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936B1 -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936B1
KR101709936B1 KR1020090099251A KR20090099251A KR101709936B1 KR 101709936 B1 KR101709936 B1 KR 101709936B1 KR 1020090099251 A KR1020090099251 A KR 1020090099251A KR 20090099251 A KR20090099251 A KR 20090099251A KR 101709936 B1 KR101709936 B1 KR 10170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keywords
topic
user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537A (ko
Inventor
김마이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담러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담러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담러닝
Priority to KR102009009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9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특정 토픽에 대하여 개념별로 분류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및 상기 영어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학습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및 상기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선택받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선택받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영어 교육, 단어, 구문, 문장, 기사, 토픽

Description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CONCEPTULAZING A REAL-LIFE TOPIC AND COMMANDING ENGLISH SENTENCES BY REORGANIZING THE KEY IDEA OF A REAL-LIFE TOPIC WITH SIMPLE ENGLISH SENTENC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사 토픽에 대한 점층적 이해 및 스피킹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키워드 또는 간단한 문장 형태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학습자에게 있어 장문의 시사 토픽 기사를 이해하고 해당 토픽에 대해 영어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시사 토픽을 기반으로 한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영어 학습법은 관련기 사(news article)를 제공하고 이를 문장 단위, 구 단위, 단어 단위로 차례로 해체해가면서 분석한 다음 유용한 표현을 연습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이 경우 학습자의 자발적 선택과 참여는 배제되어 사용자의 동기 및 관심을 유도하기에는 부족하여, 결국 말하기능력 배양이라는 영어학습의 궁극적 목표에 도달하기 힘들었던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시사 토픽 기사에 대해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시사 토픽 기사에 대한 점층적 이해, 사용자 적극적 참여 및 스피킹 연습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영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토픽 개념화(Topic Conceptualization)라는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종래의 영어학습 방식을 거꾸로 뒤집는, 역발상에 입각한 새로운 ESL 학습모델(ESL learning model)이다.
즉, 실생활과 관련된 시사 토픽(real-life topic)을 기본 소재로 하되, 학습의 프로세스가 단어→구→문장→기사의 귀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습자의 자연스러운 점층식 이해를 유도하고, 어떤 시사 토픽이든 영어로 얘기할 수 있다는 자신감(confidence)을 심어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사 토픽과 관련하여 다양하게 선별된 영어 키워드 및 영어 문장 중에서, 사용자 스스로 선택한 영어 키워드 및 영어 문장을 사용자에게 차례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속에 개념화된 시사 토픽에 대하여 스스로 말문을 트게 해 줄 수 있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개념화한 영어 문장에 대하여 직접 스피킹한 내용을 음성 데이터로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평가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스피킹 연습을 유도하여, 스피킹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장치에 구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근자(commuter)들을 비롯한 대중 교통 이용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무가지의 뉴스아티클을 이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제한된 리소스를 가지고 효과적으로 영어 스피킹을 연습할 수 있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장치는, 특정 토픽에 대하여 개념별로 분류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및 상기 영어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학습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및 상기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선택받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선택받는다.
본 발명은 복잡한 영어 문장의 구성 요소들을 가장 쉬운 구조(structure)로 해체한 상태에서 역으로 점차 확대 재구성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말하기연습까지 유도함으로써 한국인과 같은 ESL 학습자들에게 심리적 만족감(psychological satisfaction)을 부여하고, 궁극적으로 영어로 말하기(speaking in English)에 대한 자신감(confidence)을 심어줄 수 있는 효과를 유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ESL 스피킹(speaking)이란 길고 복잡한 문장을 원어민처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을 내포한 간단한 문장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영어로 된 문장들(기사들)을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간단한 구조로 요약할 수 있는 통찰력을 기르고, 해당 토픽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바탕으로 원어민과 토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학습장의 의사와 무관하게 완성된 영어 문장을 학습자에게 주입하여 교육시키는 주입식 영어 학습 방법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선택하면서 배우는(freedom & choice) 영어"라는 새로운 영어 학습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3개의 단문으로 토픽을 요약하지만, 이를 저급-중급-고급(low-mid-high)의 3개 레벨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학습자의 영어구사력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3개의 키워드 및 문장 고르기(3-sentence building)는 3개의 문장 쓰기(3-sentence writing)로 연결되고, 이는 다시 3개의 문장에 학습자의 의견을 덧붙인 "3+1 speaking"으로 이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쓰기(writing) 연습이 곧 말하기(speaking) 연습의 전단계로 작용하는 ESL 학습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이하, '영어 학습 장치'로 약칭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장치는 교육 전용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어 학습 서비스가 제공되는 개인 컴퓨터 또는 개인 이동단말 등의 이동성이 지원되는 모바일 장치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어 학습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네트워크로서 연결되는 인터넷 서버 내에 구현되어, 상기 모바일 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어 학습 장치가 모바일 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및 처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우선, 데이터베이스(110)는 특정 토픽에 대하여 개념별로 분류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및 상기 영어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저장한다.
