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150B1 -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150B1
KR101712150B1 KR1020150054731A KR20150054731A KR101712150B1 KR 101712150 B1 KR101712150 B1 KR 101712150B1 KR 1020150054731 A KR1020150054731 A KR 1020150054731A KR 20150054731 A KR20150054731 A KR 20150054731A KR 101712150 B1 KR101712150 B1 KR 10171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rectangular frame
fog
electrically connect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905A (ko
Inventor
경은천
Original Assignee
경은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은천 filed Critical 경은천
Priority to KR102015005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15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Abstract

본 발명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도로, 공항의 활주로, 해안지역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시 자동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함으로써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안개 발생지역의 촬영정보와 카메라(128)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비교된 비교 값을 제어부(122)로 보내는 비교부(130)와; 상기 비교부(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발생지역의 대기(大氣)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31)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3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또는 저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대기온도가 0℃이거나 0℃보다 높을 경우 찬바람을, 대기온도가 0℃보다 낮을 경우 따뜻한 바람을 안개 발생지역으로 보내어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하여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바람발생부(13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Functional blocking device for protecting natural disaster}
본 발명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도로, 공항의 활주로, 해안지역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시 자동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함으로써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로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도로, 공항의 활주로, 해안지역에서 편안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재해를 예방하는 차단장치는 해안이나 방조제, 항만, 부두, 가두리 양식장 주변, 과수원, 고속도로, 대교, 또는 공항 및 주택단지 등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차단장치는 2013년 07월 09일자 출원번호 제10-2013-0080296호(발명의 명칭 : 자연 재해를 예방하는 기능성 차단장치)로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다수의 수평대(12)가 각각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대(12)의 전/후방에 다수의 지지대(14)를 각각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격자 형태로 설치하되, 상기 수평대(12)와 지지대(14)에는 다수의 체결공(16)이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관통되게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에 서로 대응되게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차단부재(20)는 일정 길이를 갖으며, 단면이 "∪" 또는 "V"자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 중앙에는 다수의 체결공(22)을 통공시켜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체결공(16)과 일치되게 하여 체결수단인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프레임(10)의 전/후방에 수직으로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재해를 예방하는 기능성 차단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자연 재해를 예방하는 기능성 차단장치는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황사) 또는 먼지 또는 소음 등의 자연 재해를 예방할 수 있지만,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도 생기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문헌 1 :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2350호(공개일자, 2005년09월21일)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2-055309호(공개일자, 1987년03월11일)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31511호(공개일자, 1998년09월02일)
문허 4 : 등록특허 제10-1164647호(등록일자, 2012년07월04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도로, 공항의 활주로, 해안지역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시 자동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함으로써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로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도로, 공항의 활주로, 해안지역에서 편안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02)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수평대(104)와;
상기 수평대(104)의 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전방너트(106)와;
상기 전방너트(106)에 대응되게 상기 수평대(104)의 배면에 설치된 후방너트(108)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정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되, 내측면에 상기 전방너트(106)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4)의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 또는 먼지 또는 소음의 자연 재해를 차단해 주는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와;
상기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에 대응되게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배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되, 내측면에 상기 후방너트(108)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 또는 먼지 또는 소음의 자연 재해를 차단해 주는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와;
상기 전방너트(106)로부터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전방너트(106)에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를 고정시켜 주는 전방볼트(114)와;
상기 후방너트(108)로부터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방너트(108)에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를 고정시켜 주는 후방볼트(116)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보냄과 아울러 바람을 발생시켜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하여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안개소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개소산수단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받고, 받은 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 개의 집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118)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집광판(1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집광판(118)의 집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120)와;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충전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전력)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2)와;
상기 집광판(11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124)와;
상기 조도감지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길을 안내하는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와;
상기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발생지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정보를 제어부(122)로 보내는 카메라(128)와;
상기 카메라(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안개 발생지역의 촬영정보와 카메라(128)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비교된 비교 값을 제어부(122)로 보내는 비교부(130)와;
