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067B1 -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 Google Patents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067B1
KR101712067B1 KR1020160106748A KR20160106748A KR101712067B1 KR 101712067 B1 KR101712067 B1 KR 101712067B1 KR 1020160106748 A KR1020160106748 A KR 1020160106748A KR 20160106748 A KR20160106748 A KR 20160106748A KR 101712067 B1 KR101712067 B1 KR 10171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error signal
circuit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넷
정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넷, 정동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넷
Priority to KR102016010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H04M1/72527
    • H04M1/7253
    • H04M1/72533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64D2041/002Mounting arrangements for auxiliary power units (APU's)
    • B64D2700/621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론장치에 소나(어군 탐지기)를 연결하되 전선 와이어로 결합시켜 소나에서 획득된 정보를 유선통신으로 드론장치로 전달하고 전달된 정보는 무선통신을 통해 다시 스마트 폰으로 전송토록 하고, 상기 드론장치를 스마트폰으로 위치 조정하되 미리 입력된 위치에서 드론장치가 유동되어 스캔영역의 어군정보를 추출하도록하며, 이때 소나에 의해서 획득된 어군탐지 정보는 개략적 정보와 구체적인 정보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듀얼빔 정보로 획득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도록하여 스캔영역에 직접 가지 않고 드론장치를 통해 최적의 어군 밀집지역 및 원하는 어종이 있는 지점을 파악하여 낚시채비를 투하할 수 있도록하고 이에 따라 낚시활동을 보다 원할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A Smart Drone Unit for Fishing Casting Using Dual Beam Sonar}
본 발명은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론장치에 소나(어군 탐지기)를 연결하되 전선 와이어로 결합시켜 소나에서 획득된 정보를 드론장치를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토록 하고, 상기 드론장치를 스마트폰으로 위치 조정하되 미리 입력된 위치에서 드론장치가 유동되어 스캔영역의 어군정보를 추출하도록하며, 이때 소나에 의해서 획득된 어군탐지 정보는 개략적 정보와 구체적인 정보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듀얼빔 정보로 획득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도록하여 스캔영역에 직접 가지 않고 드론장치를 통해 최적의 어군 밀집지역 및 원하는 어종이 있는 지점을 파악하여 낚시채비를 투하할 수 있도록하고 이에 따라 낚시활동을 보다 원할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군탐지기란 물 속에 있는 어군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기계로서 기본적인 원리는 메아리의 원리이다. 송수파기로부터 발신되는 초음파는 수중의 어군이나 해저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송수파기에 의해 수신된다. 이렇게 돌아온 음파를 어군탐지기의 중앙연산장치에서 발신으로부터 수신까지의 왕복시간을 거리로 환산해 수심을 표시한다. 그리고 반사파의 강약을 분석하여 어군의 크기나 밀도, 혹은 해저의 형상이나 저질을 화면에 색상별로 표시해준다. 어군탐지기에서 초음파를 발사할 때마다 어군탐지기 데이터는 우에서 좌로 화면을 밀어내면서 하나의 화상이 만들어진다.
