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954B1 -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954B1
KR101709954B1 KR1020160012700A KR20160012700A KR101709954B1 KR 101709954 B1 KR101709954 B1 KR 101709954B1 KR 1020160012700 A KR1020160012700 A KR 1020160012700A KR 20160012700 A KR20160012700 A KR 20160012700A KR 101709954 B1 KR101709954 B1 KR 10170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oor
information
speed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진
서영대
Original Assignee
(주) 로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임시스템 filed Critical (주) 로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1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6Speed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문의 열림과 닫힘 시 자동문의 물리적 속도 감속을 선형적으로 부드럽게 수행하도록 하며, 자동문의 무게 및 마찰력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문의 제어거리가 자동조절되도록 하며, 원격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제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Smart automatic do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문의 열림과 닫힘 시 자동문의 물리적 속도 감속을 선형적으로 부드럽게 수행하도록 하며, 자동문의 무게 및 마찰력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문의 제어거리가 자동조절되도록 하며, 원격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제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사람들의 출입시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설치가 보편화되고 있다. 자동문은 주로 사람의 출입이 잦은 아파트, 호텔, 빌딩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건물뿐만 아니라 음식점, 슈퍼마켓 등의 일반상가에도 자동문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자동문 제어장치는 제어시 오류나 오차가 발생하면 양문형인 경우 양측 자동문 선단부간, 또는 일면형인 경우 자동문 선단부와 문틀프레임간의 상호 강한 충돌이 발생되거나 닫혔을 때 간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빌딩 등에 설치되는 각 자동문의 동작 상태 및 각종 이상 유무는 경비실 및 관리소와 같은 중앙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각각의 자동문은 중앙관제센터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자동문 시스템이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같이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될 경우, 넓은 지역에 분포된 각 자동문과 중앙관제센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각 자동문의 고장 및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이 어렵고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자동문의 이상 유무 및 장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A/S 센터의 관리자가 직접 자동문이 설치된 현장을 방문하여 체크해야 함에 따라 유지 및 관리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문헌>
출원번호 10-2010-0097995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문의 열림과 닫힘시 물리적 속도감속을 선형적으로 부드럽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센서를 통해 자동문의 무게와 마찰력을 자동 산출하여 자동문 간의 충돌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문의 제어거리가 자동조절되도록 하며, 자동문의 상태를 스마트단말기로 모니터링하여 원격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원격제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로 개폐되는 자동문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있어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자동문(100)과;
자동문(100)의 슬라이딩 열림과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와;
자동문(100)의 개폐시 문이 위치하는 위치정보와 자동문의 개폐시 자동문(100)의 속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센서부(300)와;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자동문(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정보와 센서부(300)를 통해 생성되는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00)와;
자동문(100)을 원격 제어하며, 원격으로 자동문의 상태 점검 및 자동 제어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스마트단말기(500)와;
상기 스마트단말기(500)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600)와;