상기 비교부(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발생지역의 대기(大氣)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31)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3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또는 저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대기온도가 0℃이거나 0℃보다 높을 경우 찬바람을, 대기온도가 0℃보다 낮을 경우 따뜻한 바람을 안개 발생지역으로 보내어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하여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바람발생부(132)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는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도로, 공항의 활주로, 해안지역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안개 발생시 자동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함으로써,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교통사고를 방지하여 인명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는바,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도로, 공항의 활주로, 해안지역에서 편안하게 운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겨울에 안개 발생지역으로 따뜻한 바람을 보냄으로써, 얼어있는 도로를 녹여주는 효과가 있고, 하늘에서 떨어지는 눈을 녹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여름에 안개 발생지역의 도로로 찬바람을 보냄으로써, 폭염을 막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의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2는 도 1a의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는 도 1a의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도 3a의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며, 도 2는 도 1a의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100)는,
관통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02)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수평대(104)와;
상기 수평대(104)의 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전방너트(106)와;
상기 전방너트(106)에 대응되게 상기 수평대(104)의 배면에 설치된 후방너트(108)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정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되, 내측면에 상기 전방너트(106)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4)의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황사) 또는 먼지 또는 소음의 자연 재해를 차단해 주는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와;
상기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에 대응되게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배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되, 내측면에 상기 후방너트(108)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황사) 또는 먼지 또는 소음의 자연 재해를 차단해 주는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와;
상기 전방너트(106)로부터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전방너트(106)에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를 고정시켜 주는 전방볼트(114)와;
상기 후방너트(108)로부터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방너트(108)에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를 고정시켜 주는 후방볼트(116)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보냄과 아울러 바람을 발생시켜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하여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안개소산수단(도시는 생략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개소산수단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받고, 받은 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 개의 집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118)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집광판(1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집광판(118)의 집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120)와;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충전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전력)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2)와;
상기 집광판(11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124)와;
상기 조도감지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길을 안내하는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와;
상기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발생지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정보를 제어부(122)로 보내는 카메라(128)와;
상기 카메라(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안개 발생지역의 촬영정보와 카메라(128)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비교된 비교 값을 제어부(122)로 보내는 비교부(130)와;
상기 비교부(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발생지역의 대기(大氣)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31)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3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또는 저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대기온도가 0℃이거나 0℃보다 높을 경우 찬바람을, 대기온도가 0℃보다 낮을 경우 따뜻한 바람을 안개 발생지역으로 보내어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소산 : 흩어지다)토록 하여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바람발생부(13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100)를 안개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100)의 설치 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관통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을 위치시킨 후,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중앙에 수평대(10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대(104)의 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너트(106)를 설치한 후, 상기 전방너트(106)에 대응되게 상기 수평대(104)의 배면에 후방너트(108)를 설치한다.
그리고,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황사) 또는 먼지 또는 소음의 자연 재해를 차단해 주는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를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정면에 다 수개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의 내측면에 전방너트(106)가 접촉된다.
한편,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황사) 또는 먼지 또는 소음의 자연 재해를 차단해 주는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를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에 대응되게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배면에 다 수개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의 내측면에 후방너트(108)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다수 개의 집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118)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일측에 충전부(120)를 설치한 후, 상기 충전부(120)에 집광판(118)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일측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22)에 충전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2)에 안개 발생지역의 촬영정보가 기 설정된 비교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집광판(11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124)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22)에 조도감지부(1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조도감지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발광하여 길을 안내하는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22)에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안개 발생지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정보를 제어부(122)로 보내는 카메라(128)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22)에 카메라(128)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안개 발생지역의 대기(大氣)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31)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22)에 온도감지센서(1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센서(13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 또는 저면 일측에 안개 발생지역으로 온도감지센서(131)에서 감지된 대기온도가 0℃이거나 0℃보다 높을 경우 찬바람을, 대기온도가 0℃보다 낮을 경우 따뜻한 바람을 보내는 바람발생부(132)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22)에 바람발생부(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바람발생부(132)는 대기온도가 0℃이거나 0℃보다 높을 경우 찬바람을, 대기온도가 0℃보다 낮을 경우 따뜻한 바람을 안개 발생지역으로 보내는바, 상기 바람발생부(132)는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100)의 제어방법 즉, 동작을 살펴보면,
다수 개의 집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118)은 빛을 받고, 받은 빛을 전기에너지(전력)로 변환하여 충전부(12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120)는 전기를 제어부(122)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2)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조도감지부(124)로 보낸다.
