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339B1 - 치과용 봉합클램프 - Google Patents

치과용 봉합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339B1
KR101714339B1 KR1020150119613A KR20150119613A KR101714339B1 KR 101714339 B1 KR101714339 B1 KR 101714339B1 KR 1020150119613 A KR1020150119613 A KR 1020150119613A KR 20150119613 A KR20150119613 A KR 20150119613A KR 101714339 B1 KR101714339 B1 KR 10171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ng portion
wing
sutur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400A (ko
Inventor
황동환
Original Assignee
황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환 filed Critical 황동환
Priority to KR102015011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3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61B2017/0488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61B2017/049Instruments f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봉합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치된 환부를 꿰매는 봉합사를 매듭짓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며, 추후 꿰매어진 봉합사의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튜브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외주연을 따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봉합한 환부에 놓여지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고정부 및 날개부는 일측이 벌어지도록 절개되어 내측에 완성되지 않은 봉합사를 수용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날개부는 절개된 부분의 반대편에 회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양분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절개된 일측 단부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되 하방을 향하는 부분의 외측에 끼움턱과 끼움홈이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는 잠금편과 타측 단부에 상기 잠금편을 수용하며 고정시키는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홈은 하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턱을 지나 끼움홈에 수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끼움돌기의 안쪽으로 해제공간이 형성되어, 고정된 상기 고정부의 양측을 가압하면 상기 잠금편의 하방을 돌출된 부분이 해제공간으로 이동하여 다시 벌어지며 해제되는 치과용 봉합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봉합클램프{Dental suture clamp}
본 발명은 치과용 봉합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치된 환부를 꿰매는 봉합사의 고정과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치과용 봉합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치조골에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치아 임플란트(dental implant), 사랑니 치료 등과 같은 치과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발치한 부위의 잇몸을 봉합(suture)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현재 대부분 봉합을 함에 있어, 발치한 부위의 잇몸을 봉합사로 꿰맨 후 시술자가 손수 매듭을 짓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특별히 별다른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능숙해지는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봉합하는 과정에서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와 같이 치과의사를 도와주는 자와의 호흡이 맞지 않는 경우 봉합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실수를 반복하게 되며, 매듭지어진 봉합사는 더이상 장력을 조절할 수 없어 여러 번 꿰매는 경우 각각의 봉합사간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어렵다. 또한, 봉합사를 여러 번 매듭짓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매듭이 풀어져 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꿰매어진 봉합사를 제거시 주변연조직이 차오르면서 꿰맨 위치를 가늠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주변연조직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봉합사의 재질이나 가닥수에 따라 음식물찌꺼기와 같은 불순물이 너무 많이 침착되어 비위생적이며, 주변 연조직을 찔러 이물감이 높고 궤양이 발생하기도 한다.
[관련선행기술]
1. 등록특허공보 제10-1053052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치된 환부를 꿰매는 봉합사를 매듭짓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며, 추후 꿰매어진 봉합사의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치과용 봉합클램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치과용 봉합클램프는 탄성을 가진 튜브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외주연을 따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봉합한 환부에 놓여지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고정부 및 날개부는 일측이 벌어지도록 절개되어 내측에 완성되지 않은 봉합사를 수용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날개부는 절개된 부분의 반대편에 회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양분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절개된 일측 단부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되 하방을 향하는 부분의 외측에 끼움턱과 끼움홈이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는 잠금편과 타측 단부에 상기 잠금편을 수용하며 고정시키는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홈은 하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턱을 지나 끼움홈에 수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끼움돌기의 안쪽으로 해제공간이 형성되어, 고정된 상기 고정부의 양측을 가압하면 상기 잠금편의 하방을 돌출된 부분이 해제공간으로 이동하여 다시 벌어지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 및 날개부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매듭이 완성되지 않은 봉합사를 내측에 수용시키면 상기 봉합사가 고정부의 내측과 맞닿으며 고정되므로 꿰맨 후 매듭짓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매듭이 지어진 상태가 아니므로 본 발명을 조절함으로써 고정된 봉합사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꿰매어진 부분의 하방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바 부착치은을 넓힐 수 있다.