상기 저장부(400)의 저장되는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여 자동문(100)의 개폐속도를 제어하고, 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자동문의 상태정보를 스마트단말기(500)로의 전송을 제어하며, 스마트단말기(500)에서 전송한 원격신호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자동문의 열림과 닫힘시 물리적 속도감속을 선형적으로 부드럽게 수행하도록 하여 자동문의 충돌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센서를 통해 자동문의 무게와 마찰력과 닫힘 위치를 자동 산출하여 지속적으로 자동문의 손상 또는 고장 없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문의 제어거리가 자동조절되도록 하며, 자동문의 상태를 스마트단말기로 모니터링하여 원격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원격제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대한 감속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대한 자동문 개폐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대한 저장부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대한 중앙제어부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대한 학습정보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a와 도 2b는 감속속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와 도 3b는 자동문 상태도이며, 도 4는 저장부의 블럭도이고, 도 5는 중앙제어부 블럭도이며, 도 6은 학습정보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의 자동문은 2~3단계에 걸쳐 계단식으로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자동문 닫힘이 투박하고, 자동문의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 등에 충돌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계별 속도제어(계단형 속도제어)가 없이 자동문의 닫힘 종단 측으로 이동될 때 계단형 감속없이 선형적으로 감속되도록 하여 자동문이 부드럽게 닫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로 개폐되는 자동문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있어서,
문틀 프레임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자동문(100)과;
자동문(100)의 슬라이딩 열림과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와;
자동문(100)의 개폐시 문이 위치하는 위치정보와 자동문의 개폐시 자동문(100)의 속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센서부(300)와;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자동문(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정보와 센서부(300)를 통해 생성되는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00)와;
자동문(100)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원격상태 점검 및 자동 제어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스마트단말기(500)와;
상기 스마트단말기(500)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600)와;
상기 저장부(400)의 저장되는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산출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여 자동문(100)의 개폐속도를 제어하고, 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자동문의 상태정보를 스마트단말기(500)로의 전송을 제어하며, 스마트단말기(500)에서 전송한 원격신호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문(100)은 양측 또는 일측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자동 개폐되거나 개폐수단의 터치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자동문(100)의 열림과 닫힘이 수행되도록 자동문(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 또는 자동설정에 따라 자동문(100)의 구동속도와 감속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자동문(100)이 열림 시 자동문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점과 닫힘 시 자동문(100)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센싱하여 자동문 개폐시 자동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자동문(100)의 슬라이딩 개폐시 슬라이딩 되는 자동문의 속도를 센싱하여 속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400)는 구동부를 통해 자동문(100)이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정보와 센서부(300)에서 생성한 자동문(100)의 개폐시 자동문 선단부의 위치정보와 자동문의 속도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단말기(500)는 자동문(100)의 자동 제어상태를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시 자동문(100)의 자동제어가 오작동 되는 경우 스마트단말기(500)를 통해 원격으로 점검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부(600)는 스마트단말기(500)와 자동문 제어장치 간의 원격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저장부(40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것이며, 무선통신부(600)는 스마트단말기(500)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제어부(7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구동정보와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문의 개폐속도를 제어하고, 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스마트단말기(500)로의 전송을 제어하며 스마트단말기(500)에서 전송되는 원격신호를 받아 자동문(10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0)는,
자동문(100)이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210)와;
