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585B1 - 버섯재배용기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585B1
KR101710585B1 KR1020160089081A KR20160089081A KR101710585B1 KR 101710585 B1 KR101710585 B1 KR 101710585B1 KR 1020160089081 A KR1020160089081 A KR 1020160089081A KR 20160089081 A KR20160089081 A KR 20160089081A KR 101710585 B1 KR101710585 B1 KR 10171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ushroom culture
culture medium
li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우람
Original Assignee
임우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우람 filed Critical 임우람
Priority to KR102016008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585B1/ko
Priority to PCT/KR2017/007495 priority patent/WO20180128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46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04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재배용기가 두께보다 폭을 넓게 형성하여 과열되는 부분을 줄이면서 버섯 생육에 따른 고온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하여 열적으로 균일하게 하며, 버섯 생육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유입되는 산소를 포함한 공기들에 의한 와류현상을 통하여 버섯생육에 있어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버섯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버섯 재배용 배지가 담기는 버섯배지담체부(21); 및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로 위치되는 버섯배지뚜껑(22)을 포함하며,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은,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에 의해 형성된 용기공간 내의 공기와 외기와의 공기순환을 이루는 통공을 이루며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용기공기순환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섯재배용기{MUSHROOM CULTIV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버섯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재배용기가 두께보다 폭을 넓게 형성하여 과열되는 부분을 줄이면서 버섯 생육에 따른 고온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하여 열적으로 균일하게 하며, 버섯 생육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유입되는 산소를 포함한 공기들에 의한 와류현상을 통하여 버섯생육에 있어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버섯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 재배에서는 버섯 배지의 버섯 균주가 소정 조건하에서 잘 자라게 되므로,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을 맞추게 된다. 이를 위해 대체로 버섯재배실 내에서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하며, 일반적인 종래의 버섯재배용기로써 병 형태의 버섯 재배용기를 이용하게 된다.
버섯 생육 중에 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열기는 배지 전체적으로 발생되며, 이에 병 형태의 버섯재배용기의 경우 아래 깊숙한 곳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상측 부분의 출입구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기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출입구와 먼 곳의 열기는 상당한 고온을 형성하면서, 버섯 생육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도 배출이 잘 되지 않는 것이다.
반면 이러한 종래의 버섯재배용기에서 출입구와 가까운 곳은 공기의 순환이 너무 잘 되어 외부 온도와 유사한 찬 상태를 이루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버섯 생육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고온이 형성되어야 하나 종래 기술에서 출입구 부분에서는 활발한 공기 순환으로 인해 외부와 같은 저온을 형성하므로 결국 버섯 생육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에서는 출입구와의 거리에서나 공기순환의 구조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온도나 이산화탄소 밀도 등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인해서 버섯 생육이 일정하지 않아 양질의 버섯 재배가 이루어지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1122434호(2012년 03월 09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214311호(2012년 12월 20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522692호(2015년 05월 26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께에 비하여 넓은 폭을 이룸으로써 다른 부분에 비하여 과열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여 열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일정하고 균일한 버섯이 생육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섯 생육으로 발생되는 열기가 상승함에 뚜껑 아래에서 넓은 공간으로 흐름을 형성하게 하여 고온 열기가 발생되더라도 열적으로 균일한 상태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폭을 이루어 열기가 분포되어도 다양한 형태의 고온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장홈을 형성하여 열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하여 과열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섯 생육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유입되는 산소 등의 와류 현상으로 인해 열기가 급작스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버섯재배용기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버섯 생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버섯 