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146B1 -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146B1
KR101711146B1 KR1020140052087A KR20140052087A KR101711146B1 KR 101711146 B1 KR101711146 B1 KR 101711146B1 KR 1020140052087 A KR1020140052087 A KR 1020140052087A KR 20140052087 A KR20140052087 A KR 20140052087A KR 101711146 B1 KR101711146 B1 KR 101711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eter
meter reading
frame
remote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177A (ko
Inventor
김지효
김주현
손병일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146B1/ko
Priority to PCT/KR2015/003512 priority patent/WO2015167139A1/ko
Publication of KR2015012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미터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활용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배터리 소모에 따른 신뢰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차량 또는 항공기와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원격으로 미터기를 검침할 수 있는 원격검침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안테나,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 영역에 투명 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 정류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전원을 축적하는 커패시터, 투명 영역에 마련되며, 계량기의 계기판을 향해 촬상 방향이 설정되고, 축적된 구동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카메라, 축적된 구동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의 영상신호에 장치 식별자를 부가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영상 제어부 및 계량기와 상기 프레임이 이웃하는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Remote tele-meter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 전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고, 무선 통신의 방향성이 최소화되고 차량 또는 항공기와 같은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 경량으로 구현되어 구형 미터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쉽게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미터링(Smart metering)이 이슈화되면서 가정이나 업체에 검침원을 투입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전기 사용량, 가스 사용량 또는 상하수도 이용량을 계측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스마트 미터링은 널리 보급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미터기가 전기, 상하수도, 가스 또는 유류의 사용량을 검침 후, 이를 네트워크 접속되는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중앙 서버는 스마트 미터기가 제공하는 검침값을 기록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미터링은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고가의 스마트 미터기가 기존의 미터기를 대신하여 장착되어야 하므로 교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전력 소모량을 계측하는 분야의 스마트 미터링 방법 중 하나는 기존의 전력망을 통신망으로 이용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전력선을 통신선으로 이용하여 계측된 전력값을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인데, 이 경우, 전력선의 노이즈가 커서 통상적인 네트워크 통신 장비에 비해 노이즈 제어를 위한 로직이 요구되고, 전력선 사이에 위치하는 변압기에 의해 통신이 차단될 우려가 있어 망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은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미터링 방법에 비해 더 높을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가 널리 보급된 도시나 지역의 경우에는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미터링을 하거나 전력망을 이용하는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하기 용이한 반면, 농촌이나 저개발국가의 경우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미터링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스마트 그리드 기반의 구축을 위해서 해당 지역이나 국가에 엄청난 재원이 요구될 수 있다.
더욱이, 저개발 국가의 경우 스마트 미터링을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각 가정과 업체에 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위한 스마트 미터기를 보급하는 것은 막대한 재원을 요구하므로 당장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크다. 저개발 국가의 경우 기존에 가설된 구형 미터기를 검침원이 일일이 검침하여야 하므로 시간, 인력의 누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US13943475(출원번호)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고, 차량에 탑재한 차량 단말기가 원격지에 위치하는 스마트 미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모바일 원격검침을 수행하는 "유틸리티 미터링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재구성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US13943475는 유틸리티 데이터(계측 데이터) 수집을 위해 차량 단말기가 스마트 미터기에 대해 초기화 요청을 하고, 초기화 요청의 유효기간을 설정하며, 스마트 미터기가 유효기간 내에 초기화 후, 유틸리티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틸리티 데이터 재구성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미터기가 차량 단말기의 리셋 요구에 응답하여 초기화하고, 정해진 순서 프로토콜에 유효성을 검증 후,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규격화된 스마트 미터기가 요구되는데, 이는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미터기를 무선으로 처리하였다는 의의는 있어도, 기존의 미터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없고 기존의 미터기를 모두 교체하여야 함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 전원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무선 통신의 방향성의 영향이 적고, 차량 또는 항공기와 같은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 경량으로 구현되어 구형 미터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구형 미터기에 쉽게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는 안테나, 커패시터, 카메라 및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는 프레임에 삽입되거나, 프레임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프레임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전송되는 RF 전파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RF 전파를 송출할 수 있고, 커패시터는 정류부에서 생성한 구동 전원을 축적하고, 카메라는 프레임에 형성되는 투명 영역에 배치되어 계량기의 계기판을 촬상하도록 배치되며, 영상 제어부는 커패시터에 축적된 구동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영상 신호 및 식별자를 송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은, RF부 및 검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부는 원격검침 장치로 RF 전파를 송출하여 원격검침 장치가 이를 수신하여 구동 전원으로 이용토록 하며, 검침정보 처리부는 원격검침 장치가 송출하는 장치 식별자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영상신호를 장치 식별자에 따라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미터기를 교체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배터리 소모에 따른 지속성 및 신뢰성 문제가 유발하지 않으며, 차량 또는 항공기와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원격으로 미터기를 검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 및 원격검침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에 적용되는 안테나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를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가 계량기에 부착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 및 원격검침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는 통신 기능이 없는 구형 계량기(50)에 부착되어 운용된다.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는 일 영역에 투명영역(102)이 형성되고, 투명영역(102)에는 카메라(101)가 배치되어 계기판(51)을 촬상할 수 있다.
