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53B1 -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 Google Patents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2253B1 KR101202253B1 KR1020100047981A KR20100047981A KR101202253B1 KR 101202253 B1 KR101202253 B1 KR 101202253B1 KR 1020100047981 A KR1020100047981 A KR 1020100047981A KR 20100047981 A KR20100047981 A KR 20100047981A KR 101202253 B1 KR101202253 B1 KR 101202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ce
- human body
- lift
- elevation
- tissu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1일측은 인체에 연결되는 제1부재와, 제2일측은 인체에 연결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이때 제1부재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며 제2부재는 당김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1부재의 제1타측과 상기 제2부재의 제2타측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거상술을 시행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거상할 수 있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면거상술을 위한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1일측은 인체에 연결되는 제1부재와 제2일측은 인체에 연결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이때 제1부재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며 제2부재는 당김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1부재의 제1타측과 상기 제2부재의 제2타측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면 거상술은 안면의 처진 피부나 주름을 잡아당기는 수술로써 절개 수술인 고전적 안면 거상술(Classic face lift )과 변형된 부분 거상술(MACS lift, S-lift)이 있다.
안면 주름제거의 원리는 늘어진 피부와 건막을 잡아당겨 절제하여 봉합하여 주는데, 특히 안면부의 건막은 표재성 건막층(혹은 천근막층)이라 하여 SMAS(Ssuperficial musculo-aponeurotic system)로 일컬어 지며, 안면 거상술은 SMAS 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면 거상술은 피부뿐만 아니라 SMAS를 최대한 잡아당겨야 거상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고전적인 절개 안면 거상술은 절개의 범위가 귀 상단부터 시작하여 귀 앞, 귀 뒤를 절개하므로 환자에게 침습적(invasive)이며, 흉터가 많이 남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 하기 위해, 최근에 비침습적 혹은 덜 침습적인 거상술(non or less invasive face lifting surgery)이 다양하게 발전하여 시행되는데, 대표적으로 실 거상술(Thread Lifting)이 있다.
실 거상술(Thread lifting)이란 프롤렌(prolene) 합성사에 미세한 가시(cog) 혹은 미늘(barb)을 형성하여 잡아당기는 것이다. 실 거상술에 사용되는 실은 대표적으로 압토스(Aptos)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명 해피리프트,매직리프트, 미라클리프트 등의 시술명으로 시술되고 있다.
실 거상술은 바늘과 압토스 실만 사용하므로 절개를 하지 않아 고무적이나, 면(plane)이 아닌 선상(line)으로 잡아당기므로 잡아당기는 부분이 균일하고 자연스럽게 잡아당겨 지지 않고 일부분만 불균일하게 잡아당겨 져서 잡아당기는 효과가 덜하며, 가시(cog)가 잘 손상되고, 간혹 실이 빠져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 거상술에 관한 특허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공개, 개시되고 있다.
국제출원번호 PCT/RU2002/000285에는 성형수술용 수술실이 나타나 있다.
상기 특허에는 끝 부분(4)이 뾰족하고 유연성 및 탄성을 지닌 가시(3) 형태의 경사진 돌기(2)가 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계속적으로 배열된 성형수술용 수술실(1)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6-0028387호에는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에 대해 나타나 있고, 한국특허출원 제10-2005-0060081(PCT/US2003/030674)에는 미늘 봉합사에 대해 나타나 있다. 또한, 알카모의 미국특허 3,123,077호에도 실 거상술에 사용되는 실이 나타나 있다.
이중 가지-봉합사(double-armed sutures)로 불리우는 양방향 배열로 배치된 미늘(barb)을 갖는 봉합사는 번크의 미국특허 제5,931,855호 및 러프의 미국특허 제6,241,747호에 기술되어 있다.
