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762B1 - 책상가변형 의자 - Google Patents

책상가변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762B1
KR101710762B1 KR1020140187487A KR20140187487A KR101710762B1 KR 101710762 B1 KR101710762 B1 KR 101710762B1 KR 1020140187487 A KR1020140187487 A KR 1020140187487A KR 20140187487 A KR20140187487 A KR 20140187487A KR 101710762 B1 KR101710762 B1 KR 10171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frame
rotating bod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886A (ko
Inventor
김성기
박철현
노경우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7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4Tables convertible into chairs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가변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의자로 사용하다가 간편하게 책상으로 가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책상가변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수 있는 판 형태의 등받이부(100); 상기 등받이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경첩(202)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판 형태의 시트부(200); 상기 등받이부(100)가 지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31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10)과 연결되고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프레임(330)과, 상기 팔걸이프레임(320)과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시트프레임(340)과, 상기 팔걸이프레임(330)과 시트프레임(340)을 동시에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시트수직프레임(350)이 구비되는 프레임몸체부(300);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등받이부(100)에 고정되는 등받이회전부(400); 및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에 고정되는 시트회전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책상가변형 의자{A CHAIR HAVING A VARIABLE DESK}
본 발명은 책상가변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의자로 사용하다가 간편하게 책상으로 가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책상가변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복잡하고 다양화됨으로 생활의 리듬이 신속해지고 생활환경이 날로 협소해짐에 따라 가구에 대한 의미와 사용범위는 점차 광범위해지고 있다.
최근에 가구는 소유하여 사용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서 어떻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와, 시각적으로도 미려하도록 하여 실내의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즉, 가구는 한정된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유효절적하게 이용되어지도록 하면서 각개인의 개성, 생활방식과 기능 및 공간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용도성, 경제성, 심미성, 합리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고 다기능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구의 형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공간 내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는 다기능 가구는 사용 및 활용뿐만 아니라, 그 가구를 이동 운반하여 설치하는 부분까지도 고려해야하고, 가구의 원활한 이동과 설치 및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다양한 기능 및 새로운 공간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는 가구가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가구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가 어려웠고, 다기능 가구의 경우, 그 조립 설치 및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기능 가구의 경우 기능을 변경하기가 복잡하고, 외관상 미려하지 않아 공간 분위기를 연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다기능 가구의 경우 기능을 다변화 가능하지만,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변형될 경우, 그 변형된 가구의 본연의 기능을 온전히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28613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조립 설치가 용이한 책상가변형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공간 분위기 연출이 되도록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사용 용도에 따른 의자에서 책상으로 또는 책상에서 의자로의 가변이 용이한 책상가변형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의자 상태에서 의자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고, 책상 상태에서 책상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물건을 수납 및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책상가변형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수 있는 판 형태의 등받이부(100); 상기 등받이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경첩(202)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판 형태의 시트부(200); 상기 등받이부(100)가 지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31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10)과 연결되고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프레임(330)과, 상기 팔걸이프레임(320)과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시트프레임(340)과, 상기 팔걸이프레임(330)과 시트프레임(340)을 동시에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시트수직프레임(350)이 구비되는 프레임몸체부(300);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등받이부(100)에 고정되는 등받이회전부(400); 및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에 고정되는 시트회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부(100)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기 등받이회전부(40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부(100) 상에서 유동되면서 물건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110)과, 상기 등받이부(100)에 형성되어 상기 서랍(110)이 슬라이딩 되면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레일(120)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축으로 회전되는 방사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등받이회전몸체(410)와,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고정 또는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탄성체(420)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회전 및 유동될 수 있도록 등받이회전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홈(412)과, 상기 슬릿홈(412)에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100)의 고정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등받이탄성체(420)의 가압에 의해 진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요홈(414)과,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사용자가 손을 진입시켜 상기 등받이탄성체(4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에 천공형성되는 등받이조작홀(416)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탄성체(420)는,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에 지지고정되는 등받이스프링(422)과, 상기 등받이스프링(422)에 탄성 지지되는 'ㄹ' 형태의 등받이탄성편(424)과, 상기 등받이탄성편(424)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고정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상기 고정요홈(414)에 수용된 채로 고정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유동 및 회전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이격되는 가압날개(426)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2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프레임(340)을 축으로 회전되는 방사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시트회전몸체(510)와,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 또는 이격되어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시트탄성체(52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회전몸체(510)는,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시트회전몸체(510)에 천공되는 회전홈(512)과, 상기 회전홈(512)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천공되어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홀(514)과,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사용자가 손을 진입시켜 상기 시트탄성체(5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에 천공형성되는 시트조작홀(516)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탄성체(520)는,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에 지지고정되는 시트스프링(522)과, 상기 시트스프링(522)에 탄성 지지되는 'ㄹ' 형태의 시트탄성편(524)과, 상기 시트탄성편(524)에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시트페레임(340)에 밀착되어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시 상기 이탈홀(514)을 개방하는 밀착날개(526)를 포함한다.