수중에서 음파가 진행되는 속도는 1초간에 약 1500m인데, 어군탐지기의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이 원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어군탐지기는 퍼스널 컴퓨터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원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었는데 초기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비용이 많이 들어 비경제적이고, 초기구입비용이 많이 들어 소규모의 어업을 하는 어부나 낚시를 레져스포츠로 즐기는 사람들의 경제적인 부담이 많아 보편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하거나 유선이어서 움직이는 동선에 제한이 있고, 작동 방법이 비교적 어려워 기능을 활용하기 힘들었다. 또 어군을 탐지하지 않는 평소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서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 10-0993227호 (2010년 11월 9일 공고)에서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어군 탐지기가 제안되었는바, 그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범용적인 Smart Phone에 앱 스토어에서 어군탐지 앱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서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해 물 속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서 초기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휴대하기 간편하여 어군을 탐지할 때 활동이 자유롭고 Smart Phone의 다양한 그래픽기능을 이용하여 입체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작동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원하는 영상을 볼 수 있고, ㄷ자 형상의 거치대 하단부가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형상이어서 소형 선박의 뱃전이나 좌대평상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어군을 탐지할 때가 아닌 평상시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실용적인 어군탐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장치는 고정형 어군 탐지기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입력받는 개념이기 때문에 현재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광범위한 지역의 어군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비용이 과다하게 투여되는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1)공개특허공보 10-2008-0128991 (2009년 08월 05일 공개) (특허문헌2)공개특허공보 10-2005-0074715 (2007년 02월 22일 공개) (특허문헌3)등록실용신안공보 20-2001-0037329 (2002년 02월 27일 공고) (특허문헌4)등록특허공보 10-0993227 (2010년 11월 9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드론장치를 스마트폰으로 위치 조정하되 미리 입력된 위치에서 드론장치가 유동되어 원하는 지점까지의 어군정보를 추출하도록하며, 이때 소나에 의해서 획득된 어군탐지 정보는 개략적 정보와 구체적인 정보를 동시에 촬용할 수 있도록 듀얼빔 정보로 획득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도록하여 원하는 지점에 직접 가지 않고 드론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어군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하고 이에 따라 낚시의 즐거움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및 자체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 및 회전 운동을 하는 드론 장치와; 상기 드론 장치의 하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무선통신으로 드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탐지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어군탐지명령신호에 따라 어군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탐정보를 무선통신으로 드론을 통해 스마트폰(200)으로 전송시키는 어군탐지기(100)와; 상기 어군탐지기(100)와 유선통신으로 드론을 통해 어탐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폰(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론 장치의 일단에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보조 발전기(2000)를 더 설치하며; 상기 보조발전기(200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 하우징(2021)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자체 구름에 의해서 회전 운동을 유지시키는 볼베어링 구조체(2022)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하되 상하쪽에 볼베어링 구조체가 삽입 결합되며, 볼베어링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간격제(2023)와;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나선형 날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공기의 흐름이 나선형 날개(2024a)에 제공되어 그 흐름이 날개에 가해지면 볼베어링 구조체의 구름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자체 회전 현상을 일으키는 내부 하우징(2024)과; 상기 날개에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날개의 회전에 따라 충돌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소자(2025)와; 상기 발전소자를 외부 하우징에 결합시켜 발전소자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소자가 충격을 받아 전기가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중심축(2026)과;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7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상부 지지부재(2027)와;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8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하부 지지부재(2028)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2022)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부 링형 구조체(2022a)와; 상기 외부 링형 구조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내부 링형 구조체(2022c)와; 상기 외부 링형 구조체 및 내부 링형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며 내부 링형 구조체가 자유롭게 자체 회전하도록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볼베어링(202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전소자(2025)는, 하부 패드(2025a)와 상부 패드(2025b)가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하부 전극(2025c)와 상부 전극(2025d)이 그 상부면에 각각 위치하며, 하부 패드(2025a)위의 하부 전극 상에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2025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발전소자(2025)에 전기적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장으로 간주하여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드론장치를 스마트폰으로 위치 조정하되 미리 입력된 위치에서 드론장치가 유동되어 원하는 지점의 어군정보를 추출하도록하며, 이때 소나에 의해서 획득된 어군탐지 정보는 개략적 정보와 구체적인 정보를 동시에 촬용할 수 있도록 듀얼빔 정보로 획득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도록하여 원하는 지점에 직접 가지 않고 드론장치를 통해 어군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하고 이에 따라 낚시의 즐거움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나 이송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듀얼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듀얼빔 상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듀얼빔 디스플레이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제 1 동작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제 2 동작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발전소자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나 이송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듀얼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듀얼빔 상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듀얼빔 디스플레이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제 1 동작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보조 발전기 제 2 동작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발전소자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상세도로서,
본 발명의 어군 탐지기는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넓고, 깊은 범위를 측정하여 대략적인 어군 또는 바닥면의 형태를 판단하고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좁지만 명백하고 더 정확한 어군과 바닥 정보를 판단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위성 지도를 활용하여 GPS데이터 기반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자동으로 목적 위치까지 어군 탐색 후, 어군 일정 기준 이상 일 때 자동으로 캐스팅 후 복귀토록 한다.
