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797B1 -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797B1
KR101710797B1 KR1020150125653A KR20150125653A KR101710797B1 KR 101710797 B1 KR101710797 B1 KR 101710797B1 KR 1020150125653 A KR1020150125653 A KR 1020150125653A KR 20150125653 A KR20150125653 A KR 20150125653A KR 101710797 B1 KR101710797 B1 KR 101710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ixing
frame
sadd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윤준찬
Original Assignee
윤일식
윤준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윤준찬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15012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6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vehicle front or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2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means for gripping the cycle by the handlebars or by the upper part of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를 거꾸로 하여 안전하게 고정하고 운반하기 위한 차량용 자전거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기초프레임(10), 안장거치대(30), 지지대(20), 핸들고정대(40), 고정끈(50) 및 안장고정끈(60)으로 이루어지고, 차량에 자전거 거치대를 설치한 뒤, 자전거를 거꾸로 하여 자전거 거치대에 안정되게 고정하여 차량으로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Bicycle Carri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전거를 거꾸로 하여 안전하게 고정하고 운반하기 위한 차량용 자전거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의 2015년 1월 12일 출원되어 2015년 8월 28일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0168호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의 설치례의 측면도이다.
이 자전거 캐리어는 자전거를 설치하는 차량의 종류별로 그 규격에 맞게 자전거 캐리어의 각도를 먼저 조정해야만 하고, 자전거의 종류에 따라서는 캐리어에 자전거를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위 발명의 자전거 캐리어에 설치할 수 없는 자전거의 일례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이 없는 종류의 자전거는 위 자전거 캐리어에 설치할 수 없다. 그 외에도 자전거 프레임이 특히 두껍거나 다른 특수한 형태의 자전거는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자전거 캐리어는 부품수가 많아 제작비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제작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종래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의 이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어떤 종류의 자전거든 자전거 핸들과 안장만 있으면 각도조정과 같은 사전 조작 없이도 자전거 핸들과 안장 부분만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자전거를 어떤 종류의 차량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종래의 자전거 캐리어보다 부품수를 대폭 줄여 제작비를 크게 절감함은 물론, 제작도 용이하고 차량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차량에 자전거를 싣고 운반하기 위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U형 형상을 이루고, 단면이 원통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면지지봉(12)과 측면지지봉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부지지봉(14)으로 구성되는 기초프레임(10);
상기 기초프레임(10)의 2개 측면지지봉(12)에 끼워져 미끄럼 가능한 2개의 미끄럼봉(32)과 양쪽 미끄럼봉 위에 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가로지지봉(34)으로 이루어진 안장거치대(30);
측면에서 보아 역 L 형상을 이루고, 상기 기초프레임(10)의 2개의 측면지지봉(12)에 미끄럼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보아 U형 형상인 수평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22)의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정면에서 보아 U형 형상이며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대(24)와,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가로대 부분에 각각 삽입되어 자동차의 표면에 맞닿아 완충작용하는 2개의 완충재(26,28)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
상기 기초프레임(10)의 단부에 삽입되는 2개의 세로봉(42)과, 2개의 세로봉(42)의 단부에 직각으로 설치되고 고정파이프의 양쪽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로봉(44)과, 상기 가로봉(44)의 양쪽 돌출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전거 핸들을 고정하는 2개의 핸들고정구(46)로 이루어지는 핸들고정대(40);
상기 핸들고정대의 가로봉(44) 양단부와 지지대(20)의 수직지지대(24)에 연결되고, 차량의 원하는 곳에 결합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3개의 고정끈(50;52,53,54); 및
상기 안장거치대(30)의 양쪽 미끄럼봉에 연결되고, 길이조정이 가능하며, 자전거 안장을 결합상태로 조이기 위한 안장고정끈(60);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고정끈(50)을 차량에 고정하여 단단히 조인 뒤, 자전거(100)를 거꾸로 하여 자전거의 양쪽 핸들(120)을 핸들고정대(40)의 양쪽 핸들고정구(46)에 각각 고정하고, 자전거의 안장(130)을 안장거치대(30)에 장착한 뒤 안장고정끈(60)으로 안장을 고정함으로써, 차량에 자전거를 안전하게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에서, 안장거치대(30)의 양쪽 미끄럼봉(32) 중의 어느 한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의 스틱(72)과, 스틱(7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경사프레임(140)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구(74)로 이루어지는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를 더 포함하여, 설치된 상태의 자전거(100)의 경사프레임(140)을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양쪽 미끄럼봉(32)의 다른 한쪽에 상기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와 구조는 동일하고 배치는 대칭으로 되는 제2의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를 더 설치하고, 설치된 상태의 자전거(100)의 경사프레임(140)을 2개의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로 고정하도록 하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자전거캐리어에 의하면, 어떤 종류의 어떤 형태의 자전거도 자전거 핸들과 안장만 있으면 각도조정과 같은 사전 조작 없이도 자전거 핸들과 안장 부분만을 고정할 수 있어, 거의 모든 종류의 자전거를 어떤 종류의 차량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종래의 자전거 캐리어보다 부품수를 대폭 줄여 제작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제작과 설치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의 설치례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자전거 캐리어에 설치할 수 없는 자전거의 일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에 자전거를 적치하기 직전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자전거 캐리어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자전거가 결합된 상태의 자전거 캐리어의 사시도;
도 6은 왜건형 차량에 본 발명의 자전거 캐리어를 이용해 자전거를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밴형 차량에 설치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자전거프레임 고정대가 하나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캐리어에 자전거를 적치하기 직전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자전거 캐리어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자전거 캐리어에 자전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는 기초프레임(10), 안장거치대(30), 지지대(20), 핸들고정대(40), 고정끈(50) 및 안장고정끈(60)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프레임(10)은 평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U형 형상을 이루고, 단면이 원통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면지지봉(12)과 측면지지봉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부지지봉(14)으로 구성된다.
