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786B1 -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786B1
KR101710786B1 KR1020150073564A KR20150073564A KR101710786B1 KR 101710786 B1 KR101710786 B1 KR 101710786B1 KR 1020150073564 A KR1020150073564 A KR 1020150073564A KR 20150073564 A KR20150073564 A KR 20150073564A KR 101710786 B1 KR101710786 B1 KR 10171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winding amount
paper
woun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164A (ko
Inventor
김진관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5007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7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5Low-paper indication, i.e. indicating the state when copy material has been used up nearly or comple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는, 중공을 구비하는 지관에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인쇄용지수용부;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에 의해 상기 지관의 외측인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권출되어 상기 지관에 권취된 권취량이 상기 제1 권취량 보다 작은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지관의 외측인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장착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Printing paper residual quantity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용지의 잔량 계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커나 영수증 및 상표 등과 같은 라벨타입의 인쇄영역에 원하는 화상정보를 인쇄하여 공급하기 위한 소위 라벨 프린터는, 일명 영수 프린터 또는 미니 프린터라고도 불리우며, 예를 들어, 금전출납기나 라벨부착기, 영수증 발급기, 창구대기표 발급기 등에 적용된다.
이러한 프린터는 통상 원통형 지관 등에 롤 형태로 감긴 인쇄용지가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위 화상 형성영역에 따라 일정 스텝 단위로 공급되어 지속적으로 소요되므로, 인쇄용지의 소진 상태를 미리 검출하여 새로운 단위롤로 교체할 수 있도록 인쇄용지 소진 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쇄용지의 소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단위롤의 지관홀을 이용하여 접촉식으로 검출하거나,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인쇄용지의 흰색 부위를 감지함으로써 인쇄용지의 잔량을 센싱할 수 있는 비접촉식 검출장치가 이용되고 있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지관홀을 이용한 프린터의 인쇄용지 소진 검출장치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US 5,884,861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프린터의 인쇄용지 소진 검출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지관(2)에 롤 형태로 감긴 인쇄용지(1)가 일정 스텝 단위의 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프레임(10) 및 그 일측면에 대해 근접/이격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부재(20)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0)측으로 돌출된 제1검출돌기(21)와 제2검출돌기(22) 및 그 반대측으로 돌출된 스위치접촉돌기(23)가 상하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검출돌기(21)와 상기 제2검출돌기(22)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통하여 내외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의 참조부호 30은 상기 레버부재(20)의 회동시 스위치접촉돌기(23)와 상보적으로 작용하여 메인컨트롤러(미도시)에 소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주면에는 단차진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1)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롤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점차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용지(1)의 장착 초기에는 롤 직경이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레버부재(20)의 제1검출돌기(2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용지(1)의 일측단부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레버부재(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한다.
이로써, 상기 스위치접촉돌기(23)가 리미트 스위치(30)를 가압하여 스위치 오프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예를 들어, 메인컨트롤러는 인쇄용지의 정상상태를 인식하여 프린터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용지(1)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롤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진 상태에 이르게 되면, 인쇄용지(1)가 메인프레임(10)의 하방으로 점차 하강하여 상기 제1검출돌기(21)가 그 간섭으로부터 해제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제2검출돌기(22)는 상기 인쇄용지(1)를 지지하는 원통형 지관(2)의 중공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20)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측에 근접되도록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부재(20)의 스위치접촉돌기(23)가 리미트 스위치(30)를 작동시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인쇄용지(1)의 잔량 또는 그 소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프린터의 인쇄용지 소진 검출장치에 따르면, 제1검출돌기(21) 또는 제2 검출돌기(22)가 인쇄용지(1)를 권회시키기 위한 지관(2)의 중공홀에 삽입됨으로써 인쇄용지(1)의 잔량 또는 그 소진 상태를 검출하므로, 지관이 파손된 경우 정확한 인쇄용지(1)의 잔량 또는 그 소진 상태를 검출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1 검출돌기(21)와 제2 검출돌기(22)의 위치가 고정식이므로,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알람 시점, 다시 말해서,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잔량 알람 설정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프린터의 인쇄용지 소진 검출장치는 지관이 파손된 경우에 정확한 잔량 상태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 및 인쇄용지 잔량 알람 시점을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용지가 권취되는 지관이 파손되는 경우라도 인쇄용지의 잔량 또는 그 소진 상태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고, 잔량 알람 시점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는, 중공을 구비하는 지관에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인쇄용지수용부;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에 의해 상기 지관의 외측인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권출되어 상기 지관에 권취된 권취량이 상기 제1 권취량 보다 작은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지관의 외측인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장착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의 권취되어 형성되는 측면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의 권취되어 형성되는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지관에 