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366B1 -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366B1
KR101714366B1 KR1020100062638A KR20100062638A KR101714366B1 KR 101714366 B1 KR101714366 B1 KR 101714366B1 KR 1020100062638 A KR1020100062638 A KR 1020100062638A KR 20100062638 A KR20100062638 A KR 20100062638A KR 101714366 B1 KR101714366 B1 KR 10171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983A (ko
Inventor
곽기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3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04L61/2571NAT traversal for identification, e.g. for authentication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경우 망에서 자동적으로 타사 고객관리장치으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단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은, 단말인증장치가 외부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외부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고객관리장치가 타사 고객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타사에 등록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면, 상기 단말인증장치가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TERMINAL CERTIFIC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경우 망에서 자동적으로 타사 고객관리장치으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단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단말인증장치 및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고객관리장치 및 고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3G, WiBro 망에서는 도난 단말, 복제 단말과 같은 불법 단말장치의 부적절한 사용을 방지하고, 정당하게 유통된 단말장치만 사용 가능하도록 위치 등록 시도 시 단말장치의 단말식별번호(IMEI :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이용하여 단말 인증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 인증 프로세스를 간단히 설명하면, 단말인증장치(EIR : Equipment Identity Register)는 단말 인증을 위해 단말장치의 IMEI 및 IMEI별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으며, IMEI의 상태는 Black, White, Grey로 관리되는데 Black은 도난, 분실 등의 사유로 망 내에서 사용이 불가한 상태를 의미하고, White는 정상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단말장치가 위치 등록을 요청함에 따라 MSC나 SGSN로부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이 요청되면, 단말인증장치는 MSC/SGSN로부터의 IMEI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저장되어있는 IME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IMEI가 존재하면, IMEI 상태가 White인 경우 White, Black인 경우 Black을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MSC/SGSN으로 전송하고, 만일 일치하는 IMEI가 존재하지 않으면 Black을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MSC/SGSN은 단말인증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인증결과가 White인 경우 추가적인 위치 등록 절차를 진행하고, Black인 경우 인증 실패 처리한다.
헌데, 기존의 단말 인증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인증장치는, 자사(통신사A)에 등록된 단말장치들에 대한 IMEI 및 IMEI별 상태 정보만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타사(통신사B)에서 사용하는 단말장치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인증을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과 같은 기존의 단말 인증 프로세스에 따르면, 고객이 타사(통신사B)에서 사용하던 단말장치를 자사(통신사A)에서 사용하려 하는 경우, 자사(통신사A) 측의 단말인증장치에는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단말장치의 IMEI 정보가 없기 때문에 단말장치의 단말 인증이 실패 처리되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인증장치가 외부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외부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고객관리장치가 타사 고객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타사에 등록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면, 상기 단말인증장치가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허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고, 호 처리장치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외부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단말인증장치 및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고, 단말인증장치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여 획득한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는 고객관리장치 및 고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은, 타사 고객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타사에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는 고객관리장치; 및 외부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고객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단말인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인증장치는,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허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저장부; 및 호 처리장치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외부의 고객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인증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제어부는,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사용 허가/불허가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호 처리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제어부는,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고객관리장치는,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단말식별정보저장부; 및 단말인증장치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고, 이를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관련정보는, 단말식별정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정보,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 허가 또는 불허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 후 금번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실패처리를 제공하고, 상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방법은, 단말인증장치가 외부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수행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단말인증장치가 외부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고객관리장치가 타사 고객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타사에 등록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인증장치가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은,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허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 저장단계; 호 처리장치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인증 수행단계; 수행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외부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는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 및 획득한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인증 재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인증 재 수행단계는, 획득한 상기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사용 허용/불허용을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호 처리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고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단말식별정보 저장단계; 단말인증장치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 및 획득한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는 인증관련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관련정보는, 단말식별정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정보,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 허용 또는 불허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는,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 후 금번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실패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타사 단말이라 인지하여 타사에 등록된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에 따른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장치의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경우 망에서 자동적으로 타사 고객관리장치으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단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인증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관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은, 타사 고객관리장치(500)와의 연동을 통해 타사에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는 고객관리장치(4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을 요청하는 호 처리장치(200)와, 외부 특히 호 처리장치(200)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고객관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단말인증장치(3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USIM카드(미도시)가 새롭게 장착되거나 또는 전원이 턴온되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위치 등록이 요구되는 경우, 자신에 내장된 단말식별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호 처리장치(200)로 제공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이동전화단말, 스마트폰단말, PDA단말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이 요청되면,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단말 인증을 단말인증장치(300)에 요청한다. 즉,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호 처리장치(200)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나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인증장치(3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이 요청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다.
