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67B1 - 스마일 수술용 도구 - Google Patents

스마일 수술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67B1
KR101850767B1 KR1020160149297A KR20160149297A KR101850767B1 KR 101850767 B1 KR101850767 B1 KR 101850767B1 KR 1020160149297 A KR1020160149297 A KR 1020160149297A KR 20160149297 A KR20160149297 A KR 20160149297A KR 101850767 B1 KR101850767 B1 KR 10185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l
flap
cornea
horizontal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택
Original Assignee
정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택 filed Critical 정영택
Priority to KR102016014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27Refractive correction, e.g. len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53Laser thermal keratoplasty or radial keratot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 교정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 도구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각막 실질 내부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각막 절편을 절제하는 과정에서 각막 표면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통해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과의 상측 분리면인 플랩면 및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과의 하측 분리면인 렌티큘면을 지나가면서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 간의 티슈브리지를 제거해주는 수술 도구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한쪽에 연장 형성되고, 단부의 일부분이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각막 절개부 삽입핀 및 상기 손잡이의 다른 한쪽에 연장 형성되고, 단부의 일부분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경사부를 이루다가 다시 안쪽으로 수평하게 구부러져 수평부를 연속적으로 이루는 각막 절편 분리핀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의 선단부에는 아래쪽 일부분이 상기 수평부의 축중심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수평하게 제거되어 수평면이 구비되고, 상기 선단부의 길이방향 옆쪽은 상기 수평면과 라운드지게 연결되어 라운드면이 구비되도록 절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일 수술용 도구{Surgical instruments used in SMILE surgery}
본 발명은 시력 교정수술, 특히 로우 에너지 스마일 수술을 진행함에 있어 레이저 빔에 의해 각막실질로부터 절제된 각막 절편을 각막 실질로부터 분리시켜주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구의 불완전한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안구의 각막두께를 변경하여 불완전한 시력을 교정하는 시력 교정 수술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시력 교정 수술로는 라식(LASIK)수술, 라섹(LASEK)수술, 스마일(SMILE)수술이 있으며, 각 수술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식수술(laser in-situ keratomileusis)은 각막 절편을 만든 후 각막 실질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각막을 절삭함으로써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로써, 기존의 방식인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PRK, photorefractive keratectomy, 흔히 엑시머레이저수술이라고 부름)은 수술 후 심한 통증 및 절삭 부위의 혼탁을 유발하고, 시력 회복 기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라식수술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세각막 절개도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피 및 보우만막을 포함하는 각막 실질 앞부분을 분리하여 절편을 만들어 젖힌 후, 수술 전 검사를 통해 정해 놓은 목표만큼 각막 실질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각막을 절삭하여 광학면(원주 24~26mm 중 각막 경첩 4mm를 제외한 20~22mm)을 만든 다음, 다시 각막 절편을 덮어줌으로써 통증 및 각막 혼탁을 줄이고, 시력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시력 교정 수술이다.
그리고 라섹수술(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eratomileusis)은 희석된 알코올을 사용하여 각막 상피편을 만들거나, 각막상피만을 벗겨내는 각막상피 절개칼로 상피편을 만든 후 각막 실질에 레이저 조사를 통해 각막을 절삭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로써,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한 굴절교정각막절제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라식수술의 경우, 통증 및 각막 혼탁을 줄이고, 시력 회복 기간을 단축 시키는 장점이 있었으나, 각막 절편과 관련하여 수술 과정 및 수술 후에도 시력에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합병증의 발생 우려가 있고, 각막 절삭 후 남은 기질의 두께가 부족할 경우, 각막확장증이 발생하여 심각한 시력 장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대두 되면서, 다시 각막표층기질을 절제하는 수술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1999년 이탈리아의 안과 의사 마시모 카멜린(Massimo Camellin)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라섹수술은 라식수술에 비해 각막절편에 의한 합병증, 즉 각막편 주름, 상피눈속증식, 불규칙한 절편 등이 없으며, 물리적 충격에 강하다는 장점과 함께 수술 후 라식수술에 비해 안구건조증이 적으며,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남아 있는 상피조직이 새로운 상피 재생을 방해하면서 기존의 PRK(굴절교정각막절제술)와 수술결과가 큰 차이점이 없고, 오히려 시력회복기간이 길어져 지금의 PRK(굴절교정각막절제술)를 더 대중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리고 스마일수술(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은 레이저를 통해 각막표면 안쪽의 각막 실질 일부를 입체적으로 절제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수술로써, 라식수술이나 라섹수술과는 달리 각막 절편을 만들지 않고, 정교한 VisuMax(비쥬맥스) 펨토세컨레이저를 통해 각막 내부에 교정이 필요한 실질부위를 각막의 교정량만큼 렌즈 모양으로 정확히 절제한 후, 각막에 형성되는 통로인 절개부를 통해 절제된 각막 실질조각을 꺼내어 제거함에 따라 주변조직의 손상이 적고 정확성이 뛰어나며, 근시퇴행이나 충혈, 안구건조증과 같은 부작용 위험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이러한 스마일수술은 적용되는 레이저의 종류 및 제조회사에 따라 명칭이 차이가 생길 수는 있지만, 같은 유형의 수술방법으로 볼 수 있다.