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은,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에 탈착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쿠션(332)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몸체부(300)는,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시트수직프레임(350)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팔걸이프레임(3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시트수직프레임(350)의 지지력을 보조하는 수평지지프레임(3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조립 설치가 간편하여 그 사용이 용이한 사용사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공간 분위기 연출이 되도록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사용 용도에 따른 의자에서 책상으로 또는 책상에서 의자로의 가변이 용이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의자 상태에서 의자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고, 책상 상태에서 책상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물건을 수납 및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활용도가 탁월한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가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요부확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다른 요부확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의자로 사용하다가 간편하게 책상으로 가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책상가변형 의자 [특히, 등받이회전부, 시트회전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가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100)와, 상기 등받이부(100)와 경첩(202)에 의해 연결되고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부(200)와, 상기 등받이부(100)와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프레임몸체부(300)와, 상기 등받이부(100)가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될 수 잇도록 하는 등받이회전부(400)와, 상기 시트부(200)가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시트회전부(500)를 포함한다.
의자의 용도로 사용시에 상기 등받이부(100)는, 수직 또는 경사각을 갖으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등을 기댈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등받이부(10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나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나 발포폼 등의 쿠션으로 활용가능한 재질이 외피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책상의 용도로 사용시에 상기 등받이부(100)는,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를 통해 상기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되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을 지지하거나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판 형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시트부(200)는, 상기 등받이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경첩(202)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1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의자의 용도로 사용시에 상기 시트부(20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시트부(20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나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나 발포폼 등의 쿠션으로 활용가능한 재질이 외피를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책상의 용도로 사용시에 상기 등받이부(100)는 상기 시트회전부(500)에 의해 상기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되면서 수직 또는 경사각을 갖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몸체부(300)는, 상기 등받이부(100)와 시트부(2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프레임몸체부(300) 상에서 등받이회전부(40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시트부(200)가 상기 프레임몸체부(300) 상에서 시트회전부(50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몸체부(3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지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31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등받이수직프레임(320)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몸체부(30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0)과 연결되고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프레임(330)을 포함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몸체부(300)는, 상기 팔걸이프레임(320)과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시트프레임(340)과, 상기 팔걸이프레임(330)과 시트프레임(340)을 동시에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시트수직프레임(350)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회전시 축이 되게 된다.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지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과 연결되고 한쌍이 마주보며 배치되어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프레임(340)은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시트수직프레임(350)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배치되되, 상기 등받이프레임(3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등받이프레임(310) 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시트프레임(340)은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회전시 축이 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시트수직프레임(350)은 상기 팔걸이프레임(330)과 시트프레임(340)을 동시에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몸체부(300)는,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시트수직프레임(350)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팔걸이프레임(3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시트수직프레임(350)의 지지력을 보조하는 수평지지프레임(3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지지프레임(360)은,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시트수직프레임(350)과 함께 상기 등받이부(100)와 시트부(200)를 지지하면서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시트수직프레임(350)에 인가되는 지지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등받이부(100)에 고정되어 상기 등받이부(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하로 배치되는 의자의 등받이 역할을 하다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의자의 등받이로써의 기능으로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으로써의 기능으로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등받이회전부(4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에 고정되어 상기 시트부(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2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상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시트부(20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의자의 좌석 역할을 하다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측면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20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의자의 좌석으로써의 