즉, 단말인증장치(3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IMEI)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가 제공되어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만약, 단말 인증 수행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면, 단말인증장치(300)는, 존재하는 단말식별정보(IMEI) 상태가 White인 경우 White, 존재하는 단말식별정보(IMEI) 상태가 Black인 경우 Black을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
이에,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결과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회신되면,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즉 인증결과가 White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등록장치(250)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시도함으로써 위치 등록 절차를 계속해서 수행하고, 인증이 실패한 경우 즉 인증결과가 Black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한 인증을 실패 처리할 것이다.
한편, 단말 인증 수행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인증장치(300)는, 고객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다.
이에, 단말인증장치(300)는,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함에 따른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
이에,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결과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회신되면,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즉 인증결과가 White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등록장치(250)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시도함으로써 위치 등록 절차를 계속해서 수행하고, 인증이 실패한 경우 즉 인증결과가 Black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한 인증을 실패 처리할 것이다.
그리고, 단말인증장치(300)는,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금번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를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인증장치(300)는, 단말장치의 고유번호인 단말식별정보(IMEI)를 포함하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관리하여 위치 등록 시 단말장치를 인증하는 EIR(Equipment Identity Register)일 수 있다.
고객관리장치(400)는,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의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따라, 타사 고객관리장치(500)와의 연동을 통해 타사에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한다.
즉, 고객관리장치(400)는,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해당되는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고, 이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는,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허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저장부(320)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외부의 고객관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인증제어부(310)를 포함한다.
리스트저장부(320)는 단말인증장치(300)가 포함된 자사(예 : 통신사A)의 고객관리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이다.
즉, 리스트저장부(320)에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단말인증장치(300)가 포함된 자사(예 : 통신사A)에 등록된 각 단말식별정보(IMEI) 및 각 단말식별정보(IMEI) 별 상태 즉 각 단말식별정보(IMEI) 별 사용 허가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제어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에 따른 단말 인증이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요청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IMEI)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만약,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면, 인증제어부(310)는, 존재하는 단말식별정보(IMEI)의 사용 허가 여부 정보가 사용 허가(White)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 허가(White)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하고, 존재하는 단말식별정보(IMEI)의 사용 허가 여부 정보가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
한편,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인증제어부(310)는, 고객관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증제어부(31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고객관리장치(400)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이에, 고객관리장치(4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IMEI)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관련정보가 회신되면, 인증제어부(310)는, 회신된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사용 허가/불허가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생성하여 호 처리장치(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단말식별정보(IMEI),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정보,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는 사용 허가 또는 불허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인증제어부(310)는, 회신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여 사용 허가(White)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 허가(White)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
또한, 인증제어부(310)는, 회신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여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
또한, 인증제어부(310)는, 회신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여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처럼, 인증제어부(31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자신의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타사 단말이라 인지하여 고객관리장치(400)를 통해 타사에 등록된 해당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증제어부(310)는, 고객관리장치(400)로부터 회신/획득한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여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인증제어부(310)는,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금번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 및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의 사용 허가 여부 정보(White 또는 Black)를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단말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 인증제어부(310)는 갱신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는,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단말식별정보저장부(420)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500)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고, 이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하는 장치제어부(410)를 포함한다.