스마일수술에 대해 더 살펴보면, 펨토세컨레이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각막의 표면을 투과하여 각막 실질에 조사되면 각막 실질로부터 교정량 크기의 렌즈 모양으로 각막 실질 조각인 렌티큘로 불리는 각막 절편이 절제되며, 이후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각막에 절개부를 형성한 다음 그러한 절개부를 통해 이전 단계에서 절제된 각막 절편을 꺼내어 제거하는 수술이다.
여기서, 절개부는 각막의 표면에 형성되는 절개입구와, 그러한 절개입구로부터 절제된 각막 절편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절개터널로 이루어지며, 각막 절편은 이러한 절개터널과 절개입구를 통해 각막 외부로 인출되어 제거된다.
한편, 레이저 빔을 통해 각막 실질로부터 각막 절편을 절제함에 있어서, 레이저 빔은 원형의 스팟 형상을 가짐에 따라 이러한 스팟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더라도 스팟과 스팟 사이에는 스팟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절제되지 않는 영역인 티슈브리지(Tissue Bridge)가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빔에 의해 각막 실질로부터 각막 절편이 입체형태로 절제되더라도 각막 절편의 상면과 각막 실질 사이 상측 분리면인 플랩면과, 각막 절편의 저면과 각막 실질 사이 하측 분리면인 렌티큘면은 각막 실질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티슈브리지의 영역이 그대로 붙어있는 상태가 됨에 따라 중앙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선단부가 짧게 구부러져 각막 절개부 삽입핀이 형성되며, 대향된 하측에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지다가 다시 안쪽으로 수평하게 구부러지는 각막 절편 분리핀이 형성된 수술 도구를 이용하여 전술한 각막 절편의 티슈브리지 영역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환자의 교정시력에 따라 레이저 빔의 고에너지를 사용하여 스마일수술을 할 수도 있지만, 최근에는 환자의 교정시력을 감안하여 레이저 빔의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저에너지 스마일수술(로우에너지 스마일수술 이라고도 함)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저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나, 레이점 빔의 스팟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티슈브리지의 인장력이 커지게 되어 기존의 수술 도구로는 인장력이 커진 티슈브리지의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막에 절개입구와 절개터널로 이루어진 절개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수술 도구의 절개부 삽입핀을 절개부의 절개입구로 집어넣어 절개입구와 절개터널이 벌어지도록 한 다음 수술 도구의 각막 절편 분리핀을 벌어진 절개부에 집어넣어 절개입구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플랩면과 렌티큘면을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각막 실질과 각막 절편을 연결하고 있던 티슈브리지를 완전히 절단할 수 있으며, 이후 절개부로부터 각막 절편 분리핀을 빼낸 다음 절개부를 통해 핀셋을 집어넣어 각막 실질로부터 완전히 절제된 각막 절편을 인출하여 제거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술 도구는 스윙동작을 통해 플랩면과 렌티큘면을 지나가면서 티슈브리지를 제거하는 각막 절편 분리핀이 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짐에 따라 각막 절편 분리핀과 티슈브리지와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는 티슈브리지의 저항에 의해 각막 절편 분리핀이 일정한 외력으로 부드럽게 한 번에 지나가지 못하고 불규칙한 외력으로 여러 번을 반복하여 지나가게 되면서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수술의 회복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공 부위의 티슈브리지를 절단하는 경우, 각막 절편 분리핀이 정확하게 한 번에 지나가지 못하게 되면 티슈브리지의 부정확한 절단으로 인하여 절단면에 수술 도구가 지나간 흔적이나, 계단면이 형성되거나, 불규칙한 면이 형성되면 시력의 회복이 늦어지거나, 부작용의 발생 우려가 있고, 목표한 교정시력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14804(2008.2.14.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막의 내부에서 절제된 각막 절편을 각막 외부로 인출하여 제거하기 위해 각막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에 있어서, 각막 내부에서 레이저를 통해 절제된 각막 절편을 각막 실질로부터 완전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각막 절편 상하의 플랩면과 렌티큘면을 지나갈 때 한 번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나가면서 각막 실질로부터 각막 절편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일 수술용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레이저에 의해 저에너지가 발사하는 경우, 티슈브리지의 인장력이 증가되어 스마일 수술용 도구를 이용하여 티슈브리지를 분리시킬 때, 외력의 증가에 의해 수술이 어려워지고, 수술 시간 또한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각막 실질 내부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각막 절편을 절제하는 과정에서 각막 표면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통해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과의 상측 분리면인 플랩면 및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과의 하측 분리면인 렌티큘면을 지나가면서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 간의 티슈브리지를 제거해주는 수술 도구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한쪽에 연장 형성되고, 단부의 일부분이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각막 절개부 삽입핀과,