재배용 배지가 담기는 버섯배지담체부(21); 및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로 위치되는 버섯배지뚜껑(22)을 포함하며,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은,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에 의해 형성된 용기공간 내의 공기와 외기와의 공기순환을 이루는 통공을 이루며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용기공기순환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는 상하의 두께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은,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내의 버섯배지에 의한 버섯 생육에 따라 가온된 고온 공기가 버섯배지담체부(21)의 상측으로써 버섯배지뚜껑(22) 아래부분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버섯배지뚜껑(22) 저부에서 넓게 분포된 상승된 공기를 용기공기순환부(23)로 유도하고 상방향으로 형성된 긴 장홈인 고온유도장홈(24)을 포함하고, 상기 고온유도장홈(24)은,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며 여러 개가 방사형을 이루는 긴 장홈인 고온유도방사장홈(241); 및 다수의 상기 고온유도방사장홈(241)과 다수로 분포된 용기공기순환부(23)를 이어 긴 홈을 이루는 고온측방유도장홈(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용기(20)의 아래 저부를 받치며 사각형상을 이루는 용기받침(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의 상부로 덮이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수확투명커버(27)를 포함하고, 상기 수확투명커버(27)는, 상기 버섯배지뚜껑(2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용기공기순환부(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버섯성장통공(271); 및 상기 버섯배지뚜껑(22) 상면 가장자리의 원형 홈인 뚜껑테두리저면부(222) 상부에 위치되며, 수확투명커버(27)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원형의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의 버섯 생육에 의한 고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으로 형성되는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흐름통공(231); 상기 순환흐름통공(231)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벽면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종축을 이루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와류유도장벽(232); 상기 순환흐름통공(231) 상부의 주위를 두르면서 수평면을 이루는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상기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외향에서 아래로 경사지며 버섯배지뚜껑(22) 상면으로 이어지는 라운드포집경사면(234); 및 상기 순환흐름통공(231) 주위로 형성된 공간으로, 내측은 와류유도장벽(232)에 접하고 외향은 라운드포집경사면(234)과 접하며 상측은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과 접하는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를 포함하고, 상기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는,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 버섯 생육에 의한 고온 공기가 와류유도장벽(232) 및 라운드포집경사면(234)의 아래보다 높은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아래로 일시 담겨지는 공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두께에 비하여 넓은 폭을 이룸으로써 다른 부분에 비하여 과열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여 열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일정하고 균일한 버섯이 생육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버섯 생육으로 발생되는 열기가 상승함에 뚜껑 아래에서 넓은 공간으로 흐름을 형성하게 하여 고온 열기가 발생되더라도 열적으로 균일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넓은 폭을 이루어 열기가 분포되어도 다양한 형태의 고온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장홈을 형성하여 열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하여 과열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버섯 생육으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유입되는 산소 등의 와류 현상으로 인해 열기가 급작스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버섯재배용기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버섯 생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고온의 공기가 바로 배출되지 않고 통공 주위의 와류 공간 내에서 머물도록 하여 열기가 급작스럽게 빠져나가지 않게 하여 열적인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고른 버섯의 재배가 이루어져 양질의 버섯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에 대한 것으로, 아래의 용기받침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에 대한 것으로, 버섯배지담체부와 버섯배지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의 버섯배지뚜껑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의 버섯배지뚜껑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의 버섯배지뚜껑의 용기공기순환부에 대한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가 설치된 버섯재배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의 버섯배지담체부에 버섯배지가 담긴 상태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로부터 버섯이 자라는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에서 자란 버섯을 수확투명커버를 이용하여 손쉽게 수확하는 예를 보인 실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 등에서와 같이, 버섯재배용기(20) 내에 버섯의 생육을 위한 버섯배지가 담겨져 버섯이 자라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버섯배지 및 버섯은 특정한 종류나 형태를 요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버섯배지를 