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541B1 -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 Google Patents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541B1
KR101714541B1 KR1020160140352A KR20160140352A KR101714541B1 KR 101714541 B1 KR101714541 B1 KR 101714541B1 KR 1020160140352 A KR1020160140352 A KR 1020160140352A KR 20160140352 A KR20160140352 A KR 20160140352A KR 101714541 B1 KR101714541 B1 KR 101714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holder
screw
finger
hol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김주석
Original Assignee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5Instruments or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6Drives or transmissions with torque adjusting or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홀더에는, 치과용 스크류를 조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에 결합되는 치과용 드라이버 홀더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결합되는 개구부 및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장치; 및 상기 탄성 지지장치를 상기 홀더 바디에 결합시키는 고정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탄성 지지장치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Driver holder for a tool of dental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란, 보철물을 유지 및 지지하기 위하여 골조직 내부등의 구강 조직에 매식되는 보철 장치로서,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임플란트는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등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심어 골 융합시킨 뒤 인공 치아를 연결하여 치아 본연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임플란트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츄어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시키는 스크류가 포함된다.
상기 스크류의 헤드 내부는, 육각형, 사각형, 일자형 또는 별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를 조작할 때, 스크류 드라이버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드라이버 홀더 또는 토크 렌치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드라이버 및 드라이버 홀더에 관한 종래기술은 아래와 같이 개시된다.
1. 등록번호 (등록일자) : 10-1483437 (2015년 1월 12일)
2. 발명의 명칭 : 치과용 토크드라이버 홀더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드라이버 홀더의 사용이 다소 불편하고, 미리 설정된 토크 이상의 회전력을 부여하였을 때 드라이버 팁 또는 스크류의 헤드 내부에 변형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헤드 내부에 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스크류를 제거할 수 없어, 픽스츄어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 드라이버와 드라이버 홀더가 일체로 구성되는 제품의 경우, 스크류 드라이버가 파손되었을 때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와 함께 드라이버 홀더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작이 간편하고, 스크류 드라이버 또는 스크류의 헤드 내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버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홀더에는, 치과용 스크류를 조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에 결합되는 치과용 드라이버 홀더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결합되는 개구부 및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장치; 및 상기 탄성 지지장치를 상기 홀더 바디에 결합시키는 고정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탄성 지지장치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삽입되는 드라이버수용부를 규정하는 내주면 및 상기 탄성 지지장치가 삽입되는 홀더 삽입부가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핑거홀더가 포함되며, 상기 탄성 지지장치에는, 상기 홀더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드라이버 핑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핑거홀더에는, 상기 드라이버수용부가 형성되며,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 1 파트; 및 상기 제 1 파트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파트가 포함되며, 상기 홀더 삽입부는 상기 제 1 파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핑거에는, 상기 제 2 파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핑거본체; 상기 핑거본체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일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의 홈부에 삽입되는 누름부가 포함되고, 상기 지지바 및 누름부는 외팔보 거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누름부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상기 홀더 바디에 결합될 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상기 홀더 바디에 결합 완료되면, 상기 드라이버 핑거의 복원력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파트에는, 상기 홀더 바디의 내면부에 결합되는 외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홀더 바디의 내면부 및 상기 제 1 파트의 외면부는, 다수의 평탄면에 의하여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삽입되는 드라이버수용부를 규정하는 내주면 및 상기 탄성 지지장치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스프링 홀더가 포함되며, 상기 탄성 지지장치에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의 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볼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홀더에는, 상기 드라이버수용부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를 가지는 제 1 파트가 포함되며, 상기 설치홈은 상기 제 1 파트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볼을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 