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055B1 -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 Google Patents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055B1
KR101712055B1 KR1020160162509A KR20160162509A KR101712055B1 KR 101712055 B1 KR101712055 B1 KR 101712055B1 KR 1020160162509 A KR1020160162509 A KR 1020160162509A KR 20160162509 A KR20160162509 A KR 20160162509A KR 101712055 B1 KR101712055 B1 KR 10171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ncision
surface layer
corneal
corn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용
최진영
Original Assignee
강성용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용, 최진영 filed Critical 강성용
Priority to KR102016016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삽입술을 통해 각막 내에 삽입된 렌즈를 제거하는 적출 과정에서 전방 렌즈 삽입술을 통해 홍채 전방에 위치한 렌즈뿐만 아니라, 후방 렌즈 삽입술을 통해 진입이 어려운 홍채 후방에 위치하는 렌즈의 접근성도 용이하며, 렌즈가 각막내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각막표층에 형성된 절개창을 통해 상기 각막표층 내로 진입하여 상기 각막표층 내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를 적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길이 방향에 따른 선단에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물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절개창을 통해 상기 각막표층 내로 진입하여 상기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래스퍼부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래스퍼부와 연결되며, 상기 그래스퍼부 선단의 물림턱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SURGICAL INSTRUMENT FOR EXTRACTION OF LENS}
본 발명은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 렌즈 삽입술을 통해 각막 내에 삽입된 렌즈를 적출할 때, 홍채 전방에 위치한 렌즈뿐만 아니라 진입이 어려운 홍채 후방에 위치하는 렌즈의 접근도 용이하며, 렌즈의 제거 과정에서 렌즈가 각막내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에 관한 것이다.
렌즈 삽입술은 안구 내에 수정체는 그대로 둔 채 각막 내에 인공 수정체 렌즈를 삽입하여 근시 등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시력 교정 수술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렌즈 삽입술은 인공 수정체 렌즈의 삽입 위치에 따라서 렌즈를 홍채 전방에 삽입하여 홍채에 고정하는 전방 렌즈 삽입술(홍채지지형 렌즈), 렌즈를 홍채의 후방과 수정체 전면 사이에 삽입하는 후방 렌즈 삽입술(후방 유수정체 렌즈)로 크게 구분될 수 있고, 이 외에도 렌즈를 홍채의 전방에 삽입하여 각막과 홍채가 만나는 공간에 끼워 고정하는 우각지지형 렌즈 삽입술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렌즈 삽입술은 또 다른 시력 교정 수술 방법인 라식(LASIK) 및 라섹(LASEK)과 달리 각막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아 빠르고 안정적인 시력 회복이 가능하며, 얇은 각막으로 인해 라식 및 라섹이 불가능한 고도 근시 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각막을 그대로 보존하는 수술 방법이기 때문에 수술 후 안구건조증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근시 퇴행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안정적인 시력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렌즈 삽입술 중 전방 렌즈 삽입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10) 내로 삽입되는 렌즈(L)가 각막표층(12) 내부의 홍채(14) 전방에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렌즈(L)가 각막내피와 접촉하여 각막내피세포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수술 후에도 정기적인 경과 관찰 및 검사가 필요했으며, 검사 결과에 따라 각막내피세포에 손상이 발견되면 렌즈를 제거해내야 했다.
그리고 후방 렌즈 삽입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렌즈 삽입술과 비교하여 렌즈(L)가 각막내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인 홍채(14) 후방에 삽입되기 때문에, 각막내피의 손상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렌즈(L)가 수정체(16)에 매우 가까워 백내장의 유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따라 환자의 안구 사이즈에 맞는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며, 렌즈의 사이즈가 부적합할 경우 이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술 후 정기적인 볼팅(vaulting) 검사를 통해 렌즈 사이즈의 적합성과 부작용 가능성을 진단 받아야 했으며, 각종 부작용 발생 시 렌즈를 제거해내야 했다.