투명영역(102)은 카메라(101)가 계기판(51)을 촬상하지 못할 경우, 검침원이 계기판(51)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투명 재질의 실리콘 유리, 아크릴 및 기타 투명 재질의 다양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투명영역(102)의 형성을 위해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의 일 영역은 투명영역(102)이 형성될 위치를 천공해둘 수 있다.
프레임(120)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영역에 투명영역(102)이 형성되고, 카메라(101), 안테나(110), 영상 제어부(130), 정류부(140) 및 커패시터(150)를 실장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120)의 배면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점착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가 형성되어 프레임(120)이 구형 미터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접착 부재는 언급된 것 이외에, 클립, 스크류 또는 와이어(Wire)가 될 수 있으며, 이들 접착 부재를 통해 구형 미터기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프레임(120)의 일 영역에는 안테나(110)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10)는 도 2의 (a), (b) 및 (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코일 타입, 태그 타입 및 풀 코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부분 코일 타입은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종단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부러지지 않도록 형성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의 (a)에서 S1 영역은 일자 형태로 구현되는 반면, S2 영역은 탄성을 갖는 코일 형상으로 구현되며, 이러한 형상에 의해 S1 영역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안테나(110)가 구부러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태그 타입은 프레임(120)이 PCB인 경우, PCB의 동판을 에칭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 박판을 프레임(120)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풀 코일 타입은 전체적인 형상은 나선형을 가지며,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어느 정도의 면적이 확보되는 입체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입체구조에 의해 안테나(110)의 지향 방향에 따라 외부에서 제공되는 RF 전파의 수신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풀 코일 타입의 안테나(110)는 지름 D1, 높이 D2를 가지며, 도 3의 (b)를 바라볼 때와, 도 3의 (a)를 바라볼 때, 외부 RF 전파의 수신을 위한 최소한의 면적이 확보됨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각선 방향에서 풀 코일 타입의 안테나(110)를 바라보아도 RF 전파의 수신을 위한 최소한의 면적이 확보되는 입체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안테나(110)를 입체로 구현하게 되면, 안테나(110)가 프레임(120)에서 돌출되어 프레임(120)의 두께를 다소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는 안테나(110)를 통해 차량, 항공기 또는 기타 이동수단(10)에 탑재된 원격감지 시스템으로부터 RF 전파를 수신하고, 정류부(140)가 수신된 RF 전파를 정류하여 구동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전원을 커패시터(150)에 충전하며, 커패시터(150)에 구동 전원이 충전되면, 커패시터(150)에 충전된 구동 전원에 의해 카메라(101)가 작동되어 계기판(51)을 촬상할 수 있다. 카메라(101)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는 영상 제어부(130)로 제공되며, 영상 제어부(130)는 영상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안테나(110)를 통해 외부로 무선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01)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의 크기는 미터기의 계기판에 대한 것이므로, 데이터 용량은 수 킬로바이트 내지 수십 킬로바이트 급의 저용량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는 정류부(140)에서 생성된 구동 전원을 커패시터(150)가 축적 후, 구동될 수 있다. 카메라(101)와 영상 제어부(130)는 정류부(140)에서 구동 전원이 제공되는 즉시 작동하기보다는 커패시터(150)에 구동 전원이 축적된 이후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메라(101) 및 영상 제어부(130)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CR 시정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때의 CR 시정수는 커패시터(150)의 충전시간이 됨에 유의한다.