러시아 출원 RU 99103732호(1999. 3. 3.)의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PCT/RU99/00263호(2000. 9. 8.자로 국제공보 WO 00/51658호로 공개)를 기본으로 하는 2001. 2. 2.자로 공개된 술라마니드즈 및 미크하이로브의 유럽출원 공개 1,075,843 A1호, 루프의 미국특허 5,342,376호에도 실 거상술에 사용되는 실이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에 실로 거상하는 실 거상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마 및 중 안면 거상술에 적용하는 미국특허20030074021 Remotely anchored tissue fixation device(한국 특허공개 10-2007-0029692호: 원거리 부착 조직 고정 장치)가 개시되었다.
이것은 원거리 조직 당김 장치인데 이는 골막에 고정시키는 본체의 일단과 본체의 다른 일단에는 가시장치(tine..)가 형성되어 피부를 걸어 잡아당긴 후 뼈나 골막에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가시장치(tine, barb)를 피부나 근막에 걸어 잡아 당길 때 조직이 손상되거나 미끄러져 시술 후 느슨해지는 것을 초래할 수 있고, 수술의 특성상 잡아당김이 심하면 가시 자체가 손상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피부를 잡아당기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거상 효과를 위하여 조직 당김 장치를 심하게 잡아당겨 골막이나 골에 고정할 때, 잡아당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작용이 작용하게 되어, 고정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거상도 정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술을 위하여 쓰는 국소 마취제 등으로 인해 부기가 생기게 되고, 충분히 잡아당겼다고 하여도, 부기가 가라앉을 때 당김의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거리에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잡아당겨 고정하게 되면, 수술 후 얼굴 표면에서 표시가 나서 상당 기간 부자연스러운 경우도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는 수술 방법으로 시간차를 두는 안면 거상 술 방법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시간차의 의미는 1차적으로 보조 재를 식재하고, 일정기간 후에 2차적으로 잡아당기는 안면 거상 술을 시행하여 안면 거상의 목적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의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써, 의료용 실리콘 판이나 e-PTFE(expanded polytetrafluroetylene : 상표명 고어텍스 혹은 포러스텍스)(이상을 임플란트(implant)라 칭한다.)제재를 적당한 크기로 재단한 후에 이것을 이개 뒤(retroauricular region)를 절개하여 피부하 지방층 (subcutaneous layer)과 건막(SMAS) 사이에 일정기간 (3주-4주) 식재해 놓은 다음 조직(피부와 건막)에 유착(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할 생물체의 조직면이 섬유소나 섬유 조직 따위와 연결되어 붙어 버리는 일) 되면 식재된 임플란트를 잡아당겨 귀 뒤 골막에 봉합사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식재된 임플란트와 조직이 단순 유착이므로, 임플란트제재를 잡아당겼을 때 임플란트제재와 조직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술시 임플란트제재를 잡아당겼을 때 임플란트제재만 빠져나오고 거상은 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임플란트제재와 조직이 유착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하게 되면 1차 수술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임플란트 재료들의 특성상 손상과 찢어짐으로 인한 당김의 효과가 감소될 우려가 있고, 비흡수성 재료이므로, 안면부의 식재부에 구축(contracture)이나 피막형성(capsuiar formation)이 되어 외관상 표시가 날 수 있고 염증 발생의 가능성이 커지는 단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이하게 거상술을 시행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거상할 수 있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는, 제1일측은 인체에 고정되는 제1부재와 제2일측은 인체에 연결되어 당김을 형성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의 제1타측과 상기 제2부재의 제2타측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걸림부 또는 상기 연결돌기는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1부재가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제1일측에는 가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에는 보조고정홈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연결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의 일부분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일측은 인체에 고정되는 제1부재와 제2일측은 인체에 연결되어 당김을 형성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의 제1타측과 상기 제2부재의 제2타측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인체에 연결되는 제2부재를 잡아당김으로 인해 생성되는 반발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연결돌기를 상기 걸림부에 걸기만 하면 되므로 용이하게 거상술을 시행할 수 있고, 거상시킬 길이에 따라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일측을 각각 고정시킨 후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연결하므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거상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걸림부 또는 상기 연결돌기는 다수개 형성되어, 거상시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술 상황에 따라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시술을 완료한 후에도 추후에 이차적으로 거상시켜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시술을 하지 않고도 상기 걸림부와 상기 연결돌기의 제2부재의 위치를 달리하면 되므로 더욱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거상할 수 있다.