안장거치대(30)는 기초프레임(10)의 2개 측면지지봉(12)에 끼워져 미끄럼 가능한 2개의 미끄럼봉(32)과 양쪽 미끄럼봉 위에 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가로지지봉(34)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 보듯이, 안장거치대(30)는 화살표(B) 방향으로 양쪽으로 움직일 수 있어, 자전거의 핸들과 안장 사이의 간격에 맞게 안장거치대(30)를 적절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적절한 고정구(예; 나사형 고정구)를 사용해 안장거치대(30)를 기초프레임(10)의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는 측면에서 보아 역 L 형상을 이루고, 기초프레임(10)의 2개의 측면지지봉(12)에 미끄럼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보아 U형 형상인 수평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22)의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정면에서 보아 U형 형상이며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대(24)와,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가로대 부분에 각각 삽입되어 자동차의 표면에 맞닿아 완충작용하는 2개의 완충재(26,28)로 이루어진다. 지지대(20) 역시 화살표(A)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사용하는 차량의 종류와 규격에 맞게 적절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5에 자세히 도시된 핸들고정대(40)는 기초프레임(10)의 단부에 삽입되는 2개의 세로봉(42)과, 2개의 세로봉(42)의 단부에 직각으로 설치되고 고정파이프의 양쪽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로봉(44)과, 가로봉(44)의 양쪽 돌출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전거 핸들을 고정하는 2개의 핸들고정구(46)로 이루어진다. 핸들고정구(46)를 화살표(C)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고정되는 자전거의 핸들에 맞는 위치로 적절하게 핸들고정구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핸들고정구(46)에 거꾸로 배치된 자전거의 핸들을 배치하고 고정할 수 있고, 그 고정 구조는 클립, 벨크로테잎, 걸쇠 등의 어떤 기구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런 고정기구는 당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3의 1점 쇄선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자전거 캐리어에 자전거를 거꾸로 하여 설치한 다음, 자전거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끈들을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개의 고정끈(50; 52,53,54)를 핸들고정대의 가로봉(44) 양단부와 지지대(20)의 수직지지대(24)에 연결하고, 차량의 원하는 곳에 결합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안장거치대(30)의 양쪽 미끄럼봉에 안장고정끈(60)을 연결하는데, 이 안장고정끈은 길이조정이 가능하며, 도 3과 같이 설치되는 자전거의 안장을 결합상태로 조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전거 캐리어에 자전거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00)를 거꾸로 하여 자전거의 양쪽 핸들(120)을 핸들고정대(40)의 양쪽 핸들고정구(46)에 각각 고정하고, 자전거의 안장(130)을 안장거치대(30)에 장착한 뒤 안장고정끈(60)으로 안장을 고정함으로써, 자전거 캐리어에 자전거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안장고정끈(60)은 2개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왜건형 차량에 본 발명의 자전거 캐리어를 이용해 자전거를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끈(52)을 차량 트렁크 도어의 상연부에 고정하고, 나머지 고정끈(54)을 트렁크 도어의 하연부에 고정하면, 완충재(28)가 차량 표면에 맞닿아 지지되어, 자전거 캐리어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자전거 캐리어에 자전거를 고정하면 차량을 이용해 안전하게 자전거를 운반할 수 있다.
도 7은 밴형 차량에 설치한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도 6과의 차이점은 완충재(28) 외에도 완충재(26)가 차량 표면에 맞닿아 자전거캐리어를 지지한다는 것이다.