토픽(topic)은 사전적 의미로 이야기, 화제거리를 지칭하며, 특정 기간 동안 뉴스화되거나 이슈가 된 사건, 사고, 소문, 기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가지, 신문, 잡지 등의 출력물 형태로 배포된 오프라인 기사 또는 웹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기사로부터, 본 발명의 운영자가 특정의 이야기, 화제거리를 선정하여 상기 토픽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토픽이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개념(idea)은 토픽에 관한 이야기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토픽과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를 분류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토픽 'Marilyn Monroe'에 대해, 3개의 이야기 그룹을 연결시켜, 상기 토픽과 관련한 적어도 3가지의 영어로 구성된 이야기가 사용자로 하여금 토픽 개념화(Topic Conceptualization)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념 사이에서는 토픽과의 연관성 이외에 별도의 연결 관계를 두지 않아, 토픽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 거리가 사용자의 머리 속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개념은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와, 상기 영어 키워드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어 키워드"라 함은 토픽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머리속에 가장 먼저, 가장 쉽게 연상될 수 있는 단어(vocabulary) 또는 이 단어들이 간단히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구(phrase) 형태의 영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영어 문장"이라 함은 상기 영어 키워드의 다음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보다 발전적으로 개념화된 문장 형태의 영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영어 문장은 영어 키워드에 주어 및 동사가 부가되거나 또는 형용사, 부사 등의 단어 및 구들이 결합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스피킹하는 언어에 보다 가까운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토픽 'Marilyn Monroe'와 관련하여, 영어 키워드로는 'Marilyn Monroe'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 'famous model'을 예시할 수 있고, 영어 문장으로는 상기 'famous model'을 포함하는 'She was a famous model.'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머리 속에서 영어 키워드로부터 시작된 개념화가 영어 문장으로 발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스스로 개념화를 통하여 먼저 토픽과 연관된 영어 키워드 또는 문장이 머리 속에 정리되고 난 다음에 스피킹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10)는 토픽 개념화를 위하여 필요한 영어 키워드 및 영어 문장들을 소정 개의 개념으로 분류하여 유지하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장치(100)는 일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부를 통하여 미리 선정된 주기(예를 들어, 매일 또는 1주일)마다 서버로부터 토픽에 관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패키지 형태로 다운로드 받아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다운로드된 이들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모든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일괄적으로 미리 다운로드 받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이 있을 때마다 해당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서버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110)는 이미지 형태의 토픽 'Marilyn Monroe'와 관련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3개의 개념으로 나누어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념은 토픽에 관한 이야기 그룹이며, 도 2의 데이터베이스(110)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영어 문장을 3개의 개념으로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로 하여금 Marilyn Monroe에 관한 적어도 3가지의 이야기 거리가 개념화되도록 유도하는 학습 플로우(flow)를 제공한다.