기능으로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되어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에서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30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측면판으로써의 기능으로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되어,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에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에서 이탈되는 것을 타단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시트회전부(5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책상의 용도로 사용시에 상기 등받이부(100)는,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를 통해 상기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되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100)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기 등받이회전부(40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부(100) 상에서 유동되면서 물건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110)과, 상기 등받이부(100)에 형성되어 상기 서랍(110)이 슬라이딩 되면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레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110)이 상기 슬라이딩레일(120)을 따라 왕복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딩레일(120)은 상기 등받이부(100)의 등받이회전부(400)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등받이부(100)에 볼트(미도시)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110)과 슬라이딩레일(12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시 간편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랍(110)이 상기 슬라이딩레일(120) 상에서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상기 서랍(110)의 외면에서 손잡이(1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요부확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100)와, 상기 등받이부(100)와 경첩(202)에 의해 연결되고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부(200)와, 상기 등받이부(100)와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프레임몸체부(300)와, 상기 등받이부(100)가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될 수 잇도록 하는 등받이회전부(400)와, 상기 시트부(200)가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시트회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하로 배치되는 의자의 등받이 역할을 하다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의자의 등받이로써의 기능으로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으로써의 기능으로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축으로 회전되는 방사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등받이회전몸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고정 또는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탄성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회전 및 유동될 수 있도록 등받이회전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홈(412)과, 상기 슬릿홈(412)에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100)의 고정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등받이탄성체(420)의 가압에 의해 진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요홈(4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는,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사용자가 손을 진입시켜 상기 등받이탄성체(4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에 천공형성되는 등받이조작홀(4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탄성체(420)는,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에 지지고정되는 등받이스프링(422)과, 상기 등받이스프링(422)에 탄성 지지되는 'ㄹ' 형태의 등받이탄성편(4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탄성체(420)는, 상기 등받이탄성편(424)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고정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상기 고정요홈(414)에 수용된 채로 고정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유동 및 회전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이격되는 가압날개(4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100)는, 상기 등받이회전부(400)와 상호 고정연결되어 상기 등받이회전부(400)의 회전이나 고정에따라 상기 등받이부(100)가 등받이회전부(400)와 연동되게 된다.
상기 등받이부(100)와 등받이회전부(4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의자의 등받이로써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은 상기 고정요홈(414) 내부에 수용된채로 상기 등받이탄성체(420)의 상기 등받이탄성편(424)에서 연장형성되는 가압날개(426)에 의해 가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스프링(422)이 상기 등받이탄성편(424)에 탄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날개(426)는 상기 고정요홈(414) 내부에 수용된 등받이프레임(310)을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요홈(414)의 내면에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수용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마찰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마찰면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상기 고정요홈(414) 내에 수용될 경우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상기 가압날개(426)의 가압과 마찰면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마찰면과 가압날개(426)를 통해 상기 고정요홈(414) 내에 수용되는 등받이프레임(310)의 회전 및 유동을 차단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등받이회전부(400) 및 등받이부(100)가 의자 상태 및 책상 상태로 유지될 경우,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상기 고정요홈(414) 내부에 수용된 채로 상기 가압날개(426)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는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100) 또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상기 고정요홈(414) 내부에 수용된 채로 상기 가압날개(426)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는 의자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사용유지하는 경우와, 책상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사용유지하는 경우가 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회전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요홈(414) 내부에 수용된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날개(426)가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해지해야 한다.
이렇게, 상기 고정요홈(414) 내부에 수용된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날개(426)가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해지하는 경우는 의자 상태로 사용하다가 책상 상태로 가변하여 사용하기 위해서와, 책상 상태로 사용하다가 의자상태로 다시 가변하여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의자에서 책상으로 가변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의자 상태로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상기 고정요홈(414) 내부에 수용된 등받이프레임(310)을 상기 가압날개(426)가 가압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부(400)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연동되는 등받이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채로 사용자의 등받이로써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책상으로 가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에 천공형성되는 등받이조작홀(416)을 통해 손가락을 진입시켜 상기 등받이탄성편(424)이 등받이스프링(422)이 형성된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면, 상기 등받이스프링(422)이 압축되면서 상기 등받이탄성편(424)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가압날개(426)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의 가압을 해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은 가압해지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고정요홈(414)에서 유동되어 슬릿홈(412)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슬릿홈(412)으로 위치되면,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시트부(200)는 연동되게된다.
