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460B1 -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460B1
KR101710460B1 KR1020150045003A KR20150045003A KR101710460B1 KR 101710460 B1 KR101710460 B1 KR 101710460B1 KR 1020150045003 A KR1020150045003 A KR 1020150045003A KR 20150045003 A KR20150045003 A KR 20150045003A KR 101710460 B1 KR101710460 B1 KR 101710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information
health
body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772A (ko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노스
Priority to KR102015004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460B1/ko
Priority to JP2015075771A priority patent/JP5837248B1/ja
Publication of KR2016011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06Q50/3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aviga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운전대)에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스티어링휠;과 상기 스티어링휠로부터 상기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도록 도와 주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 및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AVN 시스템로부터 상기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운전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건강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BIO INFORMATION FROM STEERING WHEEL WITH BIO SENS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대에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운전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자동차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차량 이용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의 이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운전자는 산책이나 조깅 같은 신체 운동하는 시간이 부족하여 운동 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운동 부족이 심해지면 건강에도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건강 이상이 있는 운전자인 경우에는 운전중 건강 악화로 인해 운전 부주위가 발생할 수 있어 교통 사고의 위험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건강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건강관리를 해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27007호인 "차량 운행상태 정보 기반 운전 집중도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에는 자동차의 휠(운전대;핸들)에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집중도를 측정하는 특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에도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건강 관리를 수행하는 특징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스티어링휠(운전대)에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건강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등록되어 있는 운전자가 아니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운전이 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 도난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스마트폰의 건강관리 앱과 연동하여 운전자의 건강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스티어링휠;과 상기 스티어링휠로부터 상기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신체 정보에 따라 안전 운행이 될 수 있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도록 도와 주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과 상기 AVN 시스템로부터 상기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부터 건강 상태 정보와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AVN 시스템로부터 상기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운전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고 건강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AVN 시스템로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휠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는 상기 운전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 상기 운전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 상기 운전자의 혈액을 측정하는 혈액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VN 시스템는,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알아내는 신체정보 분석부;와 상기 신체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운전자의 신체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를 식별하여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에만 차량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운전자 식별부;와 등록된 운전자의 신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는 차량 상태 분석부;와 상기 신체정보 분석부에서 분석된 신체 상태가 운전에 적합하지 않은 신체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 상태 분석부를 참조하여 운전에 적합하지 않은 신체 상태가 차량의 이상 상태에서 기인한 것이 아닌 경우에 운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차량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상기 신체 상태 및 건강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스마트폰 연동부;와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상기 신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건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운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건강 정보에 의료기관 예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해당 의료기관으로 안내하는 이동경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상기 AVN 시스템 또는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신체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상기 의료기관으로 상기 신체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의료기관 연동부;와 신체상태에 따른 건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체정보에 상응하는 운전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하는 DB;와 상기 신체상태에 따른 건강 정보 또는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한 운전자의 건강 정보를 상기 AVN 시스템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건강정보 제공부; 및 상기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신체 정보에 상응하는 건강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체 정보가 의료 기관의 진료를 요하는 수준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운행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의료 기간과 연동하여 의료 검진 예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AVN 시스템로부터 상기 신체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이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스티어링휠로부터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VN 시스템이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AVN 시스템이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운전자의 신체상태가 운전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안내하고 시동을 OFF 하는 단계;와 상기 신체정보를 저장하고, 차량 운행정보와 상기 신체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 관리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진료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건강 관리 서버가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신체 정보를 의료 기관으로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은 상기 운전자의 진료를 예약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상기 건강정보를 상기 AVN 시스템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버가 진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신체 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상기 AVN 시스템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AVN 시스템이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는 상기 운전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 상기 운전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상기 운전자의 혈액을 측정하는 혈액측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운전자의 