도 2에서의 영어 문장은 영어 키워드를 일부로서 포함하고 동일한 개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영어 키워드와 연관시켜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토픽 'Marilyn Monroe'에 관한 영어 키워드 'famous model'과, 상기 'famous model'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 'She was a famous model.'은 '유명한 모델'이라는 하나의 동일한 개념(개념 1) 내에서, 동일한 토픽 개념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는 동일한 개념 내에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또는 영어 문장)가 서로 상이한 난이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영어 수준을 고려한다. 예컨대,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110)는 저급(low) 'famous model', 중급(med) 'well known in photos', 고급(high) 'immortalized by photographers'의 3개의 영어 키워드를 동일 개념(개념 1)하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0)는 이미지 형태의 토픽에, 텍스트 형태의 제목(Title)을 더 대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토픽을 문자로서 처음 인식하여 토픽에 대한 개념화의 시작 과정이 보다 원활히 진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110)는 토픽 'Marilyn Monroe'에 대해, 제목 'Marilyn Monroe Art'를 대응 시킴으로써, 이미지 만으로 토픽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제목을 통해 토픽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를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데이터베이스(110)는 토픽 'Marilyn Monroe'을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영어 표현이 구사되도록 하는 토픽 개념화를 위해, 관련된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유지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110)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운영자가 토픽에 관한 영어 키워드/영어 문장을 소정 기준에 따라 사전에 개념별로 분류하여, 영어 학습 장치(100)로 다운로드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서, 여러 개의 토픽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관심과 연관성에 부합하는 토픽을 선택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본 영어 학습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학습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학습 요청에 따라 개념별로 분류된 영어 키워드/영어 문장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 플레이 된 영어 키워드/영어 문장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수신하여 후술하는 처리부(130)에 전달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출력부, 사용자 입력 감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이를테면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 음성의 아날로그 출력을 위한 사운드 아웃 단자, 음성의 디지털 출력을 위한 광출력 단자, 동축(coaxial) 단자 등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는, 전기 접점을 갖는 버튼 입력 수단, 터치 패드 타입의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 수단, 마이크 따위의 음성 수신부와 음성 인식을 위한 STT(Speech TO Text) 모듈을 포함하는 입력 수단 등일 수 있다.
처리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의해 수신한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및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즉, 처리부(130)는 표시화면으로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단계별로 제공하여, 토픽 개념화에 따라 영어 표현 능력이 배가되도록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토픽 개념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토픽에 대한 타이틀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의 학습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로 이미지 형태의 토픽과 함께, 상기 토픽을 설명하는 제목(title)을 제공한다. 도 3에서는 Marilyn Monroe의 사진 데이터를 토픽으로 제공하고, 상기 사진 데이터와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 개의 제목 'Marilyn Monroe Art'와 'Korean Golf Champion'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 때,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추출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표시될 수 있고, 제목은 영어 학습 장치(100)에서 임의의 제목을 선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제목 중에서, 상기 토픽과 상대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목 'Marilyn Monroe Art'에 대해, 터치를 통한 선택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선택입력된 제목 'Marilyn Monroe Art'에 대한 토픽 개념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부(130)에 상기 선택입력을 전달한다.
도 4는 서로 동일한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영어 키워드를 선택받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정 제목에 대한 선택입력이 발생한 이후, 처리부(130)는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키 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한다. 즉, 처리부(130)은 상기 선택입력에 따라, 토픽 개념화의 일 과정으로서, 영어 키워드들을 개념별로 순차 표시하고, 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통해, 토픽 개념화를 위한 영어 키워드를 소정 개 선별한다.
도 4의 ⅰ)에서 처리부(130)는 제목 'Marilyn Monroe Art'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개념 1에 속하는 영어 키워드 'famous model', 'well known in photos', 'immortalized by photographers'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상에 표시한다. 표시되는 상기 3개의 영어 키워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개념 1에 속하면서, 상호 간에 상이한 난이도 차를 가지고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선택된 제목 'Marilyn Monroe Art'을 표시하면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목 'Marilyn Monroe Art'에 대한 원음 데이터를 사용자에게로 출력할 수도 있다.
개념 1에 속하는 3개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중급(med) 난이도의 'well known in photos'가 선택되는 경우, 토픽 개념화는 다음 단계(도 4의 ⅱ))로 진행된다. 즉,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개념 1에서의 특정 영어 키워드를 선택받음에 따라, 개념 2에서의 영어 키워드 선택을 위한 단계를 진행한다.
도 4의 ⅱ)에서 처리부(130)는 개념 1의 영어 키워드에 대한 선택에 이어서, 개념 2에 속하는 영어 키워드 'died 40 years ago', 'passed away 40 years ago', 'has been deceased for 4 decades'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상에 표시한다.
유사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제목 'Marilyn Monroe Art'와 함께, 선택된 개념 1의 'well known in photos'를 표시하면서, 상기 'well known in photos'에 대한 원음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념 2의 영어 키워드들에 대해서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도 4의 ⅱ)와 같이 중급(med)의 난이도의 'passed away 40 years ago'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토픽 개념화는 다음 단계(도 4의 ⅲ))로 진행된다.