상기 조도감지부(124)는 조도를 감지한 후, 감지된 조도 값을 제어부(122)로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기 설정된 조도 값과 수신된 조도 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조도 값이 수신된 조도 값보다 클 경우(예를 들어, 안개가 낀 날씨) 제어신호를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로 보낸다.
상기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는 광을 발산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는 길을 안내한다.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122)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카메라(128)로 보낸다.
상기 카메라(128)는 안개 발생지역을 실시간적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촬영정보를 제어부(122)로 보낸다.
상기 제어부(122)는 카메라(128)가 촬영한 촬영정보를 비교부(130)로 보낸후, 비교부(13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130)는 기 설정된 안개 발생지역의 촬영정보와 카메라(128)의 촬영정보를 비교한 후, 비교된 비교 값을 제어부(122)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2)는 기 설정된 비교 값과 비교부(130)로부터 수신된 비교 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비교 값과 수신된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즉, 안개 발생지역에 안개가 낀 것으로 간주하고 온도감지센서(131)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센서(131)는 대기온도를 감지한 후, 감지된 대기온도 값을 제어부(122)로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제어신호를 바람발생부(132)로 보냄과 동시에 수신된 대기온도 값을 바람발생부(132)로 보낸다.
상기 바람발생부(132)는 안개가 낀 안개 발생지역으로 온도감지센서(131)에서 감지된 대기온도가 0℃이거나 0℃보다 높을 경우 찬바람을, 대기온도가 0℃보다 낮을 경우 따뜻한 바람을 보낸다.
이에 따라, 안개가 신속하게 제거된다.
한편, 도로가 얼어 있는 겨울에 안개 발생지역으로 따뜻한 바람을 내보내는바, 얼어있는 도로를 녹여줄 수 있고, 하늘에서 떨어지는 눈을 녹일 수 있다.
그리고, 여름에 안개 발생지역의 도로로 찬바람을 내보내는바, 폭염을 막아줄 수 있다.
도 3a는 도 1a의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로,
관통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에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와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를 엇갈리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102 : 사각형상의 프레임
104 : 수평대 106 : 전방너트
108 : 후방너트 110 :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
112 :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 114 : 전방볼트
116 : 후방볼트 118 : 집광판
120 : 충전부 122 : 제어부
124 : 조도감지부 126 : 가로등용엘이디램프
128 : 카메라 130 : 비교부
131 : 온도감지센서 132 : 바람발생부

Claims (4)

  1.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02)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수평대(104)와;
    상기 수평대(104)의 정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전방너트(106)와;
    상기 전방너트(106)에 대응되게 상기 수평대(104)의 배면에 설치된 후방너트(108)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정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되, 내측면에 상기 전방너트(106)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4)의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 또는 먼지 또는 소음의 자연 재해를 차단해 주는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와;
    상기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에 대응되게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배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되, 내측면에 상기 후방너트(108)가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관통공을 통해 유입된 파도 또는 바람 또는 모래 또는 먼지 또는 소음의 자연 재해를 차단해 주는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와;
    상기 전방너트(106)로부터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전방너트(106)에 반구형상의 전방차단부(110)를 고정시켜 주는 전방볼트(114)와;
    상기 후방너트(108)로부터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방너트(108)에 반구형상의 후방차단부(112)를 고정시켜 주는 후방볼트(116)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보냄과 아울러 바람을 발생시켜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하여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안개소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개소산수단은,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빛을 받고, 받은 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 개의 집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118)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집광판(1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집광판(118)의 집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120)와;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충전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전력)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2)와;