적용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버섯배지는 버섯이 자랄 수 있도록 버섯 균주가 포함된 것을 언급함을 말하며, 배지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버섯은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등을 비롯한 다양한 버섯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다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버섯은 노루궁뎅이버섯이 좀더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을 알 수 있으며, 기타의 버섯에서 대해서도 양호하게 자라는 것으로 실험되는 등, 다양한 버섯의 재배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에 대한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버섯 재배용 배지가 담기는 버섯배지담체부(21)가 마련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에 있어서 버섯 재배용 배지가 담기는 버섯배지담체부(21)는 넓은 면적을 이루는 형태로써 수평면 형상이 사각, 삼각, 원형, 다각형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원형의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그 상하의 두께는 비교적 수평 방향의 너비에 비해 낮은 높이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으로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 버섯 재배 중에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과열됨을 방지하고, 반면 공기의 순환이 잘되어 버섯 생육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버섯배지담체부(21)에서 중앙의 배지담체공간(211)으로 버섯배지가 담겨지는 것이고, 주위 벽체인 담체수직벽(212)은 배지담체공간(211)의 폭에 비해 짧은 길이의 낮은 높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담체수직벽(212)의 상부 가장자리는 소정 폭을 이루어 'ㄷ'자 형태로 꺾여 강성을 보강한 담체라운드턱(213)을 이루며, 담체라운드턱(213)과 같은 형상으로 후술되는 버섯배지뚜껑(22)의 뚜껑테두리(221)가 상부로 겹쳐지면서 안정되게 결착된 상태를 이룬다. 즉 담체라운드턱(213) 및 뚜껑테두리(221) 등이 서로 'ㄷ'자 형태로 꺾인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옆 방향으로의 요동이 작용하여도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에 덮인 버섯배지뚜껑(22)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결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버섯배지담체부(21)의 담체수직벽(212)에는 상하의 종방향으로 긴 길이로 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강성을 주는 요동방지수직돌기(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재배용기(20) 등이 겹으로 놓이거나, 내부의 배지가 담겨지거나, 또는 상부로 버섯이 자라 버섯의 무게가 누르더라도 버섯배지담체부(21)의 담체수직벽(212)의 강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전체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로 위치되는 버섯배지뚜껑(2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는 상하의 두께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 등은 외부로부터 해로운 세균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하고 버섯재배용기(20) 내의 온도를 어느 정도 보존하여 버섯의 생육이 활발하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에 의해, 상하의 두께는 너비에 비하여 낮게 형성하고, 넓은 면적을 이룸으로써 열적으로 과열됨을 방지하여, 과열로 인한 버섯 생육의 불균일한 상태를 방지한다. 또한 버섯배지담체부(21)에 담긴 배지의 상부와 버섯배지뚜껑(22) 사이의 공간을 옆으로 넓게 형성함으로써 버섯 생육으로 과열된 공기가 버섯배지뚜껑(22) 아래의 넓은 공간에서의 흐름이 가능한 공간형성구조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된 온도를 형성하여 일정하게 버섯이 자라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는 넓은 너비를 이루면서 높이는 너비에 비해 낮게 하며 뚜껑에 의해 형성되는 여유 공간으로 공기가 흐름으로써 버섯 생육으로 고온으로 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과열을 방지하고 열적으로도 균일한 상태를 이루어 버섯 생육이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은,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에 의해 형성된 용기공간 내의 공기와 외기와의 공기순환을 이루는 통공을 이루며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용기공기순환부(2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용기공기순환부(23)의 중앙으로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버섯재배용기(2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버섯재배용기(20) 내로 유입되어 버섯 생육에 양호한 작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버섯은 자라게 됨에, 용기공기순환부(23)의 통공을 통하여 버섯이 자라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용기공기순환부(23)의 통공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총 5개의 통공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버섯배지뚜껑(22)에는,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내의 버섯배지에 의한 버섯 생육에 따라 가온된 고온 공기가 버섯배지담체부(21)의 상측으로써 버섯배지뚜껑(22) 아래부분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버섯배지뚜껑(22) 저부에서 넓게 분포된 상승된 공기를 용기공기순환부(23)로 유도하고 상방향으로 형성된 긴 장홈인 고온유도장홈(24)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버섯 생육 중에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가 점차 상승하여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인 버섯배지뚜껑(22) 하부 아래에 접하여 모이게 된다. 