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475B1 -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475B1
KR101714475B1 KR1020140119349A KR20140119349A KR101714475B1 KR 101714475 B1 KR101714475 B1 KR 101714475B1 KR 1020140119349 A KR1020140119349 A KR 1020140119349A KR 20140119349 A KR20140119349 A KR 20140119349A KR 101714475 B1 KR101714475 B1 KR 101714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ed
fire
power
power supply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584A (ko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2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water vehicles

Abstract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연기, 화재, 또는 가스 누출을 감지하고 연기, 화재 또는 가스 누출이 발생되면 화재/가스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및 가스 감지부;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한 전압으로 충전되고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온되어 상기 릴레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선박의 각 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부의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해당 조명 장치가 켜질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 배전반; 상기 조명배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온 시켜 상기 릴레이부의 스위치가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마련하여 선박의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시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탈출 통로에 있는 조명 장치가 켜지도록 할 수 있어 유사시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of Lighting for Ship, Drillship and Offshore}
본 발명은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비상시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에 에 관한 것이다.
해상 교통 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선박 및 시추선 그리고 해양설비가 대형화되고 그에 따라 사용되는 전자기기 및 조명 장치도 늘어나고 있다.
조명 장치가 늘어남에 따라 전력 소모량도 함께 늘어나고 있어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선박 및 시추선 그리고 해양설비는 그 특성상 해상 조난, 화재, 가스 누출 등 각종 위험을 상시 안고 있다. 특히 선박 및 시추선 그리고 해양설비의 경우에는 화재나 가스 누출 등과 같은 비상시에는 더 큰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차단하고 있다.
하지만 화재시 전원을 차단할 경우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조명등도 모두 커짐으로 인해 사람이 탈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대형 시추선이나 해양설비에서 조명이 모두 커지는 경우에는 탈출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즉, 불필요한 조명 사용을 줄여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도모할 필요가 있고 동시에 비상시 탈출 통로에 조명등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전기 부하 및 스위치기어(switchgear) 조립체를 가진 선박 탑재(on-board) 전력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표준 모듈에 의해 제어되고 조정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품들을 구비하는 선박(marine) 전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 전기 시스템은 전력이 선박의 모든 작동상태에서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고, 상기 시스템 구성품들은 모든 작동상태에서 디지털적으로 작동하는 표준 모듈들에 의해 제어되고 조정되며, 각각의 상기 표준 모듈들은 각각 상기 시스템 구성품들 중 하나만을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기를 구비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비상시 조명설비가 점멸되도록 하는 기술로, 선박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기울기 각을 출력하는 기울기 검출 세서 및 기울기 검출 센서값을 근거로 선박이 좌초 위험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UPS 또는 발전설비를 제어하여 조명 설비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갑판 상시조명 및 비상조명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0906261호(2009.07.06, 공고)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 2013-0136256호(2013.12.12, 공개)
그러나 종래 기술들에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이나 비상시 비상 통로 조명에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비상시에도 탈출 통로에 조명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의 조명을 자동을 제어할 수 있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는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연기, 화재, 또는 가스 누출을 감지하고 연기, 화재 또는 가스 누출이 발생되면 화재/가스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및 가스 감지부;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한 전압으로 충전되고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온되어 상기 릴레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선박의 각 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부의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해당 조명 장치가 켜질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 배전반; 상기 조명배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온 시켜 상기 릴레이부의 스위치가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 배전반은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UPS 배전반을 포함하고, 상기 UPS 배전반은 선박의 탈출 통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PS 배전반은 화재/가스 신호 감지시 상기 배터리에 의해 온되는 스위치 신호를 공급받아, 스위치가 안 되는 경우 선박의 탈출 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레이부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빛이 감지되는 경우에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은(a) 선박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배터리가 온 되는 단계; (b)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된 조명 장치와 연결된 UPS 스위치가 온되는 단계; 및 (c) UPS 스위치 온 후 소정 시간 후 상기 배터리가 자동으로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된 조명 장치는 선박의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승무원이 탈출할 수 있는 탈출 통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은 (d)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되었다는 경고음을 울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은 (a) 선박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조명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부에 포함된 포토 셀의 파워가 온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포토 셀의 파워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가 자동으로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1) 포토 셀의 파워가 온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포토 셀 신호가 온 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가 자동으로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은 화재/가스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선박의 메인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선박의 조명 장치와 연결된 배터리가 온 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스위치가 온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와 연결된 조명 장치가 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 장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탈출 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이고 무정전 전압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선박의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시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탈출 통로에 있는 조명 장치가 켜지도록 할 수 있어 유사시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선내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포토 셀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명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조명 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배전반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원격제어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 배전반(60) 관련 연결 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이러한 구성들이 설치되는 조명 제어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부(10), 화재 및 가스 감지부(20), 릴레이부(30), 배터리(40), 배터리 충전부(50), 조명 배전반(60), 조명(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0)는 선박에 전원을 제공하는 메인 전원부로서 일반적으로 230VAC 전압이 제공된다.