이처럼 렌즈 삽입술은 수술 후 경과 관찰 및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며, 수술 후 굴절 이상 등으로 인한 렌즈의 교체 또는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은 각종 부작용으로 인한 렌즈의 제거 등 필요에 따라 각막으로부터 렌즈를 적출하는 재수술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종래 렌즈 적출 수술에서는 렌즈 적출 시 일반적인 수술용 핀셋을 이용하기 때문에, 각막 표층 내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까지의 접근이 어려울뿐더러 렌즈를 빼내는 과정에서 렌즈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했다.
또한 렌즈를 빼내는 과정에서 렌즈가 각막표층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각막내피를 건드려 각막내피세포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각막내피는 각막표층을 구성하는 5개의 층 중 하나로서 손상이 발생할 경우 비교적 빠르게 재생되는 각막상피와 달리 한 번 손상되면 재생이 불가능한 조직이기 때문에, 각막내피세포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렌즈 적출 수술에서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하는 사항이다.
특히, 후방 렌즈 삽입술은 인체 친화적 물질인 콜라머(collamer) 재질의 인공 수정체 렌즈(ICL; Implantable Contact Lens)를 이용하여 신체 적합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렌즈의 삽입 시 별도의 주입기를 통해 홍채 전방에 삽입한 후 기구를 이용해 렌즈의 네 귀퉁이를 홍채 안 쪽으로 밀어 넣어 렌즈를 홍채와 수정채 사이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렌즈의 접근 및 제거가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삽입술을 통해 각막 내에 삽입된 렌즈를 제거함에 있어서, 렌즈의 접근성과 고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렌즈의 적출 과정에서 렌즈가 각막내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 삽입술을 통해 각막 내에 삽입된 렌즈를 적출할 때, 홍채 전방에 위치한 렌즈뿐만 아니라 진입이 어려운 홍채 후방에 위치하는 렌즈의 접근도 용이하며, 렌즈의 제거 과정에서 렌즈가 각막내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는, 각막표층에 형성된 절개창을 통해 상기 각막표층 내로 진입하여, 상기 각막표층 내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를 적출하기 위한 수술도구로서, 길이 방향에 따른 선단에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물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절개창을 통해 상기 각막표층 내로 진입하여 상기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래스퍼부; 및 상기 그래스퍼부와 연결되며 상기 그래스퍼부 선단의 물림턱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창은, 상기 각막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각막표층의 각막상피에서부터 각막실질까지 절개하는 제1 절개면; 상기 제 1절개면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막의 곡률을 따라 상기 각막실질을 가로질러 절개하는 제2 절개면; 상기 제2 절개면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절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각막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각막실질에서부터 각막내피까지 절개하는 제3 절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창은, 각막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각막표층을 관통하도록 절개하는 절개창 형성과정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 제2 절개면은, 상기 레이저를 상기 각막실질 내에 조사하여, 상기 각막실질 조직이 전환된 플라스마 상태의 버블스팟을 연속적으로 생성시키는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스퍼부는, 상기 한 쌍의 물림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분에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고 다른 부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벌지(bulge)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벌지는, 상기 그래스퍼부가 상기 렌즈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창을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절개창이 형성된 상기 각막표층의 일부분을 들어 올림으로써, 상기 렌즈가 상기 각막내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지는, 상기 그래스퍼부가 상기 렌즈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창을 통해 상기 렌즈를 빼낼 때, 상기 제2 절곡면을 들어 올려 상기 렌즈가 상기 각막표층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래스퍼부는, 상기 핸들부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물림턱이 구비된 선단으로 이어지는 길이 방향에 따른 일부분이 곡선형태로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그립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패드는, 외력에 의해 상호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그래스퍼부의 선단에 구비된 한 쌍의 물림턱을 서로 조이는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렌즈 삽입술을 통해 각막 내에 삽입된 렌즈를 제거하는 적출 과정에서 전방 렌즈 삽입술을 통해 홍채 전방에 위치해 있는 렌즈뿐만 아니라, 후방 렌즈 삽입술을 통해 진입이 어려운 홍채 후방에 위치해 있는 렌즈의 접근도 용이하며, 고정력이 우수해 각막의 내부로부터 렌즈를 안정적으로 적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렌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렌즈와 각막내피의 접촉을 막을 수 있어, 렌즈에 의해 각막내피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렌즈 삽입술의 한 종류인 전방 렌즈 삽입술과 후방 렌즈 삽입술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의 그래스퍼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중 그래스퍼부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가 진입하기 위한 절개창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절개면 형성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를 이용한 렌즈의 적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는 각막표층에 형성된 절개창을 통해 각막표층 내로 진입하여 각막표층 내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를 적출하기 위한 수술도구로서, 그래스퍼부(100) 및 핸들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그래스퍼부(100)는 각막표층 내로 직접 삽입된 후 렌즈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각막으로부터 빼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그래스퍼부(100)는 길이 방향에 따른 선단에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물림턱(110)이 구비되어, 별도의 절개창 형성과정에 의해 각막표층에 형성된 절개창을 통해 각막표층 내로 진입하여 렌즈를 파지할 수 있다.
