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535B1 -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535B1
KR101711535B1 KR1020080103318A KR20080103318A KR101711535B1 KR 101711535 B1 KR101711535 B1 KR 101711535B1 KR 1020080103318 A KR1020080103318 A KR 1020080103318A KR 20080103318 A KR20080103318 A KR 20080103318A KR 101711535 B1 KR101711535 B1 KR 10171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power
unit
doo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025A (ko
Inventor
최진하
사용철
이한춘
김홍성
이승용
임준영
정윤철
김동휘
김주혁
이상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5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본체에 배치되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함으로써,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를 통과하는 전력선이나 통신선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힌지의 굵기를 감소시켜 냉장고의 외관 및 도어의 개폐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Refrigrator capable of wirless-communicating}
본 발명은 무선통신 및 무선전력 전송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본체와 냉장고의 도어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선이나 통신선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상기 전력선이나 통신선이 통과하는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의 굵기를 줄이므로써, 냉장고의 외관 및 도어의 개폐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기로써, 식품을 냉동 보관하기 위한냉동실과, 식물을 냉장 모관하기 위한 냉장실과,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동사이클로 구성되고, 이에 내장된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냉장고는 사용자에게 개선된 다향한 기능 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운전을 위한 여러가지의 개선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표시부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입력 기능도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 등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표시부)에는 냉장 실의 고내 온도, 냉동실의 고내 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상태(물, 조각 얼음 등)를 숫자, 문자 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고내 온도 및 디스펜서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예를 들면, 버튼 등)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얼음)와,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표시하고, 하단에 소정의 입력수단이 구비된다.이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각종 장치는 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원을 소비하고, 또한 본체의 제어부와 통신을 한다.
이러한 도어의 각종 장치는 냉장고의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을 한다. 즉, 냉장고의 본체와 냉장고 도어에 구비된 다수의 장치는 전력선 및 데이타 통신선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력선이나 통신선은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를 통과하게 되므로 힌지의 굵기가 증가하여 냉장고의 외관 및 도어의 개폐가 불편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력선이나 통신선을 힌지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의 제어부와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다수의 장치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냉장고의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본체와 냉장고 도어 사이에 무선으로 통신을 하고,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의 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하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본체에서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각종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이들과 통신을 하기기 위하여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힌지의 굵기를 감소시켜 냉장고의 외관 및 도어의 개폐를 개선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본체에서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각종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거 통신을 하기 위하여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을 줄이거나 필요하지 않으므로, 냉장고 제작 및 고장시의 수리 등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는 냉장고의 본체에 배치되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의 각각은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의 각각은 상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의 각각은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 하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의 각각은 상기 냉장고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의 각각은 상기 내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장고는 냉장고의 본체에 구비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부와;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전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전부는 수신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충전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는 완전 충전시에도 충전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전부와 수전부의 각각은 무선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코일로 형성된 안테나를 구비한다.
상기 송전부는 상기 도어 감지부가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무선전력 전송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도어 감지부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에 구비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본체와 냉장고 도어 사이에 무선통신 또는 무선전력 전송을 함으로써,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를 사이에 구비된 힌지의 굵기를 감소시켜 냉장고의 외관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냉장고 도어의 개폐를 더욱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본체에서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각종 장치로 연결된 전원선이나 통신선을 줄이거나 필요하지 않으므로, 냉장고 제작 및 고장시의 수리 등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기능을 지닌 냉장고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상기 냉장고 본체(100)는 냉동실(120), 냉동실(120)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21), 냉장실(130), 냉장실(130)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31)를 구비하고, 상기 냉동실 도어(121) 및 냉장실 도어(131)는 힌지(110a,110b)에 의해서 냉장고(100)에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냉동실(120)에는 아이스 메이커(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냉동실 도어(121)에는 디스펜서(150)가 구비되어 있고, 디스펜서(150) 일측의 냉동실 도어(121)에 냉장고의 작동을 위한 조작 패널(16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00)는 외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냉장고 본체(100) 내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170)를 구비하며, 유로(170)에는 제1 밸브(171), 필 터(172), 제2 밸브(173) 및 열교환부(174)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밸브(171)는 냉장고 본체(100) 내로의 물의 공급을 제어하며, 필터(172)는 물을 필터링하고, 제2 밸브(173)는 아이스 메이커(140) 및 열교환부(174)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며, 냉장실(130) 측에 위치하는 열교환부(174)에서 열교환을 통해 물이 냉수로 된다.
