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053B1 - 막대풍선 - Google Patents

막대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053B1
KR101710053B1 KR1020150087403A KR20150087403A KR101710053B1 KR 101710053 B1 KR101710053 B1 KR 101710053B1 KR 1020150087403 A KR1020150087403 A KR 1020150087403A KR 20150087403 A KR20150087403 A KR 20150087403A KR 101710053 B1 KR101710053 B1 KR 101710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balloon body
detachable coupling
thumb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782A (ko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김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욱 filed Critical 김재욱
Priority to KR102015008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0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41Holding or sealing means, e.g. handling rods, clamps or plug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개선안은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임의이탈에 의한 분실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막대풍선에 관련된다.
본 개선안은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는 풍선본체와, 일단은 상기 풍선본체의 하단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풍선본체의 하단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밴드용 띠를 포함하는 막대풍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막대풍선{STICK BALLOON}
본 개선안은 주로 응원도구로 사용되는 막대풍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 농구, 배구 등과 같은 운동경기를 관람하는 관중들은 선수나 팀을 응원하기 위하여 응원깃발, 수술, 응원장갑, 입피리, 입나팔, 메가폰, 짝짝이 등 여러가지 응원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관중들이 막대풍선을 이용하여 조직적이면서 용이주도한 응원을 하면서 관람의 즐거움을 배가시킴과 동시에 선수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있다.
이러한 막대풍선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6-0016432호(1996.06.17. 공개)에는 폴리에틸렌재로 이루어진 긴 원통형의 몸체를 선단부에는 만곡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개구부를 형성하되, 상기 개구부에는 체크밸브를 끼워 열융착하여 밀봉한 주입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막대풍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막대풍선에는 실제 사용시에 휴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임의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전혀 강구되어 있지 않아,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어 분실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한 막대 형상으로만 형성되는 종래의 막대풍선에는 파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이 전혀 강구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막대풍선을 파지하여 응원 등에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2개의 막대풍선을 서로 부딪혀 충돌음을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에 충격에 의해 막대풍선이 사용자의 손에서 이탈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임의이탈에 의한 분실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막대풍선에 관련된다.
또한 본 개선안은 비교적 강력한 파지력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한 막대풍선에 관련된다.
본 개선안은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는 풍선본체와, 일단은 상기 풍선본체의 하단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풍선본체의 하단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밴드용 띠를 포함하는 막대풍선을 제공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풍선본체의 하단 타측에는 제 1 착탈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손목밴드용 띠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착탈결합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착탈결합구가 구비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착탈결합구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대응되는 벨크로테이프, 스냅버튼, 링-후크, 돌기-홈, 자석 및 점착시트 중 하나로 형성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풍선본체에는 응원,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인쇄층이 상기 풍선본체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적층형성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풍선본체의 하부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외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풍선본체는 막대, 방망이, 칼, 삼지창 및 망치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막대풍선은 2개 1조로 구성되고, 2개 1조의 상기 막대풍선의 손목밴드용 띠는 상기 제 2 착탈결합구끼리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넥밴드용 연결띠를 형성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풍선본체의 하부 중앙에 엄지삽입부가 형성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엄지삽입부는 상기 풍선본체의 하부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엄지삽입홀(thumb hole)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풍선본체의 하부 중앙에 함입형성되는 엄지삽입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풍선본체의 하부 일측에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이 안착되는 그립그루브(grip groove)가 함입형성된다.
본 개선안에 따른 막대풍선은, 풍선본체의 하단에 손목밴드용 띠가 구비됨에 따라 손목밴드용 띠를 손목에 건 상태로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임의이탈에 의한 분실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선안에 따른 막대풍선은, 2개 1조로 사용할 경우에 손목밴드용 띠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넥밴드용 연결띠를 목에 건 상태로 휴대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실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개선안에 따른 막대풍선은, 사용자가 풍선본체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엄지삽입부에 엄지를 삽입함과 동시에 풍선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그립그루브에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을 안착시켜 비교적 강력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어 임의이탈에 의한 분실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다양한 변형예의 사시도.