상기 화재 및 가스 감지부(20)는 연기 감지 센서 또는 열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화재 및 가스 누출 여부를 감지한다. 연기, 화재, 또는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80)로 전송한다.
상기 렐레이부(30)는 포토셀(photo cell)을 포함하여 빛을 감지하여 조명 장치(70)의 온/오프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포토 셀은 소정 세기 이상의 빛이 감지되는 경우 포토셀 신호가 발생하면 스위치는 오프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80)는 릴레부(30)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조명 장치(70)가 온/오프 될수 있도록 켜질 수 있도록 조명 배전반(70)을 제어한다.
상기 배터리(40) 및 배터리 충전부(50)는 평상시에는 전원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한 전압을 충전하고 있다고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온되어 연결된 기기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한다. 배터리(40)는 상기 릴레이부(30)에 연결되어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면 릴레이(30)를 동작시켜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도록 한다. 선박에는 비상시에 동작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지만 전원이 공급 되더라도 조명에 연결된 스위치가 온되지 않으면 조명 장치가 당연히 켜지지 않을 것이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스위치를 동작 시킬 수 있는 전원이 필요한데, 상기 배터리(40)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 배전반(60)은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 내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 장치(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조명 배전반은 노멀(normal) 배전반(62), 비상 배전반(64), 및 UPS 배전반(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멀 배전반(62)은 평상시에 켜지는 보통의 조명 장치와 연결되어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비상 배전반(64)는 비상시에도 조명이 필요한 곳에 설치된 조명 장치와 연결되어 이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UPS 배전반(66)은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어 비상 조명까지 모두 꺼진 상태에서 선원들이 탈출할 수 있는 탈출 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76)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조명 배전반(60)에는 일정한 전압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노멀 배전반(62)과 비상 배전반(64)에는 전원부(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UPS 배전반(66)에는 무정전 정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조명배전반(60)을 제어하고, 상기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40)를 온 시켜 비상 탈출 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76)에 연결된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어 노멀 배전반(62)과 비상 배전반(64)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40)는 온되어 릴레이부(30)에 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40), 배터리 충전부(50), 및 제어부(8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박의 각종 조명을 제어하는 패널인 원격제어패널(Romote Control Pannel)에 통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간략히 살펴본,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선박, 시추성 및 해양설비에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ninterrupted Power Supply, UPS)가 구비되어 있어 비상시에도 일정시간 동안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정류기, 배터리, 및 인버터로 구성되어 정전이나 전력 장애에 의해 사용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중요한 시스템에 비상용 전원을 계속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사용전원이 인가되는 정상 상태에서 사용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한 후 배터리에 충전시켜 놓고, 정전이 발생되면 배터리에 축적된 직류전원을 인버터에서 교류로 변환하여 비상 전원으로 제공한다.