    상기 집광판(11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부(124)와;
    상기 조도감지부(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길을 안내하는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와;
    상기 가로등용엘이디램프(12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발생지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정보를 제어부(122)로 보내는 카메라(128)와;
    상기 카메라(12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안개 발생지역의 촬영정보와 카메라(128)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비교된 비교 값을 제어부(122)로 보내는 비교부(130)와;
    상기 비교부(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개 발생지역의 대기(大氣)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31)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3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102)의 상면 또는 저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신호에 따라 대기온도가 0℃이거나 0℃보다 높을 경우 찬바람을, 대기온도가 0℃보다 낮을 경우 따뜻한 바람을 안개 발생지역으로 보내어 안개를 신속하게 제거토록 하여 운전자, 선장, 조종사들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바람발생부(1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54731A 2015-04-17 2015-04-17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KR101712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731A KR101712150B1 (ko) 2015-04-17 2015-04-17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731A KR101712150B1 (ko) 2015-04-17 2015-04-17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905A KR20160123905A (ko) 2016-10-26
KR101712150B1 true KR101712150B1 (ko) 2017-03-03

Family

ID=5725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731A KR101712150B1 (ko) 2015-04-17 2015-04-17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724B1 (ko) * 2020-03-10 2021-05-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개 제거 기능을 갖는 가로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10B1 (ko) * 2012-09-19 2014-05-12 케이엠인더스트리(주)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40A (ja) * 1994-05-25 1995-12-05 Mitsubishi Heavy Ind Ltd 消霧用微粒子の散布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91874B1 (ko) * 2011-01-31 2012-10-16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안개 제거 시스템
KR20150006644A (ko) * 2013-07-09 2015-01-19 주식회사 씨윈피에스 자연 재해를 예방하는 기능성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710B1 (ko) * 2012-09-19 2014-05-12 케이엠인더스트리(주) 능동형 안개 소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905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985B2 (en) Vehicle guidance system
US7471213B2 (en) Emergency response warning system
KR101228669B1 (ko)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1212855B1 (ko) 가로등
KR20160124504A (ko) 복합 기능형 가로등 시스템
US20100214129A1 (en) Device for the lighting and/or demarcation of pedestrian crossings
WO2015175779A2 (en) Roadway delineator and safety system
KR101622971B1 (ko) 주·야간 충전이 가능한 태양광 가로등 시스템
FR2849388B1 (fr) Procede pour localiser et baliser toute surface ou aire de pose choisie par au moins une personne au sol pour l'intervention, de nuit et/ou par mauvais temps, d'une equipe aeroportee et notamment heliportee et son dispositif
KR102411606B1 (ko) 다기능 아이오티 가로등
KR20180023195A (ko) 스마트 태양광 보안 가로등 시스템
KR20060101990A (ko) 안개 방재 시스템
KR101712150B1 (ko) 안개소산수단을 구비한 기능성 차단장치
CN107689130A (zh) 一种森林火灾检测报警方法
KR102416831B1 (ko)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KR101719360B1 (ko) 영상감시장치(cctv) 및 그 제어방법
KR101075033B1 (ko) 다면체 복합기능 폴
CN113487859A (zh) 一种快速追踪事故的城市智能交通管理系统
CN217283171U (zh) 一种监测岩质边坡运动的监控装置
US7190283B1 (en) Intersection safety light assembly and method
KR102120902B1 (ko) 수소, 헬륨 기구가 있는 드론을 이용한 안개제거장치
KR102660210B1 (ko) 다기능 지능형 스마트폴 및 그 제어시스템
KR20140131446A (ko) 도로 교통 안전을 위한 광원 장치, 도로 교통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1979B1 (ko) 적색신호 시 횡단보도 진입을 감지 및 제어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CN210469576U (zh) 双光谱大视场超长焦距高分辨率夜视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