도 4의 ⅲ)에서 처리부(130)는 개념 2의 영어 키워드에 대한 선택에 이어서, 개념 3에 속하는 영어 키워드 'still a sex icon', 'still considered a sex icon', 'an iconic figure even today'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제목 'Marilyn Monroe Art', 개념 1의 'well known in photos', 및 선택된 개념 2의 'passed away 40 years ago'를 표시하면서, 상기 'passed away 40 years ago'에 대한 원음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념 1 및 개념 2의 키워드를 디스플레이 화면 또는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토픽 개념화의 과정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개념 3의 영어 키워드들에 대해서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도 4의 ⅲ)와 같이 상급(high)의 난이도의 'an iconic figure even today'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영어 학습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선택받을 수 있다.
도 5는 개념별로 선택받은 복수의 영어 키워드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는 토픽과 함께, 도 4에서 개념별로 선택된 복수의 영어 키워드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즉, 영어 학습 장치(100)의 처리부(130)는 키워드에 대한 토픽 개념화의 완료 과정으로서 각 개념에서 선택된 3개의 영어 키워드 'well known in photos', 'passed away 40 years ago' 및 'an iconic figure even today'을, 최초 제공된 토픽과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영어 학습 장치(100)는 상기 도 4의 ⅲ)에서 선택된 개념 3의 'an iconic figure even today'에 대한 원음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해서는 다양한 개념으로부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를 선택 함으로써, 선택된 영어 키워드를 통해, 특정 토픽에 대한 개념화가 용이하게 유도되도록 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토픽과 함께 사용자가 개념별로 선택한 여러 키워드를 하나의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토픽에 대하여 지금까지 개념화한 내용들을 효과적으로 재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토픽 개념화의 다음 단계들로서,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장치(100)는 영어 키워드를 일부로서 포함하고, 상기 영어 키워드와 동일한 개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영어 문장에 대해 토픽 개념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 7을 통해, 영어 문장에 대한 토픽 개념화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서로 동일한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영어 문장을 선택받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목 'Marilyn Monroe Art'에 대한 선택입력이 발생한 이후, 처리부(130)는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복수 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한다. 즉, 처리부(130)은 제목에 대한 선택입력에 따라, 영어 문장들을 개념별로 순차 표시하고, 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통해, 토픽 개념화를 위한 영어 문장을 소정 개 선별한다.
도 6의 ⅰ)에서 처리부(130)는 제목 'Marilyn Monroe Art'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개념 1에 속하는 영어 문장 'She was a famous model.', 'She appears in well known photos.', 'She has been immortalized by photographers.'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상에 표시한다. 표시되는 상기 3개의 영어 문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개념 1에 속하면서, 상호 간에 상이한 난이도 차를 가지고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선택된 제목 'Marilyn Monroe Art'을 표시하면서, 포함되는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목 'Marilyn Monroe Art'에 대한 원음 데이터를 사용자에게로 출력할 수도 있다.
개념 1에 속하는 3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고급(high) 난이도의 'She has been immortalized by photographers.'가 선택되는 경우, 토픽 개념화는 다음 단계(도 6의 ⅱ))로 진행된다. 즉,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개념 1에서의 특정 영어 문장을 선택받음에 따라, 개념 2에서의 영어 문장 선택을 위한 단계를 진행한다.
도 6의 ⅱ)에서 처리부(130)는 개념 1의 영어 문장에 대한 선택에 연동하여, 개념 2에 속하는 영어 문장 'She died 40 years ago.', 'She passed away 40 years ago.', 'She has been deceased for 4 decades.'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상에 표시한다.
유사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제목 'Marilyn Monroe Art'와 함께, 선택된 개념 1의 'She has been immortalized by photographers.'를 표시하면서, 상기 'She has been immortalized by photographers.'에 대한 원음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념 2의 영어 문장들에 대해서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도 6의 ⅱ)와 같이 중급(med)의 난이도의 'She passed away 40 years ago.'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토픽 개념화는 다음 단계(도 6의 ⅲ))로 진행된다.
도 6의 ⅲ)에서 처리부(130)는 개념 2의 영어 문장에 대한 선택에 연동하여, 개념 3에 속하는 영어 문장 'She is still seen as a sex icon.', 'She is still considered a sex icon.', 'She is considered an iconic figure even today.'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제목 'Marilyn Monroe Art', 개념 1의 'She has been immortalized by photographers.', 및 선택된 개념 2의 'She passed away 40 years ago.'를 표시하면서, 상기 'She passed away 40 years ago.'에 대한 원음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념 3의 영어 문장들에 대해서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도 6의 ⅲ)와 같이 저급(low)의 난이도의 'She is still seen as a sex icon.'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복수 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영어 학습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선택받을 수 있다.