상기 제2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와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권취량과 상기 제2 권취량 사이에서 권취량이 변화되는 인쇄용지와 서로 접촉되는 지점인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인쇄용지의 회전 중심축의 이동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가 서로 접촉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의 회전 중심축까지의 직선 거리가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의 반경보다 더 작거나 같은 경우에 해당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는, 상기 위치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위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인쇄용지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기초하여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인쇄용지의 회전 중심축의 이동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기 위한 상기 제2 권취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는,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오픈 여부를 조절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수용되기 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오픈되면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는, 상기 커버부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오픈되는 경우 상기 외력을 제공받아 상기 위치이동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외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중공의 외측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에 의하면, 인쇄용지가 권취되는 지관이 파손되는 경우라도 인쇄용지의 잔량 또는 그 소진 상태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잔량 알람 시점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프린터의 인쇄용지 소진 검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커버부가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 측면도.
도 5는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도 6은 커버부가 닫힌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 측면도.
도 8은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도 9는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수용되고 커버부가 닫힌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 측면도.
도 11은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도 12는 인쇄용지가 제1 권취량에서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된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D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 측면도.
도 14는 인쇄용지가 제1 권취량에서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된 경우 위치이동부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에 제공되는 위치이동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커버부가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100)는 탁상용 또는 벽걸이용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린터(미도시)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 소정의 내부공간(S)을 제공하는 인쇄용지수용부(110),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위치이동부(120) 및 상기 위치이동부(120)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100)를 구성하는 일종의 프레임으로, 수용되는 인쇄용지와 대응되는 내부공간(S)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은 한 쌍의 측벽부(112)와 대략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바닥부(114)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에는 상기 내부공간(S)의 오픈 여부를 조절하는 커버부(미도시)가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편의상 커버부를 구성하는 커버프레임(140)만을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커버부는 커버프레임(140)에 대략 라운드진 판 형상의 커버플레이트가 장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커버프레임(140)의 회전, 즉, 커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을 노출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프레임(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을 노출시키는 경우는 인쇄용지가 다 소진되어 새로운 인쇄용지로 교체하는 상황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을 폐쇄시키는 경우는 프린터가 동작하는 상황일 수 있다.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된 인쇄용지가 권출되어 권취량이 감소하는 경우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11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축(R) 상에 장착되어 상기 위치이동부(120)와 연결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의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특정 위치에 자동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이동부(120)의 위치 이동은 커버부의 회전의 의한 외력전달부(150)의 외력 전달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20)의 위치 이동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위치이동부(120)의 위치 이동은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130)는 일종의 공지의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0)는 상기 위치이동부(120)가 위치 이동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은 알람, 디스플레이에의 표시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출력을 통해 인쇄용지의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커버부가 닫힌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수용되고 커버부가 닫힌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C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인쇄용지가 제1 권취량에서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된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D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개략 측면도이고, 도 14는 인쇄용지가 제1 권취량에서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된 경우 위치이동부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100)는 커버프레임(140)의 회전에 의해 내부공간(S)을 노출시킨 후 상기 내부공간(S)에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를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커버부, 즉, 상기 커버프레임(140)의 회전에 의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부공간(S)을 오픈시키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위치이며, 상기 제2 위치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상기 