단말식별정보저장부(420)는, 고객관리장치(400)이 포함된 자사(예 : 통신사A)에서 사용 허가되는 단말장치들의 단말식별정보(IMSI)을 포함하는 정보, 즉 자사(예 : 통신사A)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이러한 등록 단말식별정보는 단말 납품 시 단말제조사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장치제어부(410)는,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기 저장된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기 저장된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장치제어부(410)는, 타사의 고객관리장치(500)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고, 이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치제어부(410)는,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인증 요청된 단말식별정보(IMEI)가 기 저장된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하는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 금번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단말식별정보(IMEI),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정보,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는 사용 허가 또는 불허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부터 요청한 인증관련정보가 회신되면, 장치제어부(410)는, 회신된 인증관련정보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사(예 : 통신사A)의 고객관리장치(400)에서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단말인증장치(300)에서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관련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져 단말인증장치(300)의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장치제어부(410)는,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 후, 금번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단말인증장치(300)로 실패처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고객관리장치(400)는, 고객관리장치(400)로 단말식별정보 인증을 요청한 단말인증장치(300)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의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을 실패 처리하도록 하여, 단말인증장치(300)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장치제어부(410)는,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부터 요청한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가 회신/획득되면,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한다.
이에, 단말인증장치(300)는, 제공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식별정보(IMEI) 및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의 사용 허가 여부 정보(White 또는 Black)를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 인증에 실패한 단말장치(100)가 일정 시간 이후(예 : 20~30초) 위치 등록을 재 요청함에 따라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단말 인증에 요청되면, 단말인증장치(300)는 갱신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 역시 전술의 고객관리장치(400)와 같이 단말식별정보저장부(420) 및 장치제어부(410)와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고객관리장치(400) 특히 장치제어부(410)는,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가 요청되면 단말식별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전술과 같은 인증관련정보를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은,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타사 단말이라 인지하여 타사에 등록된 해당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장치의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은,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경우 망에서 자동적으로 타사 고객관리장치으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단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호 처리장치(200)로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S10). 즉, 단말장치(100)는 자신에 내장된 단말식별정보(IMEI)를 호 처리장치(200)로 제공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이 요청되면, 위치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단말 인증을 단말인증장치(300)에 요청한다(S20). 즉,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IMEI)를 포함하는 Check IMEI 메시지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인증장치(300)는,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이 요청되면,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인증장치(30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즉, 단말인증장치(300)는, 단말 인증 수행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면, 존재하는 단말식별정보(IMEI) 상태가 White인 경우 White, 존재하는 단말식별정보(IMEI) 상태가 Black인 경우 Black을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S40).
이에,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결과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회신되면,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즉 인증결과가 White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등록장치(250)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시도함으로써 위치 등록 절차를 계속해서 수행하고(S45), 인증이 실패한 경우 즉 인증결과가 Black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한 인증을 실패 처리할 것이다.
한편 단말인증장치(300)는, 단말 인증 수행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고객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인증장치(300)는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을 고객관리장치(400)에 요청하고(S50), 고객관리장치(400)는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 요청에 따라 해당 타사의 고객관리장치(500)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고(S55), 타사의 고객관리장치(500)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회신 받아(S60), 이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한다(S65).
이에, 단말인증장치(300)는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고(S70),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함에 따른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S80).
이에, 호 처리장치(200)는,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결과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회신되면,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즉 인증결과가 White를 나타내는 경우 위치등록장치(250)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위치 등록을 시도함으로써 위치 등록 절차를 계속해서 수행하고, 인증이 실패한 경우 즉 인증결과가 Black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한 인증을 실패 처리할 것이다.
한편, 단말인증장치(300)는,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금번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를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S9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허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한다(S100).