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삽입되는 드라이버수용부를 규정하는 내주면 및 상기 탄성 지지장치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링 홀더가 포함되며, 상기 탄성 지지장치에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의 홈부에 결합될 수 있는 볼; 및 상기 볼을 가압하는 링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볼은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 부재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C-링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링 홀더에는, 상기 드라이버수용부 및 상기 설치홈이 형성되는 제 1 파트가 포함되며,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볼이 설치되는 제 1 설치홈; 및 상기 링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설치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 2 설치홈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장치를 상기 홀더 바디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볼트 및 와셔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홀더 바디의 개구부 및 파지부는 상기 홀더 바디의 전방부 및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홀더 바디의 후방부에는, 상기 홀더 바디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바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핑거 및 상기 핑거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핑거에는, 구 또는 반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의 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누름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에는, 치과용 스크류에 결합되는 팁을 가지는 드라이버 몸체 및 홈부를 가지는 헤드가 구비되는 스크류 드라이버; 상기 홈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변형이 이루어지는 2개의 드라이버 핑거; 상기 2개의 드라이버 핑거가 삽입되는 홀더 삽입부를 가지는 핑거 홀더; 상기 핑거 홀더가 결합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가지는 홀더 바디; 및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바디 캡이 포함되며, 상기 홀더 바디가 상기 바디 캡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력은 상기 2개의 드라이버 핑거를 통하여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드라이버 홀더가 스크류 드라이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홀더의 전방부에 스크류 드라이버가 결합되는 드라이버결합부가 구비되고, 드라이버 홀더의 후방부에 바디캡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바디캡을 푸쉬하여, 스크류 드라이버를 스크류에 체결시키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 홀더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파지부가 상기 바디캡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스크류 드라이버에 적절한 토크를 부여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버 홀더에는 변형 가능한 드라이버 핑거가 구비되고, 상기 드라이버 핑거에 의하여 스크류 드라이버가 드라이버 홀더에 쉽게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상기 드라이버 홀더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드라이버 핑거가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회전력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라이버 홀더에는, 스프링 또는 C-링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가 구비되어, 소정 크기 이상의 토크(회전력)이 작용하였을 때, 드라이버 홀더로부터 스크류 드라이버로의 토크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헤드의 내부가 변형되지 않는 토크값 이하로 조일 수 있으므로, 너무 강한 토크를 부여할 때 스크류 드라이버의 팁 또는 스크류의 헤드 내부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홀더에는, 홀더 바디 및 상기 홀더 바디에 일체로 구성되는 핑거 홀더와 드라이버 핑거가 구비되므로, 상기 핑거 홀더를 홀더 바디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홀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핑거의 구성을 보여주느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핑거 홀더의 구성을 보여주느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가 드라이버 홀더에 장착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홀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VI-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에 있어서, 설정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질 때, 스크류 드라이버의 헛도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링 홀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VIII-V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에 있어서, 설정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질 때, 스크류 드라이버의 헛도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X-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가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스크류에 결합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 및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1)에는, 치과용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에 조임력을 부여할 수 있는 스크류 드라이버(20) 및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에 회전력(토크)을 전달할 수 있는 드라이버 홀더(10)가 포함된다.
상기 드라이버 홀더(10)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라이버 홀더(10)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홀더 바디(110)가 포함된다. 상기 홀더 바디(110)의 전방부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결합될 수 있는 드라이버결합부(111)가 포함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을 전방, 좌측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을 축방향, 상기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 정의한다.