즉, 비상시에도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된 기기에는 소정 기간 동안 전원이 공급된다. 하지만 원격제어반(Remote Control Unit, RCU)로부터 통제를 받는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원격제어반으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조명 스위치를 켤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릴레이부(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배터리(40)를 구비하면 원격제어패널(RCU)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배터리(40) 전원을 통해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패널(RCU, 100)의 외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패널(100)의 외부를, 도 3(b)는 패널(100)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원격제어패널(100)의 외부에는 다수의 제어상태 램프(110)와 다수의 제어 스위치(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100)의 하단부에는 각종 경고 램프(130)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패널의 하단에는 메인전원 램프(131), 포토셀이 고장 나거나 이상이 있을 때 이를 알려주는 포토셀 페일 램프(132),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려주는 파워 페일 알람 램프(133), 각종 문제가 발생했을때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134), 경고음을 꺼는 부저 스탑 버튼(135), 및 오토/매뉴얼 선택 스위치(13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패널(100)의 내부에는 배터리(40)와 배터리 충전부(50)가 설치되어있으며 다수의 제어 스위치(120)를 제어하는 릴레이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의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메인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00)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즉, 파워 오프의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가 온 되고(S110)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2). 확인 결과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UPS 스위치가 온 된다(S114). UPS 스위치란 UPS 전원과 연결된 조명 장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즉,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배터리 전원에 의해 스위치가 온되어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와 연결된 탈출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에는 불이 켜지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가 온 된 이후에는 더 이상 배터리 전원이 필요없으므로 안전을 위해 배터리 전원은 오프된다(S116)
상기 확인 결과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등 즉, 파워페일 알람(133)이 켜진다(S118). 화재나 가스 누출이 발생하지도 않았는데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경고등이 켜지는 것이다. 상기 경고등은 부저스탑 버튼(S135)을 누려면 종료된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메인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포토셀 파워가 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확인 결과 포토셀 파워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명 스위치가 온 되어(S122) 조명이 켜지게 되고 포토셀 파워가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자동모드 인지여부를 확인한다(S124). 자동모드 여부는 원격제어패널(100)의 버튼(146)을 눌러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조명 스위치가 온 되는 경우(S122)에 포토 셀 페일(photo cell fail) 램프(132)가 동시에 켜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포토 셀이 동작하지 않음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 모드인 경우(미도시)에는 사용자가 조작한 영역의 조명 장치가 켜지게 되고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포토 셀 신호를 감지하여 포토 셀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즉, 빛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명 스위치가 자동으로 온되어(S128) 조명 장치가 켜지게 된다.
상기 도면 4에서 조명 스위치가 온 되는 경우 조명 장치는 자동으로 켜지는 것이므로 조명 장치의 온/오프에 대해서는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화재/가스 신호를 감지한다(S200).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 상태로 전원이 공급이 되고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화재로인한 더 큰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미있고 내부로 외부의 가수 유임이 됨에 따른 폭발의 위힘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 전원을 꺼 전원을 차단한다(S210).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원격제어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가 온 되어(S220) 탈출 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의 온/오프 제어하는 릴레이를 동작시키게 되고 스위치가 온 되면(S230) 동시에 탈출 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도 온 된다(S24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선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선박 뿐만 아니라 시추선 및 다양한 해양 설비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선박에서 배터리를 이용해 조명 장치의 스위치를 온 시키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전원부 20: 화재 및 가스 감지부
30: 릴레이부 40: 배터리
50: 배터리 충전부 60: 조명 배전반
62: 노멀 배전반 62: 비상 배전반
66: UPS 배전반 70: 조명 장치
80: 제어부

Claims (12)

  1. 일정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연기, 화재, 또는 가스 누출을 감지하고, 상기 연기, 화재 또는 가스 누출이 감지되면 화재/가스 신호를 출력하는 화재 및 가스 감지부;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릴레이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한 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온되어 상기 릴레이부에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오프되는 배터리;
    선박의 각 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부의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해당 조명 장치가 켜질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 배전반; 및
    상기 조명배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배터리를 온 시켜 상기 릴레이부의 스위치가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배전반은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UPS 배전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PS 배전반은 선박의 탈출 통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PS 배전반은 화재/가스 신호 감지시 상기 배터리에 의해 온되는 스위치 신호를 공급받고, 스위치가 온 되는 경우 선박의 탈출 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빛이 감지되는 경우에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6. (a) 선박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배터리가 온 되는 단계;
    (b)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된 조명 장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UPS 스위치가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온되는 단계; 및
    (c) 상기 UPS 스위치가 온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배터리가 자동으로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된 조명 장치는 선박의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승무원이 탈출할 수 있는 탈출 통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d)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되었다는 경고음을 울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화재/가스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재/가스 신호가 감지된 선박의 메인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메인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선박의 조명 장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에 연결된 배터리가 온 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온되는 단계;
    상기 스위치와 연결된 조명 장치가 온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가 자동으로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장치는 무정전 전압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탈출 경로에 설치된 조명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방법.