하나의 제2부재에 여러개의 제1부재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다방면의 벡터 방향으로 동시에 잡아 당김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제2부재 또는 상기 제1부재가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를 상기 걸림부에 삽입한 후에 상기 연결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제1일측에는 가시가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를 인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에는 보조고정홈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보조고정홈을 통해 조직이 자라나서 제1부재가 효과적으로 인체의 거상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거상도 효과적으로 될 수 있으며, 시간차 시술에 사용시 2차 시술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연결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의 일부분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분리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분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1차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2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시간차 거상시술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사시도.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귀 뒤를 절개하여 턱 부위와 목 주위 주변의 늘어진 주름을 올리는 안면 거상술에 적용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이마를 제외한 상 중부 안면 거상술(upper and mid-face lift)에 적용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이마부의 거상(forehead lift)술에 적용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이마부의 거상(forehead lift)술에 적용한 도면(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20,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사시도.
도 22는 도 20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측두부거상술에 적용한 도면.(제1부재만 도시)
도 23은 도 20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측두부거상술에 적용한 도면.(제1부재 및 제2부재 도시)
도 24는 도 21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측두부거상술에 적용한 도면.(제1부재만 도시)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단면도.
도 29는 도 27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측두거상술에 적용한 도면.(1차시술)
도 30은 도 27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시술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2차시술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1차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2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시간차 거상시술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사시도.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귀 뒤를 절개하여 턱 부위와 목 주위 주변의 늘어진 주름을 올리는 안면 거상술에 적용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이마를 제외한 상 중부 안면 거상술(upper and mid-face lift)에 적용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이마부의 거상(forehead lift)술에 적용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이마부의 거상(forehead lift)술에 적용한 도면(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20,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사시도.
도 22는 도 20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측두부거상술에 적용한 도면.(제1부재만 도시)
도 23은 도 20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측두부거상술에 적용한 도면.(제1부재 및 제2부재 도시)
도 24는 도 21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측두부거상술에 적용한 도면.(제1부재만 도시)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단면도.
도 29는 도 27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측두거상술에 적용한 도면.(1차시술)
도 30은 도 27의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시술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2차시술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출원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09-53313호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배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분리 사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1차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시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사용하여 시간차 거상시술을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사시 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는, 제1일 측(110)은 인체에 고정되는 제1부재(100)와 제2일 측(210)은 인체에 연결되는 제2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100)의 제1타측(120)과 상기 제2부재(200)의 제2타측(220)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12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121)가 걸리는 걸림부(221)가 형성된다.
제1부재(100)는 제1일측(110)이 인체에 연결되며, 두께보다 단면적이 넓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100)의 제1일측(110)이 인체의 안면부분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는 제1일측(110)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타측(120)이 띠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부재(100)의 제1일측(110)에는 관통공(111)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부재(100)의 제1일측(110)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제1일측(110)은 인체의 골부 또는 골막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도 4에는 관통공(111)에 볼트(400)가 삽입된 것이 나타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1)에 봉합사가 삽입되어 제1부재(100)는 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제1부재(100)의 관통공(111)을 통해 조직이 관통되어, 즉, 관통공(111)을 통해 조직이 자라나서 제1부재(100)가 인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b)에는 관통공(111)과 걸림부(221) 사이에 배치되도록 보조고정홈(101)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고정홈(101)을 통해 조직이 자라나서 제1부재(100b)가 인체에 더욱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b)의 제1일측(110) 하부에는 가시(102)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시(102)가 있을 경우에는 피부 아래쪽에 제1부재(100b)를 끼워넣은 후에 제1부재(100b)를 밀어넣은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가시(102)가 인체의 일부분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가시(102)는 제1부재(100b)를 인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시킨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b)의 제1타측(120)이 두개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가시(10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부재(100b)는 측두부거상시술 및 중안면거상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c)는 제1일측(110)이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공(111)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관통공(111)을 통해서는 조직이 관통되어 자라서 제1부재(100c)는 인체에 이중으로 걸리게 된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는 제1타측(120)이 다수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제1일측(110)에 다수개의 제1타측(1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제1타측(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하나의 제1부재(100)와 다수개의 제2부재(20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는 제2일측(210)이 인체에 연결되며, 두께보다 단면적이 넓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는 제2일측(210)에 조직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211)이 다수개 형성되며, 제2타측(220)은 제2일측(210)보다 단면적이 더 작도록 형성된다. 즉, 제2일측(210)보다 제2타측(220)의 폭이 더 좁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부재(200)가 인체와 접촉하는 면적은 증가하는 동시에 연결부위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되어 수술이 용이하게 되며, 수술 직후에도 부자연스러움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관통공(211)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제2부재(200)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부재(200)가 조직과 최대한 유착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도 3은 1차 수술시 제2부재(200)가 식재되고 3~4주 후의 도식 도이다.