상기 드라이버결합부(111)의 단부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개구부(130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개구부(130a)는, 핑거 홀더(130)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핑거 홀더(130)는 상기 드라이버 결합부(111)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핑거 홀더(130)에는, 드라이버 핑거(120)가 결합된다.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장착 또는 분리될 때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11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파지부(112)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평탄면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112)는 대략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110)의 후방부에는, 상기 드라이버 홀더(10)에 전방 푸쉬력을 가할 수 있는 바디캡(115)이 구비된다. 상기 바디캡(115)과 상기 홀더 바디(110는 상호간에,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손바닥에 바디캡(115)을 위치시키고, 손가락으로 상기 파지부(112)를 파지한 후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를 전방으로 푸쉬하여,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팁(26)이 상기 치과용 스크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12)가 상기 바디캡(115)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치과용 스크류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에는, 다수의 홈부(22)가 형성되는 드라이버 헤드(21) 및 상기 드라이버 헤드(21)로부터 연장되는 드라이버 몸체(25)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홈부(22) 중 적어도 2개의 홈부에는,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본체(25)의 전방부에는, 상기 치과용 스크류에 체결되는 팁(26)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홀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핑거의 구성을 보여주느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핑거 홀더의 구성을 보여주느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IV-I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홀더(10)에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파지부(112)를 구비하는 홀더바디(110)와, 상기 홀더바디(10)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핑거 어셈블리(120,130) 및 상기 홀더바디(10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바디캡(115)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홀더바디(110)의 전방부에는, 상기 핑거 어셈블리(120,130)가 장착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삽입되는 드라이버체결부(111)가 포함된다. 상기 핑거 어셈블리(120,130)는 상기 드라이버체결부(111)의 내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핑거 어셈블리(120,130)에는, 상기 드라이버체결부(11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핑거 홀더(130)가 포함된다. 상기 드라이버체결부(111)의 전단부에는, 상기 핑거 홀더(130)가 삽입되는 제 2 개구부(1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체결부(111)의 내주면에는, 상기 핑거 홀더(130)의 외면부(131a)에 결합되는 내면부(111b)가 포함된다. 상기 내면부(111b)에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평탄면이 포함되며,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외면부(131a)에도 다수의 평탄면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내면부(111b)와 상기 외면부(131a)는 대략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면부(111b) 및 외면부(131a)의 대응되는 형상에 의하여, 상기 드라이버체결부(111)에 회전력이 발생하면, 상기 회전력은 상기 핑거 홀더(130)에 전달되어 상기 핑거 홀더(130)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 바디(110)가 헛도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핑거 홀더(130)에는, 제 1 파트(131) 및 제 2 파트(13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파트(1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외면에는 상기 외면부(131a)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파트(133)는 상기 제 1 파트(1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는 상기 제 2 파트(133)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파트(131)의 홀더 삽입부(135,136)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파트(133)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를 지지하는 핑거지지부(137)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 삽입부(135,136)는 상기 제 1 파트(131)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더 삽입부(135,136)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홀더삽입부(135) 및 제 2 홀더삽입부(136)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파트(131)의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2 홀더삽입부(135,136)로 연장되는 2개의 선은 18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131)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삽입될 수 있는 드라이버수용부(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홀더삽입부(135,136)는 상기 드라이버수용부(132)에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는 상기 제 1,2 홀더삽입부(135,136)를 경유하여 상기 드라이버 수용부(13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133)에는, 체결부재(140)가 지지되는 지지턱(134)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140)에는, 볼트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턱(134)에는, 상기 볼트(140)의 헤드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0)에 의하여, 상기 핑거 홀더(130)는 상기 홀더 바디(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핑거본체(121)가 포함된다. 상기 핑거본체(121)는 상기 핑거 홀더(130)의 제 2 파트(133)를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핑거본체(121)에는, 상기 드라이버체결부(111)의 내면부(111b)에 결합되는 평탄면(122)이 포함된다. 상기 평탄면(122)은 상기 드라이버체결부(111)의 내면부(111b)에 맞닿도록 구성되므로, 헛도는 현상없이, 상기 드라이버체결부(11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평탄면(122)은 상기 핑거본체(121)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에는, 상기 핑거본체(12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23,124)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부(123,124)에는, 제 1 지지부(123) 및 제 2 지지부(12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123)에는, 상기 평탄면(12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바(123a) 및 상기 지지바(123a)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홀더삽입부(135)에 삽입되는 누름부(123b)가 포함된다. 상기 누름부(124b)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홈부(2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바(123a) 및 누름부(123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지지부(123)는 외팔보 거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124)에도, 상기 제 1 지지부(123)의 구성과 동일하게, 지지바 및 누름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지지부(123,124)가 상기 평탄면(122)으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상기 홀더 바디(1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평탄면(122)을 경유하여 상기 제 1,2 지지부(123,124)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력의 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응력은, 상기 평탄면(122)을 통하여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123)의 누름부(123a)는 상기 핑거 홀더(130)의 제 1 홀더삽입부(135)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일 홈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부(124)의 누름부는 상기 핑거 홀더(130)의 제 2 홀더삽입부(136)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타 홈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홀더 바디(100)의 회전력은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를 거쳐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홀더(10)에는, 상기 체결부재(140)를 상기 홀더 바디(110)에 지지시키는 너트(142) 및 와셔(14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너트(142) 및 와셔(145)는 상기 홀더 바디(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140)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110)의 내부에는, 상기 너트(142) 및 와셔(145)가 위치되는 관통부(113, 도 8 참조)가 포함된다.