비감속구간에서의 구동모터(210) 구동력 제어와 감속구간에서 자동문(100)의 감속을 위한 구동모터(210)의 구동력 제어를 위해 형성되는 감속수단(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중앙제어부(700)로부터 개폐동작신호가 전달될 시 작동하게 되는데, 출입자의 자동감지나 출입자의 개폐수단 터치시 중앙제어부(700)는 구동부(200)로 개폐동작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자동문(100)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한 구동력 제공을 위해 형성되는 구성수단이고, 상기 구동모터(210) 일측에 형성되는 감속수단(220)은 자동문(100)의 비감속구간에서의 속도제어와 감속구간에서의 감속제어 특히, 열림과 닫힘 시 종단 동작에서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구동모터(210)와 감속수단(220)은 중앙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력과 감속수단(200)의 감속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종래의 자동문(100) 개폐시 속도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계단형으로 속도제어가 됨으로 인해 투박한 개폐가 이루어지고, 종단속도(자동문이 일면형인 경우 개폐시 자동문(100)의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에 접촉하기 직전의 속도 또는 자동문(100)이 양면형인 경우 자동문(100)의 양 선단부가 서로 접촉하기 직전의 속도를 의미함)의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자동문(100)의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자동문이 일면형인 경우)이나 타측 선단부(자동문이 양면형인 경우)에 충격을 가하며 닫히거나 열리게 되어 자동문(100)의 파손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감속구간에서는 기 설정된 개폐속도(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한 속도)로 자동문(100)은 개폐되며, 감속구간에서 계단식 속도 감속이 아닌 선형감속을 하고 또한, 종단속도가 거의 0에 가깝게(하기 수학식1에 의하면 남은거라가 0일 경우 속도는 0이 됨) 제어됨으로 자동문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자동문이 일면형인 경우)이나 타측 선단부(자동문이 양면형인 경우)에 강한 충격을 가하며 개폐가 되지 않고, 또한 감속구간에서의 선형적 감속으로 인해 투박하지 않고 부드러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수학식1]
감속구간에서 자동문속도 = 비감속구간 개폐속도 × log(남은거리/감속구간전체 거리)
상기 수학식 1에서 비감속구간 개폐속도는 감속구간이 아닌 비감속구간에서의 자동문(100) 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으로 일정한 속도값을 갖으며, 남은거리는 일면형 자동문(100)인 경우 자동문 선단부와 문틀 프레임과의 거리이고, 양문형 자동문(100)인 경우 자동문(100)의 일측 선단부와 중앙부(자동문의 양측 선단부가 만나는 지점)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센서부(300)에 의해 센싱된 자동문(100)의 위치정보를 통해 산출 가능한 값이다. 상기 남은 거리는 자동문(100)이 개폐될수록 적어지는 값이 된다. 또한, 감속구간전체거리는 자동문(100)의 감속이 이루어지는 구간거리를 의미하여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일정한 값이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감속구간에서는 자동문(100)의 속도가 로그함수적으로 선형적 감속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투박한 개폐가 아닌 부드러운 개폐가 수행될 수 있으며, 종단 속도(자동문이 일면형인 경우 개폐시 자동문의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에 접촉하기 직전의 속도 또는 양면형인 경우 자동문의 양 선단부가 서로 접촉하기 직전의 속도를 의미함)는 남은 거리가 거의 0에 가깝게 됨으로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거의 0에 가깝게 되어 자동문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에 충격을 가하며 닫히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200)는 구동모터(210)와 감속수단(220)을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감속수단(220)은 비감속수단에서는 자동문(100)이 기 설정된 일정한 개폐속도로 개폐되도록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제어하고, 감속구간에서는 자동문(100)의 속도를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선형적으로 감속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300)는 자동문(100)의 개폐시 자동문 선단부의 위치를 센싱하여 자동문(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위치센서(310)와;
자동문(100)의 개폐시 자동문(100)의 속도를 센싱하여 자동문(100)의 속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속도센서(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도 3a와 도 3b의 자동문(100)이 일면형인 경우와 양면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면형 경우>
도 3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형 자동문(100)의 경우 종단지점은 문틀 양측 프레임이 위치하는 지점이 된다.
즉, 일면형 자동문(100)이 열림 작동시에는 일측 문틀 프레임에서 타측 문틀 프레임으로 자동문 선단부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위치센서(310)는 자동문의 선단부 위치를 센싱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위치정보란 자동문 선단부와 타측 문틀 프레임까지의 거리정보가 되는 것이다.
반대로 일면형 자동문(100)이 닫힘 동작시에는 타측 문틀 프레임에서 일측 문틀 프레임으로 자동문 선단부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위치센서(310)는 자동문의 선단부 위치를 센싱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위치정보란 자동문 선단부와 일측 문틀 프레임까지의 거리정보가 되는 것이다.
<양면형 경우>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형 자동문(100)의 경우 종단지점은 자동문 (100)양측 선단부가 접촉하는 지점으로 일반적으로 출입문 중앙부가 된다.
즉, 양면형 자동문(100)이 열림 동작시에는 출입문 중앙부에서 양측 문틀 프레임으로 자동문 선단부는 각각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위치센서(310)는 자동문의 선단부의 위치를 센싱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위치정보란 자동문 선단부와 문틀 프레임까지의 거리정보가 되는 것이다.
반대로 양면형 자동문(100)이 닫힘 동작시에는 양측 문틀 프레임에서 출입문 중앙부로 자동문 선단부는 각각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위치센서(310)는 자동문 선단부의 위치를 센싱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위치정보란 자동문 선단부와 출입문 중앙부까지의 거리정보가 되는 것이다.