CR 시정수 구현은 예컨대, 구동 전원의 양(+) 입력단과 음(-) 입력단 사이에 커패시터(150)를 배치하고, 커패시터(150)의 양(+) 출력단에 저항이 직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전원이 저항을 통과할 때, 커패시터(150)의 용량과 저항의 용량이 형성하는 CR 시정수가 지난 이후 카메라(101) 및 영상 제어부(13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원격검침 장치(100)는 계량기(50)의 계기판(51)을 촬상한 영상신호를 차량(10)에 탑재된 원격검침 시스템(200)에 무선 전송하고, 원격검침 시스템(200)은 안테나(212)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원격검침 장치(100)는 장치 식별자를 영상신호에 부가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원격검침 시스템(200)은 장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검침대상 지역에서 영상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원격검침 장치 및 위치를 파악하며, 또한, 장치 식별자와 영상신호를 연동하여 정렬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원격검침 시스템(200)은 검침대상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원격검침 장치의 장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검침대상 지역을 이탈하여 다음번 검침대상 지역을 향할 수 있으며, 누락된 장치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누락된 장치 식별자에서 영상신호가 전송되도록 대기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원격검침 시스템(200)은 전자 맵에 장치 식별자를 연동시켜 영상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원격검침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고, 차량(10) 운전자로 하여금 해당 원격검침 장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0)이 해당 원격검침 장치와 근거리에 위치할 수록 차량(10)에 탑재된 안테나(211)에서 원격검침 장치로 제공되는 RF 전파의 신호 세기가 강해지며, 영상신호를 수신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격검침 시스템(200)은 RF부(210), 검침정보 처리부(220), 디스플레이장치(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영상 처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부(210)는 원격검침 장치(100)로 RF 전파를 송출하여 원격검침 장치(100)가 RF 전파를 정류하여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RF부(210)는 원격검침 장치(100)가 구동 전원으로 이용할 RF 전파를 송출하는 제1안테나(211) 및 원격검침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장치 식별자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안테나(212)를 구비할 수 있다. 두 안테나(211, 212)가 송신과 수신을 함께하는 송수신용인 경우, 도시된 안테나(211, 212)는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50)는 RF부(2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이미지 형태의 계량값을 텍스트 형태의 계량값으로 추출할 수 있다.
검침정보 처리부(220)는 원격검침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 및 장치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장치 식별자와 영상신호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검침정보 처리부(220)는 검침 대상지역 대한 전자 맵을 구비할 수 있다. 검침정보 처리부(220)는 전자 맵에 검침대상 원격검침 장치를 매핑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와 장치 식별자를 대조하여 미 검침된 원격검침 단말기를 파악할 수 있다. 미 검침된 원격검침 단말기는 전자 맵에 매핑되고 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되어, 차량(10) 운전자 또는 검침자가 미 검침된 원격검침 단말기를 파악하도록 한다.