도 8은 도 2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가 드라이버 홀더에 장착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홀더(10)에는, 홀더 바디(110)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바디캡(115)이 포함된다.
상기 바디캡(115)에는,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홀더 바디(110)가 삽입되는 캡개구부(115b)를 형성하는 캡 본체(115a) 및 상기 바디캡(115)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캡지지부(117)가 포함된다. 상기 캡지지부(117)는 상기 홀더 바디(110)의 관통부(11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바디캡(115)에는, 상기 캡지지부(117)의 외측에 형성되는 캡 홈(11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캡 홈(116)은 상기 캡지지부(117)의 외주면과, 상기 캡 본체(115a)의 본체(115a) 내주면 사이의 홈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바디(110)의 후방부에는, 상기 바디 캡(115)의 캡 홈(116)에 삽입되는 홈 삽입부(114)가 포함된다. 상기 바디 캡(115)이 상기 홀더 바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바디(110)는 상기 바디 캡(115)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스크류 드라이버(20)가 분리된 드라이버 홀더(10)의 모습을 보여주며, 도 9는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상기 드라이버 홀더(10)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진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상기 제 1 개구부(130a)를 통하여 상기 핑거 홀더(130)에 삽입되면, 상기 드라이버 헤드(21)와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는 간섭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변형, 즉 상기 복수의 누름부(12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장착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의 누름부(123b)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홈부(2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누름부(123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름부(123b)와 상기 홈부(2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드라이버 홀더(10)로부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로 토크전달이 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드라이버 홀더(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드라이버 홀더(10)의 회전력은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의 누름부(123b)를 통하여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홈부(22)로 전달되어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에 대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축방향 힘(전방 당김력)을 가하면,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를 상기 드라이버 홀더(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상기 드라이버 홀더(1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는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추가 실시예들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홀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VI-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에 있어서, 설정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질 때, 스크류 드라이버의 헛도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10a)에는, 드라이버 홀더(30) 및 상기 드라이버 홀더(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2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2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스크류 드라이버(20)에 구성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드라이버 홀더(30)에는, 파지부 및 드라이버체결부(311)가 형성되는 홀더 바디(310) 및 상기 홀더 바디(31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바디 캡(315)이 포함된다. 상기 홀더 바디(310) 및 상기 바디 캡(315)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홀더 바디(310)에는, 스프링(335) 및 볼(336)이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3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홀더(30)에는, 상기 스프링 홀더(330)를 상기 홀더 바디(3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340)와, 상기 홀더 바디(310)의 관통부(313)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재(340)를 지지하는 너트(342) 및 와셔(345)가 더 포함된다.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스프링 홀더(330)에는, 제 1 파트(331) 및 제 2 파트(33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파트(3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외면에는 홀더 바디(310)의 내면부에 결합되는 평탄부를 가지는 외면부(331a)가 포함된다. 상기 외면부(331a)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외면부(131a)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파트(333)는 상기 제 1 파트(3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33)에는, 상기 체결부재(340)를 지지하는 지지턱(3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31)에는, 상기 스프링(335) 및 볼(336)이 설치되는 설치홈(331b)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31b)은 상기 제 1 파트(33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331b)은, 상기 스프링(335)의 변형공간 또는 상기 볼(336)의 이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331b)의 폭은 상기 볼(336)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볼(336)이 상기 설치홈(331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볼(336)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31)에는, 상기 스프링(335)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332)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스프링지지부(332)는 상기 설치홈(331b)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외면부(331a)의 적어도 일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35)은 상기 스프링지지부(332)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볼(336)은 상기 스프링(335)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스프링(335)의 