아이스 메이커(140)에서 만들어진 얼음 및 열교환부(174)에서 만들어진 냉수가 디스펜서(150)를 통해 유출된다. 열교환부(174)는 반드시 냉장실(130)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100) 내의 냉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수를 만들 수 있다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좋다.
여기서, 아이스 메이커(140)는 아이스 트레이(141) 만으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디스펜서(150)로의 자동 이빙을 위하여, 이빙기(미도시)를 구비하여도 좋고, 또한 각 얼음 및 분쇄된 얼음을 공급하기 위하여 커터(미도시)와 같은 분쇄 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아이스 트레이(141) 만이 구비된다면 사용자가 직접 디스펜서(150)와 연결된 아이스 뱅크(미도시)로 얼음을 공급하여야 할 것이다.
디스펜서(150)는 오목한 공간으로 된 디스펜서 캐비티(151)를 구비하며, 디스펜서 캐비티(151)의 상부 끝단에 냉수가 유출되는 출구(152)가 구비되어 있고, 출구(152)의 뒤에 얼음이 유출되는 출구(153)가 구비되어 있다.
출구(153)를 위한 하우징(154)이 디스펜서 캐비티(151) 내로 돌출되어 있고, 하우징(154)의 일면에 출구(152)를 통해 냉수를 유출할 때 사용되는 버튼 타입의 스위치(155)가 구비되어 있다.
디스펜서 캐비티(151)의 후면에 출구(153)를 통해 얼음을 유출할 때 사용되 는 패드 타입의 스위치(156)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펜서 캐비티(151)의 하부 끝단에 컵 등의 용기가 놓이는 받침대(157)가 구비되어 있다.
출구(152) 및 출구(153)의 각각에는 밸브(158) 및 밸브(159)가 구비되어 있으며, 출구(152) 및 출구(153)를 통한 냉수 및 얼음의 유출을 제어한다. 냉장고(100)의 길이 방향(높이)에서 볼 때, 아이스 메이커(140) 측으로부터 출구(152), 스위치(155),출구(153), 스위치(156)가 위치하며, 냉장고 본체(100)의 깊이 방향에서 볼 때, 디스펜서 캐비티(151)를 향하여, 출구(152), 스위치(155), 출구(153), 스위치(156)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컵(180)으로 스위치(155)를 누름으로써 용이하게(조작 패널(160)을 조작한 후 스위치(156)까지 컵을 가져갈 필요없이) 출구(152)를 통해 냉수를 취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컵(180)으로 스위치(156)을 누름으로써 출구(153)를 통해 얼음이 취출된다.
또한 스위치(155)를 이용해 냉수를 받은 다음, 스위치(156)를 이용해 얼음을 받음으로써 조작 패널에 대한 별도의 조작없이 용이하게 냉수 및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출구(152)는 반드시 디스펜서 캐비티(151)의 상부 끝단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펜서 캐비티(151) 내로 약간 돌출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출구(153)는 얼음을 유출하는데 사용되지만, 냉수 또한 유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스위치(155) 및 스위치(156)는 주로 컵 등에 의한 사용자의 접촉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냉장고 본체(100)의 제어 유닛(미도시)으로 전달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지만, 기계적인 방식의 스위치, 버튼 또는 레버로 구성되어도 좋다.