맥박, 체온, 혈액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알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VN 시스템이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운전자의 신체상태가 운전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안내하고 시동을 OFF 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시동을 OFF 하고,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에는 운전에 적합한 신체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운전에 적합한 신체상태인 경우에만 시동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에 운전에 적합한 신체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운전에 적합한 신체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차량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신체 상태가 정상적인 신체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지를 구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규칙적인 차량 이동 경로 및 규칙적인 차량 이동 시간을 알아내고 상기 차량 이동 경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의료기관에 상기 차량이 해당 의료기관 주변에 위치할 시간에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건강관리 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AVN 시스템 및 상기 건강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건강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운전중에 즉시 측정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건강관리를 운전중에 즉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AVN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강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은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10), 스마트폰(20), AVN 시스템(100), 건강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스티어링휠(10)은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이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은 운전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 운전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 운전자의 혈액을 측정하는 혈액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스마트폰(20)에는 건강관리 앱이 설치되어 있어 AVN 시스템(200) 및 건강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운전자의 건강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화 하여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20)은 데이터화된 운전자의 건강 정보를 일자별로 관리하여 관리하여 매일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건강 상태에 맞는 운동법이나 건강 관리법을 알려 줄 수도 있다. 또한, AVN 시스템(200)로부터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신체 정보가 정상적인 신체 정보와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건강상태 정도에 따라 미리 저장된 지인에게 건강상태를 알려주거나, 건강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119로 바로 신고가 되도록 할 수 있다.
AVN 시스템(100)은 스티어링휠(10)로부터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에만 운전이 가능하도록 치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신체 상태를 알아내고 해당 신체 상태에 따라 경고 메시지 또는 건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상태에 맞는 건강 정보를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신체 정보를 건강 관리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주기적인 이동 경로와 이동 시간 정보등이 포함되어 있는 차량 운행 정보를 건강 관리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 서버(200)는 AVN 시스템(100)으로부터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건강 정보를 생성하여 AVN 시스템(100) 및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할 수 있고, 신체정보를 분석한 결과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스케줄과 연동하여 가까운 병원, 이용 중인 병원, 관련 병원에 운전자의 진료를 예약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건강 정보 및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한 건강 정보를 AVN 시스템(100) 및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AVN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AVN 시스템(100)은 신체정보 분석부(110), 운전자 식별부(120), 저장부(130), 차량 상태 분석부(140), 스마트폰 연동부(150), 통신부(160), 출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신체정보 분석부(110)는 스티어링휠(10)로부터 수신한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알아낸다. 예를들어, 운전자의 맥박을 분석하여 운전자가 흥분 상태 인지 고혈압이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고, 운전자의 체온을 분석하여 체온의 이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운전자의 혈액을 분석하여 기초적인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신체정보 분석부(110)는 운전자의 맥박, 혈압, 체온, 피검사 등의 데이터를 건강 양호 상태의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신체상태(양호, 경고, 위험, 졸음, 음주)를 확인할 수 있다.
운전자 식별부(120)는 스티어링휠(10)로부터 수신한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운전자의 맥박범위와 체온범위 및 혈액정보를 조합하여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차량 운행이 허가된 운전자의 신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휠(10)로부터 수신한 신체 정보의 일자별, 시간별 신체 정보 및 신체 정보에 상응하는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상태 분석부(140)는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 상태 분석부(140)는 차량의 운전 중 긴급한 상태(급정거, 급커브 등)가 발생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서 차량 상태 분석부(140)는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자이로 센서, 카메라 등과 연동하여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폰 연동부(150)는 스마트폰(20)과 연동하여 신체 상태 및 건강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한다. 또한, 분석된 신체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 연동부(150)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이동통신방식을 통해서 스마트폰(20)과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건강 관리 서버(200)로 신체정보를 제공하고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건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통신부(160)는 이동통신방식을 통해서 건강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출력부(170)는 분석된 건강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 출력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 건강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스피커를 통해서 운전 경고 메시지 및 건강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70)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운전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운전 가능 여부를 제어하고, 등록된 운전자만이 운전을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신체정보 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신체 상태와 차량 상태 분석부(140)에서 분석된 차량 상태를 참조하여 운전에 적합하지 않은 신체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들어, 정상 혈압보다 센서에서 측정한 혈압이 상승한 경우에는 혈압상승이 신체 이상으로 인한 것인지 차량의 급정거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조합하여 판단한다. 판단 결과 차량의 비상 상황에서 혈압이 상승한 경우에는 신체 상태를 정상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운전에 적합하지 않은 신체 상태라고 판단되면 즉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80)는 스티어링휠(10)에 구비된 센서들이 주기적(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건강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건강 정보에 의료기관 예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출력부(170)의 네비게이션 장치에 해당 의료기관으로 안내하는 이동경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건강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건강 관리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 의료기관 연동부(220), DB(230), 건강 정보 제공부(240) 및 서버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서버 통신부(210)는 AVN 시스템(100) 또는 스마트폰(20)과 통신을 수행하여 신체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
의료기관 연동부(220)는 의료기관(300)으로 신체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건강 정보를 수신한다.