상기 손잡이의 다른 한쪽에 연장 형성되고, 단부의 일부분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경사부를 이루다가 다시 안쪽으로 수평하게 구부러져 수평부를 연속적으로 이루는 각막 절편 분리핀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의 선단부에는 아래쪽 일부분이 상기 수평부의 축중심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수평하게 제거되어 수평면이 구비되고, 상기 선단부의 길이방향 옆쪽은 상기 수평면과 라운드지게 연결되어 라운드면이 구비되도록 절단부가 형성된 구성이 특징이다.
더 바람직하게 절단부는 상기 수평부의 축중심을 지나는 상하 높이가 0.6mm 내지 0.7mm 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라운드면은 아래쪽이 상기 수평면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0.3mm 지점에서 시작되고, 상기 라운드면의 위쪽은 상기 수평부의 축 중심과 동일선상 또는 상기 수평부의 축 중심보다 상측 또는 상기 축 중심보다 하측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 끝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부의 직선 길이는 7mm 내지 10mm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의 길이는 상기 렌티큘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플랩면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절단부의 길이는 3mm 내지 5mm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절단부의 라운드면은 상기 절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마일 수술용 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레이저 빔을 통해 각막 내부에 각막 절편이 절제된 후, 스마일 수술용 도구의 각막 절편 분리핀이 각막 표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다음 각막 절편 상측의 플랩면과 하측의 렌티큘면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각막 절편과 각막 실질의 남은 연결부위인 티슈브리지가 일정한 외력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절단됨에 따라 수술의 시간이 단축되고, 수술 후 시력의 회복이 정확하고 빨라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 교정 수술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 교정 수술용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의 요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 교정 수술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의 요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A-A 선 단면도로, 각막 절편 분리핀의 수평부에 구비된 절단부가 플랩면을 지나가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 교정 수술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의 요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막 절편 분리핀의 수평부 양쪽에 구비된 절단부가 플랩면을 지나가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도구의 각막 절편 분리핀이 절개부를 통해 각막 실질 내부로 삽입된 후 플랩면을 지나가는 스윙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레이저를 통해 각막 실질 내부에서 절제된 각막 절편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도구의 구성은 소정 길이의 손잡이와, 그러한 손잡이의 상측에 구비되는 각막 절개부 삽입핀과, 전술한 손잡이의 하측에 구비되는 각막 절편 분리핀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스마일 수술용 도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펨토세컨레이저를 이용한 시력 교정 수술에 있어 각막 절편이 절제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펨토세컨레이저는 펄스형 레이저 빔이 각막 조직에 조사되면 각막 조직이 기체 플라즈마로 바뀌게 되면서 극도로 미세한 기포가 만들어지고, 이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각막 조직을 정확하게 원하는 만큼 절제하는 것이 그 원리이며, 이러한 펨토세컨레이저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이 각막표면을 투과하여 교정량만큼의 각막 실질 조각 또는 렌티큘이라고 불리우는 각막 절편을 절제해 분리함으로써, 원시나 난시나 근시나 노안 또는 혼합 난시 등의 불완전한 시력을 교정해주는 수술을 스마일(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수술이라고 한다.