본 발명은 드론 장치(10)의 일단에 풍력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보조 발전기(2000)를 더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발전기(2000)는 드론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발전기(2000)의 구성요소는 크게 외부 하우징(2021)과, 볼베어링 구조체(2022)와, 간격제(2023)와, 내부 하우징(2024)과, 발전소자(2025)와, 중심축(2026)과, 상부 지지부재(2027)와, 하부 지지부재(20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하우징(2021)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2022)는 외부 하우징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외부 링형 구조체(2022a)와 볼베어링(2022b)과 내부 링형 구조체(2022c)로 이루어지며 볼베어링의 자체 구름 운동에 의해서 내부 링형 구조체가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간격제(2023)는 외부 하우징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하되 상하쪽에 볼베어링 구조체가 삽입 결합되며, 볼베어링 구조체의 외부 링형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2024)은 볼베어링 구조체의 내부 링형 구조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나선형 날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공기의 흐름이 나선형 날개(2024a)에 제공되어 그 흐름이 날개에 가해지면 볼베어링의 구름작용에 의한 내부 링형 구조체의 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자체 회전 현상을 일으킨다.
상기 발전소자(2025)는 날개에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날개의 회전에 따라 충돌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중심축(2026)은 발전소자를 외부 하우징에 결합시켜 발전소자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소자가 충격을 받아 전기가 생성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2027)는 중심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7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2028)는 중심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8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전소자(2025)는 하부 패드(2025a)와 상부 패드(2025b)가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하부 전극(2025c)와 상부 전극(2025d)이 그 상부면에 각각 위치하며, 하부 패드(2025a)위의 하부 전극 상에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2025e)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미세 압전 진동자(2025e)는 산화아연(ZnO) 또는 PZT 중 어느 하나를 압전 재료로 이용할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인 산화아연(ZnO)은 압전성과 반도성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면서 나노선 구조의 성장 제어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위한 미세 압전 진동자의 재료로 적합하다.
미세 압전 진동자(2025e)가 휘어지게 되면, 미세 압전 진동자(2025e) 내부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대적 변위가 발생하면서 상부 전극(2025d)과 미세 압전 진동자(2025e)의 위치에 따라 바이어스의 방향이 바뀌게 되어 전압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전압은 DC형태를 띠게 된다. 상기 미세 압전 진동자는 압력을 가함에 따라 전기를 충전하며 이는 충전수단(4000)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보조발전기(2000)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바람이 불면 내부 하우징(2024)의 날개(2024a)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날개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람의 유입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날개는 내부 하우징(202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부 하우징(2024)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내부 하우징(2024)은 볼베어링 구조체(2022)의 지지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2022)는 외부 링형 구조체(2022a)와 볼베어링(2022b)과 내부 링형 구조체(2022c)로 이루어지는바, 외부 링형 구조체는 외부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내부 링형 구조체(2022)가 볼베어링(2022b)의 구름작용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작용을 일으킨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2026)에는 발전소자(2025)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발전소자(2025)를 날개(2024)가 타격하게 된다.
그러면, 중심축(2026)에 설치되는 발전소자(2025)의 전기발생으로 인하여 폐루프를 형성하는 전기적 회로에 의해서 전기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어부(3000)에서 발전소자(2025)에 전기적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장으로 간주하여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즉, 발전소자를 제어부에서 채크하여 전기적 흐름이 검출되지 않으면 발전소자이 고장난 상태이므로 경보음을 통해 외부로 알려서 빠른 조치를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회로 전원부(1101)와,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제어부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경보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탄발 스프링(1133)과, 영구자석(1134)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킨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탄발 스프링(1133)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영구자석(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킨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하도록 유도한다.