도 7은 개념별로 선택받은 복수의 영어 문장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는 토픽과 함께, 도 6에서 개념별로 선택된 복수의 영어 문장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즉, 영어 학습 장치(100)의 처리부(130)는 토픽 개념화의 완료 과정으로서 각 개념에서 선택된 3개의 영어 문장 'She has been immortalized by photographers.', 'She passed away 40 years ago.', 및 'She is still seen as a sex icon.'을, 최초 제공된 토픽과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영어 학습 장치(100)는 상기 도 6의 ⅲ)에서 선택된 개념 3의 ' She is still seen as a sex icon.'에 대한 원음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해서는 다양한 개념으로부터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선택 함으로써, 선택된 영어 문장을 통해, 특정 토픽에 대한 개념화가 용이하게 유도되도록 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토픽과 함께 사용자가 개념별로 선택한 여러 영어 문장들을 하나의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토픽에 대하여 지금까지 개념화한 문장들을 효과적으로 재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개념별로 선택받은 복수의 영어 문장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 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네트워크 접속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접속부(140)는 토픽 개념화를 위해, 선택된 영어 문장에 대한, 스피킹 입력 명령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접속부(140)는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영어 문장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영어 문장에 대해서만 스피킹 입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영어 문장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스피킹 입력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부(140)는 서버로 전송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개념화한 영어 문장에 대하여 스피킹 연습 과정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영어 문장에 관한 실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로 송출하여 평가를 받음으로써, 영어 발음 및 문장 구사력이 원어민에 비해 어느 수준인지를 가늠하고, 교정 점을 정확하게 체크하는 영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장치(1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방법은 상술한 영어 학습 장치(100)에 의해 수 행될 수 있다.
영어 학습 장치(100)는 특정 토픽에 대하여 개념별로 분류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및 상기 영어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저장한다(810). 본 단계(810)는 데이터베이스(110)에 토픽 개념화를 위한, 관계된 영어들을 소정 개의 개념으로 분류하여 유지시키는 과정이다.
본 단계(810)에서, 영어 학습 장치(100)는 선정된 주기의 도래에 따라 서버로부터 토픽에 관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데이터베이스(110)에 개념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영어 학습 장치(100)는 이미지 형태의 토픽 'Marilyn Monroe'와 관련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와 영어 문장을, 3개의 개념으로 나누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를 통해, 영어 학습 장치(100)는 추후 본 발명의 영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로 하여금 Marilyn Monroe에 관한 적어도 3가지의 이야기 거리가 개념화되도록 유도하는 환경을 마련하게 된다.
다음으로, 영어 학습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학습 요청을 수신한다(820). 본 단계(820)는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 서비스에 관한 학습 요청을 수신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개념별로 분류된 영어 키워드/영어 문장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환경을 조정하기 위한 과정이다.
또한, 영어 학습 장치(100)는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검색하여 개념 별로 디스플레이하고(830),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선택한다(840). 본 단계들(830, 840)은 토픽 개념화의 일 과정으로, 데이터베이스(110)에 개념별로 분류된 영어 키워드를 순차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특정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선택하는 과정이다. 개념별로 영어 키워드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술한 도 3, 4, 5의 설명 내용으로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계속해서, 영어 학습 장치(100)는 동일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검색하여 개념 별로 디스플레이하고(850),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선택한다(860). 본 단계들(850, 860)은 이전 단계(830, 840)와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영어 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영어 키워드와 동일한 개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영어 문장을 이용한 토픽 개념화의 다른 과정이다. 상기 단계들(850, 860)에 영어 학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에 개념별로 분류된 영어 문장을 순차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특정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선택한다. 개념별로 영어 문장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술한 도 6, 7의 설명 내용으로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다양한 개념으로부터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 또는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선택 함으로써, 선택된 영어 키워드/영어 문장을 통해, 특정 토픽에 대한 개념화가 용이하게 유도되도록 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 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토픽에 대한 타이틀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서로 동일한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영어 키워드를 선택받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개념별로 선택받은 복수의 영어 키워드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서로 동일한 개념을 가진 복수 개의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영어 문장을 선택받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개념별로 선택받은 복수의 영어 문장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영어 학습 장치 110: 데이터베이스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처리부
140: 네트워크 접속부

Claims (13)

  1. 복수의 토픽, 상기 복수의 토픽에 각각 연관된 복수의 개념, 상기 복수의 개념에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영어 키워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특정 토픽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학습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토픽과 연관된 개념 및 영어 키워드를 검색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색된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어 키워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어 키워드를, 주어진 개수 만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된 영어 키워드를, 상기 선택된 영어 키워드와 연관된 토픽과 관련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영어 학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영어 키워드가, 서로 상이한 난이도를 갖는 복수의 영어 키워드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난이도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어 학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 요청에 따라, 토픽을 설명하는 복수 개의 제목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목 중에서 하나의 제목이 선택되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제목으로 설명되는, 상기 특정 토픽과 연관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어 학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학습 장치는,
    상기 특정 토픽과 연관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어 키워드를,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영어 학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개념에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영어 문장을 더 저장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토픽과 연관된 개념 및 영어 문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영어 문장을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어 문장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어 문장을, 주어진 개수 만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된 영어 문장을, 상기 선택된 영어 문장과 연관된 토픽과 관련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영어 학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개념별로 하나의 영어 키워드를 선택받는
    영어 학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학습 장치는,
    상기 특정 토픽과 연관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어 키워드에 대해,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를 더 포함하는 영어 학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서버로부터 영어 키워드를 선정된 주기마다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영어 학습 장치.