그런 후 고온유도장홈(24)을 따라서 통공이 형성된 용기공기순환부(23)로 흐르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고온유도장홈(24)은,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며 여러 개가 방사형을 이루는 긴 장홈인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볼 때 도 5의 예에서처럼 버섯배지뚜껑(22)의 가장자리와 중앙으로 이어지는 다수 개의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이 형성됨으로써,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의 가장자리나 중앙 등의 상부로 모인 고온 공기가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을 따라 용기공기순환부(23) 측으로 흐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고온유도장홈(24)은, 다수의 상기 고온유도방사장홈(241)과 다수로 분포된 용기공기순환부(23)를 이어 긴 홈을 이루는 고온측방유도장홈(24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버섯재배용기(20) 상측의 가장자리나 중앙을 걸쳐 형성된 고온유도방사장홈(241)과 연결되어 고온측방유도장홈(242)이 형성됨으로써,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을 따라 흐르는 고온 공기가 고온측방유도장홈(242)을 따라 용기공기순환부(23) 측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버섯재배용기(20) 상부로 넓게 퍼진 고온 공기가 고온유도방사장홈(241) 및 고온측방유도장홈(242) 등의 고온유도장홈(24)을 따라 용기공기순환부(23)로 흘러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섯재배용기(20)의 아래 저부를 받치며 사각형상을 이루는 용기받침(26)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받침(26)은 대체로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사각형태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선반 형태의 버섯재배시스템(10)에 버섯재배용기(20)를 손쉽게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의 상부로 덮이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수확투명커버(27)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수확투명커버(27)는, 상기 버섯배지뚜껑(2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용기공기순환부(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버섯성장통공(27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확투명커버(27)는 버섯배지뚜껑(22) 상부로 놓이는 것이며, 버섯배지뚜껑(22)의 용기공기순환부(23)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순환흐름통공(231) 주위의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의 상면으로 원형으로 돌출되는 투명커버통공삽입돌출부(236)의 주위로 버섯성장통공(271)이 끼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버섯성장통공(271) 내향으로 돌출된 투명커버통공삽입돌출부(236)에 걸려 결국 수확투명커버(27)가 버섯배지뚜껑(22)의 정해진 위치로 안정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써 수확투명커버(27)의 버섯성장통공(271)과, 버섯배지뚜껑(22)의 순환흐름통공(231)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를 이루어, 버섯 성장시 버섯이 안정적으로 외부로 잘 자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확투명커버(27)는, 상기 버섯배지뚜껑(22) 상면 가장자리의 원형 홈인 뚜껑테두리저면부(222) 상부에 위치되며, 수확투명커버(27)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원형의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버섯배지뚜껑(22)은 소정 높이를 이루는 뚜껑테두리(221)가 형성되고, 뚜껑테두리(221) 안쪽으로는 뚜껑테두리(221) 보다 낮은 높이로써 대체로 버섯배지뚜껑(22) 저부 높이를 이루는 뚜껑테두리저면부(222)가 형성되며, 이러한 뚜껑테두리저면부(222) 상부면에 수확투명커버(27)의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은 버섯배지뚜껑(22)의 뚜껑테두리저면부(222)에 위치하면서 외향으로 뚜껑테두리(221)에 걸리기 때문에 외부로 수확투명커버(27)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은 상측의 수확투명커버(27)의 높이와, 버섯배지뚜껑(22)에서 통공 상부의 높이와 같도록 하기 위한 측방향 높이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수확투명커버(27)의 버섯성장통공(271)은 다수 개로 구비하여 각각 버섯배지뚜껑(22)의 용기공기순환부(23)의 통공들과 맞춰 대응되게 마련한 것이다. 그리하여 도 9의 예에서처럼 자라는 버섯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버섯이 다 자라면, 버섯배지뚜껑(22)의 용기공기순환부(23)의 통공들 및 수확투명커버(27)의 버섯성장통공(271) 외부로 버섯이 자란 상태를 이루며, 결국 버섯성장통공(271) 주위의 수확투명커버(27)의 상면으로 자란 버섯이 위치되는 것이다.
이에 버섯을 수확할 때에는 단지 수확투명커버(27)만 버섯배지뚜껑(22) 및 버섯재배용기(20)로부터 들어내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도 10의 예에서처럼 다자란 버섯이 수확투명커버(27)에 의해 버섯재배용기(20)로부터 분리되어 손쉽게 버섯을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수확투명커버(27)를 이용하여 버섯이 자란 그대로 수확하기 때문에, 연약한 버섯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과정에서도 일일이 버섯을 손으로 만지지 않기 때문에 버섯 제품의 상태를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용기(20)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상기 용기공기순환부(23)에 대한 상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용기공기순환부(23)의 경우, 버섯 생육 중에 고온으로 된 공기는 바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기를 와류로 순환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즉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의 버섯 생육에 의한 고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으로 형성되는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흐름통공(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순환흐름통공(231)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벽면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종축을 이루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와류유도장벽(232)을 포함한다.