이때 그래스퍼부(100)는 피시술자의 홍채 후방에 위치한 렌즈까지 충분히 진입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절개창은 각막표층을 절개하는 별도의 수술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스퍼부(100)에는 한 쌍의 물림턱(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분이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고 다른 부분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벌지(bulge, 1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벌지(112)는 그래스퍼부(100)가 렌즈를 파지한 상태에서 절개창을 통해 빠져나올 때, 절개창이 형성된 각막표층의 일부분을 들어 올림으로써, 렌즈가 각막내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실예에 따른 그래스퍼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표층 내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의 접근성 및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핸들부(200)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물림턱(110)이 구비된 선단으로 이어지는 길이 방향에 따른 일부분이 곡선형태로 휘어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그래스퍼부(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지(112)로부터 연장된 물림턱(110a)의 선단 부분이 예각을 갖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벌지(112)의 앞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래스퍼부(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지(112)로부터 연장된 물림턱(110b)의 선단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라운드진 선단의 내 측면에는 렌즈의 파지 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세한 돌기들이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핸들부(200)는 시술자가 그래스퍼부(100)를 조작하기 위해 파지하게 되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핸들부(200)는 물림턱(110)이 구비된 그래스퍼부(100)의 선단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연결되어 시술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그래스퍼부(100) 선단의 물림턱(110)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들부(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그립패드(210, 도 3 참조)를 포함하며, 이러한 그립패드(210)는 시술자가 외력을 가할 경우 상호 좁혀지는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작을 통해 그래스퍼부(100)의 선단에 구비된 한 쌍의 물림턱(110)을 서로 조이는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그래스퍼부(1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00)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물림턱(110)이 구비된 선단까지 이어지는 길이 방향을 감싸는 튜브(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20)는 앞서 언급했던 그립패드(210)의 조작을 통해 물림턱(110)을 향해 전진될 수 있으며, 통상 시에는 도 6의 (a)와 같이 상태를 유지하고 시술자가 그립패드(210)를 조작하면 도 6의 (b)와 같이 물림턱(110)을 향해 전진하여 물림턱(110)이 서로 맞물리도록 조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홍채 전방에 위치하는 렌즈뿐만 아니라 후방 렌즈 삽입술을 통해 진입이 어려운 홍채 후방에 위치하는 렌즈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물림턱(110)의 고정력을 이용해 각막의 내부로부터 렌즈를 안정적으로 적출할 수 있으며, 벌지(112)를 이용해 렌즈의 적출 과정에서 렌즈와 각막내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렌즈에 의해 각막내피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가 적용되는 렌즈 적출 수술에 있어서, 피시술자의 각막표층에 형성되는 절개창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가 진입하기 위해 각막표층(12)에 형성되는 절개창(18)은 벌지(112)를 포함하는 물림턱(110)의 특수한 형상과 맞물리는 상승작용을 통하여, 수술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창(18)은 피시술자의 각막표층(12)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각막표층(12)을 관통하도록 절개하는 절개창 형성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개면(18a), 제2 절개면(18b) 및 제3 절개면(18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절개창 형성과정은 레이저를 이용한 절개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렌즈 삽입술을 통해 렌즈를 삽입할 때와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절개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등 얼마든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절개창(18)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명시한다.