이후, 차량(10) 운전자 또는 검침자는 디스플레이장치(220)에 표시된 미 검침된 원격검침 장치 방향으로 차량(10)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검침원을 현장에 보내어 미 검침된 원격검침 장치에 대한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는 상측에 투명영역(102)이 형성되고, 투명영역(102)에는 카메라(101)가 배치되며, 커패시터(150), 정류부(140) 및 영상 제어부(130)가 프레임(120)에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프레임(120)과 계량기(50)가 이웃하는 영역 중 테두리 영역에는 접착 부재(17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접착 부재(170)는 양면 테이프, 또는 겔(Gel) 형태의 우레탄 재질일 수 있다. 탄성이 있는 우레탄 수지용액을 고체화하여 형성하는 겔은 강한 점착력을 가지는데, 수직면에 200g 이상의 물체를 5-7년간 부착해둘 수 있다. 일 예로서, 일본 PRO社 에서 2007년도 출시된 C-S40B의 경우 진도 7에서도 부착 물체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외에 접착 부재(170)는 금속재의 후크로 구현되거나, 와이어와 연결되어 프레임(120)을 계량기(5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20)은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20)은 풀 코일 타입의 안테나(110)를 배치하기 위한 안테나 홈(121)이 일 영역에 형성되고, 배면에는 금속필름(108)이 부착될 수 있다. 안테나(110)의 형태가 도 2의 (c)에 도시된 풀 코일 타입인 경우, 프레임(120)에 장착 시, 프레임(120)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고, 풀 코일 타입의 안테나(110)가 프레임(120)에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안테나 홈(121)을 형성할 수 있다. 풀 코일 타입의 안테나(110)는 안테나 홈(121)에 삽입된 후, 파라핀, 실리콘 및 기타 본딩액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금속필름(108)은 프레임(120)에 배치되는 안테나(110)의 임피던스 변화를 차단하기 위해, 프레임(120)의 배면에 부착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전기, 가스, 및 유류를 검침하는 구형 미터기는 케이스가 금속 재질인 경우가 많은데, 케이스가 금속 재질인 경우, 프레임(120)과 이웃하게 배치될 때, 프레임(120)에 배치되는 안테나(110)의 임피던스가 영향을 받아 송수신 주파수 대역이 변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금속필름(108)을 프레임(120)의 배면에 부착하여 프레임(120)과 타 금속(예컨대 미터기의 철제 케이스)와 아이솔레이션 시킴으로써 프레임(120)이 금속 재질의 케이스에 부착되거나 또는 프레임(120)이 플라스틱(또는 유리) 재질의 케이스에 부착될 때에도 안테나(110)의 임피던스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20)의 배면에는 접착 부재(170)가 부착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금속필름(108)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속필름(108)은 안테나 홈(121)이 프레임(120)의 배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며, 접착 부재(170) 대비 두께가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가 계량기(50)에 부착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은 전기를 계량하는 계량기(50)에 원격검침 장치(100)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계량기(50)의 계기판(51)에 카메라(101)가 마주하도록 원격검침 장치(100)를 부착하고 있다. 이때, 계량기(50)의 일 측면에는 플렉서블 케이블(110b)을 통해 보조 안테나(110a)와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계량기(50)의 케이스가 유리나 플라스틱인 경우, 보조 안테나(110a)에 의해 S1 방향, S2 방향 및 S3 방향 모두에 대해 안테나(110, 110a)가 마주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차량(10)에서 송출되는 RF 전파를 어느 방향에서든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8은 전자식 계량기(60)에 원격검침 장치(100)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에서, 원격검침 장치(100)는 전자식 계량기(60)의 계기판(61)을 향해 카메라(101)가 마주보도록 부착됨을 볼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전자식 계량기 또한 계기판(61)이 형성되는 정면 이외에 측면에도 도 7에 도시된 보조 안테나(110a)가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9는 가스 계량기(70)에 마련되는 계기판(71)에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가 부착됨을 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는 카메라(101)가 계기판(71)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카메라(101)는 투명영역(102)에 배치되므로 만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장치(100)가 차량(10)에 배치된 원격검침 시스템(200)에 영상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파손된 경우, 검침원이 투명영역을 통해 계기판(71)에 표시되는 계량값을 목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원격검침 장치 101 : 카메라
102 : 투명영역 110 : 안테나
120 : 프레임 130 : 영상 제어부
140 : 정류부 150 : 커패시터
170 : 접착 부재

Claims (11)

  1.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 영역에 투명 영역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나선형 형상의 입체 구조로 형성된 안테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전송되는 RF 전파를 축적하여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전원을 축적하는 커패시터;
    상기 투명 영역에 마련되며, 계량기의 계기판을 향해 촬상 방향이 설정되고, 상기 축적된 구동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카메라;
    상기 축적된 구동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의 영상신호에 장치 식별자를 부가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영상 제어부; 및
    상기 계량기와 상기 프레임이 이웃하는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영상 제어부와 케이블 연결되며 상기 계량기에서 상기 안테나가 위치하는 면과 상이한 타 면에 배치되는 보조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나선형 형상의 입체 구조로 형성된 안테나를 배치하기 위한 안테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안테나의 임피던스 변화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필름이 상기 접착 부재 보다 얇게 형성되며,