즉 와류유도장벽(232)은 순환흐름통공(231)을 형성하면서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와류유도장벽(232)에 의해 버섯재배용기(20) 상부로 상승한 고온 공기가 와류유도장벽(232)을 지나지 못하고 와류유도장벽(232) 외부면에 형성된 공간에 머물게 된다.
이에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순환흐름통공(231) 상부의 주위를 두르면서 수평면을 이루는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은 당연히 순환흐름통공(231)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면서, 순환흐름통공(231)의 아래 부분과,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고온 공기가 모이는 것이다.
또한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외향에서 아래로 경사지며 버섯배지뚜껑(22) 상면으로 이어지는 라운드포집경사면(234)을 포함한다.
아울러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순환흐름통공(231) 주위로 형성된 공간으로, 내측은 와류유도장벽(232)에 접하고 외향은 라운드포집경사면(234)과 접하며 상측은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과 접하는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는,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 버섯 생육에 의한 고온 공기가 와류유도장벽(232) 및 라운드포집경사면(234)의 아래보다 높은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아래로 일시 담겨지는 공간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버섯재배용기(20) 내에서 자라는 버섯의 생육으로 인해 고온 공기가 발생되어 버섯재배용기(20) 내부의 상측으로 고온 공기가 상승하게 되어 버섯배지뚜껑(22) 아랫면에 넓게 퍼지게 된다. 그리고 버섯배지뚜껑(22)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온유도장홈(24)의 고온유도방사장홈(241)을 따라 흐르면서 고온측방유도장홈(242) 등에 의해 순환흐름통공(231)이 형성된 용기공기순환부(23) 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버섯배지뚜껑(22)이나 고온유도장홈(24) 등의 높이에 비해서, 와류유도장벽(232)의 아래 부분이 낮거나 비슷한 높이를 이루기 때문에, 용기공기순환부(23)에서는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와류유도장벽(232)에 막혀 와류유도장벽(232)의 외측인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에서는, 버섯배지뚜껑(22)이나 고온유도장홈(24) 등의 높이에 비해서 높은 높이로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을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넓은 공간을 형성하면서, 순환흐름통공(231) 주위의 여러 곳으로부터 고온 공기가 모이기 때문에 서로 섞이면서 와류의 흐름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고온의 공기가 바로 배출되지 않고 어느 정도 버섯재배용기(20) 내에 담겨진 상태를 갖기 때문에 버섯재배용기(20) 내부 온도 변화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대체로 버섯 배지로부터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공과 멀기 때문에 버섯 생육 중에 발생되는 고온 공기가 발생됨에, 멀리 있는 곳의 공기는 쉽게 배출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면 통공 부근의 공기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전체적으로 열기나 공기 순환이 불균일하게 되어 버섯 생육 상태가 불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버섯재배용기(20)의 버섯배지담체부(21)가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옆으로는 넓은 너비를 이루는 형태를 이루어, 버섯 생육 중에 발생되는 고온 공기는 대체로 상부로 상승하여, 버섯재배용기(20)의 상측인 버섯배지뚜껑(22) 아랫면에 모이게 된다.
그러면서 고온유도장홈(24)에 의해 용기공기순환부(23)로 모이는 것으로, 넓은 너비의 버섯배지뚜껑(22) 아래로 넓게 퍼져 모인 것으로 대체로 버섯재배용기(20) 내부의 온도는 일정하면서 균일하게 유지되어, 종래에서처럼 어느 특정 부분만 고온을 형성하는 불균형 온도 상태를 갖지는 않는다. 이로써 버섯 생육에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섯 생육 중에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며 버섯 생육에 도움이 되는 산소가 새로이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는 중에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고온 공기는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용기공기순환부(23) 주위에 일시 와류로 혼합된 상태를 이룬 후 배출된다.