더욱이, 날개부가 봉합한 환부에 놓여지므로 이물질이 봉합된 부위에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게 되어 위생적이며, 추후 꿰매어진 봉합사를 제거시 본 발명을 제거하면 봉합사를 바로 발견할 수 있으므로 손쉽게 발사(stitch out)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5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가 잠기고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의 다양한 크기에 따른 형태변화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에 요철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봉합클램프에 적용되는 날개부가 격자형태인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본 발명에서는 발치된 환부를 꿰매는 봉합사를 매듭짓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며, 추후 꿰매어진 봉합사의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튜브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외주연을 따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봉합한 환부에 놓여지는 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 및 날개부는 일측이 벌어지도록 절개되어 매듭이 완성되지 않은 봉합사를 내측에 수용하며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봉합클램프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치과용 봉합클램프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치과용 봉합클램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상의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하단에 외주연을 따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된 날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200)는 고정부(100)와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발치하여 봉합한 환부에 놓이므로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는 치아의 높이와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200)는 발치되어 봉합한 환부를 덮게 되므로 이물질이 봉합된 부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는 일측이 벌어지도록 절개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상기 날개부(200)는 고정부(100)의 절개된 부분과 동일선상에서 절개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발치된 환부를 꿰맨 후,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의 절개된 부분을 벌려 발치된 환부를 꿰맨 봉합사(10)가 상기 고정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봉합사(10)를 고정시켜 꿰맨 봉합사(10)가 풀리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00)의 내부 직경은 봉합사(10)가 한 가닥 또는 두 가닥이 수용되었을 경우 봉합사(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는 내부가 빈 형태일 수도 있으나, 내부가 소정의 물질로 채워지고 내부에 한 가닥 또는 두 가닥의 봉합사(10)가 수용되는 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발치된 환부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봉합사(10)를 이용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한다. 이때 시술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10)를 통해 발치된 치아를 감싸고 있던 잇몸이 내측으로 오므라들도록 봉합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봉합하고 잇몸의 상부로 돌출된 봉합사(10)를 본 발명에서 절개된 부분을 통해 내측에 수용되도록 한 후 봉합된 환부에 놓음과 동시에 봉합사(10)를 잡아당겨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이 내측으로 보다 오므라든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매듭이 완성되지 않은 봉합사(10)를 내측에 수용시켜 매듭을 짓지 않아도 고정되게 함으로써 시술자가 발치된 환부를 꿰맨 후 매듭짓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봉합사(10)가 매듭지어진 상태가 아니므로 봉합사(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꿰매어진 환부의 하방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시술자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된 환부를 꿰맨 두 가닥의 봉합사(10)를 한 번 엇갈리도록 교차시켜 봉합부위를 조인 후 상기 봉합사(10)가 상기 고정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부를 시간이 지나면서 벌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추후 꿰매어진 봉합사(10)를 제거시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의 절개된 부위를 열면 내부에 수용되었던 봉합사(10)를 즉시 발견할 수 있어 손쉽게 발사(stitch out)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는 벌어져 봉합사(10)를 내측에 수용하고 있는 동안 봉합사(1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므로, 상기 고정부(100) 또는/및 날개부(200)에는 절개된 부분에 상호 결합되는 잠금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고정부(100)의 일측 단부에 돌출형성된 잠금편(110)과 절개된 고정부(100)의 타측 단부에 잠금편(110)을 수용하며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잠금홈(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편(110)이 잠금홈(120)에 고정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가 내측에 봉합사(10)를 수용한 상태에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편(11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ㄱ"자 형상 중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외측에는 끼움턱(111)과 끼움홈(112)이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끼움턱(111)은 고정부(100)의 타측 단부에 가깝도록 형성되고, 끼움홈(112)은 고정부(100)의 일측 단부에 가깝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턱(111)과 끼움홈(112)이 번갈아가며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홈(120)에는 하단에 상향으로 끼움돌기(12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121)는 도 6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턱(111)을 지나 끼움홈(112)에 수용되어 고정부(100)의 절개된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잠기게 된다. 이후, 내측에 수용된 봉합사(10)의 제거 등의 이유로 상기 고정부(100)를 벌리고자 할 시, 상기 잠금편(110)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끼움돌기(121)가 다시 끼움턱(111)을 지나도록 함으로써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잠금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턱(111)은 고정부(100)의 타측 단부를 향해, 즉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움돌기(121)는 경사를 따라 끼움턱(111)을 용이하게 지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치아가 발치된 환부에 놓여지는 것으로 치아와 비슷한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잠긴 고정부(100)를 상기와 같이 해제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10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홈(120)은 끼움돌기(121)의 안쪽으로 해제공간(3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잠긴 고정부(100)를 해제하고자 할 시, 기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100)의 양측을 내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잠금편(100) 중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공간(30)으로 이동하여 다시 벌어지며 고정부(100)의 잠김이 손쉽게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개부(200)는 고정부(100)의 하단에 외주연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부분의 반대편에 회동공간(20)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양분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양분된 날개부(200)는 고정부(100)의 내측에 봉합사(10)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00)를 벌리는 과정에서 회동공간(20)으로 모이게 되는바, 손쉽게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를 벌릴 수 있다.