여기서, 전술한 스마일 수술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다른 레이저나 같은 레이저를 다른 회사에서 이용하더라도, 또는 명칭이 다르더라도 같은 유형의 수술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레이저 빔의 에너지 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고에너지를 사용하여 각막 절편을 절제하거나 저에너지를 사용하여 각막 절편을 절제할 수도 있지만, 이는 피시술자의 교정시력과 각막의 상태를 고려하여 에너지의 크기를 조절해줌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레이저 빔은 각각의 스팟이 각막 실질 내에 광학 관통부를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광학 관통부는 플라즈마버블을 만들게 되고, 그 결과 각막 실질로부터 각막 실질 조각 또는 렌티큘이라 불리 우는 각막 절편에 기구를 통해 분리될 수 있는 경계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렌티큘을 절제하기 위해 레이저 빔의 초점은 상피조직 및 보우만막 하부 그리고 데스메막 및 내피조직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각막 내의 표적점을 향해 안내된다. 이를 위해 펨토세컨레이저는 각막 내에서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를 변위 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지며, 기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레이저 빔은 초점 위치가 변위되면서 각막의 중심으로 또는 중심에서 바깥쪽을 향해 나선형태로 각막 실질 내에 조사되어 도 7 내지 도 8 에서와 같이 위쪽 각막 실질(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측 분리면인 플랩면(440)과, 그러한 플랩면(440)과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면서 아래쪽 각막 실질(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하측 분리면인 렌티큘면(450)을 상하 이격시켜 만들어 주게 되며, 이때 플랩면(440)은 렌티큘면(450)보다 크게 형성되고, 렌티큘면(450)의 외측둘레가 플랩면(440)의 외측둘레에서 중심을 향하는 어느 한 지점에 교차 되면서 각막 실질로부터 렌즈모양을 가지는 입체형태의 각막 절편(420)이 절제된다.
이와 같이 각막 실질(410) 내부에서 각막 절편(420)이 절제되면 절제된 각막 절편(4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도구 및 핀셋과 같은 각막 절편 인출 도구를 통해 각막 외부로 인출되어 제거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스마일 수술용 도구 및 각막 절편 인출 도구가 각막 내부로 삽입되기 위해서는 도 8 에서와 같이 각막(400)의 표면에 절개입구(431)와 절개터널(432)로 이루어지는 절개부(4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입구(431)는 펨토세컨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빔이 각막(400)의 표면에 만곡지게 가로방향으로 조사되어 형성되며, 그 위치는 각막 실질(410) 내부에 형성되는 플랩면(440)의 외측둘레에서 상측을 향하는 선상과 만나는 각막(40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터널(432)은 전술한 절개입구(431)에서 각막 실질 내부의 각막 절편(42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통로로써, 전술한 절개입구(431)와 이러한 절개터널(432)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도구 및 각막 절편 인출 도구가 삽입되어 각막 절편(420)을 각막 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고, 분리된 각막 절편(420)은 각막 절편 인출 도구를 이용하여 절개터널(432)과 절개입구(431)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제거된다.
여기서, 절개터널(432)은 전술한 절개입구(431)가 레이저 빔의 조사를 통해 각막(4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깊이를 가지면서 각막 절편(420)이 위치한 각막 실질(410) 내부까지 조사되어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막 실질(410)의 내부를 향하는 절개터널(432)의 선단부는 플랩면(440)과 연결된다.
한편, 플랩면(4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막(400)의 중심에서 시작되는 레이저 빔의 스팟이 조밀한 나선을 그리면서 바깥쪽으로 연속 형성됨에 따라 연속된 다수의 스팟으로 이루어지는 조밀한 나선은 곧 절개라인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절개라인에 의해 각막 실질(410)로부터 플랩면(440)이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절개터널(432)의 선단부가 플랩면(440)의 외측둘레에 연결됨은 곧 선단부가 플랩면(440)의 외측둘레를 이루고 있는 마지막 절개라인 부위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이며, 절개터널(432)의 선단부가 플랩면(440)의 외측둘레에서 중심을 향하는 안쪽의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됨은 곧 선단부가 플랩면(440)의 외측둘레에서 중심을 향하는 안쪽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절개라인 부위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각막 실질(410)과 각막 절편(420)의 상부 분리면이 되는 플랩면(440) 및 각막 실질(410)과 각막 절편(420)의 하부 분리면이 되는 렌티큘면(450)은 레이저 빔의 스팟이 조밀한 나선을 연속적으로 그리면서 조사되어 각막 실질로부터 입체형태의 각막 절편(420)이 절제되지만 레이저 빔의 스팟과 스팟사이 영역인 티슈브리지로 인하여 각막 실질(410)로부터 각막 절편(420)은 완전히 분리되지는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절개입구(431)와 절개터널(432)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도구를 삽입한 후 스마일 수술용 도구가 렌티큘면(450)을 전체적으로 지나가고, 플랩면(440) 또한 전체적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지나가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에 의해 전술한 각막 실질(410)과 각막 절편(420) 사이의 티슈브리지가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각막 실질(410)로부터 각막 절편(420)을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후 절개부(430)로부터 스마일 수술용 도구를 빼내고, 