특히 스위치(156)는 레버 타입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아이스 메이커(140) 및 열교환부(174)와 디스펜서(150)의 연결 구조를 수정 및/또는 변경함으로써, 출구(153)로 얼음 및/또는 냉수가 나오게 구성할 수 있으며, 출구(152)를 통해 분쇄된 얼음이 나오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작 패널(160)은 냉장고의 상태 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61)와 냉장고의 작동에 사용되는 각종 버튼(162)을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각 얼음 또는 분쇄된 얼음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버튼(163), 출구(152)를 통해 냉수를 유출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버튼(164), 출구(153)를 통해 얼음을 유출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버튼(165), 출구(153)를 통해 유출될 냉수/각 얼음/분쇄된 얼음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버튼(1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버튼으로 상기 기능 모두를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조작 패널(160)은 디스펜서(150) 또는 디스펜서 캐비티(151)의 위에 구비되어 좋지만, 도 1의 예에서는 조작 패널(160)이 디스펜서(150)의 일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아이스 메이커(140)의 존재, 길이 방향으로 존재하는 두개의 출구(152,153)의 존재, 디스펜서 캐비티(151)의 높이 확대의 필요성, 냉동실(120) 하부에 별도의 저장실이 구비됨으로써 냉동실 도어(121)가 가지게되는 공간적 제약(일명 프렌치 도어 타입 냉장고), 및/또는 하우징(154) 및 스위치(155)의 존재로 인한 디스펜서 캐비 티(151)의 확장의 필요성 등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냉장고의 개방시 냉장고의 도어와 본체에 구비된 무선통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각각에 구비된 통신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냉장고는 냉장고의 본체(100)에 배치되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410)와; 냉장고의 도어(121,131)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통신부(41)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장치가 냉동실 도어(121)에 구비되어 있므로, 상기 제2통신부(420)는 냉동실 도어(12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410,420)의 각각은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 사이에 송수신될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복조하느 트랜시버(412, 422)와, 상기 변복조된 무선신호를 송출하하고 수신하는 안테나(411,421)와, 상기 트랜시버(412,422)를 제어하는 제어부(413,423)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410.420)의 각각의 안테나(411,411)는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의 각각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411,421)의 각각은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인접한 거리에 배치되나, 상기 냉장고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411,421)의 각각이 상기 냉장고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411,421)의 각각은 상기 내장고 본체(100)와 상기 냉장고 도어(121)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냉장고의 개방시 냉장고의 도어와 본체에 구비된 무선전력 전송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냉장고에 구비된 수전부와 송전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의 무선통신 장치와, 도 7의 무선전력 전송 장치는 별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도 5의 무선통신 장치만 별도로 상기 냉장고에 구비되거나, 도 7의 무선전력 전송 장치와 함께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냉장고는 무선전력 전송을 위하여, 상기 냉장고의 본체(100)에는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부(5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동실 도어(121)에는 상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부(5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송전부(510)는 냉장고의 본체(100)에 배치되어 상용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수전부(520)는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121)에 배치되어 상기 송전부(410)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송전부(410)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송전 안테나(511)과, 냉동실의 도어(121)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방 감지부(413)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된 값에 따라 무선전력을 송전하거나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12)를 포함한다.
수전부(420)는 상기 전송된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전 안테나(521)와 수전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522)와, 상기 충전부(522)가 완전 충전되었는 지를 감지하 는 충전 감지부(523)를 포함한다.