본론으로 돌아와, 제1 절개면(18a)는 각막표층(12)의 곡률반경(r)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각막표층(12)의 각막상피(12a)에서부터 각막실질(12c)까지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막상피(epithelium, 12a)는 결막의 상피와 이어져 있는 조직으로서, 기저세포층으로부터 생성되어 시간이 경과하면 표층으로 밀려나와 탈락하게 되며 손상 시 재생이 비교적 빠르다.
그리고 각막실질(stroma, 12c)은 각막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결체조직으로서, 각막실질(12c)의 변형조직이자 교원섬유로 구성된 박막인 보우만막(Bowman's membrane, 12b)을 경계로 각막상피(12a)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제2 절개면(18b)은 앞서 제1 절개면(18a)의 종단과 연결되게 형성되며, 각막표층(12)의 곡률을 따라 각막실질(12c)을 가로질러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절개면(18c)은 앞서 제2 절개면(18b)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제1 절개면(18a)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각막표층(12)의 곡률반경(r)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각막실질(12c)에서부터 각막내피(12e)까지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막내피(12e)는 단층의 육각형세포인 각막내피조직으로 이루어진 조직으로서, 기저막인 데스메막(Descemet's membrane, 12d)에 의해 각막실질(12c)과 구분되며,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기술했던 바와 같이 각막상피(12a)와 다르게 한 번 손상되면 재생이 불가능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절개면(18b)은 절개창(18)이 레이저를 이용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경우, 레이저(laser)를 각막실질(12c) 내에 조사하여 각막실질(12c)의 조직이 전환된 플라스마 상태의 버블스팟(B)을 연속적으로 생성시키는 방법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레이저(laser)는 저에너지의 펨토세컨레이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버블스팟(B)의 크기가 극도로 미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곧 제2 절개면(18b)의 절단면의 표면조도 품질이 향상됨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수술에 따른 각막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 후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절개창(18)은 렌즈 적출 수술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각막표층을 수직으로 절개하는 통상의 절개법과 달리, 각막실질(12c)을 가로지르는 제2 절개면(18b)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제2 절개면(18b)을 기점으로 제1 절개면(18a)과 제3 절개면(18c)을 포함하는 각막표층(12) 각각의 절단면이 서로 겹쳐지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수직 절개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막표층(12)의 어느 한 측이 절단면에 의해 나뉘어진 각막표층(12)의 다른 측의 위 또는 아래로 밀려나는 단층현상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절개면(18b)을 통해 제1 절개면(18a) 부분이 각막실질(12c)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제1 절개면(18a)에 의해 절개된 각막상피(12a)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회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특수한 형상을 갖는 절개창(18)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각막내피(12e)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렌즈를 적출할 수 있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는 그래스퍼부(100)가 각막표층(12) 내로 진입하여 렌즈(L)를 파지한 상태에서 절개창(18)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
이때 그래스퍼부(100) 선단에 구비된 물림턱(110)에 형성된 벌지(112)가 절개창(18)이 형성된 각막표층(12)의 일부분 즉 각막내피(12e)의 국소영역과 접촉하여 들어 올림으로써, 렌즈(L)가 각막내피(12e)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스퍼부(100)는 물림턱(110)이 렌즈(L)를 파지한 상태에서 절개창(18)을 통해 렌즈(L)를 빼낼 때, 벌지(112)가 제2 절곡면(18b)을 들어 올려 렌즈(L)가 각막표층(1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는 렌즈(L)가 안정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적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렌즈의 적출 과정에서 렌즈와 각막내피의 접촉을 막을 수 있어 렌즈에 의해 각막내피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각막
12: 각막표층
14: 홍채
16: 수정채
18: 절개창
100: 그래스퍼부
110: 물림턱
112: 벌지
120: 튜브
200: 핸들부
210: 그립패드
L: 렌즈
B: 버블스팟

Claims (8)

  1. 각막표층에 형성된 절개창을 통해 상기 각막표층 내로 진입하여, 상기 각막표층 내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를 적출하기 위한 수술도구로서,
    길이 방향에 따른 선단에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물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절개창을 통해 상기 각막표층 내로 진입하여 상기 렌즈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래스퍼부; 및
    상기 그래스퍼부와 연결되며 상기 그래스퍼부 선단의 물림턱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창은,
    상기 각막표층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각막표층의 각막상피에서부터 각막실질까지 절개하는 제1 절개면;
    상기 제 1절개면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막표층의 곡률을 따라 상기 각막실질을 가로질러 절개하는 제2 절개면; 및