단말식별정보리스트는, 단말인증장치(300)가 포함된 자사(예 : 통신사A)의 고객관리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정보로서, 단말인증장치(300)가 포함된 자사(예 : 통신사A)에 등록된 각 단말식별정보(IMEI) 및 각 단말식별정보(IMEI) 별 상태 즉 각 단말식별정보(IMEI) 별 사용 허가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외부로부터 단말 인증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판단 결과,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 등록에 따른 단말 인증이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요청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IMEI)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IMEI) 및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여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이에,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존재하는 IMEI의 사용 허가 여부 정보가 사용 허가(White)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 허가(White)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하고, 존재하는 IMEI의 사용 허가 여부 정보가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S140).
한편,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고객관리장치(400)를 통해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다(S150~S17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고객관리장치(400)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S150).
이에, 고객관리장치(4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IMEI)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관련정보가 회신/수신되면(S16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회신된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대응되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여(S170) 사용 허가/불허가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생성하여 호 처리장치(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단말식별정보(IMEI),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정보,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는 사용 허가 또는 불허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회신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여 사용 허가(White)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 허가(White)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
또한,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회신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음이 확인되고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여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경우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것이다.
또한,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회신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여 사용 불허가(Black)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호 처리장치(2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처럼,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자신의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타사 단말이라 인지하여 고객관리장치(400)를 통해 타사에 등록된 해당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고객관리장치(400)로부터 회신/획득한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여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S180).
즉,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금번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 및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의 사용 허가 여부 정보(White 또는 Black)를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단말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 발명에 따른 단말인증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갱신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한다(200).
즉,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고객관리장치(400)이 포함된 자사(예 : 통신사A)에서 사용 허가되는 단말장치들의 단말식별정보(IMSI)을 포함하는 정보, 즉 자사(예 : 통신사A)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이러한 등록 단말식별정보는 단말 납품 시 단말제조사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외부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판단 결과,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해당하는 타사의 고객관리장치(500)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다(S220).
이때, 도 6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가 기 저장된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식별정보(IMEI)가 기 저장된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S220단계와 같이 타사의 고객관리장치(500)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인증장치(300)로부터 인증 요청된 단말식별정보(IMEI)가 기 저장된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하는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 금번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관련정보는, 단말식별정보(IMEI),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정보,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응하는 사용 허가 또는 불허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부터 요청한 인증관련정보가 회신/수신되면(S240),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회신된 인증관련정보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한다(S250).
여기서, 자사(예 : 통신사A)의 고객관리장치(400)에서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단말인증장치(300)에서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따른 인증관련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져 단말인증장치(300)의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 상기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 후, 금번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단말인증장치(300)로 실패처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S230).
이에, 고객관리장치(400)는, 고객관리장치(400)로 단말식별정보 인증을 요청한 단말인증장치(300)가 호 처리장치(200)로부터의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 인증을 실패 처리하도록 하여, 단말인증장치(300)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객관리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타사(예 : 통신사B)의 고객관리장치(500)로부터 요청한 단말식별정보(IMEI)에 대한 인증관련정보가 회신/획득되면, 획득한 인증관련정보를 단말인증장치(300)로 제공한다.
