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570B1 -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570B1
KR101710570B1 KR1020150017866A KR20150017866A KR101710570B1 KR 101710570 B1 KR101710570 B1 KR 101710570B1 KR 1020150017866 A KR1020150017866 A KR 1020150017866A KR 20150017866 A KR20150017866 A KR 20150017866A KR 101710570 B1 KR101710570 B1 KR 10171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substrate
light
nanohole array
nano
nano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347A (ko
Inventor
김규정
이승훈
강태영
황선희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5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52Optical details of the image generation
    • G02B21/0076Optical details of the image generation arrangements using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1/6456Spatial resolved fluorescence measurements; Imaging
    • G01N21/6458Fluorescence micros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처리한 관측대상 내부의 형광물질을 외부 광원을 통해 자극하여 형광발현을 유발하고 이를 이미지화 할 수 있는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 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소정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진시키기 위한 레이저와, 상기 레이저에서 발진된 빛에서 특정 색의 빛만 선택 반사하기 위한 다이크로익 미러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선택 반사된 빛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시준수단과, 상기 시준수단에 의해 사이즈가 조절된 빛이 조사되어 특이 광 투과 현상이 발현되는 나노홀 어레이 기판과,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과 시준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나노홀 어레이 기판으로 빛이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프리즘과,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에 의해 형성되는 근접장을 통해 발현되는 형광이미지를 수집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수집된 형광이미지를 기록하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에는 수직으로 조사되는 입사광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나노홀이 형성되어 나노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광스팟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선명한 형광이미지가 출력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Nano-hole array substrate for an extraordinary optical transmission and super resolution imaging system using of the same }
본 발명은 형광처리한 관측대상 내부의 형광물질을 외부 광원을 통해 자극하여 형광발현을 유발하고 이를 이미지화 할 수 있는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 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현미경은 1994년 이전까지 “아베 한계”라고 불리우며, 200nm보다 작은 물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광학현미경에서는 세포는 확인되었으나 세포 소기관은 확인할 수 없었고, 바이러스나 단백질의 확인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상기 아베 한계는 빛의 회절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가시광선 파장의 절반 거리(대략 200nm)보다 가까이 있는 두 물체에서 각각 출발한 가시광선은 좁은 대물렌즈를 통과하며 회절을 일으켜 보강·상쇄 간섭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중첩되는 빛에 의해 구체적인 구성의 확인이 어려웠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를 이용하는 형광현미경(Fluorescent microscope)이 개발되었다.
상기 형광현미경은 시료에 형광물질(형광색소)을 처리한 후 광(光)을 조사하고 시료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물학적 물질의 검사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4917호에는“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형광현미경”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효과를 이용하여 형광체가 부착된 생체 시료의 형광 신호를 극대화시켜 상기 생체 시료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형광체의 흡수 파장 광과 형광체의 발색 파장 광의 광로를 완전히 분리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7046“나노 크기의 정렬된 금속 구조체들을 사용하는 국소 표면플라즈몬 센서”에는 T자형 금속구조체를 구비함으로써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센서의 측정 감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80340“국소 표면 플라즈몬 센서”에는 입사광의 파장보다 작은 나노 미터 크기를 가지며 입사광에 대한 국소화된 표면 플라즈몬 공명 흡수 현상을 유도하는 다수의 금속 구조체들을 이용하여 나노 미터 크기의 공간 해상도를 가지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형광 이미지의 해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형광체를 여기시킬 때 최대한 작은 수의 형광물질만 발현할 수 있도록 광(光) 스팟의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특이 광 투과 현상(Extraordinary Optical Transmission. EOT)을 이용하는 근접장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특이 광 투과 현상(EOT)은 빛이 어떤 틈을 통과할 때 투과하는 세기가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기존의“Bethe ”이론과 달리 파장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슬릿에서는 투과율이 거의 없어야 하지만 실제로 표면 플라즈몬에 의해 강한 세기의 빛이 투과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이용하여 근접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입사광의 파장 이하로 슬릿 또는 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기술로는 수십 nm 이하의 홀 구조를 제작할 경우 FE-SEM이나 FIB 등 매우 고가의 장비 및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20090064917A1(2009.06.22) KR 100787046B1(2007.12.12) KR 100480340B1(2005.03.23)
본 발명의 목적은 한계해상도 100nm 이상의 장비를 이용하여 한계해상도 이하의 홀에서 발생되는 근접장 이상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 홀 어레이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 홀 어레이 기판을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이 광 투과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나노홀이 형성되는 나노홀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 상기 나노홀 어레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나노홀은 입사광이 가지는 입사방향과 교차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은 경사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웨이퍼를 경사지게 구비하고 상기 웨이퍼 일측에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며 마스킹 패턴이 형성된 웨이퍼에 수직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하고 현상된 상(像)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칭이 이루어짐으로써 나노홀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하는 과정에서는 마스킹 패턴을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2)과 포토레지스트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3) 및 두께(d) 그리고, 상기 광원의 입사각(θ1)과 경사 스테이지의 경사각(β)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나노홀의 직경 및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는 광원의 수직 조사를 위하여 노광각 조절수단이 더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정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진시키기 