  9. 복수의 토픽, 상기 복수의 토픽에 각각 연관된 복수의 개념, 상기 복수의 개념에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영어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특정 토픽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학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특정 토픽과 연관된 개념 및 영어 키워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어 키워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어 키워드를, 주어진 개수 만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어 키워드를, 상기 선택된 영어 키워드와 연관된 토픽과 관련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영어 키워드가, 서로 상이한 난이도를 갖는 복수의 영어 키워드이면,
    상기 검색된 영어 키워드를 개념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복수 개의 영어 키워드를 난이도별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토픽과 연관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어 키워드를, 음성 데이터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어 학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개념별로 하나의 영어 키워드를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토픽과 연관시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어 키워드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어 키워드에 대해,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어 학습 방법.
KR1020090099251A 2009-10-19 2009-10-19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170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251A KR101709936B1 (ko) 2009-10-19 2009-10-19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251A KR101709936B1 (ko) 2009-10-19 2009-10-19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537A KR20110042537A (ko) 2011-04-27
KR101709936B1 true KR101709936B1 (ko) 2017-02-24

Family

ID=4404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251A KR101709936B1 (ko) 2009-10-19 2009-10-19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577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달공 메타인지 기반의 교육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632B1 (ko) * 2011-07-15 2013-03-28 주식회사 청담러닝 토픽 데이터 제공 시스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760B1 (ko) * 2002-12-04 2005-03-17 이강석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115072A (ko) * 2006-05-30 2007-12-05 송명현 구조화된 문장 구성자료를 이용한 인터넷 영어 학습 시스템및 학습방법
KR20080097681A (ko) * 2007-05-02 2008-11-06 황보의 단어 학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97484A (ko) * 2008-03-11 2009-09-16 배강원 다중 표현 문장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577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달공 메타인지 기반의 교육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537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9961B2 (en) System for minimizing repetition in intelligent virtual assistant conversations
US102107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fluency training
US20200175890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US6377925B1 (en) Electronic translator for assisting communications
EP3452914A1 (en) Automated generation and presentation of lessons via digital media content extraction
CN108352006A (zh) 即时消息环境中的智能自动化助理
US9396230B2 (en) Searching and content delivery system
US20140315163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CN111279404B (zh) 语言流利系统
CN110853422A (zh) 一种沉浸式语言学习系统及其学习方法
US20080195375A1 (en) Echo translator
CN112053595B (zh) 由计算机实现的训练系统
US20110161068A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sense model for symbol assignment
KR101709936B1 (ko) 시사 토픽 기사의 핵심 아이디어를 소정의 단문으로 재구성하여 토픽의 개념화 능력 및 문장 구사력을 증진시키는 영어 학습 장치 및 방법
US20140120502A1 (en) Language learning using electronic book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US10831791B1 (en) Using location aliases
US20210183261A1 (en) Interactive virtual learning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2201872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8147435A1 (ja) 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00258409A1 (en) Verbal expression system
US20240038089A1 (en) Interactive virtual learning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23162822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Sum Intelligent Products and Services
KR20160000270A (ko) 단어 학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