피부와 SMAS층 사이에서 제2부재(200)의 제2일측(210)의 제1관통공(211) 사이로 조직(Ba)가 자라나서 걸림이 형성된 모습이며, 제2타측(220)의 제2관통공(221)은 덮개(222)로 인하여 막혀있어서 조직이 자라나지 않아 제2수술이 용이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2차 수술 직후 제1부재(100)가 고정되어지고, 걸림이 형성된 제2부재(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연결되어지는 도식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관통공(211)을 통해 조직이 자라나서(Ba) 피부 및 SMAS층에 유착되어 제2부재(200)를 잡아당기게 되면 피부 및 SMAS층이 동시에 잡아당겨 져서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거상될 수 있다.
제2부재(200)의 제2일측(210)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200)의 제2일측(210)은 넓은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시술 부위의 형상에 따라 재단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부재(200)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된다.
미국특허 제6221075호(Bioabsorbable deformable fixation plate)에는 다양한 방법의 생분해재질의 플레이트(plate)와 나사(screw)의 사용예시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특허 WO99/33401 (PCT EP98/08404):BIOABSORBABLE SUTURE ANCHOR에서는 골조직에 고정시키는 생분해성 앵커(anchor)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971987호(Biocompatible absorbable polymer fastener and drive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 :Ethicon,Inc)에서도 수술과정에서 생분해성 고분자 나사와 판의 고정에 관해 개시되어있다.
이들을 응용하여 안면 거상술에 관한 보조재가 점차적으로 발전이 되어왔는데, 미국 공개공보 제2008/0200993호(Temporal brow lifting and fixation device) 에서는 측두 이마거상술을 위해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부재와 심부 측두근막에 고정시키기위해 통공을 형성하는 부재를 형성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역시 생분해재질로 형성하고자 하였다.
미국특허 제6015410호(Bioabsobable surgical implants for endoscopic soft tissue suspension procedure :Bionix Implants Oy)에서는 내시경하 이마거상술에 있어 생분해재질로 형성되는 나사를 두정부에 고정시키고 봉합사로 조직을 거상하여 나사에 고정(anchoring)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분해성 재질에 관하여는 이미 다양한 종류의 재질이 상품화되고, 의료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00)의 제1타측(120)과 상기 제2부재(200)의 제2타측(220)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12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121)가 걸리는 걸림부(221)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돌기(121)는 제1부재(100)의 제1타측(120)에 형성되고, 걸림부(221)는 제2부재(200)의 제2타측(22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돌기(121)와 걸림부(221)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거상장치를 시간차 거상술에 사용할 경우 용이하게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걸림부는 제1부재(100)의 제1타측(120)에 형성되고, 연결돌기는 제2부재(200)의 제2타측(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21) 및 연결돌기(121)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걸림부(221) 및 연결돌기(121)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221) 및 연결돌기(121)가 여러개 형성되어 거상시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술 상황에 따라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시술을 완료한 후에도 추후에 추가적으로 거상시켜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시술을 하지 않고도 걸림부(221)와 연결돌기(121)의 결합 위치를 달리하면 되므로 더욱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거상할 수 있다.