이어서, 상기 등받이부(10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 후,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다시 상기 슬릿홈(412)을 따라 상기 고정요홈(414)에 진입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가압하던 등받이탄성편(424)을 가압해지하게 되면, 상기 등받이스프링(422)의 탄발력으로 인해 상기 등받이탄성편(424)은 유동되면서 상기 가압날개(426)가 다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하도록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등받이부(10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스프링(422)의 탄발력으로 인해 상기 가압날개(426)가 상기 고정요홈(414)에 진입된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100)는 책상의 상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하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경우, 상기 시트부(200)는 이에 연동되고 시트회전부(500)를 통해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되면서 수평방향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의자 상태에서 책상 상태로 간편하게 가변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다른 요부확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100)와, 상기 등받이부(100)와 경첩(202)에 의해 연결되고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부(200)와, 상기 등받이부(100)와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프레임몸체부(300)와, 상기 등받이부(100)가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될 수 잇도록 하는 등받이회전부(400)와, 상기 시트부(200)가 프레임몸체부(3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시트회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에 고정되어 상기 시트부(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2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상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시트부(20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의자의 좌석 역할을 하다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측면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20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의자의 좌석으로써의 기능으로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 또는 이격 배치되어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에서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30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측면판으로써의 기능으로 고정 사용될 경우,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되어,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에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시트회전부(5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에서 이탈되는 것을 타단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2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프레임(340)을 축으로 회전되는 방사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시트회전몸체(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 또는 이격되어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시트탄성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시트회전몸체(510)는,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시트회전몸체(510)에 천공되는 회전홈(512)과, 상기 회전홈(512)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천공되어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홀(5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는,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사용자가 손을 진입시켜 상기 시트탄성체(5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에 천공형성되는 시트조작홀(5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탄성체(520)는,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에 지지고정되는 시트스프링(522)과, 상기 시트스프링(522)에 탄성 지지되는 'ㄹ' 형태의 시트탄성편(5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탄성체(520)는, 상기 시트탄성편(524)에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시트페레임(340)에 밀착되어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시 상기 이탈홀(514)을 개방하는 밀착날개(5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200)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유동에 연동되어 의자 상태가 유지될 경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의 기능을 수행하면서고 견고하게 고정되고, 책상 상태가 유지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측면판을 이루게 된다.
즉, 의자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100)가 유동되어 상하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상기 시트부(200)는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시트회전몸체(510)에 천공되는 회전홈(51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시트프레임(340)을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시트부(200) 또한 수평방향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책상의 측면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등받이부(100)가 유동되어 수평방향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회전홈(512) 상에 수용된 채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시트프레임(340)을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시트부(200) 또한 상하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의자 좌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밀착날개(526)는 항상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이탈홀(514)을밀폐하면서 상기 회전홈(512)에 수용된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 또는 이격배치되어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이탈홀(514)을 통해 회전홈(512)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날개(526)는, 사용자가 의자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할 경우와, 또는 책상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할 경우에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이탈홀(514)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뿐, 시트프레임(340)이 회전홈(512)에서 회전되는 것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탄성체(520)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유동에 따라 연동되는 상기 시트부(200)가 상기 시트회전몸체(510)를 통해 시트프레임(340)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회전홈(512) 상에 견고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시트탄성체(520)는 프레임몸체부(300)에서 시트부(200)를 분리하여 시트부(200)를 이동 운반할 경우 시트부(200)에 고정형성되는 시트회전몸체(510)를 시트프레임(34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또한 담당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시트부(200)에 고정형성되는 시트회전몸체(510)를 시트프레임(340)에서 분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에 천공형성되는 시트조작홀(516)을 통해 손가락을 진입시켜 상기 시트탄성편(524)이 시트스프링(522)이 형성된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면, 상기 시트스프링(522)이 압축되면서 상기 시트탄성편(524)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날개(526)가 상기 시트프레임(340)의 밀착을 해지하게 된다.