절개부(430)를 통해 각막 절편 인출 도구를 다시 삽입한 다음, 각막 실질(410)로부터 완전 분리된 각막 절편(420)을 절개터널(432)과 절개입구(431)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제거하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스마일 수술용 도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100)는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한쪽 면에는 파지의 용이함을 위해 파지홈(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은 전술한 손잡이(100)를 파지하는 방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 예로 전술한 손잡이(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은 전술한 손잡이(100)의 상측에 일체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면서 탈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가 되거나, 단부의 어느 한 부부만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선단부는 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날카롭지 않게 라운드 처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은 단부의 일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며, 이때 구부러진 각도는 손잡이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 또는 둔각 범위 또는 예각 범위로 구부러져 구성될 수 있다.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은 단부의 구부러지는 일부분의 길이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 없이 절개부(430)의 절개입구(431)와 절개터널(432)을 관통하여 각막 실질(410) 내부에서 절제된 각막 절편(420)에 접할 수 있는 길이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막 절편 분리핀(300)은 도 1 에서와 같이 전술한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과 대향되는 손잡이(100)의 반대쪽에 구비되며, 레이저 빔의 스팟에 의해 각막 실질(410)로부터 각막 절편(420)이 절제되는 과정에서 각막 실질(410)과 각막 절편(420) 사이의 남아 있는 연결부위인 티슈브리지를 절단시켜준다.
각막 절편 분리핀(300)은 전술한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과 같이 손잡이(100)의 하측에 일체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탈착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막 절편 분리핀(300)은 전술한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과 같이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단부의 어느 한 부분만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선단부는 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날카롭지 않게 라운드 처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각막 절편 분리핀(300)은 도 3 에서와 같이 단부의 일부분이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부러져 경사부(310)를 이루고, 그러한 경사부(310)와 동일 선상에서 안쪽으로 수평하게 구부러져 수평부(320)를 이룬다.
여기서, 경사부(310)의 구부러진 각도는 손잡이(100)로부터 둔각 범위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부(320)는 손잡이(100)에 대해 직각을 이루면서 수평 하게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수평부(320)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부(320)의 직선구간 길이는 절개부(430)의 절개입구(431)와 절개터널(432)을 관통하여 각막 절편(420)에 닿을 수 있는 길이가 바람직하며, 대략 7mm 내지 10mm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평부(320)는 직선의 형태가 아닌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호형으로 구성되는 수평부가 반구 형상을 가지는 플랩면(440) 및 렌티큘면(450)을 효과적으로 지나갈 수 있게 되며, 원형을 이루는 플랩면(440)과 렌티큘면(450)의 안쪽 테두리에도 최대한 밀착되면서 플랩면(440)과 렌티큘면(450)의 전 영역을 효과적으로 지나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전술한 각막 절편 분리핀(300)에 구비된 수평부(320)에는 절단부(330)가 형성되어 수평부(320)가 플랩면(440)과 렌티큘면(450)을 지나갈 때 각막 실질(410)과 각막 절편(420)에 남아 있는 연결부위인 티슈브리지를 절단해주게 된다.
절단부(330)는 전술한 각막 절편 분리핀(300)의 수평부(320)에 일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절단부(330)가 별도로 구성되어 수평부(320)에 결합 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절단부(330)는 수평부(320)의 선단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절단부(330)는 수평부(320)의 선단부 아래쪽 일부분이 수평하게 제거되면서 만들어지는 수평면(331)과, 선단부의 어느 한쪽 방향 옆쪽이 라운드 처리되면서 전술한 수평면(331)과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라운드면(3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4 와 같이 절단부(330)의 수평면(331)은 수평부(320)의 축 중심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며, 절단부(330)는 수평면(331)의 중심에서 수평부(320)의 축 중심을 거쳐 수평부(320)의 최상지점을 연결하는 상하 높이가 수평부(320)의 직경이 대략 1mm일 경우, 대략 0.6mm 내지 0.7mm 로 구성될 수 있다.
절단부(330)의 수평면(331)은 수평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기울기를 가지거나 만곡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절단부(330)의 라운드면(332)은 수평부(320)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며, 절단부(330)의 옆쪽이 라운드처리될 때 라운드면(332)의 아래쪽은 수평면(331)과 만나게 되고, 라운드면(332)의 위쪽은 수평부(320)의 옆쪽 어느 한 지점과 만나게 된다.