의료기관 연동부(220)는 의료기관(300)으로 신체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건강 정보를 수신한다.
DB(230)는 신체상태에 따른 건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AVN 시스템(100)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수신한 신체정보 및 의료기관(3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체정보에 상응하는 운전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건강 정보 제공부(240)는 DB(230)에 저장되어 있는 신체상태에 따른 건강 정보 또는 의료기관(300)으로부터 수신한 운전자의 건강 정보를 AVN 시스템(100)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한다.
서버 제어부(250)는 AVN 시스템(100) 또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를 분석하고 DB(230)를 검색하여 분석된 신체 정보에 상응하는 건강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신체 정보를 분석한 신체 상태가 의료 기관(300)의 진료를 요하는 수준인 경우에는 의료기관(300)과 연동하여 운전자의 진료를 예약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250)는 AVN 시스템(100)으로부터 신체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운전자의 신체 상태가 의료 기관(300)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분석한 차량 운행 정보를 토대로하여 차량이 주로 운행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의료 기간과 연동하여 진료 예약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진료 예약 시간도 운전자가 해당 의료기관 주위를 운행하는 시간에 맞게 진료 예약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S100 단계는 AVN 시스템(100)이 센서가 장착된 스티어링휠(10)로부터 신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CAN 이나 블루투스, Wifi 통신을 이용하여 AVN 시스템(100)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S101 단계는 AVN 시스템(100)이 수신한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알아내는 단계이다.
S102 단계는 AVN 시스템(100)이 신체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AVN 시스템(100)은 등록되어 있는 운전자의 신체 정보와 측정한 신체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03 단계는 AVN 시스템(100)이 S102 단계에서 판단 결과,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에 운전자의 신체 상태가 운전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만일 운전에 적합한 신체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차량의 상태를 분석(S104 단계)하여 차량 상태가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S105 단계)하여 차량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측정된 신체 정보가 차량의 이상 상태(예를 들어 급정지, 타 차량의 난폭 운전 등)에 기인하여 측정된 신체 정보이므로 정상적인 신체 상태로 판단한다.
S10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차량 이상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측정된 신체 정보가 운전에 적합한 신체 상태가 아닌 경우에 해당하므로 운전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시동 후 운전을 수행하려는 경우에는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시동을 OFF 상태로 할 수 있다.
S107 단계는 AVN 시스템(100)이 수신한 신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S108 단계는 AVN 시스템(100)이 수신한 신체 정보와 차량의 ECU로부터 수신한 차량 운행 정보를 스마트폰(20) 또는 건강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S109 단계는 건강관리 서버(200)가 수신한 신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S110 단계는 건강관리 서버(200)가 분석한 신체 정보를 토대로 보다 정밀한 진료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111 단계는 건강관리 서버(200)가 의료기관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신체정보를 의료기관(300)으로 제공하고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S112 단계는 의료기관(300)이 수신한 신체정보를 바탕으로 건강 정보를 생성하고 운전자의 진료를 예약하는 단계이다.