즉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크기 때문에 바로 배출되려 하지 않으면서 용기공기순환부(23) 부근으로 모여 일정한 정압을 형성한다. 그러면서 버섯 생육으로 고온을 이루기 때문에 어느 정도 배출되는 것이며 이로써 그만큼 새로운 산소를 포함한 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는 중에 유입되는 공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고온 공기 등이 용기공기순환부(23)의 넓은 공간을 형성한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에서 서로 섞이는 와류 현상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면서 유입되는 공기는 너무 급작스럽게 버섯재배용기(20) 내부 온도를 낮추지 않고, 반면 버섯재배용기(20) 내부 열기도 급작스럽게 빠지지 않는 등, 버섯재배용기(20) 내부 온도를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버섯재배용기(20) 내부의 온도 조건이나 산소 유입 등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섯 생육이 잘 이루어져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버섯재배시스템 20 : 버섯재배용기
21 : 버섯배지담체부 22 : 버섯배지뚜껑
23 : 용기공기순환부 26 : 용기받침
27 : 수확투명커버

Claims (5)

  1. 내부에 버섯 재배용 배지가 담기는 버섯배지담체부(21); 및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상부로 위치되는 버섯배지뚜껑(22)을 포함하며,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은,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에 의해 형성된 용기공간 내의 공기와 외기와의 공기순환을 이루는 통공을 이루며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용기공기순환부(23)를 포함하는 버섯재배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공기순환부(23)는,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의 버섯 생육에 의한 고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버섯배지담체부(21) 및 버섯배지뚜껑(22)으로 형성되는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흐름통공(231);
    상기 순환흐름통공(231)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벽면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종축을 이루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와류유도장벽(232);
    상기 순환흐름통공(231) 상부의 주위를 두르면서 수평면을 이루는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상기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외향에서 아래로 경사지며 버섯배지뚜껑(22) 상면으로 이어지는 라운드포집경사면(234); 및
    상기 순환흐름통공(231) 주위로 형성된 공간으로, 내측은 와류유도장벽(232)에 접하고 외향은 라운드포집경사면(234)과 접하며 상측은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과 접하는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를 포함하고,
    상기 광폭와류라운드형성공간부(235)는, 버섯배지담체부(21) 내에서 버섯 생육에 의한 고온 공기가 와류유도장벽(232) 및 라운드포집경사면(234)의 아래보다 높은 고온포집라운드상부벽(233) 아래로 일시 담겨지는 공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는 상하의 두께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은,
    상기 버섯배지담체부(21) 내의 버섯배지에 의한 버섯 생육에 따라 가온된 고온 공기가 버섯배지담체부(21)의 상측으로써 버섯배지뚜껑(22) 아래부분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버섯배지뚜껑(22) 저부에서 넓게 분포된 상승된 공기를 용기공기순환부(23)로 유도하고 상방향으로 형성된 긴 장홈인 고온유도장홈(24)을 포함하고,
    상기 고온유도장홈(24)은,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며 여러 개가 방사형을 이루는 긴 장홈인 고온유도방사장홈(241); 및
    다수의 상기 고온유도방사장홈(241)과 다수로 분포된 용기공기순환부(23)를 이어 긴 홈을 이루는 고온측방유도장홈(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용기(20)의 아래 저부를 받치며 사각형상을 이루는 용기받침(26)을 포함하고,
    상기 버섯배지뚜껑(22)의 상부로 덮이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수확투명커버(27)를 포함하며,
    상기 수확투명커버(27)는,
    상기 버섯배지뚜껑(2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용기공기순환부(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자라는 버섯이 자라서 외부로 나오는 하나 이상의 버섯성장통공(271); 및
    상기 버섯배지뚜껑(22) 상면 가장자리의 원형 홈인 뚜껑테두리저면부(222) 상부에 위치되며, 수확투명커버(27)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원형의 뚜껑삽입라운드하방턱(2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160089081A 2016-07-14 2016-07-14 버섯재배용기 KR10171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081A KR101710585B1 (ko) 2016-07-14 2016-07-14 버섯재배용기