즉,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1135)를 작동시켜 경보신호를 오프시키게 되더라도,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에러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에러신호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에러신호 출력부가 오프되면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 드론장치
100: 소나(어군탐지기)
200: 스마트폰
1000: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2000: 보조 발전기
3000: 제어부
4000: 충전수단

Claims (9)

  1. 무선 통신 및 자체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 및 회전 운동을 하는 드론 장치와; 상기 드론 장치의 하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무선통신으로 드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어군탐지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어군탐지명령신호에 따라 어군을 탐지한 후, 탐지한 어탐정보를 무선통신으로 드론을 통해 스마트폰(200)으로 전송시키는 어군탐지기(100)와; 상기 어군탐지기(100)와 유선통신으로 드론을 통해 어탐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스마트폰(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론 장치의 일단에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보조 발전기(2000)를 더 설치하며; 상기 보조발전기(200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 하우징(2021)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자체 구름에 의해서 회전 운동을 유지시키는 볼베어링 구조체(2022)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하되 상하쪽에 볼베어링 구조체가 삽입 결합되며, 볼베어링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간격제(2023)와;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나선형 날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공기의 흐름이 나선형 날개(2024a)에 제공되어 그 흐름이 날개에 가해지면 볼베어링 구조체의 구름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자체 회전 현상을 일으키는 내부 하우징(2024)과; 상기 날개에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날개의 회전에 따라 충돌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소자(2025)와; 상기 발전소자를 외부 하우징에 결합시켜 발전소자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전소자가 충격을 받아 전기가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중심축(2026)과;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7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상부 지지부재(2027)와;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십자형 지지체(2028a)와 더불어서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하부 지지부재(2028)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볼베어링 구조체(2022)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부 링형 구조체(2022a)와; 상기 외부 링형 구조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내부 링형 구조체(2022c)와; 상기 외부 링형 구조체 및 내부 링형 구조체의 사이에 삽입되며 내부 링형 구조체가 자유롭게 자체 회전하도록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볼베어링(202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전소자(2025)는, 하부 패드(2025a)와 상부 패드(2025b)가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하부 전극(2025c)와 상부 전극(2025d)이 그 상부면에 각각 위치하며, 하부 패드(2025a)위의 하부 전극 상에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2025e)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발전소자(2025)에 전기적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장으로 간주하여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KR1020160106748A 2016-08-23 2016-08-23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KR10171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48A KR101712067B1 (ko) 2016-08-23 2016-08-23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48A KR101712067B1 (ko) 2016-08-23 2016-08-23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067B1 true KR101712067B1 (ko) 2017-03-03

Family

ID=5841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748A KR101712067B1 (ko) 2016-08-23 2016-08-23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06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7601A (zh) * 2017-06-21 2017-09-22 宁波派丽肯无人机有限公司 垂钓无人机
KR101820047B1 (ko) * 2017-08-18 2018-01-18 (주)코맨텍 실내 조도변화에 따라 디밍되는 조명장치 및 방법
KR101872943B1 (ko) * 2017-11-27 2018-06-29 주식회사 씨투놀로지 이동객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1889816B1 (ko) * 2017-06-30 2018-09-20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재난 구조 시스템
GB2563683A (en) * 2017-06-21 2018-12-26 Ningbo Pelican Drone Co Ltd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ed in fishing
KR20190052833A (ko) * 2017-11-09 2019-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고 분석 시스템
KR20200073176A (ko) * 2020-06-03 2020-06-23 주식회사 요수엔지니어링 스마트폰과 전자 케미의 연동 시스템
KR102192769B1 (ko) 2020-05-26 2020-12-21 하상균 드론을 이용한 고기잡이장치