일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지지부(332)에 지지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볼(336)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330)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삽입될 수 있는 드라이버수용부(331c)가 형성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드라이버수용부(132)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볼(336)은 상기 스프링(335)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홀더(330)의 드라이버수용부(331c)로 돌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35)에는, 압축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상기 스프링 홀더(330)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스프링(335)은 인장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결합될 때, 상기 볼(336)은 상기 드라이버 헤드(21)와 간섭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335)은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스프링(33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볼(336)은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홈부(22)에 삽입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스프링(33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볼(336)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볼(336)은 상기 홈부(2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5는, 사용자가 홀더 바디(330)를 제 1 회전력(Tr1)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제 1 회전력이 상기 스프링 홀더(330)의 볼(336)을 경유하여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로 전달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는 상기 드라이버 홀더(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력은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토크 이하의 회전력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35)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 1 회전력에 대응할 수 있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 토크 이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스크류의 체결과정에서,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팁(26) 부분, 또는 상기 치과용 스크류의 헤드 내부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너무 큰 힘의 회전력, 즉 제 2 회전력(Tr2)이 발생하는 경우, 드라이버 홀더(30)의 회전력은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로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드라이버 홀더(30)가 헛도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상기 제 2 회전력(Tr2)은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토크 이상의 회전력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력은 상기 스프링(335)의 탄성계수 이상의 힘으로서 상기 스프링(335)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335)은 상기 볼(336)을 충분히 탄성 지지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볼(336)은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상기 볼(336)은 상기 드라이버 헤드(21)의 홈부(22)로부터 이탈되어,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로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정리하면, 미리 설정된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토크 이상으로 회전력이 발생되면, 드라이버 홀더(30)가 헛돌게 됨으로써, 스크류 드라이버의 팁 또는 치과용 스크류의 헤드 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링 홀더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VIII-V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IX-I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에 있어서, 설정 크기 이상의 토크가 가해질 때, 스크류 드라이버의 헛도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10b)에는, 드라이버 홀더(40) 및 상기 드라이버 홀더(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2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2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스크류 드라이버(20)에 구성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드라이버 홀더(40)에는, 파지부 및 드라이버체결부(411)가 형성되는 홀더 바디(410) 및 상기 홀더 바디(41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바디 캡(415)이 포함된다. 상기 홀더 바디(410) 및 상기 바디 캡(415)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홀더 바디(410)에는, 링 부재(435) 및 볼(436)이 설치되는 링 홀더(4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홀더(40)에는, 상기 링 홀더(430)를 상기 홀더 바디(4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440)와, 상기 홀더 바디(410)의 관통부(413)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재(440)를 지지하는 너트(442) 및 와셔(445)가 더 포함된다.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링 홀더(430)에는, 제 1 파트(431) 및 제 2 파트(43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파트(4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외면에는 홀더 바디(410)의 내면부에 결합되는 평탄부를 가지는 외면부(431a)가 포함된다. 