예를 들면, 수평부(320)가 직경이 1mm 일 때, 라운드면(332)은 아래쪽 끝이 수평면(331)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대략 0.3mm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라운드면(332)의 위쪽 끝은 수평부(320)의 옆쪽에서 수평부(320)의 축 중심 보다 위쪽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여기서 라운드면(332)의 위쪽 끝은 수평부(320)의 옆쪽에서 수평부(320)의 축 중심과 동일선상 내지 수평부(320)의 축 중심보다 아래쪽 어느 한 지점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절단부(330)는 수평부(320)의 어느 한 방향 또는 도 5 및 도 6 에서와 같이 수평부(320)의 마주하는 양 방향에 대칭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단부(330)가 수평부(320)의 마주는 양 방향에 형성되는 경우 시술자에 따라 오른손 또는 왼손을 사용하여 시술할 수 있는 것이다.
절단부(330)는 수평부(320)의 단부에 축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절단부(330)의 수평면(331)이 수평을 이루거나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절단부(330)의 회전은 평상시에는 고정되어 있다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절단부(330)의 회전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절단부(330)의 회전을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탄성부재와 상호 톱니간의 맞물림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즉, 수평부(320)의 선단과 이에 마주하여 대응하게 되는 절단부(330)의 선단의 외주면에 서로 치합될 수 있는 톱니를 각각 형성하고, 수평부(320)의 선단과 절단부(330)의 선단에는 각각의 중심축에 연결핀과 연결공을 설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면서 서로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적으로 탈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절단부(330)를 수평부(320)의 축방향을 따라 외력을 가하여 당겨주면 탄성부재가 늘어나면서 절단부(330)의 선단이 수평부(320)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절단부(330)를 원하는 만큼 회전시킨 후 절단부(330)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절단부(330)의 선단이 회전된 상태에서 수평부(320)에 다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절단부(330)는 전술한 탄성부재나 톱니를 통해 연결시키지 않고, 수평부(320)의 단부에 동일한 축 선상을 유지하면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절단부(330)는 각막 실질(410)의 곡률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절단부(330)의 길이방향 길이는 렌티큘면(450)의 직경을 초과하면서 플랩면(440)의 직경을 넘지 않는 길이가 될 수 있으며, 대략 3mm 내지 5mm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4mm 가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3mm보다 짧거나 5mm 보다 길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마일 수술용 도구를 이용한 스마일 수술의 중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분 마취된 피시술자를 펨토세컨레이저가 설치된 베드에 눕힌 다음 동공축심과 시축의 오차를 고려하여 3중 센트레이션을 한다.
여기서, 센트레이션은 각막의 중심에 맞추어 수술을 진행하는 기법으로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빛 번짐이나 눈부심 복시 시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3중 센트레이션은 동공중심과 시축의 오차를 고려하여 수술용 마킹펜으로 센트레이션을 정하는 단계와, 마킹한 지점과 펨토세컨레이저의 중심을 맞추는 단계 및 마킹한 곳의 중심에 맞춰 펨토세컨레이저의 레이저 빔이 조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3중 센트레이션이 완료된 후에는 피시술자의 각막 교정량을 감안하여 프로그램화되어 있는 펨토세컨레이저로부터 레이저 빔이 각막(400)에 조사되는데, 바깥쪽에서 각막(400)의 중심을 향하여 나선을 그리면서 다수의 스팟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각막 실질로부터 분리되는 렌티큘면(450)이 먼저 형성 된다.
이후, 펨토세컨레이저의 레이저 빔은 초점 위치의 변위를 가지게 되고, 전술한 렌티큘면(450) 위쪽에서 초점이 형성되며, 각막(400)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향하여 나선을 그리면서 다수의 스팟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각막 실질(410)로부터 분리되는 플랩면(440)이 형성되고, 이때 플랩면(440)의 크기는 도 7 및 도 8 에서와 같이 렌티큘면(450)보다 크게 형성되며, 렌티큘면(450)의 외측둘레는 플랩면(440)의 외측둘레 안쪽에서 교차되면서 각막 실질(410)로부터 상하의 플랩면(440)과 렌티큘면(450)을 가지는 입체형태의 각막 절편(420)이 절제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막 절편(420)을 각막 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 각막(400)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플랩면(440)의 외측둘레와 근접하는 각막(400)의 표면에는 도 8 과 같이 만곡진 가로방향 길이를 가지는 절개입구(431)와, 플랩면(440)의 절개라인과 연통되는 절개터널(432)로 구성된 절개부(430)가 형성된다.