KR1020140119349A 2014-09-05 2014-09-05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1714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349A KR101714475B1 (ko) 2014-09-05 2014-09-05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349A KR101714475B1 (ko) 2014-09-05 2014-09-05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84A KR20160029584A (ko) 2016-03-15
KR101714475B1 true KR101714475B1 (ko) 2017-03-09

Family

ID=5554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349A KR101714475B1 (ko) 2014-09-05 2014-09-05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955B1 (ko) * 2020-12-28 2023-09-2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랜스포터의 고장 진단을 위한 데이터 수집 장치
CN113650744B (zh) * 2021-09-06 2022-10-0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船舶照明警报系统及船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008B1 (ko) * 1998-10-23 2001-05-15 김형구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순차 점등방식의 비상 조명장치
KR101387350B1 (ko) * 2012-11-14 2014-04-21 김문일 절전용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518Y1 (ko) * 1994-11-17 1999-03-30 전성원 빛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켜지는 등화 시스템
DE10104892A1 (de) 2001-02-01 2002-08-14 Siemens Ag Schiffs-Elektrosystem
KR101359938B1 (ko) 2012-06-04 2014-02-20 (주)새한이엔씨 선박의 갑판 상시조명 및 비상조명 시스템
KR101380647B1 (ko) * 2012-06-15 2014-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008B1 (ko) * 1998-10-23 2001-05-15 김형구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한 순차 점등방식의 비상 조명장치
KR101387350B1 (ko) * 2012-11-14 2014-04-21 김문일 절전용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84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6208B (zh) 具有火灾警报功能的应急电源自动供给及控制装置
US6628083B2 (en) Central battery emergency lighting system
CA2611040C (en) Intellectual lamp unit able to be installed on a conventional lamp socket controlled by a wall switch
JP2006268132A (ja) 火災警報器
KR101794581B1 (ko) 센서등 겸용 비상조명장치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1714475B1 (ko) 선박, 시추선 및 해양설비의 조명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101622677B1 (ko) 화재 또는 정전 시에 비상등 전원 공급장치
US20040051466A1 (en)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uxiliary and emergency illumination
JP6441574B2 (ja) 信号制御装置
JP5832333B2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KR101359938B1 (ko) 선박의 갑판 상시조명 및 비상조명 시스템
US20100244568A1 (en) Lighting module with wireless alternating current detection system
KR20200118977A (ko) 엘이디 센서등 제어 장치
US20120126629A1 (en) Controller, power inverter, photovoltaic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activation of at least one photovoltaic module
US7298098B2 (en) Intellectual lamp unit able to be installed on a conventional lamp socket controlled by a wall switch
JP2011070947A (ja) Led式灯器点灯装置
JP5243873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CN114364102A (zh) 建筑用应急照明系统
US20200045793A1 (en) Led emergency light
US20090184831A1 (en) Controlling device of a multifunctional lamp
JP525536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80023679A (ko) San을 지원하는 선박용 라이트 컨트롤 시스템
KR102254907B1 (ko) 무인 선박의 제어반에 사용되는 단선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