도 3은 손목밴드용 띠를 이용한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넥밴드용 연결띠를 이용한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에 있어서, 휴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사시도.
도 6은 엄지삽입부와 그립그루브를 이용한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파지상태도.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개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개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내지 도 2d에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다양한 변형예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손목밴드용 띠를 이용한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넥밴드용 연결띠를 이용한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휴대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100, 100a, 100b, 100c, 100d)은, 도 1 내지 도 2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는 풍선본체(110)와, 일단은 풍선본체(110)의 하단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풍선본체(110)의 하단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밴드용 띠(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풍선본체(110)는 내부에 공기 또는 헬륨가스 등과 같은 유체가 주입가능한 원통형의 유체주입팩을 형성하는 것으로, 2매의 합성수지재 필름을 맞 댄 후 일측 가장자리에 유체주입용 체크밸브(111)를 위치시킨 다음 가장자리를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풍선본체(110)는 1매의 합성수지재 필름의 양단을 맞대어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양단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만든 다음 상단 개방부를 열융착등의 방법으로 접합하고 하단 개방부를 유체주입용 체크밸브(111)의 개재하에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풍선본체(110)는 합성수지를 원통형으로 압출성형한 후 상단 개방부를 열융착등의 방법으로 접합하고 하단 개방부를 유체주입용 체크밸브(111)의 개재하에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풍선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실시예에 따라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방망이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칼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삼지창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2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망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끼, 지팡이 등 그 외 다양한 형상을 자질 수도 있다.
풍선본체(110)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유체주입용 체크밸브(111)는 풍선본체(110) 내로 유체주입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풍선본체(110) 내에 주입된 유체는 외부로 배출하지 않도록 일방향 유체의 유동만을 가능하게 한다.
유체주입용 체크밸브(111)은 풍선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접합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풍선본체(110) 내부로 공기 또는 헬륨가스 등과 같은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유체주입유로(111a)가 풍선본체(110)의 외부로부터 풍선본체(110)의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유체주입용 체크밸브(111)는 종래의 막대풍선에 적용되어 그 구조 및 작용이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풍선본체(110)에는 응원,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인쇄층(113)이 적층형성되는데, 이 인쇄층(113)은 문자, 기호, 도형, 이미지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형성되는 응원문구, 광고문구 또는 홍보문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풍선본체(110)의 외부면에 공지된 인쇄방법에 의해 적층형성되거나 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풍선본체(110)의 내부면에 공지된 인쇄방법에 의해 적층형성된다. 또한 인쇄층(113) 상에는 인쇄층(113)의 손상이나 임의박리를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미도시)이 적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풍선본체(110)의 하단에는 손목밴드용 띠(120)가 구비되는데, 이 손목밴드용 띠(12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풍선본체(110)의 하단에 사용자의 손목을 둘러싸는 손목밴드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100, 100a, 100b, 100c, 100d)을 임의이탈 또는 분실의 위험없이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손목밴드용 띠(120)의 일단은 풍선본체(110)의 하단 일측에 열융착, 접합 또는 접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손목밴드용 띠(120)의 타단은 풍선본체(110)의 하단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손목밴드용 띠(120)의 분리가능한 결합을 위해, 풍선본체(110)의 하단 타측에는 제 1 착탈결합구(130a)가 구비되고 손목밴드용 띠(120)의 타단에는 제 1 착탈결합구(130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착탈결합구(130b)가 구비된다.
제 1 및 제 2 착탈결합구(130a, 130b)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대응되는 암수 의 스냅버튼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로 착탈가능하게 대응되는 벨크로테이프, 링-후크, 돌기-홈, 자석 및 점착시트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100, 100a, 100b, 100c, 100d)은 응원도구로의 사용을 위해 2개 1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2개 1조로 구성되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100, 100a, 100b, 100c, 100d)의 손목밴드용 띠(120)는 휴대 시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착탈결합구(130b)끼리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 둘레에 둘러질 수 있는 넥밴드용 연결띠(14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착탈결합구(130b)끼리의 결합을 위해, 일측 손목밴드용 띠(120)의 제 2 착탈결합구(130b)가 암형인 경우에 타측 손목밴드용 띠(120)의 제 2 착탈결합구(130b)가 수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손목밴드용 띠(120)의 제 2 착탈결합구(130b)가 수형인 경우에 타측 손목밴드용 띠(120)의 제 2 착탈결합구(130b)가 암형으로 형성된다.