상기 송전부(510)는 냉동실 도어(121)가 닫혀있는 동안에 상기 수전부(520)로 계속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도어개방 감지부(413)가 냉동실 도어(121)의 개방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무선전력의 공급을 중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개방 감지부(513)가 냉동실 도어(121)의 개방을 감지하면, 도어 개방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512)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512)는 상용전원에서 송전 안테나(511)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충전부(522)는 상기 충전 감지부(523)에 의하여 수신된 전력으로 충분히 충전된 것으로 완전 충전을 감지하면 충전을 중단하거나, 상기 송전부(510)로 전력공급 중단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충전부(422)는 상기 송전부(41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면, 충전된 전원을 냉동실 도어(121)에 구비된 다수의 전력소비장치에 공급한다. 즉, 아이스 메이커(141), 표시부(161), 디스펜스(150), 다수의 조작부(160) 등의 장치는 상기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적절하게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동실의 도어(121)에 전력을 소비하는 다수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냉동실 도어(121) 만의 개방만을 감지하고, 있으나 냉장실 도어(131)의 개방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각종 전력 소비 장치가 냉장실 도어(131)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장실 도어(131)의 개방을 감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송전부(510)와 수전부(520)의 각각은 상기 냉장고의 본체(100)와 냉동 실 도어(121)의 상단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송전부(510)에서 송전한 전력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전부(520)로 송전될 수 있다. 상기 송전 및 수전 안테나(511,521)는 코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통신 장치는 RF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에는 상기 힌지(130a, 130b)의 굵기가 8φ이하가 바람직하며 본 발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이를 충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방시 냉장고의 도어와 본체에 구비된 무선통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통신 장치의 제1 및 제 2 통신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냉장고의 개방시 냉장고의 도어와 본체에 구비된 무선전력 전송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냉장고에 구비된 무선전력 전송 장치의 수전부와 송전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Claims (14)

  1. 냉장고의 본체에 배치되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통신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
    상기 냉장고의 본체에 구비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부;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송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부;
    상기 도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소비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력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송전부 및 상기 수전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부 및 수전부는 상기 힌지를 통과하는 전력선을 제거하도록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송수신하는 무선신호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통신부에서 송수신하는 무선신호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의 각각은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의 각각은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의 각각은 상기 냉장고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의 각각은 상기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는 수신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는 상기 충전부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충전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량 감지부가 상기 충전부의 완전충전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부는 충전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부와 수전부의 각각은 무선전력을 송수신하는 코일로 형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기능의 냉장고.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부는 상기 감지부가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무선전력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기능의 냉장고.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에 구비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의 냉장고.
KR1020080103318A 2008-10-21 2008-10-21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171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318A KR101711535B1 (ko) 2008-10-21 2008-10-21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318A KR101711535B1 (ko) 2008-10-21 2008-10-21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25A KR20100044025A (ko) 2010-04-29
KR101711535B1 true KR101711535B1 (ko) 2017-03-13

Family

ID=4221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318A KR101711535B1 (ko) 2008-10-21 2008-10-21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5485A (zh) * 2013-02-07 2013-10-02 江苏大学 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冰箱及其存储食品管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5974A (ja) 2002-06-24 2004-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車両本体とドアとの間の配線構造
JP2005156135A (ja) * 2003-10-27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温貯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555A (ko) * 1997-10-18 1999-05-15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5974A (ja) 2002-06-24 2004-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車両本体とドアとの間の配線構造
JP2005156135A (ja) * 2003-10-27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温貯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25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786B2 (en) Food preservation refrigerator closure member carrying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its operation
US71783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communication mode of a detachable pad refrigerator
US77032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ice production rate
US20190273897A1 (en) Imaging system and imaging device
EP2373939B1 (en) Refrigerator
KR100655011B1 (ko) 로봇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JP6019388B2 (ja) 冷蔵庫
KR101566282B1 (ko) 무선전력 전송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711535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JP2013238345A (ja) 冷蔵庫
KR100880487B1 (ko) 냉장고
EP2373941B2 (en) Refrigerator
KR100828337B1 (ko) 객실용 냉온 저장고
JP2005260891A (ja) 家電機器
KR20080105932A (ko) 냉장고
JP2013238343A (ja) 冷蔵庫
US20110283724A1 (en) Refrigerator
JP2013238381A (ja) 冷蔵庫及び冷蔵庫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CN202582034U (zh) 一种冰箱温控装置
EP3951294A1 (en) Refrigerator
KR101988305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546667B1 (ko) 착탈식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N213097362U (zh) 一种智能水杯
JP201323834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家電機器
KR2015011000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587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05

Effective date: 201612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