위한 레이저와, 상기 레이저에서 발진된 빛에서 특정 색의 빛만 선택 반사하기 위한 다이크로익 미러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선택 반사된 빛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시준수단과, 상기 시준수단에 의해 사이즈가 조절된 빛이 조사되어 특이 광 투과 현상이 발현되는 나노홀 어레이 기판과,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과 시준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나노홀 어레이 기판으로 빛이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프리즘과,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에 의해 형성되는 근접장을 통해 발현되는 형광이미지를 수집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수집된 형광이미지를 기록하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에는 수직으로 조사되는 입사광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나노홀이 형성됨으로써 나노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광스팟이 형성되며, 상기 나노홀은 경사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웨이퍼를 경사지게 구비하고, 상기 웨이퍼 일측에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며, 마스킹 패턴이 형성된 웨이퍼에 상기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하고, 현상된 가시(可視)의 상(像)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칭이 이루어져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하는 과정에서는 마스킹 패턴을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2)과 포토레지스트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3) 및 두께(d) 그리고, 상기 광원의 입사각(θ1)과 경사 스테이지의 경사각(β)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나노홀의 직경 및 기울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은 전자빔 리소그래피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홀이 경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나노홀에 입사광이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입사광의 파장보다 큰 직경의 나노홀에서도 입사광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광(光) 스팟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빔 리소그래피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한계해상도를 가지는 장비와 기술을 이용하여 해상력이 증가된 근접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선명한 형광이미지가 출력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나노홀 어레이 기판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 어레이 기판과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된 나노홀을 비교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과 종래 기술에 따른 나노홀에서 형성되는 근접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의 일실시 형태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의 다른 실시 형태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은 형광 처리한 관측대상 내부의 형광물질을 외부 광원을 통해 자극하여 형광발현을 유발시키고, 발현된 형광형상 이미지를 기록하여 획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외부 광원으로 야그 레이저(600)가 구비된다.
상기 야그 레이저(600)는 조사시간이 짧은 펄스광을 발진하며 그 초점면에서 이온화된 플라즈마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야그 레이저(600)에서 조사되는 빛에는 다수의 색상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이크로익 미러(400)를 구비하여 선별된 색상의 빛을 반사시켜 조사 방향을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사 방향이 전환된 빛의 조사경로에는 시준수단(300)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시준수단(300)은 제 1 시준렌즈(320)와 제 2 시준렌즈(340)로 구분되며, 조사된 빛이 상기 제 1 시준렌즈(320)와 제 2 시준렌즈(340)를 통과하면서 사이즈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이즈가 조절된 빛의 이동경로 상에는 프리즘(160)이 구비된다.
상기 프리즘(160)은 입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아래에서 설명할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에 수직으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을 통과하는 빛은 근접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 및 이에 의한 근접장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에 의해 근접장이 형성되면,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의 상측에는 형광체의 형광 발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현되는 형광체의 형광이미지는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 상측에 구비되는 대물렌즈(140)에 의해 수집되며, 수집된 형광이미지는 형광필터(120)를 거쳐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에 의해 기록된다.
한편, 도 3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나노홀 어레이 기판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 어레이 기판과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된 나노홀을 비교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은 박막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판(200)에 다수의 나노홀(220)이 천공되어 어레이를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나노홀(22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나노홀(22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광스팟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홀(222)을 도시하고 있으며, 직경 50nm의 크기로 경사없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의 (c) 및 (d)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홀(224)을 도시하고 있으며, 직경 90nm의 크기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과 종래 기술에 따른 나노홀에서 형성되는 근접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수직홀(222)과 경사홀(224)에 수직으로 빛이 조사될 경우 형성되는 근접장을 보인 것으로, 좌측에서부터 50nm직경의 수직홀(222)에서 형성되는 근접장과 90nm 직경의 경사홀(224)에서 형성되는 근접장 및 90nm 직경의 수직홀(226)에서 형성되는 근접장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홀(224)은 직경 90nm로 형성되었으나, 수직으로 조사되는 빛이 경사홀의 입구부와 출구부에서 간섭되어 실제로 형성되는 근접장은 50nm의 수직홀(222)과 유사한 폭을 가지면서 50nm의 수직홀(222)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으로 형성되는 근접장은 50nm의 수직홀(222)로 어레이가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해상력을 가질 수 있으며, 전자빔 리소그래피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빔 리소그래피 방법으로 상기와 같은 특징의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의 일실시 형태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에 경사홀(22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정의 경사각(β)을 가지는 경사 스테이지(700)에 포토레지스트(840)가 도포된 웨이퍼(8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토레지스트(840)는 가용성인 포지형으로 형성되어 상이 형성되는 부분은 마스킹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웨이퍼(800)의 일측에는 마스크(820)를 부착하여 현상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소정의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고, 마스킹된 포토레지스트(840)에 수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노광(Exposure)함으로서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한다.