S113 단계는 의료기관(300)이 건강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를 건강 관리 서버(200)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건강 관리 서버(200)는 수신한 건강 정보 및 진료 예약 정보를 AVN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S114 단계는 S110 단계에서 건강관리 서버(200)가 의료기관의 진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 진료 예약을 수행하지 않고 신체 정보에 상응하여 DB(230)에 저장되어 있는 건강 정보를 검색하여 스마트폰(20) 또는 AVN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
20 : 스마트폰
100 : AVN 시스템
110 : 신체정보 분석부
120 : 운전자 식별부
130 : 저장부
140 : 차량 상태 분석부
150 : 스마트폰 연동부
160 : 통신부
170 : 출력부
180 : 제어부
200 : 건강관리 서버
210 : 서버 통신부
220 : 의료기관 연동부
230 : DB
240 : 건강 정보 제공부
250 : 서버 제어부
300 : 의료 기관

Claims (12)

  1.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스티어링휠;
    상기 스티어링휠로부터 상기 신체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신체 정보에 따라 안전 운행이 될 수 있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도록 도와 주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
    상기 AVN 시스템로부터 상기 신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부터 건강 상태 정보와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AVN 시스템로부터 상기 신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운전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고 건강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AVN 시스템로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AVN 시스템은,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알아내는 신체정보 분석부;
    상기 신체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운전자의 신체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를 식별하여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에만 차량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운전자 식별부;
    등록된 운전자의 신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운행 정보 및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는 차량 상태 분석부;
    상기 신체정보 분석부에서 분석된 신체 상태가 운전에 적합하지 않은 신체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 상태 분석부를 참조하여 운전에 적합하지 않은 신체 상태가 차량의 이상 상태에서 기인한 것이 아닌 경우에 운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차량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상기 신체 상태 및 건강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스마트폰 연동부;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상기 신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건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운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휠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는 상기 운전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 상기 운전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 상기 운전자의 혈액을 측정하는 혈액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건강 정보에 의료기관 예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해당 의료기관으로 안내하는 이동경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상기 AVN 시스템 또는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신체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의료기관으로 상기 신체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의료기관 연동부;
    신체상태에 따른 건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체정보에 상응하는 운전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하는 DB;
    상기 신체상태에 따른 건강 정보 또는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한 운전자의 건강 정보를 상기 AVN 시스템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건강정보 제공부; 및
    상기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신체 정보에 상응하는 건강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또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체 정보가 의료 기관의 진료를 요하는 수준인 경우에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운행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의료 기간과 연동하여 의료 검진 예약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AVN 시스템로부터 상기 신체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7.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이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스티어링휠로부터 운전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VN 시스템이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AVN 시스템이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운전자의 신체상태가 운전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안내하고 시동을 OFF 하는 단계;
    상기 신체정보를 저장하고, 차량 운행정보와 상기 신체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건강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건강 관리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진료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건강 관리 서버가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신체 정보를 의료 기관으로 제공하고, 상기 의료기관은 상기 운전자의 진료를 예약하고 상기 신체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상기 건강정보를 상기 AVN 시스템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버가 진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신체 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상기 AVN 시스템 또는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VN 시스템이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운전자의 신체상태가 운전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안내하고 시동을 OFF 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시동을 OFF 하고,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에는 운전에 적합한 신체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운전에 적합한 신체상태인 경우에만 시동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가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에 운전에 적합한 신체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운전에 적합한 신체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차량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신체 상태가 정상적인 신체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지를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VN 시스템이 상기 신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는 상기 