상기 속도센서(320)는 자동문(100)의 개폐시 자동문(100)의 속도정보를 생성하는데 상기 속도정보란 자동문(100) 개폐시 각 구간에서의 자동문(100) 속도를 의미한다.
상기 위치센서(310)와 속도센서(320)가 생성한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는 구동부(200)에서 자동문(100)의 개폐시 감속제어를 위한 정보로 활용되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자동문(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정보가 저장되는 구동정보저장부(410)와;
자동문(100)의 개폐 시 위치센서(310)를 통해 생성된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정보저장부(420)와;
자동문(100)의 개폐 시 속도센서(320)를 통해 생성된 속도정보가 저장되는 속도정보저장부(430)와;
자동문(100)의 개폐에 따른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상태정보저장부(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정보저장부(410)는 구동부(200)를 통해 자동문(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정보가 저장되는데, 상기 구동정보는 비감속구간에서의 자동문(100) 개폐속도, 비감속구간거리, 감속구간거리 등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구동정보는 사용자 필요에 의해 설정 가능한 정보이다.
상기 위치정보저장부(420)는 자동문(100)의 개폐 시 위치센서(310)를 통해 생성된 위치정보가 저장되는데 상기 위치 정보는 자동문(100) 개폐시 자동문 선단부와 종단지점(자동문의 개폐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자동문 선단부가 위치할 지점을 의미)까지의 거리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위치정보란 자동문이 일면형인 경우 자동문 선단부와 문틀 프레임까지의 거리정보이고, 자동문이 양면형인 경우 닫힘시에는 자동문 선단부와 출입문 중앙부(자동문의 양측 선단부가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정보이고 열림시에는 자동문 선단부와 문틀 프레임까지의 거리정보가 되는 것이다.
상기 속도정보저장부(430)는 자동문(100)의 개폐 시 속도센서(320)를 통해 생성된 자동문의 속도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상태정보저장부(440)는 자동문(100)의 개폐에 따른 자동문(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인 자동문(100)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상태정보는 중앙제어부(700)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스마트단말기(500)는 중앙제어부(700)로부터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자동문(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모니터링 후 자동문(100)을 원격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700)로부터 수신받은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로는 현재의 개폐상태정보, 동작프로파일정보 등일 수 있는데 상기 현재의 개폐상태정보란 자동문이 현재 어떠한 상태에 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사용자는 상기 개폐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야간이어서 닫혀 있어야 함에도 어떤 원인에 의해 열려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원격으로 닫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열려 있어야 함에도 닫혀 있는 경우에는 원격으로 열게 하는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동작프로파일정보란 일간 동작프로파일정보나, 주간 동작프로파일정보일 수 있는데 상기 동작프로파일정보는 자동문의 동작횟수, 닫힘충격횟수, 열림충격횟수, 안전센서감지횟수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동작프로파일정보를 통해 원격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자동문의 구동정보 등을 원격으로 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프로파일정보를 토대로 동작횟수에 비해 과도한 충격횟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구동정보를 변경 설명하도록 원격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부(600)는 스마트단말기(500)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수단으로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중앙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단말기(500)로 전송하거나 스마트단말기(500)로부터의 원격신호를 수신받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중앙제어부(700)는 저장부(400)의 