그리고, 상기 노광 과정에서는 마스크(820)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2)과 포토레지스트(700)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3) 및 두께(d) 그리고, 상기 자외선의 입사각(θ1)과 경사 스테이지(700)의 경사각(β) 등을 조절하여 경사홀(224)의 직경 및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웨이퍼(800)에 의해 현상된 가시의 상은 에칭(Etching)을 통해 상기 웨이퍼(800)를 선택적으로 식각시킴으로써 웨이퍼(800)에 경사홀(224)이 형성된다.
한편, 도 8 및 도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홀의 다른 실시 형태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도 경사 스테이지(700)에 포토레지스트(840)가 도포된 웨이퍼(8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퍼(800)에 마스크(820)를 부착하여 소정의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고, 마스크의 상측으로 노광각 조절을 위한 노광각 조절수단(86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노광각 조절수단(860)은 경사지게 구비된 웨이퍼(800)에 수직으로 자외선이 조사되어 경사진 가시의 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굴절율을 가지는 프리즘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도 8에 도시된 θ1 내지 θ5 및 프리즘의 기울기(α)와 경사 스테이지(700)의 기울기(β) 등을 조절함으로써 경사홀(224)의 직경 및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시 예에서는 상기 포토레지스트(840)가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네거형으로 형성되어 마스킹 되지 않은 부분에 가시의 상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나노홀 어레이 기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조사되는 입사광과 나노홀(220)이 교차됨에 따라 입사광 중 일부만 나노홀(220)을 통고하면서 나노홀(22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광스팟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광스팟은 보다 좁은 폭을 가지면서 높이가 높은 근접장을 형성하게 되어 보다 선명한 형광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100........ 전하결합소자 120........ 형광필터
140........ 대물렌즈 160........ 프리즘
200........ 나노홀 어레이 기판 210........ 기판
220........ 나노홀 222, 226... 수직홀
224........ 경사홀 300........ 시준수단
320........ 제 1 시준렌즈 340........ 제 2 시준렌즈
400........ 다이크로익 미러 420........ 반사각 조절수단
600........ 야그 레이저 700........ 경사 스테이지
800........ 웨이퍼 820........ 마스크
840........ 포토레지스트 860........ 노광가가 조절수단

Claims (5)

  1. 삭제
  2. 특이 광 투과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나노홀이 형성되는 나노홀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
    상기 나노홀 어레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나노홀은 입사광이 가지는 입사방향과 교차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은,
    경사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웨이퍼를 경사지게 구비하고,
    상기 웨이퍼 일측에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며,
    마스킹 패턴이 형성된 웨이퍼에 수직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하고,
    현상된 상(像)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칭이 이루어짐으로써 나노홀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하는 과정에서는 마스킹 패턴을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2)과 포토레지스트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3) 및 두께(d) 그리고, 상기 광원의 입사각(θ1)과 경사 스테이지의 경사각(β)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나노홀의 직경 및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홀 어레이 기판
  3. 제 2 항에 있어서,
    광원의 수직 조사를 위하여 노광각 조절수단이 더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홀 어레이 기판.