PCT/KR2017/007495 WO2018012891A1 (ko) 2016-07-14 2017-07-13 버섯재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081A KR101710585B1 (ko) 2016-07-14 2016-07-14 버섯재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585B1 true KR101710585B1 (ko) 2017-02-27

Family

ID=5831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081A KR101710585B1 (ko) 2016-07-14 2016-07-14 버섯재배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0585B1 (ko)
WO (1) WO20180128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91A1 (ko) * 2016-07-14 2018-01-18 백문석 버섯재배용기
KR101921976B1 (ko) 2017-07-27 2018-11-27 임종구 버섯 재배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9914A1 (en) * 2020-11-21 2022-05-26 Richard J Eisen Top cover and planter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863A (ja) * 1994-08-10 1996-02-27 Nara Pref Gov 茸類栽培容器の蓋体および茸類の栽培方法
KR20000014488A (ko) * 1998-08-21 2000-03-15 민연식 페닐아세톡시아세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001000042A (ja) * 1999-06-17 2001-01-09 Nagano Kida Kogyo Kk きのこ栽培用容器ときのこ栽培方法
KR101122434B1 (ko) 2011-05-20 2012-03-09 이종표 버섯 재배용기를 위한 재치틀
KR101214311B1 (ko) 2012-02-24 2012-12-20 조해석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1522692B1 (ko) 2014-11-05 2015-05-26 농업회사법인 거북이학교 주식회사 버섯 재배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488U (ko) * 1998-12-30 2000-07-25 고광우 버섯재배용 용기
KR200461644Y1 (ko) * 2010-01-18 2012-07-27 예산군농업기술센터 버섯 재배 용기
KR20160031709A (ko) * 2014-09-15 2016-03-23 김용기 버섯 재배 용기
KR101710585B1 (ko) * 2016-07-14 2017-02-27 임우람 버섯재배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863A (ja) * 1994-08-10 1996-02-27 Nara Pref Gov 茸類栽培容器の蓋体および茸類の栽培方法
KR20000014488A (ko) * 1998-08-21 2000-03-15 민연식 페닐아세톡시아세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001000042A (ja) * 1999-06-17 2001-01-09 Nagano Kida Kogyo Kk きのこ栽培用容器ときのこ栽培方法
KR101122434B1 (ko) 2011-05-20 2012-03-09 이종표 버섯 재배용기를 위한 재치틀
KR101214311B1 (ko) 2012-02-24 2012-12-20 조해석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1522692B1 (ko) 2014-11-05 2015-05-26 농업회사법인 거북이학교 주식회사 버섯 재배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91A1 (ko) * 2016-07-14 2018-01-18 백문석 버섯재배용기
KR101921976B1 (ko) 2017-07-27 2018-11-27 임종구 버섯 재배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891A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585B1 (ko) 버섯재배용기
JP7273857B2 (ja) ヒンジ式タワー面を備えた多部品水耕タワー
CA1171281A (en) Container
US20200187708A1 (en) Food support for an air based fryer and air-based fryer provided with such food support
US20150342129A1 (en) Plant pot assembly
US6125579A (en) Drainage disk and reservoir system for a planter
US10292339B2 (en) Terrarium
US20190069526A1 (en) Beehive frame storage container
JPS5966817A (ja) 植物用給水装置
US11540459B2 (en) Plant holder and method
JPS61192229A (ja) 園芸用装置
WO2007004438A1 (ja) 育苗ポット及び水耕栽培装置
KR101348883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1327518B1 (ko) 가정용 상황버섯 공중재배 포트
KR101361487B1 (ko) 버섯 재배 상자
KR200474879Y1 (ko) 버섯 배양기
KR101895954B1 (ko) 실내외 겸용 묘목트레이 거치대
KR101833852B1 (ko) 표고 톱밥배지 배양용기의 내구성 뚜껑
JP2015154755A (ja) 茸栽培用袋
KR200260007Y1 (ko) 버섯종균 배양용기 뚜껑
JP3017121U (ja) 育苗ポット収納ケース
JPH0521642U (ja) 蘭等の植物栽培用ポツトとその保持トレー
RU2782778C2 (ru) Держатель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для аэрофритюрницы и аэрофритюрница, снабженная таким держателем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KR200346853Y1 (ko) 참외 받침대
KR20180021591A (ko) 난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