걸림부(221)는 관통된 제2관통공(221)으로 형성되며, 걸림부(221)가 형성된 제2부재(200)에는 걸림부(221)를 덮는 덮개(222)가 구비된다.
이때, 덮개(222)의 일부분(224)은 걸림부(221)가 형성된 제2부재(2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222)와 제2부재(200) 사이에는 덮개(222)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분리)되도록 절개부(223)가 여러 개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222)로 인해, 제2부재(200)를 시술부위에 먼저 시술하고, 추후에 제1부재(100)를 인체에 고정시킨 후에 제2부재(200)에 연결시키더라도, 제1부재(100)를 시술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걸림부(221)는 폐쇄시켜서 걸림부(221)로는 조직이 관통하지 않게 되어 시간차를 두는 안면 거상술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덮개(222)는 절개부(223)로 인해 제2부재(200)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서 시술도 용이해진다.
연결돌기(121)는 제1부재(100)의 제1타측(120)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돌기(121)의 하부에는 제2부재(200) 또는 제1부재(100)가 걸리는 걸림돌기(122)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22)는 제1부재(100)의 제1일측(110)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된다.
걸림돌기(122)를 포함한 연결돌기(121)의 단면적은 걸림부(221)의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122)로 인해 연결돌기(121)를 걸림부(221)에 삽입한 후에 연결돌기(121)가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는 일체로 형성된다.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는 연결편(300)을 통해 연결된다.
연결편(300)은 두개가 구비되어 제1타측(120) 및 제2타측(220)의 끝단 양쪽에 각각 연결된다.
연결편(300)의 길이는 0.5-3cm가 적당하나 시술위치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 제작 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300)과 제1부재(100d) 및 제2부재(200d) 사이에는 절단부(30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연결편(300)의 일부분은 제1부재(100d) 및 제2부재(200d)와 연결되고, 연결편(300)의 다른 일부분은 제1부재(100d) 및 제2부재(200d)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연결편(300)이 구비되어 연결편(300)을 제1부재(100d) 및 제2부재(200d)로부터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되어,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의 분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가 일체로 형성되어, 거상도 효과적으로 될 수 있으며, 시간차 시술에 사용시 2차 시술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제1부재(100, 100a, 100b, 100c,100d)는 여기에 연결되는 제2부재(200, 200a,200b, 200c, 200d )외에도 어떠한 형태, 재질과 상관없이 걸림부(221)을 가진 모든 부재와의 결합을 포함함을 밝혀둔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거상장치를 사용하는 시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1실시예는 귀 뒤를 절개하여 턱 부위와 목 주위 주변의 늘어진 주름을 올리는 안면 거상술이다.
이 수술의 효과는 턱선 주위의 잡아 당김으로 인해 U-라인 을 V-라인으로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귀 뒤를 수cm 절개하고, 바람직하게는 1.5-2cm 정도로 절개한다.
귀 뒤 절개 부위 면에서 안면부 전면 방향으로 일정부분 박리를 하여 제2부재(200)가 삽입 식재될 포켓을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의 박리면(dissecting plane)은 피부하 층(subcutaneous layer)의 지방층을 박리하게 되며, 바로 밑에는 활경근(Platysma)의 천근막층(SMAS)(b)이 존재하게 된다.
귓불 뒤로 대이개신경의 후이개분지들(c)과 외경정맥(a)이 보이며 그 아래에는 흉쇄유돌근(d)이 있다면 이부위의 박리가 적절하다.
제2부재(200)를 절개한 부분을 통하여 박리된 포켓에 삽입한다. 상기 포켓의 적절한 위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경근(Platysma)의 천근막층 상부가 바람직하다.
제2부재(200)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직 내에서 생분해되고, 바람직하게는 6개월~1년 내에 생분해되는 재질로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는 일정기간(3-4주가 추천된다.)이 지난 다음 제2부재(200)가 상하 조직 즉 피부측과 활경근(Platysma)의 천근막층(b) 사이에서 걸려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후, 절개부위의 1차적 봉합( primary closure)이 시행되면 1차수술 이 완료되게 된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1차 수술시의 조직의 멍이나 부종 등과 같은 간섭여건이 소실되어 잡아당김에 있어 최적의 조건이 된다.