상기 외면부(431a)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외면부(131a)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파트(433)는 상기 제 1 파트(4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433)에는, 상기 체결부재(440)를 지지하는 지지턱(3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431)에는, 상기 링 부재(435) 및 볼(436)이 설치되는 설치홈(331b)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431b)은 상기 제 1 파트(43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되는 형상, 또는 상기 제 1 파트(43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설치홈(431b)에는, 상기 볼(436)이 설치되는 제 1 설치홈 및 상기 링 부재(435)가 설치되는 제 2 설치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치홈의 폭은, 상기 제 1 설치홈의 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설치홈의 내부 크기는, 상기 링 부재(435)의 부피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크기의 차이는, 상기 링 부재(435)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설치홈의 폭은 상기 볼(436)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볼(436)이 상기 제 1 설치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볼(436)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설치홈의 반경방향으로의 공간은, 상기 볼(436)의 이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링 홀더(430)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삽입될 수 있는 드라이버수용부(331c)가 형성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드라이버수용부(132)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볼(436)은 상기 링 부재(435)에 의하여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링 홀더(430)의 드라이버수용부(431c)로 돌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링 부재(435)는 탄성력을 가지며, 변형 가능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링 부재(435)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C-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링 부재(435)는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상기 링 홀더(430)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링 부재(435)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볼(436)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결합될 때, 상기 볼(436)은 상기 드라이버 헤드(21)와 간섭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링 부재(435)는 외측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볼(436)은 상기 링 부재(43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홈부(22)에 삽입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링 부재(43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볼(436)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볼(436)은 상기 홈부(2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0은, 사용자가 홀더 바디(430)를 제 1 회전력(Tr3)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제 1 회전력이 상기 링 홀더(430)의 볼(436)을 경유하여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로 전달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는 상기 드라이버 홀더(4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력은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토크 이하의 회전력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링 부재(435)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 1 회전력에 대응할 수 있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 토크 이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스크류의 체결과정에서,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팁(26) 부분, 또는 상기 치과용 스크류의 헤드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너무 큰 힘의 회전력, 즉 제 2 회전력(Tr4)이 발생하는 경우, 드라이버 홀더(40)의 회전력은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로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드라이버 홀더(40)가 헛도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상기 제 2 회전력(Tr4)은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토크 이상의 회전력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력은 상기 링 부재(435)의 탄성계수 이상의 힘으로서 상기 링 부재(435)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링 부재(435)은 상기 볼(436)을 충분히 탄성 지지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볼(436)은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상기 볼(436)은 상기 드라이버 헤드(21)의 홈부(22)로부터 이탈되어,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로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정리하면, 미리 설정된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토크 이상으로 회전력이 발생되면, 드라이버 홀더(40)가 헛돌게 됨으로써, 스크류 드라이버의 팁 또는 치과용 스크류의 헤드 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X-X'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1c)에는, 드라이버 홀더(50) 및 스크류 드라이버(20)가 포함된다.
상기 드라이버 홀더(50)에는, 드라이버결합부(511) 및 파지부를 가지는 홀더 바디(510) 및 상기 홀더 바디(510)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바디 캡(515)이 포함된다.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드라이버 홀더(50)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를 지지하는 드라이버 핑거(520) 및 상기 드라이버 핑거(520)를 지지하는 핑거 홀더(53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의 핑거 홀더(530)는, 제 1 실시예의 핑거 홀더와 달리, 상기 홀더 바디(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핑거(520)는, 상기 핑거 홀더(5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핑거 홀더(530)에는, 상기 드라이버 핑거(520)의 변형공간을 제공하는 홀더 절개부(533)가 포함된다. 상기 홀더 절개부(533)는 상기 핑거 홀더(530)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절개부(533)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홀더 절개부(533)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핑거(520)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홈부(22)에 삽입되는 누름부(523b)가 포함된다. 상기 누름부(523b)는 상기 홈부(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상기 드라이버 홀더(5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핑거(520)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홀더 절개부(533)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드라이버 핑거(5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523b)는 상기 홈부(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체결부재가 없이도, 상기 드라이버 핑거(520) 및 핑거 홀더(530)가 상기 홀더 바디(5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1d)에는, 드라이버 홀더(60) 및 스크류 드라이버(20)가 포함된다.