도 5에는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엄지삽입부와 그립그루브를 이용한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의 파지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200)은 도 5 및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는 풍선본체(110)와, 일단은 풍선본체(110)의 하단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풍선본체(110)의 하단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밴드용 띠(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200)은, 손목밴드용 띠(120)의 분리가능한 결합을 위해, 풍선본체(110)의 하단 타측에 제 1 착탈결합구(130a)가 구비되고 손목밴드용 띠(120)의 타단에 제 1 착탈결합구(130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착탈결합구(130b)가 구비된다.
또한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200)은 응원도구로의 사용을 위해 2개 1조로 구성되고 이 때 손목밴드용 띠(120)는 제 2 착탈결합구(130b)끼리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 둘레에 둘러질 수 있는 넥밴드용 연결띠(140)를 형성한다.
풍선본체(110), 손목밴드용 띠(120), 제 1 및 제 2 착탈결합구(130a, 130b), 넥밴드용 연결띠(140)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100, 100a, 100b, 100c, 100d)의 대응되는 부재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풍선본체(110)의 하부 중앙에 엄지삽입부(150)가 형성되는데, 이 엄지삽입부(150)는 사용자가 응원 등의 목적을 위해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200)의 하부를 파지함에 있어서, 엄지를 그 내부로 삽입하여 더욱 강력한 파지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엄지삽입부(150)는 풍선본체(110)의 하부 중앙에 관통형성되고 엄지손가락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엄지삽입홀(thumb hole)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되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풍선본체(110)의 하부 중앙에 함입형성되고 엄지손가락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엄지삽입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풍선본체(110)의 하부 일측에는 그립그루브(160; grip groove)가 함입형성되는데, 이 그립그루브(160)는 사용자가 응원 등의 목적을 위해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200)의 하부를 파지할 때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파지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욱 강력한 파지력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사용자의 손 형상을 고려한 인체공학적 파지를 위해, 엄지삽입부(150)와 그립그루브(160)는 풍선본체(110)의 하단으로부터 그립그루브(160)의 상단까지의 거리가 풍선본체(110)의 하단으로부터 엄지삽입부(150)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엄지삽입부(150)와 그립그루브(160)가 구비되는 풍선본체(110)의 하부에는 사용자에 의한 파지가 더욱 더 용이해질 수 있도록 외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1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막대풍선(100, 100a, 100b, 100c, 100d, 200)은, 풍선본체(110)의 하단에 손목밴드용 띠(120)가 구비됨에 따라 손목밴드용 띠(120)를 손목에 건 상태로 휴대 또는 사용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임의이탈에 의한 분실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막대풍선(100, 100a, 100b, 100c, 100d, 200)이 2개 1조로 사용할 경우에 손목밴드용 띠(120)가 서로 연결되어 넥밴드용 연결띠(140)를 형성함에 따라, 미사용에 따른 휴대시에 넥밴드용 연결띠(140)를 목에 건 상태로 휴대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실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200)은 전술한 손목밴드용 띠(120)가 구비됨과 동시에 풍선본체(110)의 하부 중앙에 엄지삽입부(150)가 형성되고 풍선본체(110)의 하부 일측에는 그립그루브(160)가 함입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엄지삽입부(150)에 엄지를 삽입함과 동시에 그립그루브(160)에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을 안착시켜 본 개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풍선(200)을 보다 강력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어 임의이탈에 의한 분실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개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개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100d, 200 : 막대풍선
110 : 풍선본체
111 : 유체주입용 체크밸브
111a : 유체주입유로
113 : 인쇄층
115 : 손잡이부
120 : 손목밴드용 띠
130a : 제 1 착탈결합구
130b : 제 2 착탈결합구
140 : 넥밴드용 연결띠
150 : 엄지삽입부
160 : 그립그루브

Claims (10)

  1.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는 풍선본체; 및