다음, 2차 시간차 수술은 3-4주 후에 시행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 뒤 부분을 다시 절개하고, 기 식재된 제2부재(200)의 제2타측(220)을 찾음과 동시에 제1부재(100)를 귀 뒤 유양돌기(mastoid)나 그 주변의 골막에 고정한다.
의료부문에서 통상적으로 고정할 때에는 볼트(screw)나 봉합사(sutures)가 사용되어 왔다.
제1부재(100)의 제1일측(110)을 유양돌기에 고정할 때는 볼트를 체결공(221)에 삽입하여 볼트(screw)를 이용한 나사고정방법이 사용된다.
제1부재(100)의 제1일측(110)을 유양돌기 주변에 단단히 붙어 있는 골막(periosteum)에 고정할 때에는 봉합사(sutures)를 이용하여 골막을 관통해 봉합 고정하게 된다. 상기 봉합사는 비흡수성 봉합사가 바람직하며 2-0 Nylon사가 추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의 제2타측(220)의 걸림부(221)는 덮개(222)로 폐쇄되어 있으므로, 절개부(223)를 통하여 연결(224)부분을 잘라낸다.
이와 같이, 걸림부(221)가 개방되면 제2부재(200)의 타단(220)를 잡아당겨서 도 2 및 도 4 및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21)에 연결돌기(121)를 삽입한다.
제2부재(200)의 타단(220)를 잡아당기면 일단(210)도 동시에 잡아당겨 지게 된다.
제2부재(200)의 타단(220)을 잡아당겨 잉여의 부분이 있다면 잘라내어 최적의 당김의 효과가 나타나게 한 다음, 걸림부(221)에 연결돌기(121)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인체에 연결되는 제2부재(200)를 잡아당김으로 인해 생성되는 반발력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돌기(121)를 걸림부(221)에 걸기만 하면 되므로 용이하게 거상술을 시행할 수 있고, 거상시킬 길이에 따라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의 일측(110, 210)을 각각 고정시킨 후에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서로 연결하므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거상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200)를 잡아당겨서 연결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원터치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생분해성 재질의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거상장치가 손상되거나 찢어지고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간격을 두는 시간차 수술을 시행함으로써 부기(edema)로 인해 간섭되는 저항력을 최소화함으로 당김과 거상(traction & lifting)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 예는 이마를 제외한 상 중부 안면 거상술(upper and mid-face lift)에 적용한 예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중부란 측두부위 즉 눈썹외연과 이개의 귓불(ear lobule) 하연(inferior border) 범위(M)를 의미하며, 상 중부 안면 거상술은 특히 비순주름(Nasolabial fold:N)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1차적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따라 1개 혹은 2개의 제2부재(200)를 식재할 수 있다.
1차 시술 때 박리되는 면(dissecting plane)은 피부하 층(subcutaneous layer)과 천근건막(SMAS)층 사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부재(200)를 피부하 층(subcutaneous layer)과 천근건막층 사이에 배치시켜서, 피부뿐 아니라 천근건막층을 동시에 잡아당기는 동시에, 천근건막층 아래에 있는 안면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 부위에 따라 제2부재(200)의 제2일측(210)의 모양을 변형시켜 식재할 수 있다.
3-4주 후 제2부재(200)가 조직에 유착되면 2차 시간차 수술을 한다.
2차 시간차 수술은 제1부재(100)를 삽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 상부와 눈썹의 외측방 7-8cm 상방에서 이루는 삼각형 부위의 머리속부위(scalp region)에서 약 3-5cm을 절개하여, 측두근막(temporalis fascia)을 노출시킨다.
이때, 절개의 위치나 길이는 시술자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주지의 사실대로, 연조직끼리의 잡아당김은 효과가 떨어지므로, 제1부재(100a)는 일차적으로 단단한 조직에 고정한다.
측두부의 해부학적 구조상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단단한 부위는 측두 근막이다.