저장되는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산출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여 자동문(100)의 개폐속도를 제어하고, 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스마트단말기(500)로의 전송을 제어하며, 스마트단말기(500)에서 전송한 원격신호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의 구동정보를 변경하거나 자동문(100)을 제어하는 구성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제어부(700)는 자동문(100)의 개폐시 비감속구간과 감속구간에서의 선형적 감속을 제어하도록 구동부의 감속수단(220)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선형제어부(710)와;
자동문(100)의 개폐 동작에 따른 학습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의 개폐를 제어하는 학습제어부(720)와;
스마트단말기(500)로부터의 원격신호에 의해 자동문(100)의 구동정보를 변경하거나 자동문(100)의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원격제어부(730)와;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스마트단말기(500)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상태제어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형제어부(710)는 출입자의 자동감지나 출입자의 개폐수단(예를 들어 개폐버튼)터치시 구동부(200)의 감속수단(220)으로 개폐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개폐제어신호를 전달받은 구동부(200)의 감속수단(220)은 비감속구간에서는 저장부(400)의 구동정보저장부(410)에 저장된 비감속구간 개폐속도로 자동문(100)이 개폐되도록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제어하고, 감속구간에서는 상기 수학시 1과 같이 선형적으로 자동문(100)이 감속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학습제어부(720)는 자동문(100)의 개폐에 따른 학습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의 종단파워를 제어하게 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습정보의 생성은 2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자동문(100)의 종단속도와 자동문(100)의 멈춤 위치를 이용하여 학습정보를 생성하는데 상기 종단속도란 자동문(100)이 일면형인 경우 개폐시 자동문의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에 접촉하기 직전의 속도 또는 자동문(100)이 양면형인 경우 자동문의 양 선단부가 서로 접촉하기 직전이나 자동문의 양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에 접촉하기 직전의 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접촉하기 직전이란 바람직하게는 접촉 10mm전 지점에서의 속도이고, 센서부(300)의 속도센서(320)에 의해 측정되어 진다.
또한, 자동문(100) 멈춤 위치는 감속에 의해 최종적으로 자동문(100)이 멈추었을 때 자동문 선단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의미하며 센서부(300)의 위치센서(310)에 의해 측정되어 진다.
학습정보 생성과정은 아래와 같다.
자동문(100)의 종단속도와 멈춤 위치를 기준속도(사용자에 의해 임의 설정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0mm/sec)와 기준위치(사전에 설정되는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문틀 프레임 위치나 출입문 중앙부 위치)와 비교를 수행한다.
비교 결과 종단속도나 멈춤 위치가 기준속도 이하이거나 기준위치보다 빨리 멈추게 되는 경우에는 종단파워를 증가시키는 학습정보를 생성한다.
비교 결과 종단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종단파워를 감소시키는 학습정보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학습정보에 의해 다음번의 자동문 개폐시에는 학습정보데로 종단파워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개폐를 수행하게 된다
선형제어부(710)에 의해 자동문(100)의 제어를 수행하지만 시간이 경과되면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자동문(100)의 선행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제어부(710)를 통해 구동부(200)를 제어하게 되는 경우 초기에는 선형제어가 제대로 수행이 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여러가지 원인(자동문의 기계적 물리적 원인, 온도 이물질들에 의한 제어환경 변화 등)에 의해 선형제어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감속제어가 제대로 되지 않아 멈추어야 할 위치에서 멈추지 않고 자동문(100)의 선단부가 문틀 프레임에 강하게 충격하거나(일면형인 경우) 자동문(100)의 양측 선단부가 상호 강하게 충격을 가하면서(양면형인 경우) 개폐되어 질 수 있다.