    통신 기능이 없는 계량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항의 원격검침 장치로 RF 전파를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원격검침 장치가 상기 RF 전파를 이용하여 구동 전원을 생성 및 축적 후, 작동되어 상기 영상신호 및 장치 식별자를 송출 시, 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정렬 및 저장하는 검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침정보 처리부는,
    상기 원격검침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자 맵을 구비하며,
    상기 원격검침 장치가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원격검침 장치의 위치를 상기 전자 맵에 표시하여 미검침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장치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F부는,
    차량, 항공기 및 선박 중 어느 하나의 이동 수단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장치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F부는,
    상기 RF 전파를 송출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제2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 장치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11. 삭제
KR1020140052087A 2014-04-30 2014-04-30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1711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087A KR101711146B1 (ko) 2014-04-30 2014-04-30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PCT/KR2015/003512 WO2015167139A1 (ko) 2014-04-30 2015-04-08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087A KR101711146B1 (ko) 2014-04-30 2014-04-30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77A KR20150125177A (ko) 2015-11-09
KR101711146B1 true KR101711146B1 (ko) 2017-02-28

Family

ID=5435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087A KR101711146B1 (ko) 2014-04-30 2014-04-30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1146B1 (ko)
WO (1) WO201516713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942B1 (ko) * 2005-10-05 2007-08-08 주식회사 삼광산전 계량 이미지정보의 무선전송을 이용한 계량기의 원격검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078B1 (ko) * 1999-12-21 2002-12-12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적산 계량기의 무선 원격 검침시스템 및 무선 원격 검침방법
JP2001222785A (ja) * 2000-02-07 2001-08-17 Toyo Tekku Kk 無線検針システム
JP2004117169A (ja) * 2002-09-26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検針装置
KR20030036288A (ko) * 2003-02-18 2003-05-09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Ir 또는 rf방식의 휴대용 리모콘을 이용한 선불제 계량기 및 시스템
KR20110103605A (ko) * 2010-03-15 2011-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기에 의해 충전 가능한 3d 안경 및 그 원격 제어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JP5993598B2 (ja) * 2012-03-30 2016-09-14 東洋計器株式会社 ハンディ無線検針システムの一斉検針方法
KR101367196B1 (ko) * 2013-11-29 2014-02-26 주식회사 에보시스 상황인지 기반 무선충전형 스마트 cctv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942B1 (ko) * 2005-10-05 2007-08-08 주식회사 삼광산전 계량 이미지정보의 무선전송을 이용한 계량기의 원격검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7139A1 (ko) 2015-11-05
KR20150125177A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67245B (zh) 便携式应答器输入输出特性测试仪及测试方法
CN107358291B (zh) 一种具有高测试灵敏度的电子标签
KR20080097398A (ko) 유량계용 원격 판독장치
CN202838371U (zh) 用于地下设施的身份识别和工作状态判断/状态信息采集的系统
US20210098906A1 (en) Sensor device for an electrical terminal arrangement, electrical terminal arrangement, electrical terminal block, switchgear cabinet and read-out device
JP6439147B2 (ja) 流量計測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04090263A (zh) 基于rfid技术的定位方法、系统
US6262685B1 (en) Passive radiator
CN103267901B (zh) 一种电磁波强度检测装置及方法
CN110139209A (zh) 一种用于5g通信优化的车载模块
US11463791B2 (en) Communication module for capturing consumption data from a meter
CN203433119U (zh) 一种基于北斗与近距离无线通讯的巡线定位装置
KR101711146B1 (ko) 원격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CN202916883U (zh) 基于gps和rfid的电力设备巡检系统
CN104539378B (zh) 具有自检功能的天线系统
CN104391143A (zh) 一种智能电表计量箱系统
CN200976252Y (zh) 手持式自动播报多媒体导游机
CN202475485U (zh) 太阳能物联网系统
CN211085491U (zh) 一种电容器的测温装置
CN208998946U (zh) 一种集成式温度传感射频同轴漏泄电缆
US20090201171A1 (en) Small in-home utility services display device
CN202196422U (zh) 便携式无源近场电子感应装置
CN207010676U (zh) 一种nfc通信装置
CN113093103A (zh) 水下机器人定位检测方法及系统
US20140320665A1 (en) System for reading a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