    상기 제2 절개면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절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각막표층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각막실질에서부터 각막내피까지 절개하는 제3 절개면을 포함하며,
    상기 그래스퍼부는,
    상기 한 쌍의 물림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갖고 돌출 형성된 벌지(bulge)가 마련되고,
    상기 벌지는,
    상기 그래스퍼부가 상기 렌즈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창을 통해 이동할 때 상기 절개창이 형성된 상기 각막표층의 일부분을 들어 올림으로써 상기 렌즈가 상기 각막내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그래스퍼부가 상기 렌즈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창을 통해 상기 렌즈를 빼낼 때는 상기 제2 절개면을 들어 올려 상기 렌즈가 상기 각막표층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창은,
    상기 각막표층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각막표층을 관통하도록 절개하는 절개창 형성과정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 제2 절개면은,
    상기 레이저를 상기 각막실질 내에 조사하여, 상기 각막실질 조직이 전환된 플라스마 상태의 버블스팟을 연속적으로 생성시키는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스퍼부는,
    상기 핸들부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물림턱이 구비된 선단으로 이어지는 길이 방향에 따른 일부분이 곡선형태로 휘어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그립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패드는,
    외력에 의해 상호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그래스퍼부의 선단에 구비된 한 쌍의 물림턱을 서로 조이는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KR1020160162509A 2016-12-01 2016-12-01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KR10171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09A KR101712055B1 (ko) 2016-12-01 2016-12-01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09A KR101712055B1 (ko) 2016-12-01 2016-12-01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055B1 true KR101712055B1 (ko) 2017-03-03

Family

ID=5841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509A KR101712055B1 (ko) 2016-12-01 2016-12-01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0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954A (ja) * 1999-07-02 2001-01-16 Nidek Co Ltd 眼内移植物挿入装置
JP2014050446A (ja) * 2012-09-05 2014-03-20 Chukyo Medical Co Inc 照射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954A (ja) * 1999-07-02 2001-01-16 Nidek Co Ltd 眼内移植物挿入装置
JP2014050446A (ja) * 2012-09-05 2014-03-20 Chukyo Medical Co Inc 照射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717B1 (ko) 접착 최적화된 에지 상태를 갖는 외과용 기기
Fine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of a self-sealing incision for cataract surgery
JP6357418B2 (ja) 眼の水晶体の破砕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39398B1 (ko) 수정체낭 절개도구
US20160143779A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Controlled Capsulorhexis For Cataract Surgery
KR101643648B1 (ko)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WO2003005920A1 (en) A method of creating stromal pockets for corneal implants
KR20110053392A (ko) 수술 시스템
US7374566B1 (en) Surgical knives for large, self-sealing corneal incisions coupled to a universal intraocular lens (IOL) injector
US4781187A (en) Method and implant for refractive keratoplasty
KR20100016724A (ko) 수정체낭 절개도구
Kershner Keratolenticuloplasty: arcuate keratotomy for cataract surgery and astigmatism
Ganesh et al. Management and outcomes of retained lenticules and lenticule fragments removal after failed primary SMILE: a case series
US63502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 oblong corneal flap
KR101712055B1 (ko) 렌즈 적출용 수술도구
CN107072816B (zh) 眼外科手术方法
KR101654539B1 (ko)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US6547802B1 (en) Surgical blade
EA029263B1 (ru) Шаблон для надреза склеры и специальный нож для глазной хирургии
US5320113A (en) Instrument for protecting corneal endothelium during cataract surgery
KR101573982B1 (ko) 백내장 수술용 보조기구
KR101850767B1 (ko) 스마일 수술용 도구
JP2009527312A (ja) 角膜ポケットを形成する方法
RU188159U1 (ru) Пинцет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й микрохирургический цанговый
KR101685602B1 (ko)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적출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