인쇄용지(P)가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에 수용되기 전, 즉, 상기 커버부가 회전되기 전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이 오픈되면 상기 커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20)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은 커버부의 회전에 의해 외력전달부(150)에 외력(F1)이 전달되고, 상기 외력(F1)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150)는 위치 이동되며, 상기 외력전달부(15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외력(F1)이 위치이동부(120)에 전달(F2)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의 회전, 즉, 상기 커버프레임(140)의 회전에 의한 외력전달부(150)로의 외력(F1) 전달은 미도시하였으나 커버프레임(14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커버프레임(140)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50)는 인쇄용지수용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축 상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이동부(12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 위치이동부(120)의 회전축(R)에 장착되는 탄성부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커버부의 회전에 의해 내부공간(S)이 폐쇄되어 상기 외력전달부(150)로의 외력(F1)이 제거되면 위치이동부(120)의 회전축(R)에 장착되는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상기 인쇄용지(P)가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에 수용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에 의해 제1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부가 회전되어 내부공간(S)이 노출된 후 중공을 구비하는 지관(T)에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이동부(120)는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위치이동부(120)가 상기 내부공간(S)으로 돌출되지 않거나 돌출되더라도 미비한 정도이므로, 노출된 내부공간(S)에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를 투입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한편, 커버부는 다시 회전되어 도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S)을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회전축(R)에 장착되는 탄성부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지관(T)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에 의해 상기 지관(T)의 외측인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위치이동부(120)와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P)가 서로 접촉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P)의 회전 중심축까지의 직선 거리가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의 반경보다 더 작거나 같은 경우에 해당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위치이동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황은 위치이동부(120)가 인쇄용지(P)의 측면과 접촉되는 상황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권취량은 위치이동부(120)와 인쇄용지(P)가 서로 접촉될 수 있는 권취량일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지관(T)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인쇄용지(P)에 의한 가압력은 상기 지관(T)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의 권취되어 형성되는 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인쇄용지수용부(110)의 측벽부(112)에 형성된 관통홀(H1)을 관통하여 내부공간(S)을 향하여 배치되는 돌출부(122) 및 상기 돌출부(122)의 위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부(122)와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4)는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에 회전축(R)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R)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4) 및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회전축(R)에 장착되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려고 하나,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2)가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의 권취되어 형성되는 측면과 접촉되게 되어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지관(T)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가 권출되어 상기 지관(T)에 권취된 권취량이 상기 제1 권취량 보다 작은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지관의 외측인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지관(T)에 상기 제2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와 비접촉되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권취량은 상기 인쇄용지(P)가 상기 제1 위치의 내측에 위치하는 권취량일 수 있으며, 상기 인쇄용지(P)의 권취량이 제2 권취량이 되면 상기 돌출부(122)와 접촉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회전축(R)에 장착되는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지관(T)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보다 내부공간(S)을 향하여 더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부(122)는 연결부(124)의 회전에 기초하여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인쇄용지(P)의 권취량 감소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 지관(T)의 중공의 외측에서 위치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관(T)의 파손된 경우라도 위치 이동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이동부(120)는 제1 권취량과 제2 권취량 사이에서 권취량이 변화되는 인쇄용지(P)와 서로 접촉되는 지점인 제3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는 도 1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관(T)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인쇄용지(P)의 회전 중심축의 이동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이동부(120)의 돌출부(122)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용지(P)는 제1 권취량에서 제2 권취량으로 권취량이 감소하면 회전 중심축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22)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기 전 도 14의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위치로 위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인쇄용지(P)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도 달라지게 된다.
결국,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인쇄용지(P)의 측면과 접촉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회전축(R)에 장착되는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122)의 위치 이동은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게 된다.
상기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출력을 토대로 사용자는 인쇄용지(P)의 잔량을 예측하여 인쇄용지(P)의 교체 시기를 예측하게 된다.
