modell des menschlichen Gebi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