측두근막은 표재성근막과 심부 근막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심부 근막이 더 바람직하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측두 근막에 제1부재(100a)의 제1일측(110)에 형성된 관통공(111)에 봉합사를 관통시켜서 봉합하여 고정시킨다. (도 4 참조)
제1부재(100a)의 고정 후에는 양측의 연결돌기(121)를 각각의 걸림부(221)에 삽입하여, 하나의 제1부재(100a)를 통하여 두 개 이상의 제2부재(200)를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를 제2 실시 예의 이마를 제외한 상 중부 안면 거상술(upper and mid-face lift)에 적용한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같이, 1차 수술시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를 일체로 식재한다.
이때, 제1부재(100d)의 가시(102)는 측두부의 측두심부근막내에 고정시킨다.
1차 수술후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에 있는 관통공(111)과 제1관통공(211)에 각각 조직이 자라나서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의 제1일측(110) 및 제2일측(210)은 인체의 피부(A)와 SMAS(C) 사이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제2부재(200d)의 제2타측(220)의 걸림부(221)는 덮개(222)로 폐쇄되어 있으므로, 조직이 자라나지 못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수술시에는 덮개(222)의 절개부(223)를 통하여 연결(224)부분을 잘라내어 덮개(222)를 분리시키고, 절단부(301)를 통해 연결편(300)을 절단하여 제거한 다음,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를 잡아당겨 연결돌기(121)를 걸림부(221)에 삽입하여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제1부재(100d)와 제2부재(200d)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시술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제3실시예는 이마부의 거상(forehead lift)에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거상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마부의 거상은 전두부 거상(frontal lift), 눈썹부거상(eyebrow lift)을 포함하는 수술로써, 난해한 수술의 한 범위에 속한다.
과거에는 두정부(vertex)의 횡절개(bicoronal incision)을 통한 광범위 절개를 하여 봉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후 내시경을 이용하여 전두부에 나일론사로 봉합(suturing)하여 두정부 두피에 고정하거나, 두정부에 나사를 고정하여 실로 거상하여 묶는 거상법과 전술한 실 거상법, 즉 Aptos 실 거상법과 그 응용방법으로 이마를 거상하였고, 최근에 상기 생분해 재질의 원거리 조직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거상장치(상품명: Endotine forhead)로 머릿속에 제1관통공(211) 뚫어 걸쇠로 고정시키후 자체 내에 구비되는 가시(tines)나 살(barbes)에 피부를 걸어 당기는 방법이 있었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를 전두부에 삽입한 다음, 3-4주 후에 2차 시간차 수술시에 제1부재(100)를 전두부 헤어라인 상방에 나사 고정한 후 기 삽입된 제2부재(200)가 조직 사이에서 결합되면 제2부재(200)의 제2타측(220)을 잡아당겨 제1부재(100)의 제1타측(120)과 연결하여 거상하게 된다.
이때도 제2부재(200)는 원하는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거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안면거상장치는, 특히, 시간차를 두고 시술하며 안면을 거상하는 안면 거상술에 사용하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에 적합하다.