이때 학습제어부(720)는 선형제어를 보상할 수 있는 보완수단으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학습정보에 의해 종단파워를 제어하게 되면 선형제어에 오차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학습제어부(720)에 의해 자동문(100) 개폐가 보완되어 최적의 자동문(100) 개폐가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원격제어부(730)는 스마트단말기(500)로부터의 원격신호에 의해 자동문(100)의 구동정보를 변경하거나 자동문(100)의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중앙제어부(700)는 스마트단말기(500)로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사용자는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원격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원격신호에 의해 원격제어부(730)는 저장부(400)의 구동정보를 변경 재설정하거나 자동문(10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상태제어부(740)는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상태정보로는 현재의 개폐상태정보, 동작프로파일정보등일 수 있는데 상기 현재의 개폐상태정보란 자동문(100)이 현재 어떠한 상태에 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사용자는 상기 개폐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야간이어서 닫혀 있어야 함에도 어떤 원인에 의해 열려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원격으로 닫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재 열려 있어야 함에도 닫혀 있는 경우에는 원격으로 열게 하는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스마트단말기(500)의 원격신호를 전달받은 상태제어부(740)는 자동문의 개폐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작프로파일정보란 일간 동작프로파일정보나 주간 동작프로파일정보일 수 있는데 상기 동작프로파일정보는 자동문(100)의 동작횟수, 닫힘충격횟수, 열림충격횟수, 안전센서감지횟수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동작프로파일정보를 통해 원격으로 저장부(400)에 저장된 자동문(100)의 구동정보 등을 원격으로 재설정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단말기(500)로부터 구동정보를 재설정하라는 원격신호가 전달되면 상태제어부(740)는 저장부(400)의 구동정보저장부(410)에 기 저장된 구동정보를 변경 설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자동문
200 : 구동부 210 : 구동모터
220 : 감속수단
300 : 센서부 310 : 위치센서
320 : 속도센서
400 : 저장부
500 : 스마트단말기
600 : 무선통신부
700 : 중앙제어부

Claims (7)

  1. 슬라이드로 개폐되는 자동문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에 있어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자동문(100)과;
    자동문(100)의 슬라이딩 열림과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와;
    자동문(100)의 개폐시 문이 위치하는 위치정보와 자동문의 개폐시 자동문(100)의 속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센서부(300)와;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자동문(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정보와 센서부(300)를 통해 생성되는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00)와;
    자동문(100)을 원격 제어하며, 원격으로 자동문의 상태 점검 및 자동 제어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스마트단말기(500)와;
    상기 스마트단말기(500)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600)와;
    상기 저장부(400)의 저장되는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여 자동문(100)의 개폐속도를 제어하고, 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자동문의 상태정보를 스마트단말기(500)로의 전송을 제어하며, 스마트단말기(500)에서 전송한 원격신호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700);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200)는,
    자동문(100)이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210)와;
    비감속구간에서의 구동모터(210) 구동력 제어와 감속구간에서 자동문(100)의 감속을 위한 구동모터(210)의 구동력 제어를 위해 형성되는 감속수단(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자동문(100)의 개폐시 자동문(100) 선단부의 위치를 센싱하여 자동문(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위치센서(310)와;
    자동문(100)의 개폐시 자동문(100)의 속도를 센싱하여 자동문(100)의 속도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속도센서(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자동문(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정보가 저장되는 구동정보저장부(410)와;
    자동문(100)의 개폐 시 위치센서(310)를 통해 생성된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정보저장부(420)와;
    자동문(100)의 개폐 시 속도센서(320)를 통해 생성된 속도정보가 저장되는 속도정보저장부(430)와;
    자동문(100)의 개폐에 따른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상태정보저장부(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700)는,
    자동문(100)의 개폐 시 비감속구간과 감속구간에서의 선형적 감속을 제어하도록 구동부(200)의 감속수단(220)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선형제어부(710)와;
    자동문(100)의 개폐 동작에 따른 학습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문(100)의 개폐를 제어하는 학습제어부(720)와;
    스마트단말기(500)로부터의 원격신호에 의해 자동문(100)의 구동정보를 변경하거나 자동문(100)의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원격제어부(730)와;
    자동문(100)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정보를 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스마트단말기(500)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상태제어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수단(220)은 비감속구간에서는 자동문(100)이 기 설정된 일정한 개폐속도로 개폐되도록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제어하고, 감속구간에서는 자동문(100)의 속도를 하기 계산식과 같이 선형적으로 감속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계산식>