또,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안장거치대(30)의 양쪽 미끄럼봉(32)에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면 더 바람직하다.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의 스틱(72)과, 스틱(7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경사프레임(140)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구(74)로 이루어지며, 설치된 상태의 자전거(100)의 경사프레임(140)을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로 고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가 2개로서, 양쪽에서 자전거의 경사프레임(140)을 고정한다. 물론 양쪽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는 대칭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는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이런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프레임고정구(74)가 자전거의 경사프레임(140)을 완전히 감싸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한다. 이런 프레임고정구의 자세한 구조는 당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필요하다면 전술한 고정끈들을 자전거 캐리어의 다른 부분에 설치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Claims (3)

  1. 차량에 자전거를 싣고 운반하기 위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U형 형상을 이루고, 단면이 원통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면지지봉(12)과 측면지지봉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부지지봉(14)으로 구성되는 기초프레임(10);
    상기 기초프레임(10)의 2개 측면지지봉(12)에 끼워져 미끄럼 가능한 2개의 미끄럼봉(32)과 양쪽 미끄럼봉 위에 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가로지지봉(34)으로 이루어진 안장거치대(30);
    측면에서 보아 역 L 형상을 이루고, 상기 기초프레임(10)의 2개의 측면지지봉(12)에 미끄럼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보아 U형 형상인 수평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22)의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정면에서 보아 U형 형상이며 원통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대(24)와,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가로대 부분에 각각 삽입되어 자동차의 표면에 맞닿아 완충작용하는 2개의 완충재(26,28)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
    상기 기초프레임(10)의 단부에 삽입되는 2개의 세로봉(42)과, 2개의 세로봉(42)의 단부에 직각으로 설치되고 고정파이프의 양쪽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로봉(44)과, 상기 가로봉(44)의 양쪽 돌출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전거 핸들을 고정하는 2개의 핸들고정구(46)로 이루어지는 핸들고정대(40);
    상기 핸들고정대의 가로봉(44) 양단부와 지지대(20)의 수직지지대(24)에 연결되고, 차량의 원하는 곳에 결합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3개의 고정끈(50;52,53,54); 및
    상기 안장거치대(30)의 양쪽 미끄럼봉에 연결되고, 길이조정이 가능하며, 자전거 안장을 결합상태로 조이기 위한 안장고정끈(60);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고정끈(50; 52, 53, 54)을 차량에 고정하여 단단히 조인 뒤, 자전거(100)를 거꾸로 하여 자전거의 양쪽 핸들(120)을 핸들고정대(40)의 양쪽 핸들고정구(46)에 각각 고정하고, 자전거의 안장(130)을 안장거치대(30)에 장착한 뒤 안장고정끈(60)으로 안장을 고정함으로써, 차량에 자전거를 안전하게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거치대(30)의 양쪽 미끄럼봉(32) 중의 어느 한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의 스틱(72)과, 스틱(7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경사프레임(140)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구(74)로 이루어지는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를 더 포함하여, 설치된 상태의 자전거(100)의 경사프레임(140)을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미끄럼봉(32)의 다른 한쪽에 상기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와 구조는 동일하고 배치는 대칭으로 되는 제2의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를 더 설치하고, 설치된 상태의 자전거(100)의 경사프레임(140)을 2개의 자전거프레임 고정대(70)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20150125653A 2015-09-04 2015-09-04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1710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653A KR101710797B1 (ko) 2015-09-04 2015-09-04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653A KR101710797B1 (ko) 2015-09-04 2015-09-04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797B1 true KR101710797B1 (ko) 2017-02-27

Family

ID=5831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653A KR101710797B1 (ko) 2015-09-04 2015-09-04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328A (ko) 2022-08-23 2024-03-04 정선곤 자동차 루프 캐리어에 자전거 적재방법 및 상하 적재편리성 개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919A (en) * 1974-03-12 1976-01-13 Gerber Gary A Bicycle carrier for automobiles
KR101499468B1 (ko) * 2014-01-23 2015-03-06 허완 차량용 자전거 운반기구
KR101550168B1 (ko) * 2015-01-12 2015-09-03 윤일식 차량용 자전거캐리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919A (en) * 1974-03-12 1976-01-13 Gerber Gary A Bicycle carrier for automobiles
KR101499468B1 (ko) * 2014-01-23 2015-03-06 허완 차량용 자전거 운반기구
KR101550168B1 (ko) * 2015-01-12 2015-09-03 윤일식 차량용 자전거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328A (ko) 2022-08-23 2024-03-04 정선곤 자동차 루프 캐리어에 자전거 적재방법 및 상하 적재편리성 개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4307B2 (en) Vehicular rack having modular design with outside handle and quick release
JP6473947B2 (ja) 車両用多目的キャリア
US10246027B2 (en) Bicycle carrier for vehicle
ITTO20110800A1 (it) Dispositivo porta-biciclette per autoveicoli
ATE432867T1 (de) Sattelstangenträgervorrichtung
KR101710797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6752575B1 (en) Portable, scalably adjustable cargo securement apparatus
US9868485B2 (en) Support structures for mobility devices
TWI655024B (zh) 雪上滑行具
KR101499468B1 (ko) 차량용 자전거 운반기구
US20210078658A1 (en) Luggage Rack Wing
EP2426039A1 (de) Vorrichtung zur Mitnahme eines Gepäckstückes auf einem Zweirad
US20150217698A1 (en) Vehicle rack
US20210024157A1 (en) Luggage holder for a bicycle
KR20048055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WO2015057085A1 (en) A carrier for mounting to a vehicle
CN217672983U (zh) 结合于自行车上的货物架
CN203473080U (zh) 自行车座垫包的固定结构
CN208615986U (zh) 一种手拉车
RU60057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велосипеда к багажнику на крыше автомобиля
KR101278200B1 (ko) 다기능 카누
JP3002058U (ja) 自転車キャリヤ
TWM636699U (zh) 結合於自行車上之貨物架
KR200480045Y1 (ko) 차량용 승용완구 캐리어
WO2019116403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bicycles on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