  4. 소정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진시키기 위한 레이저;
    상기 레이저에서 발진된 빛에서 특정 색의 빛만 선택 반사하기 위한 다이크로익 미러;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에 의해 선택 반사된 빛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시준수단;
    상기 시준수단에 의해 사이즈가 조절된 빛이 조사되어 특이 광 투과 현상이 발현되는 나노홀 어레이 기판;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과 시준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나노홀 어레이 기판으로 빛이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프리즘과,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에 의해 형성되는 근접장을 통해 발현되는 형광이미지를 수집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수집된 형광이미지를 기록하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에는,
    수직으로 조사되는 입사광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나노홀이 형성됨으로써 나노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광스팟이 형성되며,
    상기 나노홀은,
    경사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웨이퍼를 경사지게 구비하고, 상기 웨이퍼 일측에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며, 마스킹 패턴이 형성된 웨이퍼에 상기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하고, 현상된 가시(可視)의 상(像)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칭이 이루어져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가시(可視)의 상(像)을 현상하는 과정에서는,
    마스킹 패턴을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2)과 포토레지스트를 통과하면서 형성되는 굴절각(θ3) 및 두께(d) 그리고, 상기 광원의 입사각(θ1)과 경사 스테이지의 경사각(β)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나노홀의 직경 및 기울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홀 어레이 기판은,
    전자빔 리소그래피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KR1020150017866A 2015-02-05 2015-02-05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KR10171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866A KR101710570B1 (ko) 2015-02-05 2015-02-05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866A KR101710570B1 (ko) 2015-02-05 2015-02-05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347A KR20160096347A (ko) 2016-08-16
KR101710570B1 true KR101710570B1 (ko) 2017-02-27

Family

ID=5685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866A KR101710570B1 (ko) 2015-02-05 2015-02-05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780A (ko) 2017-04-07 2018-10-17 한국과학기술원 나노홀 어레이 및 나노디스크 어레이의 상보적 결합에 의한 투과 스펙트럼 변조를 이용하는 각감응성 가변 광학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9344A1 (en) 2009-01-29 2012-03-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 resolution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KR101185105B1 (ko) 2011-03-22 2012-09-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그레이팅형 나노 패턴을 포함하는 광프로브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340B1 (ko) 2002-11-02 2005-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렬된 나노 크기의 금속 구조체들을 사용하는 국소 표면플라즈몬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7046B1 (ko) 2006-02-09 2007-1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크기의 정렬된 금속 구조체들을 사용하는 국소 표면플라즈몬 센서
KR20090064917A (ko)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형광현미경
KR101198476B1 (ko) * 2010-08-31 2012-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구조 기반의 초고해상도 영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9344A1 (en) 2009-01-29 2012-03-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 resolution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KR101185105B1 (ko) 2011-03-22 2012-09-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그레이팅형 나노 패턴을 포함하는 광프로브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태영 외2인, '나노 구조를 이용한 국소플라즈몬 현상과 응용',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26, No.2, 2015.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780A (ko) 2017-04-07 2018-10-17 한국과학기술원 나노홀 어레이 및 나노디스크 어레이의 상보적 결합에 의한 투과 스펙트럼 변조를 이용하는 각감응성 가변 광학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347A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9960B2 (en) Light emitting type lighting system, method of light emitting type lighting, and scanning optical microscope
US8836948B2 (en) High resolution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JP5139077B2 (ja) 単一波長誘導放出制御顕微鏡法
US10440244B2 (en) Near-field imaging devices
US7324273B2 (en) Confocal self-interference microscopy from which side lobe has been removed
WO2017049752A1 (zh) 一种基于一阶贝塞尔光束的sted超分辨显微镜及调节方法
JP7134096B2 (ja) 基板検査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3506828A (ja) 光電陰極の高開口数照光を用いた電子ビームコラム
JP3996135B2 (ja) リソグラフィー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US115256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rology
JP2009514028A (ja) エバネッセント場の照明のための光学システム
DE102013214008A1 (de) Optikanordnung
CN108292034B (zh) 用于利用结构化的光片照射检查试样的方法和设备
KR101710570B1 (ko) 특이 광 투과 현상을 위한 나노홀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초고해상도 이미지 시스템
WO2020087998A1 (zh) 晶格光片显微镜和在晶格光片显微镜中平铺晶格光片的方法
CN109557653B (zh) 一种基于算法恢复的差分共聚焦显微成像方法和装置
Pae et al. Grating-Coupled plasmonic sensor for sucrose sensing fabricated using optical fiber-based interference lithography (OFIL) system
KR101192466B1 (ko) 능동 근접장 간극제어가 가능한 고속 마스크리스 나노리소그래피 방법, 이에 사용되는 나노 개구 기반 광학렌즈 및 광학헤드
JP2022108161A (ja) 光学装置及び固浸レンズ
TWI582407B (zh) 粒子三維定位與追蹤裝置及其方法
US11555784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uper resolution solid immersion lens microscopy
KR102019673B1 (ko) 구조 조명 현미경 및 촬영 방법
WO2023187876A1 (ja) 荷電粒子線装置の調整方法及び荷電粒子線装置
Jiang Realization and optimization of plasmonic structures for directional control of light
JP2022532248A (ja) 表面にパターン化されたエバネッセント場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