    감속구간에서 자동문속도 = 비감속구간 개폐속도 × log(남은거리/감속구간전체 거리)
    (상기에서 비감속구간 개폐속도: 비감속구간에서의 자동문(100) 속도,
    남은거리: 자동문 선단부와 문틀 프레임과의 거리 또는 자동문(100)의 일측 선단부와 중앙부(자동문의 양측 선단부가 만나는 지점)의 거리,
    감속구간전체거리: 자동문(100)의 감속이 이루어지는 구간거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제어부(720)는
    자동문(100)의 종단속도와 멈춤 위치를 기준속도와 기준위치와 비교를 수행한 후, 비교 결과 종단속도나 멈춤 위치가 기준속도 이하이거나 기준위치보다 빨리 멈추게 되는 경우에는 종단파워를 증가시키는 학습정보를 생성하고, 비교 결과 종단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종단파워를 감소시키는 학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KR1020160012700A 2016-02-02 2016-02-02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KR10170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00A KR101709954B1 (ko) 2016-02-02 2016-02-02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00A KR101709954B1 (ko) 2016-02-02 2016-02-02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954B1 true KR101709954B1 (ko) 2017-02-24

Family

ID=5831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00A KR101709954B1 (ko) 2016-02-02 2016-02-02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497B1 (ko) * 2017-05-17 2017-11-02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용 블루투스를 이용한 잠금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528A (ja) * 2006-02-10 2007-08-23 Nabtesco Corp 自動ドア用調整装置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KR20100097995A (ko) * 2009-02-27 2010-09-06 지만석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1047239A (ja) * 2009-08-28 2011-03-10 Nippon Jido Door Kk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20150027318A (ko) * 2013-08-20 2015-03-12 최재용 인공지능 출입문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528A (ja) * 2006-02-10 2007-08-23 Nabtesco Corp 自動ドア用調整装置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KR20100097995A (ko) * 2009-02-27 2010-09-06 지만석 자동문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1047239A (ja) * 2009-08-28 2011-03-10 Nippon Jido Door Kk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
KR20150027318A (ko) * 2013-08-20 2015-03-12 최재용 인공지능 출입문자동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497B1 (ko) * 2017-05-17 2017-11-02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용 블루투스를 이용한 잠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9348C (en) Barrier operator strain detection
EP2454183B1 (en) Healthcheck of door obstruction device field of the disclosure
CA2507590C (en)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signaling the position of a movable barrier and securing its position
US6225768B1 (en) Automatic door safety system with multiple safety modes
US9118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ergy device and system status
EP2931644B1 (en) Elevator, light curtain for monitoring the opening of a moving door of a floor level and/or the opening of a moving door of an elevator car, and method for giving a door-open command or a door-close command in an elevator
CN111212804B (zh) 电梯系统、测试系统、门阻塞检测系统、紧急呼叫处理系统、呼叫单元、监控系统及相关方法
US10781620B2 (en) System for monitoring functions of a door closer
US201303005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device and system status
AU2016381827B2 (en) Window sensing device with movement detection
EP3287584B1 (en) Method and mechanis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door or window faults
US11536075B2 (en) Door operator and method of its operation
KR101709954B1 (ko) 스마트 자동문 제어장치
CN115142770A (zh) 一种智能谷仓门的控制方法、控制装置、设备及介质
MXPA04005147A (es) Aparato y metodo para evitar exceso de fuerza, de tecnicas multiples, para operador de barrera movible.
JP6474206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CN213418955U (zh) 一种集成式开关门系统
CN219136090U (zh) 一种基于安全光栅的电梯安全检测系统
KR20230126101A (ko) 빅도어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WO2021089571A1 (en) Detecting people using a people detector provided by a doorway
JP2023043999A (ja) 自動ドア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ドア管理システム
CN116733360A (zh) 一种多功能智能电动卷帘门
JP2022079176A (ja) 自動ドア、自動ドアの稼働方法、自動ドアの稼働プログラム
KR20200086982A (ko) 자료 수집 가능한 비상용 승강기 및 피난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20100004366A (ko) 자동문 제어방법 및 자동문용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