KR102495020B1 (ko) * 2022-07-21 2023-02-06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어류 군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업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329A (ko) 1999-10-15 2001-05-07 윤의섭 사이버 캐릭터 생성 및 이용시스템
KR20040054482A (ko) * 2003-10-08 2004-06-25 주식회사 씨스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어군탐지 장치
KR20050074715A (ko) 2004-01-14 2005-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외장재
KR20090084661A (ko) 2008-01-31 2009-08-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 정보 표시 장치
KR100993227B1 (ko) 2010-06-04 2010-11-09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스마트 폰을 이용한 어군탐지기
US8011615B2 (en) * 2000-03-10 2011-09-06 Sky Innovations, Inc. Internet linked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10116981A (ko) * 2011-04-07 2011-10-26 이진용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전기
US8406083B2 (en) * 2007-11-30 2013-03-26 Johnson Outdoors Inc. Flasher sonar device with interleaved zoo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329A (ko) 1999-10-15 2001-05-07 윤의섭 사이버 캐릭터 생성 및 이용시스템
US8011615B2 (en) * 2000-03-10 2011-09-06 Sky Innovations, Inc. Internet linked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KR20040054482A (ko) * 2003-10-08 2004-06-25 주식회사 씨스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어군탐지 장치
KR20050074715A (ko) 2004-01-14 2005-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외장재
US8406083B2 (en) * 2007-11-30 2013-03-26 Johnson Outdoors Inc. Flasher sonar device with interleaved zoom
KR20090084661A (ko) 2008-01-31 2009-08-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 정보 표시 장치
KR100993227B1 (ko) 2010-06-04 2010-11-09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스마트 폰을 이용한 어군탐지기
KR20110116981A (ko) * 2011-04-07 2011-10-26 이진용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전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7601A (zh) * 2017-06-21 2017-09-22 宁波派丽肯无人机有限公司 垂钓无人机
GB2563683A (en) * 2017-06-21 2018-12-26 Ningbo Pelican Drone Co Ltd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ed in fishing
GB2563683B (en) * 2017-06-21 2019-10-30 Ningbo Pelican Drone Co Ltd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ed in fishing
KR101889816B1 (ko) * 2017-06-30 2018-09-20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재난 구조 시스템
KR101820047B1 (ko) * 2017-08-18 2018-01-18 (주)코맨텍 실내 조도변화에 따라 디밍되는 조명장치 및 방법
KR20190052833A (ko) * 2017-11-09 2019-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고 분석 시스템
KR102095255B1 (ko) 2017-11-09 202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고 분석 시스템
KR101872943B1 (ko) * 2017-11-27 2018-06-29 주식회사 씨투놀로지 이동객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192769B1 (ko) 2020-05-26 2020-12-21 하상균 드론을 이용한 고기잡이장치
KR20200073176A (ko) * 2020-06-03 2020-06-23 주식회사 요수엔지니어링 스마트폰과 전자 케미의 연동 시스템
KR102133508B1 (ko) 2020-06-03 2020-07-13 (주)요수엔지니어링 스마트폰과 전자 케미의 연동 시스템
KR102495020B1 (ko) * 2022-07-21 2023-02-06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어류 군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067B1 (ko) 듀얼빔 소나를 적용한 낚시채비 캐스팅용 스마트 드론장치
US10719077B2 (en) Castable sonar devices and operations in a marine environment
US3691668A (en) Automatic electric jig-fishing device
US6760995B2 (en) Electronic fishing device steerable in azimuth and depth by remote control or preprogrammed instructions
JP2019517243A (ja) 捕虫器
CN103448877A (zh) 智能遥控自动钓鱼船
US20140269164A1 (en) Sector-Scanning Device
US10268193B2 (en) Method of fishing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7120457A1 (en) Fishing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the fishing experience
US5570532A (en) Fish strike sensor
CN105015719A (zh) 智能钓鱼无人船
CN106184636A (zh) 便携式遥控自动钓鱼船
US6412209B1 (en) Waterfowl decoy for selectively simulating feeding in water
JP2019049874A (ja) 飛行管理装置、飛行装置、及び飛行管理方法
US20050178043A1 (en) Navigable waterfowl retrieving apparatus, retrieving apparatus for waterborne objects, and method for retrieving waterfowl carcasses from a body of water
JP2937287B2 (ja) 揺動意匠体の自己起動する揺動装置
CN206155738U (zh) 便携式遥控自动钓鱼船
US20020050091A1 (en) Fishing lure with relay creating irregular electric signals
KR101715609B1 (ko)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장치
US9609860B1 (en) Clandestine anchored floating apparatus
CN203681844U (zh) 遥控钓鱼船
CN104996375A (zh) 一种钓鱼用遥控报警装置
CN107187601A (zh) 垂钓无人机
JP3212938U (ja) ドローン
CN215684342U (zh) 一种遥控垂钓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