    일단은 상기 풍선본체의 하단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풍선본체의 하단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밴드용 띠를 포함하며,
    상기 풍선본체의 하부 중앙에는 엄지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엄지삽입부는 상기 풍선본체의 하부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엄지삽입홀(thumb hole)의 형태로 형성되는 막대풍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선본체의 하단 타측에는 제 1 착탈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손목밴드용 띠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착탈결합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착탈결합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착탈결합구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대응되는 벨크로테이프, 스냅버튼, 링-후크, 돌기-홈, 자석 및 점착시트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선본체에는 응원,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인쇄층이 상기 풍선본체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적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선본체의 하부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외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선본체는 막대, 방망이, 칼, 삼지창 및 망치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막대풍선은 2개 1조로 구성되고, 2개 1조의 상기 막대풍선의 손목밴드용 띠는 상기 제 2 착탈결합구끼리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넥밴드용 연결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본체의 하부 일측에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이 안착되는 그립그루브(grip groove)가 함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풍선.
KR1020150087403A 2015-06-19 2015-06-19 막대풍선 KR101710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403A KR101710053B1 (ko) 2015-06-19 2015-06-19 막대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403A KR101710053B1 (ko) 2015-06-19 2015-06-19 막대풍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82A KR20160149782A (ko) 2016-12-28
KR101710053B1 true KR101710053B1 (ko) 2017-02-24

Family

ID=5772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403A KR101710053B1 (ko) 2015-06-19 2015-06-19 막대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0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73Y1 (ko) * 1998-04-08 2001-02-01 황덕형 풍선
KR200238452Y1 (ko) * 2001-04-09 2001-10-11 이종삼 응원용막대장갑풍선
KR200256584Y1 (ko) * 2001-08-27 2001-12-24 양옥진 막대풍선
KR101164929B1 (ko) * 2011-06-09 2012-07-12 차동순 막대풍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73Y1 (ko) * 1998-04-08 2001-02-01 황덕형 풍선
KR200238452Y1 (ko) * 2001-04-09 2001-10-11 이종삼 응원용막대장갑풍선
KR200256584Y1 (ko) * 2001-08-27 2001-12-24 양옥진 막대풍선
KR101164929B1 (ko) * 2011-06-09 2012-07-12 차동순 막대풍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82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7160B2 (ja) アパレル及びアクセサリのための構造体及び方法
US20210000208A1 (en) Hat with glasses holding sleeve assemblys
US8381989B2 (en) Wearable device with a manipulatable object
JPWO2010029614A1 (ja) 手袋及びその付属品
US9721554B2 (en) Detachable fingergrip whistle system
JP2008229295A (ja) ゴルフ手袋
KR101710053B1 (ko) 막대풍선
US7293429B1 (en) Nurturing necklace system
TWM611433U (zh) 接髮結構
JP2013188459A (ja) 打撃音発生用具および打撃音発生用具の製造方法
KR0127924Y1 (ko) 막대풍선
KR101194054B1 (ko) 다중구조의 물놀이용 고무공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213394A1 (en) Lacrosse handle
KR101164929B1 (ko) 막대풍선
IT201900001701A1 (it) Strumento educativo per l'apprendimento del gioco del tennis
CN209734930U (zh) 一种武术搏击手套
CN203733440U (zh) 肩背式广告气柱罩
CN208972720U (zh) 一种跆拳道防护手套
CN203721175U (zh) 弹奏指套
KR200386780Y1 (ko) 응원용 조립식 장갑
US20220079261A1 (en) Whistle shields
CN206642306U (zh) 无柄乒乓球拍
KR200163699Y1 (ko) 아동용글러브완구
JP3159063U (ja) 逮捕術用ソフト警棒
JPH10337343A (ja) 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