이때, 절개입구(431)와 절개터널(432)은 대략 2mm의 크기로 만들어지며, 시술자의 숙련도 또는 필요에 따라 수술 도구의 각막 절편 분리핀(300)에 형성된 수평부(320)가 삽입될 수 있는 조건(수평부의 직경 등을 고려)을 만족하면서 대략 0.5mm 부터 2mm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터널(432)과 절개입구(431)가 만들어진 후에는 절개입구(431)와 절개터널(432)을 통해 수술 도구의 각막 절편 분리핀(300)에 형성된 수평부(320)를 집어넣은 후, 각막 실질(410)과 각막 절편(420)의 상측 및 하측 사이에 남아 있는 티슈브리지를 제거하게 된다.
스마일 수술에서 티슈브리지의 제거를 위한 수술 도구의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수술 도구의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기울여 손잡이(100) 상측에 위치한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을 절개입구(431)로 집어넣어 절개입구(431) 및 절개입구(431)로부터 연장된 절개터널(432)이 어느 정도 벌어지도록 한 다음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을 절개입구(431)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도 7 에서와 같이 손잡이(100) 하측에 위치한 각막 절편 분리핀(300)의 수평부(320)를 각막 절개부 삽입핀(200)에 의해 벌어져 있는 절개입구(431)를 통해 절개터널(432)을 거쳐 플랩면(440)의 외측둘레를 이루고 있는 절개라인으로 집어넣은 다음 손잡이(100)를 스윙시키면 각막 절편 분리핀(300)의 수평부(320)는 절개입구(431)와 상응하는 지점이 회전 중심이 되어 수평부(320)가 회전되면서 각막 절편(420)의 하측 분리면인 렌티큘면(450)을 지나감에 따라 각막 절편(420)의 저면과 각막 실질 사이의 남아 있는 티슈브리지가 수평부(320)에 의해 끊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때 수평부(320)에는 진행방향으로 절단부(330)이 구비되면서 절단부(330)가 티슈브리지를 점차적으로 신속하면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절단하여 각막 절편(420)의 상면과 각막 실질(410) 사이의 남아 있는 티슈브리지를 완벽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각막 절편 분리핀(300)의 수평부(320)를 절개입구(431)에서 완전히 빼낸 후, 다시 절개입구(431)로 집어넣어 각막 절편(420)의 상측 분리면인 플랩면(440)의 티슈브리지를 절단할 수도 있지만, 수평부(320)를 절개입구(431) 외부로 완전히 빼내지 않고 절개터널(432) 안에서 미세하게 들어올리는 숙련된 기술을 통해 플랩면(440)쪽으로 바로 이동시킨 후, 수평부(320)를 전술한 렌티큘면(450)의 분리작업과 같이 플랩면(440)을 지나가도록 하여 각막 절편(420)의 상면과 각막 실질(410) 사이의 남아 있는 티슈브리지가 회전되는 수평부(320)에 의해 끊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수평부(320)의 진행방향에 구비된 절단부(330)가 티슈브리지를 점진적으로 신속하면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절단하여 각막 절편(420)의 상면과 각막 실질(410) 사이의 남아 있는 티슈브리지를 완벽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막 실질(410)로부터 각막 절편(420)이 완벽하게 분리되면 이러한 상태에서 절개입구(431)를 통해 각막 절편 인출 도구를 집어넣어 각막 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각막 절편(420)을 절개입구(431)를 통해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이후 절개입구(431)를 통해 안액을 집어넣고, 수술 도구의 수평부(320)를 이용하여 각막(400) 표면을 지나가면서 부유물을 빼고 정리하면 수술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스마일 수술용 도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일 수술에 한정시켜 사용될 필요는 없으며, 백내장 수술이나 라식과 같이 조직을 분리하는 수술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막 실질(410)로부터 각막 절편(420)을 분리함에 있어, 스마일 수술용 도구의 각막 절편 분리핀(300)에 형성된 수평부(320)의 절단부(330)를 이용하여 각막 절편(420)과 각막 실질(410) 간의 남아 있는 연결부위인 티슈브리지를 점진적으로 신속하면서 깨끗하게 절단하여 각막 실질(410)로부터 각막 절편(420)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킴에 따라 시술의 시간을 단축 시켜 피시술자의 부담을 줄이고, 조직의 신속한 재생 및 안정화를 통해 수술의 정확도와 피시술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일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 도구의 제공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손잡이 110 : 파지홈
200 : 각막 절개부 삽입핀 300 : 각막 절편 분리핀
310 : 경사부 320 : 수평부
330 : 절단부 331 : 수평면
332 : 라운드면 400 : 각막
410 : 각막 실질 420 : 각막 절편
430 : 절개부 431 : 절개입구
432 : 절개터널 440 : 플랩면
450 : 렌티큘면

Claims (6)

  1. 각막 실질 내부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각막 절편을 절제하는 과정에서 각막 표면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통해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과의 상측 분리면인 플랩면 및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과의 하측 분리면인 렌티큘면을 지나가면서 상기 각막 절편과 상기 각막 실질 간의 티슈브리지를 제거해주는 수술 도구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한쪽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에 형성되는 각막 절개부 삽입핀; 및