운전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부, 상기 운전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 상기 운전자의 혈액을 측정하는 혈액측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운전자의 맥박, 체온, 혈액을 분석하여 상기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알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규칙적인 차량 이동 경로 및 규칙적인 차량 이동 시간을 알아내고 상기 차량 이동 경로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의료기관에 상기 차량이 해당 의료기관 주변에 위치할 시간에 진료 예약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건강관리 앱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AVN 시스템 및 상기 건강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건강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화 하여 상기 운전자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KR1020150045003A 2015-03-31 2015-03-31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10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03A KR101710460B1 (ko) 2015-03-31 2015-03-31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5075771A JP5837248B1 (ja) 2015-03-31 2015-04-02 センサーを備えたハンドルから取得した身体情報を用いて健康管理を行う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03A KR101710460B1 (ko) 2015-03-31 2015-03-31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772A KR20160116772A (ko) 2016-10-10
KR101710460B1 true KR101710460B1 (ko) 2017-02-27

Family

ID=5493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003A KR101710460B1 (ko) 2015-03-31 2015-03-31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37248B1 (ko)
KR (1) KR101710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3712B (zh) * 2016-06-15 2019-08-30 南京理工大学 基于心生理信号的驾驶警示方向盘套装置及信号检测方法
JP6495489B1 (ja) * 2018-01-12 2019-04-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JP2020052545A (ja) * 2018-09-25 2020-04-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567772B (zh) * 2018-12-21 2021-09-10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体征检测装置、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186537B1 (ko) * 2019-03-18 2020-12-04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고령 운전자를 위한 스마트 케어 방법 및 시스템
JP7302445B2 (ja) * 2019-11-14 2023-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3476016A (zh) * 2021-06-30 2021-10-08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车载汗液检测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206A (ja) * 2005-04-25 2006-11-02 Toyota Motor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情報センタ
JP2014065428A (ja) * 2012-09-26 2014-04-17 Hitoshi Fujiwara 車両の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956A (ja) * 2000-06-20 2002-03-22 Honda Motor Co Ltd 情報サーバ接続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162375B2 (ja) * 2000-12-01 2008-10-08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車両安全運行管理装置
JP2002350148A (ja) * 2001-05-29 2002-12-04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4558002B2 (ja) * 2001-11-14 2010-10-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JP2004246707A (ja) * 2003-02-14 2004-09-02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健康管理システム、自動車用健康管理方法、及び、自動車用健康管理プログラム
KR20060037662A (ko) * 2004-10-28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검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및 상기 자동차를 이용한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89829A (ja) * 2007-10-05 2009-04-30 Denso Corp 生体状態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206A (ja) * 2005-04-25 2006-11-02 Toyota Motor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情報センタ
JP2014065428A (ja) * 2012-09-26 2014-04-17 Hitoshi Fujiwara 車両の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772A (ko) 2016-10-10
JP2016193165A (ja) 2016-11-17
JP5837248B1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460B1 (ko) 센서를 구비한 스티어링휠로부터 획득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6965674B (zh) 当乘员经历潜在病症时用于操作车辆的方法和系统
CN104656503B (zh) 自主车辆中的可穿戴计算机
US11191468B2 (en) Vehicular notification apparatus
KR102026806B1 (ko) 차량에서 탑승자 건강상태 측정을 통한 헬스 케어 장치
US10670663B2 (en) Warning method for a high-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in the case of an accident of the motor vehicle, a warning system for carrying out the warning method, and a motor vehicle that comprises components of the warning system
EP2983147B1 (en) Biometric monitoring and alerting for a vehicle
US20180315298A1 (en) Emergency transportation arrangement apparatus, emergency transportation arrangement system and emergency transportation arrangement method
CN113568509A (zh) 便携式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CN103192711A (zh) 用于运行车辆的方法
US11443605B2 (en) Monitoring apparatus, vehicle, monitor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600236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certaining a fatigue degree of a driver of a vehicle, and vehicle
CN106898149B (zh) 车辆的控制
US202101180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3235341A (ja) 疲労確認装置
JP2018055446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KR20150061943A (ko) 운전자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9886034B2 (en) Vehicle control based on connectivity of a portable device
KR102073561B1 (ko) 차량에서 탑승자 건강상태 측정을 통한 헬스 케어 방법
US10578454B2 (en) Route calcul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torage medium
US10717443B2 (en) Occupant awareness monitoring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435346B1 (ko) 운전자의 헬스 측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위험 경고 방법
WO2016120994A1 (ja) 運転情報提示システム
JP2017090968A (ja) 車載機及び駐車支援システム
JP2007061484A (ja) 注意喚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