또한, 절개된 부분의 반대편에서 양분된 날개부(200) 상호 간에 이루는 각도를 달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가 벌어지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일 예로, 양분된 날개부(200) 상호 간에 이루는 각도가 45°로 날개부(200)가 형성된 경우보다 양분된 날개부(200) 상호 간에 이루는 각도가 90°를 이루도록 날개부(200)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가 더 넓은 각도로 벌어지게 된다.
더욱이, 추후 봉합사(10)의 제거 등을 위하여 본 발명을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회동공간(20)을 통해 본 발명의 고정부(100) 또는 날개부(200)와 잇몸 사이의 공간으로 수술용 가위와 같은 도구를 삽입시키기 용이한바 환자가 느끼는 고통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술자가 봉합사(10)의 제거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00)는 환부를 덮는 역할을 하므로 봉합사(10)를 제거하기 전까지 봉합한 환부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200)는 상기 회동공간(20)이 형성된 반대편에 동일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양분형성되어 봉합한 환부에 균형있게 놓여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날개부(200)는 판형태를 이루며, 외측으로 갈수록 작은 두께를 가지는 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날개부(200)는 하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판형태로 형성되어 이물감이 적게 발생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부(200)는 평평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봉합한 환부에 놓여질 시, 발치된 환부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어 안정적으로 환부에 놓여지게 되며 이물질이 봉합된 부위에 침투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날개부(200)는 크기가 클수록 곡률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치아의 크기에 따른 잇몸의 형태를 고려한 것으로, 일 예로 어금니를 발치한 경우와 송곳니를 발치한 경우를 비교하여 보면, 어금니는 송곳니보다 치아의 크기가 크므로 날개부(200)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발치한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어금니를 발치한 잇몸의 형태는 송곳니를 발치한 잇몸의 형태보다 완만한 형태를 이루므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금니를 발치한 위치에 적용되는 날개부(20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곳니를 발치한 위치에 적용되는 날개부(200)보다 곡률을 작게 하여 발치한 환부를 덮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00)는 저면에 요철(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날개부(200)의 저면과 맞닿는 잇몸으로부터 본 발명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요철(210)의 크기, 형태나 갯수는 날개부(200)가 안착되는 잇몸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요철(210)이 형성되면 직접적으로 잇몸과 맞닿으므로 라운드지게 형성하면서도 매우 작은 크기로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부(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공(220)이 구비된 격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날개부(200)는 환부에 놓여지는 경우 관통공(220)을 통해 통기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상기 요철(210)이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날개부(2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봉합과 매듭(Suture and tie)를 하는 방법에 비해 수술시간이 단축되고, 봉합사(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쉬우며, 부착치은을 확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위생적이고 이물감이 적으며, 발사(stitch out)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 봉합하는 방법을 완전히 저버리는 것이 아닌, 봉합과 매듭을 짓는 과정을 본 발명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시술자가 이를 사용함에 거부감이 없으며 쉽게 적응할 수 있다.