이에, 단말인증장치(300)는, 제공된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단말식별정보(IMEI) 및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의 사용 허가 여부 정보(White 또는 Black)를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 인증에 실패한 단말장치(100)가 일정 시간 이후(예 : 20~30초) 위치 등록을 재 요청함에 따라 호 처리장치(200)로부터 단말 인증에 요청되면, 단말인증장치(300)는 갱신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해당 단말장치(100)에 대한 단말 인증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방법은,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식별정보(IMEI)가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타사 단말이라 인지하여 타사에 등록된 해당 단말식별정보(IMEI)에 따른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따른 단말장치의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인증 처리 방법은,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경우 망에서 자동적으로 타사 고객관리장치으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단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경우 망에서 자동적으로 타사 고객관리장치으로부터 해당 단말장치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토대로 단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이 타사에서 유통된 단말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단말 인증을 고객 불편 없이 원활하게 자동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단말장치 사용 효율성 및 고객 편의 측면, 통신 서비스의 품질 및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단말인증장치 및 고객관리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200 : 호 처리장치
250 : 위치등록장치 300 : 단말인증장치
400 : 고객관리장치 500 : 타사 고객관리장치

Claims (15)

  1. 삭제
  2.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허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저장부; 및
    호 처리장치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외부의 고객관리장치에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인증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관리장치가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금번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실패처리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제어부는,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사용 허가/불허가를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호 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제어부는,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
  5.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단말식별정보저장부; 및
    단말인증장치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고, 이를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부는,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 후 금번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실패처리를 제공하고, 상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관련정보는,
    단말식별정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정보,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 허가 또는 불허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관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등록된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사용 허가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저장하는 리스트 저장단계;
    호 처리장치로부터의 단말 인증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토대로 해당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인증 수행단계;
    수행 결과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외부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획득하는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 및
    획득한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하는 단말인증 재 수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고객관리장치가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타사의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금번 단말식별정보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실패처리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에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인증 재 수행단계는,
    획득한 상기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금번 단말 인증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사용 허용/불허용을 나타내는 인증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호 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관리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인증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 인증을 재 수행한 후,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인증장치의 동작 방법.
  13.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등록 단말식별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단말식별정보 저장단계;
    단말인증장치로부터 소정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등록 단말식별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 및
    획득한 상기 인증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제공하는 인증관련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관련정보 획득단계는,
    타사의 고객관리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관련정보를 요청한 후 금번 단말식별정보에 대한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인증장치로 실패처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관련정보는,
    단말식별정보, 상기 단말식별정보가 상기 타사의 고객관리장치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정보,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 허용 또는 불허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5. 삭제
KR1020100062638A 2010-06-30 2010-06-30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1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638A KR101714366B1 (ko) 2010-06-30 2010-06-30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638A KR101714366B1 (ko) 2010-06-30 2010-06-30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83A KR20120001983A (ko) 2012-01-05
KR101714366B1 true KR101714366B1 (ko) 2017-03-09

Family

ID=4560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638A KR101714366B1 (ko) 2010-06-30 2010-06-30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3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73B1 (ko) * 2003-11-25 2006-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의 핸드 오프를 지원하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과그 인증 처리 방법
KR100703149B1 (ko) * 2005-03-23 2007-04-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종 무선랜 사업자 서비스 영역에서의 무선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920644B1 (ko) * 2008-01-25 2009-10-07 주식회사 케이티 Usim 카드 이동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업데이트를 위한시스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83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2571B2 (ja) 無線機器の登録方法及び装置
US85153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wireless devices
US8369823B2 (en) Method for legitimately unlocking a SIM card lock, unlocking server, and unlocking system for a SIM card lock
EP22606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ubscription credenti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5357740B (zh) 一种无线网络的接入方法及无线访问节点
EP2103078B1 (en) Authentication bootstrapp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US11096051B2 (e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US88806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file of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EP29033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terminal
CN104244227A (zh) 一种物联网系统中终端接入认证的方法及装置
US2017020809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lecting a security algorithm
EP2611226A1 (e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over-the-air bootstrap
US20230035970A1 (en) Method for Protecting Terminal Parameter Updat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9369889B2 (en) Method for provisioning of a SIM card
CN108024241B (zh) 终端接入鉴权方法、系统以及鉴权服务器
CN107959920B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签到方法及设备
US8583081B2 (en) Method for calculating a first identifier of a secure ele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identifier of said secure element
KR101837711B1 (ko) 블랙리스트 인증 방식에 의한 단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11161460A (zh) 基于智能路由表的人脸认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714366B1 (ko) 단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9661B1 (ko)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접속 방법
US20120278857A1 (en) Method for unlocking a secure device
KR20120071703A (ko) 시그널링 부하 분산을 위한 호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 인증 센터
KR100821168B1 (ko) 교환장치에서의 인증 벡터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그교환장치
WO2019163815A1 (ja) 通信制御装置、通信設定方法、通信設定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