한편, 위치이동부(120)의 회전축(R)은 인쇄용지(P)의 권취량 감소에 따른 회전 중심축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112)에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H1)의 방향도 상기 인쇄용지(P)의 권취량 감소에 따른 회전 중심축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이동부(12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도 상기 회전 중심축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위치이동부(120)의 돌출부(122)는 상기 인쇄용지수용부(110)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P)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인쇄용지(P)의 회전 중심축의 이동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22)는 연결부(124)의 양측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100)가 적용되는 프린터가 탁상용인 경우 또는 벽걸이용인 경우 모두에 인쇄용지(P)의 잔량을 계측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에 제공되는 위치이동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를 참조하면, 위치이동부(220)는 연결부(224) 및 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22)는 상기 연결부(224)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2)의 위치 이동은 상기 돌출부(22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기 위한 인쇄용지(P)의 제2 권취량을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인쇄용지(P)의 잔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용지(P)의 교체 시기를 충분한 시간을 두고 알고 싶은 경우, 돌출부()를 E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하면, 제2 권취량을 기존보다 늘려 위치이동부(22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10: 인쇄용지 수용부
120: 위치이동부
130: 감지부

Claims (19)

  1. 탁상용 또는 벽걸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프린터에 적용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에 있어서,
    중공을 구비하는 지관에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수용되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인쇄용지수용부;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의 측면에 의해 상기 측면 측인 제1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권출되어 상기 지관에 권취된 권취량이 상기 제1 권취량 보다 작은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장착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배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위치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상기 인쇄용지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린터가 상기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또는 상기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따른 인쇄용지수용부의 배치에 따라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인쇄용지의 회전 중심축의 이동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프린터가 상기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의 최외측면 측인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돌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프린터가 상기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의 최외측면 측인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의 권취되어 형성되는 측면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의 권취되어 형성되는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지관에 상기 제2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와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권취량과 상기 제2 권취량 사이에서 권취량이 변화되는 인쇄용지와 서로 접촉되는 지점인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인쇄용지의 회전 중심축의 이동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가 서로 접촉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의 회전 중심축까지의 직선 거리가 상기 제1 권취량에서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인쇄용지의 반경보다 더 작거나 같은 경우에 해당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지관에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인쇄용지가 상기 제2 권취량으로 변화되는 경우,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기초하여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기 위한 상기 제2 권취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오픈 여부를 조절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외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권취량으로 권취된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수용되기 전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오픈되면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오픈되는 경우 상기 외력을 제공받아 상기 위치이동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인쇄용지수용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외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중공의 외측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KR1020150073564A 2015-05-27 2015-05-27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KR10171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564A KR101710786B1 (ko) 2015-05-27 2015-05-27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564A KR101710786B1 (ko) 2015-05-27 2015-05-27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164A KR20160139164A (ko) 2016-12-07
KR101710786B1 true KR101710786B1 (ko) 2017-03-03

Family

ID=5757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564A KR101710786B1 (ko) 2015-05-27 2015-05-27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6677B (zh) * 2024-01-31 2024-05-14 珠海恒烨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打印纸将尽侦测结构及打印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059A (ja) * 2003-02-28 2004-09-24 Seiko Epson Corp ロール紙装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2011042484A (ja) * 2009-08-24 2011-03-03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ー
JP4835137B2 (ja) * 2005-12-09 2011-1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059A (ja) * 2003-02-28 2004-09-24 Seiko Epson Corp ロール紙装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4835137B2 (ja) * 2005-12-09 2011-1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1042484A (ja) * 2009-08-24 2011-03-03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164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559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10737519B2 (en) Ribbon cassette including ink ribbon, first spool, and second spool
US20090152795A1 (en) Compact low paper sensor mechanism
KR20040101049A (ko) 열전사 프린터
KR101710786B1 (ko) 인쇄용지 잔량 계측 장치
US5204726A (en) Copying paper feed sensing device for a copying apparatus
TW201600351A (zh) 帶印刷裝置及帶印刷系統
EP1172319B1 (en) Apparatus of a printer for detecting termination of printing medium
CN101905824B (zh) 辊卷状记录介质的近端检测装置及打印机
US66655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cleaning sheet for cleaning a peripheral surface of a heat roller
KR102701215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KR100452552B1 (ko)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GB2179917A (en) Ribbon cassette for a typewriter or other printing machines
US2021038243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98995B1 (ko) 와이어 위치 감지장치
JP2011042484A (ja) プリンター
KR100233119B1 (ko) 급지 카세트의 용지 잔량 검출장치
KR20210101867A (ko) 인쇄 장치
KR0174118B1 (ko)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페이퍼 교체시기 감지장치
KR200190153Y1 (ko)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롤용지 잔량 감지장치
JP2002193511A (ja) プリンタの給紙装置
KR100426172B1 (ko) 프린터의 용지잔량 검출장치
JP2017013945A (ja) 媒体幅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190154Y1 (ko)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롤용지 잔량 표시장치
JP2002193486A (ja) プリンタにおける紙面高さ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