    상기 손잡이의 다른 한쪽에 연장 형성되며, 단부의 일부분이 바깥쪽으로 경사부를 이루다가 다시 안쪽으로 수평부를 연속적으로 이루는 각막 절편 분리핀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의 선단부에는 아래쪽 일부분이 상기 수평부의 축중심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수평하게 제거되어 수평면이 구비되고, 상기 선단부의 길이방향 옆쪽은 상기 수평면과 라운드지게 연결되어 라운드면이 구비되도록 절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수평부의 축중심을 지나는 상하 높이가 0.6mm 내지 0.7mm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면은 아래쪽이 상기 수평면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0.3mm 지점에서 시작되고, 상기 라운드면의 위쪽은 상기 수평부의 축 중심과 동일선상 또는 상기 수평부의 축 중심보다 상측 또는 상기 축 중심보다 하측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 끝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직선 길이는 7mm 내지 10mm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의 길이는 상기 렌티큘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플랩면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길이는 3mm 내지 5mm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라운드면은 상기 절단부의 마주하는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도구.
KR1020160149297A 2016-11-10 2016-11-10 스마일 수술용 도구 KR10185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97A KR101850767B1 (ko) 2016-11-10 2016-11-10 스마일 수술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97A KR101850767B1 (ko) 2016-11-10 2016-11-10 스마일 수술용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767B1 true KR101850767B1 (ko) 2018-04-20

Family

ID=6208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297A KR101850767B1 (ko) 2016-11-10 2016-11-10 스마일 수술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3658A (zh) * 2022-12-28 2023-03-21 爱尔眼科医院集团四川眼科医院有限公司 一种具有u型折弯结构的飞秒透镜分离铲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571B1 (ko) 2015-08-26 2016-03-25 정영택 시력 교정수술에 따라 절제된 렌티큘의 제거를 위하여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 보강구조
KR101643648B1 (ko) 2016-05-09 2016-08-10 강성용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KR101654539B1 (ko) 2016-02-03 2016-09-07 정영택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571B1 (ko) 2015-08-26 2016-03-25 정영택 시력 교정수술에 따라 절제된 렌티큘의 제거를 위하여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 보강구조
KR101654539B1 (ko) 2016-02-03 2016-09-07 정영택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KR101643648B1 (ko) 2016-05-09 2016-08-10 강성용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3658A (zh) * 2022-12-28 2023-03-21 爱尔眼科医院集团四川眼科医院有限公司 一种具有u型折弯结构的飞秒透镜分离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14042A1 (en) Method of creating stromal pockets for corneal implants
KR101643648B1 (ko)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US117174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emtosecond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US20060155265A1 (en) Method of corneal surgery by laser incising a contoured corneal flap
US20080125677A1 (en) Methods for treating hyperopia and presbyopia via laser tunneling
US20040044355A1 (en) Minimally invasive corneal surgical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hyperopia
WO1998010716A1 (en) Procedure and device for corrective and therapeutic eye treatment
WO1994009849A1 (en) Method of performing ophthalmic surgery
CA2331223C (en) A method of corneal surgery by laser incising a contoured corneal flap
TW200803816A (en) Corneal epithelial pocket formation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US63502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 oblong corneal flap
JP2002541878A (ja) 角膜切開術用装置
KR101654539B1 (ko)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KR101850767B1 (ko) 스마일 수술용 도구
KR101603571B1 (ko) 시력 교정수술에 따라 절제된 렌티큘의 제거를 위하여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 보강구조
KR101850768B1 (ko) 스마일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 도구
US6582445B1 (en) Trephine for lamellar keratectomy
US20040002722A1 (en) Ultrasonic microkeratome
CN209004411U (zh) 一种眼科手术用的镊子
WO2003015674A8 (en) Keratome
CN114159226A (zh) 一种眼部组织处理设备
KR101685602B1 (ko)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적출 도구
KR102631045B1 (ko) 펀칭형 홍채절개기
CN108433870A (zh) 一种眼科手术用的镊夹
US20160175153A1 (en) Keratoconus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