상기 드라이버 홀더(60)에는, 드라이버결합부(611) 및 파지부를 가지는 홀더 바디(610) 및 상기 홀더 바디(610)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바디 캡(615)이 포함된다.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드라이버 홀더(60)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를 지지하는 드라이버 핑거(620) 및 상기 드라이버 핑거(620)를 지지하는 핑거 홀더(63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의 핑거 홀더(630)는, 제 1 실시예의 핑거 홀더와 달리, 상기 홀더 바디(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핑거(620)는, 상기 핑거 홀더(6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핑거 홀더(630)에는, 상기 드라이버 핑거(620)의 변형공간을 제공하는 홀더 절개부(633)가 포함된다. 상기 홀더 절개부(633)는 상기 핑거 홀더(630)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절개부(633)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홀더 절개부(633)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핑거(620)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홈부(22)에 삽입되는 누름부(623b)가 포함된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가 상기 드라이버 홀더(6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핑거(620)는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홀더 절개부(633)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드라이버 핑거(5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523b)는 상기 홈부(22)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623b)는 상기 홈부(22)의 크기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누름부(623b)의 단부는 구 또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드라이버 핑거(620)는 상기 홈부(22)에 완전히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라이버 핑거(620)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누름부(623b)가 상기 홈부(22)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국, 치과용 스크류의 조임토크 이상의 크기로, 드라이버 홀더(60)로부터 발생되는 경우, 상기 누름부(623b)는 상기 홈부(22)로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회전력은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로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드라이버 홀더(60)가 헛도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 드라이버(20)의 팁 또는 치과용 스크류의 헤드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가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스크류에 결합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치과용 스크류에는, 어버트먼트 스크류(90)가 포함된다.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90)는, 어버트먼트(95)를 픽스츄어(미도시)에 고정시키는 스크류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장치는,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어버트먼트 스크류(90)를 조일 수 있는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 및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홀더에는, 커넥터(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커넥터(80)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드라이버 헤드(21a)가 구비되는 스크류 드라이버(20a)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0a)에는, 드라이버 몸체(25a) 및 팁(26a)이 더 포함된다.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커넥터(80)의 형상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드라이버 헤드(21)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0)에는, 상기한 드라이버 핑거(120) 또는 볼(336,436)에 결합될 수 있는 홈부(82)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80)가 구비됨으로써, 제 1 실시예와 같은 원형의 드라이버 헤드를 가지는 스크류 드라이버 뿐만 아니라, 다각형의 헤드를 가지는 스크류 드라이버에 대하여도,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 홀더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의 명칭을 정리한다.