10 : 봉합사 20 : 회동공간
30 : 해제공간
100 : 고정부 110 : 잠금편
111 : 끼움턱 112 : 끼움홈
120 : 잠금홈 121 : 끼움돌기
200 : 날개부 210 : 요철
220 : 관통공

Claims (11)

  1. 탄성을 가진 튜브형상의 고정부(1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하단에 외주연을 따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봉합한 환부에 놓여지는 날개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00) 및 날개부(200)는 일측이 벌어지도록 절개되는 한편, 상기 날개부(200)의 절개된 부분의 반대편에 회동공간(20)이 형성되도록 이격되면서 양분형성되어, 내측에 완성되지 않은 봉합사(10)를 수용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고정부(100)는 절개된 일측 단부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되 하방을 향하는 부분의 외측에 끼움턱(111)과 끼움홈(112)이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는 잠금편(110) 과 타측 단부에 상기 잠금편(110)을 수용하며 고정시키는 잠금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홈(120)은 하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턱(111)을 지나 끼움홈(120)에 수용되는 끼움돌기(12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끼움돌기(121)의 안쪽으로 해제공간(30)이 형성되어,
    고정된 상기 고정부(100)의 양측을 가압하면 상기 잠금편(110)의 하방을 돌출된 부분이 해제공간(30)으로 이동하여 다시 벌어지며 해제되는 치과용 봉합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00)는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봉합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00)는 크기가 클수록 곡률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봉합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00)는 저면에 요철(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봉합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00)는 다수의 관통공(220)이 구비된 격자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봉합클램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턱(111)은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끼움돌기(121)가 경사를 따라 용이하게 지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봉합클램프.
  11. 삭제
KR1020150119613A 2015-08-25 2015-08-25 치과용 봉합클램프 KR10171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13A KR101714339B1 (ko) 2015-08-25 2015-08-25 치과용 봉합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13A KR101714339B1 (ko) 2015-08-25 2015-08-25 치과용 봉합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400A KR20170024400A (ko) 2017-03-07
KR101714339B1 true KR101714339B1 (ko) 2017-03-08

Family

ID=5840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613A KR101714339B1 (ko) 2015-08-25 2015-08-25 치과용 봉합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3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712B1 (ko) 2020-10-14 2021-03-10 한수일 치과용 봉합 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863A (ja) * 1999-04-09 2003-04-08 ジョゼフ カブコバ、ジョサファット 組織の縫合方法及び装置
JP2003520054A (ja) 1998-07-13 2003-07-02 アクシーア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縫合糸ガイド及びファスナ
US20040230223A1 (en) 2000-03-13 2004-11-18 Bonutti Peter M.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body tissu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3289C2 (de) * 1978-12-09 1980-12-18 B. Braun Melsungen Ag, 3508 Melsungen Knopf für chirurgische Zweck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0054A (ja) 1998-07-13 2003-07-02 アクシーア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縫合糸ガイド及びファスナ
JP2003512863A (ja) * 1999-04-09 2003-04-08 ジョゼフ カブコバ、ジョサファット 組織の縫合方法及び装置
US20040230223A1 (en) 2000-03-13 2004-11-18 Bonutti Peter M.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body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400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3637B2 (en) Valve delivery tool
CN105555231B (zh) 心外膜锚固装置和方法
TWI375574B (en) Surgical thread
US94397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ventral wall hernia
RU2703508C2 (ru) Бариатрический зажим, имеющий шовные участки, магнитные вставки и кривизну
US20010010018A1 (en) Annuloplasty ring delivery method
US20210307753A1 (en) Implant devices with a pre-set pulley system
JP6430405B2 (ja) 舌背弾性牽引装置、はさみ鉗子、取付け鉗子、スレッドガイド、及び移植方法
KR101610341B1 (ko)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JP3354930B2 (ja) 可撓性縫合ガイドならびにホルダー
CN105748187A (zh) 咽侧壁牵引装置和植入方法
KR101714339B1 (ko) 치과용 봉합클램프
US20130288198A1 (en) Healing abutment and final abutment for use with dental implant
Moore et al. Suturing techniques for periodontal plastic surgery
KR20140030648A (ko)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이를 연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 기구 및,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기구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
US20110313431A1 (en) Suture and anchor for periodontal procedur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4501174U (zh) 咽侧壁牵引装置
US20230285153A1 (en) Dental mesh for covering bone graft material
CN208176593U (zh) 一种便于固定的软组织双孔镊
EP3162304A1 (en) Implant devices with a pre-set pulley system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1202253B1 (ko)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US6155831A (en) Non-surgically retrievable guided tissue regeneration membrane
JP3628597B2 (ja) 二重瞼形成用糸
RU2177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нулярной посадки механического протеза клапана сердц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