여기서, 의자의 사용유지 중이나 책상의 사용유지 중에는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상기 밀착날개(526)에 의해 상기 회전홈(512)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되게 되고, 상기 밀착날개(526)에 의해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상기 이탈홀(514)을 통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시트프레임(340)은 가압해지됨에 따라,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회전홈(512)에서 유동되어 상기 이탈홀(514)을 통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상기 이탈홀(514)을 통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와 고정형성되는 상기 시트부(200)가 프레임몸체부(300)에서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100)는 박스형태의 등받이회전몸체(410)를 분해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등받이프레임(310)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등받이부(100)가 프레임몸체부(300)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책상가변형 의자에서,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은,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에 탈착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쿠션(3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팔걸이쿠션(332)은, 사용자가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에 팔을 거치시에,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팔걸이쿠션(332)은, 탄력이 높은 발포폼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탄력이 높고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조립 설치가 용이하여 그 사용이 용이한 사용사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간 분위기 연출이 되도록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사용 용도에 따른 의자에서 책상으로 또는 책상에서 의자로의 가변이 용이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있게 된다.
더불어, 의자 상태에서 의자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고, 책상 상태에서 책상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물건을 수납 및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활용도가 탁월한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등받이부 110 : 서랍
112 : 손잡이 120 : 슬라이딩레일
200 : 시트부
300 : 프레임몸체부 310 : 등받이프레임
320 : 등받이수직프레임 330 : 팔걸이프레임
332 : 팔걸이쿠션 340 : 시트프레임
350 : 시트수직프레임 360 : 수평지지프레임
400 : 등받이회전부 410 : 등받이회전몸체
412 : 슬릿홈 414 : 고정요홈
416 : 조작홀
420 : 등받이탄성체 422 : 등받이스프링
424 : 등받이탄성편 426 : 가압날개
500 : 시트회전부 510 : 시트회전몸체
512 : 회전홈 514 : 이탈홀
516 : 시트조작홀
520 : 시트탄성체 522 : 시트스프링
524 : 시트탄성편 526 : 밀착날개

Claims (10)

  1. 사용자가 등을 기댈수 있는 판 형태의 등받이부(100);
    상기 등받이부(10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경첩(202)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판 형태의 시트부(200);
    상기 등받이부(100)가 지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등받이프레임(31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10)과 연결되고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프레임(330)과, 상기 팔걸이프레임(320)과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시트프레임(340)과, 상기 팔걸이프레임(330)과 시트프레임(340)을 동시에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시트수직프레임(350)이 구비되는 프레임몸체부(300);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등받이부(100)에 고정되는 등받이회전부(400); 및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부(200)에 고정되는 시트회전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회전부(400)는,
    상기 등받이부(1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축으로 회전되는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등받이회전몸체(410)와,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고정 또는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탄성체(420)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회전 및 유동될 수 있도록 등받이회전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홈(412)과,
    상기 슬릿홈(412)에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100)의 고정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등받이탄성체(420)의 가압에 의해 진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요홈(414)과,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사용자가 손을 진입시켜 상기 등받이탄성체(4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에 천공형성되는 등받이조작홀(416)을 포함하는 책상가변형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00)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기 등받이회전부(40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부(100) 상에서 유동되면서 물건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110)과,
    상기 등받이부(100)에 형성되어 상기 서랍(110)이 슬라이딩 되면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레일(120)을 포함하는 책상가변형 의자.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탄성체(420)는,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에 지지고정되는 등받이스프링(422)과,
    상기 등받이스프링(422)에 탄성 지지되는 'ㄹ' 형태의 등받이탄성편(424)과,