100,100a,100b,100c,100d : 제1부재
101 : 보조고정홈 102 : 가시
110 : 제1일측 111 : 관통공
120 : 제1타측
121 : 연결돌기 122 : 걸림돌기
200,200a,200b,200c,200d : 제2부재
210, 210a,210b,210c : 제2일측
211 : 제1관통공 220, 220a,220b,220c : 제2타측
221 : 걸림부(제2관통공) 222 : 덮개
223 : 절개부 300 : 연결편
301 : 절단부 400 : 볼트
101 : 보조고정홈 102 : 가시
110 : 제1일측 111 : 관통공
120 : 제1타측
121 : 연결돌기 122 : 걸림돌기
200,200a,200b,200c,200d : 제2부재
210, 210a,210b,210c : 제2일측
211 : 제1관통공 220, 220a,220b,220c : 제2타측
221 : 걸림부(제2관통공) 222 : 덮개
223 : 절개부 300 : 연결편
301 : 절단부 400 : 볼트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일측(110)이 인체에 연결되는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
제2일측(210, 210a,210b,210c)이 인체에 연결되는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의 제1타측(120)과 상기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의 제2타측(220, 220a,220b,220c)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12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121)가 걸리는 걸림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의 상기 제1일측(110)에는 가시(102)가 형성되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 제1일측(110)이 인체에 연결되는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
제2일측(210, 210a,210b,210c)이 인체에 연결되는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의 제1타측(120)과 상기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의 제2타측(220, 220a,220b,220c)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12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121)가 걸리는 걸림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에는 보조고정홈(10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 제1일측(110)이 인체에 연결되는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
제2일측(210, 210a,210b,210c)이 인체에 연결되는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의 제1타측(120)과 상기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의 제2타측(220, 220a,220b,220c) 중 하나에는 연결돌기(12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결돌기(121)가 걸리는 걸림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와 상기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는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와 상기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는 연결편(30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의 일부분은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 및 상기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300)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1부재(100,100a,100b,100c,100d) 및 상기 제2부재(200,200a,200b,200c,200d)와 분리되는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7981A KR101202253B1 (ko) | 2010-05-24 | 2010-05-24 |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7981A KR101202253B1 (ko) | 2010-05-24 | 2010-05-24 |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8495A KR20110128495A (ko) | 2011-11-30 |
KR101202253B1 true KR101202253B1 (ko) | 2012-11-16 |
Family
ID=4539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7981A KR101202253B1 (ko) | 2010-05-24 | 2010-05-24 |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22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48000B (zh) * | 2021-09-28 | 2024-03-26 | 西安俪时代医疗美容有限责任公司 | Smas双燕尾拉皮除皱术用外缝合牵引架 |
KR200498371Y1 (ko) | 2022-09-15 | 2024-09-24 | 이익준 | 주름제거용 피부리프팅 기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40121B1 (en) | 1998-05-28 | 2002-08-27 | Pearl Technology Holdings, Llc. |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face-lifting surgery using radiofrequency energy |
KR100774534B1 (ko) | 1999-12-30 | 2007-11-08 | 펄 테크놀러지 홀딩스, 엘엘씨 | 안면 당김성형 장치 |
US20090082791A1 (en) | 2007-09-26 | 2009-03-26 | Ethicon, Inc. | Self-anchoring tissue lif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using same |
-
2010
- 2010-05-24 KR KR1020100047981A patent/KR1012022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40121B1 (en) | 1998-05-28 | 2002-08-27 | Pearl Technology Holdings, Llc. |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face-lifting surgery using radiofrequency energy |
KR100774534B1 (ko) | 1999-12-30 | 2007-11-08 | 펄 테크놀러지 홀딩스, 엘엘씨 | 안면 당김성형 장치 |
US20090082791A1 (en) | 2007-09-26 | 2009-03-26 | Ethicon, Inc. | Self-anchoring tissue lif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8495A (ko) | 2011-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73804C2 (ru) | Имплантат для подтяжки ткани | |
AU2005230815B2 (en) | Surgical thread | |
US767037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breast lifting | |
US8236027B2 (en) | Surgical thread | |
US10398542B2 (en) | Endotine breast re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s | |
US20070156175A1 (en) | Device for attaching, relocating and reinforcing tissue and methods of using same | |
WO2005096956A1 (en) | Surgical thread | |
US20100204791A1 (en) | System for lifting and reshaping soft tissue | |
JP2010540051A (ja) | 自己定着式組織リフティング装置及びその装置の製造方法 | |
RU2718320C2 (ru) | Устройство растяжения кожи | |
WO2011091483A1 (en) |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device for lifting and suspension of soft tissues. | |
US20080132944A1 (en) | Suture re-tensioning device | |
US8585774B2 (en) | Temporal brow lifting and fixation device | |
US8409296B2 (en) | Brow lift implant and method | |
KR101202253B1 (ko) | 결합형 안면거상장치 | |
KR20100134941A (ko) | 시간차 안면거상술용 거상장치 | |
KR101432268B1 (ko) |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이를 연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 기구 및,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기구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 | |
US875336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