상기 드라이버 핑거(120,520,620), 스프링(335)과 볼(336), 또는 링 부재(435)와 볼(436)은, 스크류 드라이버(20)를 드라이버 홀더에 탄성 지지하기 위한 구성인 점에서, "탄성 지지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핑거 홀더(130,530,630), 스프링 홀더(330) 및 링 홀더(430)는, 상기 탄성 지지장치를 홀더 바디에 결합시키는 점에서, "고정 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1 : 드라이버 장치 10 : 드라이버 홀더
20 : 스크류 드라이버 110 : 홀더 바디
115 : 바디 캡 120 : 드라이버 핑거
130 : 핑거 홀더 140 : 체결부재
330 : 스프링 홀더 335 : 스프링
336 : 볼 430 : 링 홀더
435 : 링 부재 436 : 볼

Claims (5)

  1. 치과용 스크류를 조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에 결합되는 치과용 드라이버 홀더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결합되는 개구부 및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지지장치; 및
    상기 탄성 지지장치를 상기 홀더 바디에 결합시키는 고정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가 삽입되는 드라이버수용부를 규정하는 내주면 및 상기 탄성 지지장치가 삽입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링 홀더가 포함되며,
    상기 탄성 지지장치에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의 홈부에 결합될 수 있는 볼; 및
    상기 볼을 가압하는 링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볼은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된 C-링이 포함되는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홀더에는,
    상기 드라이버수용부 및 상기 설치홈이 형성되는 제 1 파트가 포함되며,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볼이 설치되는 제 1 설치홈; 및
    상기 링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설치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 2 설치홈이 포함되는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장치를 상기 홀더 바디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너트 및 와셔가 더 포함되는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의 개구부 및 파지부는 상기 홀더 바디의 전방부 및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홀더 바디의 후방부에는, 상기 홀더 바디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바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KR1020160140352A 2016-10-26 2016-10-26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KR101714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52A KR101714541B1 (ko) 2016-10-26 2016-10-26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52A KR101714541B1 (ko) 2016-10-26 2016-10-26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271A Division KR101684959B1 (ko) 2016-03-22 2016-03-22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541B1 true KR101714541B1 (ko) 2017-03-09

Family

ID=5840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52A KR101714541B1 (ko) 2016-10-26 2016-10-26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5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589B1 (ko) 2022-03-03 2022-04-25 조대성 치과 치료용 드라이버 홀더
KR20220001013U (ko) * 2020-10-30 2022-05-09 정원순 힐링 어버트먼트용 지그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KR20230164942A (ko)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가파 치과용 드라이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007A (ko) * 2008-01-29 2009-08-0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스크류 드라이버
KR20100052953A (ko) * 2008-11-11 2010-05-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 스크류 시술용 드라이버
KR20120004842U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수동 드라이버
KR101387725B1 (ko) * 2012-07-31 2014-04-21 (주) 케이제이 메디텍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용 수동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007A (ko) * 2008-01-29 2009-08-03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스크류 드라이버
KR20100052953A (ko) * 2008-11-11 2010-05-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 스크류 시술용 드라이버
KR20120004842U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수동 드라이버
KR101387725B1 (ko) * 2012-07-31 2014-04-21 (주) 케이제이 메디텍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용 수동 드라이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13U (ko) * 2020-10-30 2022-05-09 정원순 힐링 어버트먼트용 지그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KR200496625Y1 (ko) 2020-10-30 2023-03-16 정원순 힐링 어버트먼트용 지그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KR102390589B1 (ko) 2022-03-03 2022-04-25 조대성 치과 치료용 드라이버 홀더
KR20230164942A (ko)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가파 치과용 드라이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541B1 (ko)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KR101714533B1 (ko)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US4763548A (en) Screwdriver, particularly for surgical purposes
KR101684959B1 (ko) 치과기구용 드라이버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장치
JP6334543B2 (ja) 挿入ツール
JP2006043453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RU2002130818A (ru) Имплантат
JP2018183574A (ja) 外部固定具アセンブリ
EP3332735B1 (en) Surgical instrument for dental implant
KR100988305B1 (ko) 교정 스크류 시술용 드라이버
JP2008125982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収容するためのパッケージ
KR101387574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 장치
JP4321994B2 (ja) 締付用ナ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工具ホルダ、並びにスパナ
KR101028128B1 (ko)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드라이버
JP2000157485A (ja) 内視鏡の保持具
WO2020141534A1 (en) Tools and methods for mounting, extracting and replacing removable dental sleeves
KR102180976B1 (ko)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겸자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KR20030014341A (ko)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드라이버
KR101734209B1 (ko) 본 스크류 및 본 스크류 드라이버
JP2020028945A (ja) ドライバー
KR200345598Y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드라이버 어댑터
KR200496625Y1 (ko) 힐링 어버트먼트용 지그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드라이버
KR20100052954A (ko)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
KR102301975B1 (ko) 치아 교정용 스크류 드라이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