    상기 등받이탄성편(424)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고정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이 상기 고정요홈(414)에 수용된 채로 고정되도록 가압하고, 상기 등받이회전몸체(41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10) 상에서 유동 및 회전시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에서 이격되는 가압날개(426)를 포함하는 책상가변형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회전부(500)는,
    상기 시트부(20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프레임(340)을 축으로 회전되는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시트회전몸체(510)와,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 또는 이격되어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시트탄성체(520)를 포함하는 책상가변형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는,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시트회전몸체(510)에 천공되는 회전홈(512)과,
    상기 회전홈(512)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천공되어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홀(514)과,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사용자가 손을 진입시켜 상기 시트탄성체(5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에 천공형성되는 시트조작홀(516)을 포함하는 책상가변형 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탄성체(520)는,
    상기 시트회전몸체(510)에 지지고정되는 시트스프링(522)과,
    상기 시트스프링(522)에 탄성 지지되는 'ㄹ' 형태의 시트탄성편(524)과,
    상기 시트탄성편(524)에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시트프레임(340)에 밀착되어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회전시 상기 시트회전몸체(510)가 상기 시트프레임(340)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시트프레임(340)이 시트회전몸체(510)에서 이탈시 상기 이탈홀(514)을 개방하는 밀착날개(526)를 포함하는 책상가변형 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은,
    상기 팔걸이프레임(330)에 탈착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쿠션(332)을 포함하는 책상가변형 의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부(300)는,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시트수직프레임(350)을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팔걸이프레임(3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수직프레임(320)과 시트수직프레임(350)의 지지력을 보조하는 수평지지프레임(360)을 포함하는 책상가변형 의자.
KR1020140187487A 2014-12-23 2014-12-23 책상가변형 의자 KR10171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487A KR101710762B1 (ko) 2014-12-23 2014-12-23 책상가변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487A KR101710762B1 (ko) 2014-12-23 2014-12-23 책상가변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886A KR20160076886A (ko) 2016-07-01
KR101710762B1 true KR101710762B1 (ko) 2017-03-08

Family

ID=5650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487A KR101710762B1 (ko) 2014-12-23 2014-12-23 책상가변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7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946A (ja) 2000-05-26 2001-12-04 Takara Belmont Co Ltd ロールアップ前垂れの安全装置
KR101382534B1 (ko) 2012-11-19 2014-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판 굴곡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73074T3 (es) * 2002-09-02 2007-05-01 Ort Joint-Stock Company Elemento de mobiliario transformable.
KR101286139B1 (ko) 2011-05-26 2013-07-15 유기선 의자 일체형 접이식 책상
KR20140081457A (ko) * 2012-12-21 2014-07-01 박미정 테이블로 변형이 가능한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946A (ja) 2000-05-26 2001-12-04 Takara Belmont Co Ltd ロールアップ前垂れの安全装置
KR101382534B1 (ko) 2012-11-19 2014-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판 굴곡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886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6910B (zh) 高度可调桌子平台
US10117510B2 (en) Portable adjustable desk system
US9380865B2 (en) Adjustable pneumatic desk
TW202108045A (zh) 桌板
KR101369947B1 (ko)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US10357110B2 (en) Chair, in particular office chair
KR20160045366A (ko) 휴대용 테이블
WO2007052140A3 (en) Convertible chair
KR101710762B1 (ko) 책상가변형 의자
KR101676540B1 (ko) 테이블 및 책상가변형 의자
KR20140008054A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KR101440348B1 (ko) 가동식 벤치 겸용 테이블
KR101379931B1 (ko) 지지부위가 가변되는 메쉬형 의자
US11617441B2 (en) Convertible article of furniture
KR101805897B1 (ko)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KR20190054213A (ko) 레버를 이용한 이동식 의자 일체형 수납 책상
US10674827B2 (en) Displacement auxiliary device for accessory of chair
KR20120002824U (ko) 좌우 회동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의자 팔걸이
KR101589156B1 (ko)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KR20120001874U (ko) 수강용 의자
KR20060090951A (ko) 강의용 책상
KR20170024691A (ko)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KR10169138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0474387Y1 (ko) 가변형 데스크 시스템
KR101524916B1 (ko) 의자경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