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777B1 -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777B1
KR101709777B1 KR1020150114019A KR20150114019A KR101709777B1 KR 101709777 B1 KR101709777 B1 KR 101709777B1 KR 1020150114019 A KR1020150114019 A KR 1020150114019A KR 20150114019 A KR20150114019 A KR 20150114019A KR 101709777 B1 KR101709777 B1 KR 10170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loading box
plate portion
vehicle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610A (ko
KR101709777B9 (ko
Inventor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정공
Priority to KR1020150114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7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777B1/ko
Publication of KR10170977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77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6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bulky agricultural material, e.g.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의 적재함의 상부에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적재함내에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를 상차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하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Slide deck structure provided in a vehicle charger}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의 적재함의 상부에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적재함내에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를 상차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하차시킬 수 있는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시골 농가의 일손이 부족하여 인력 대신 농기계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고가의 농기계의 가격으로 인하여 다 가구당 하나의 농기계를 빌려서 사용하는 상황이다.
전라지방에 약 30여 지점에서 농기계 입대 사업소가 분포되어 있고, 농협에서도 이와 유사한 농기계 대여 사업이 시행중이다.
시골 농가의 경우 좁은 길 험로 운행으로 인하여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 운반시 경제성이 우수한 1톤 카고트럭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피이동차량의 적재시 또는 하차시 경사각을 줄여서 편리하게 피이동차량을 적재 및 하차시킬 수 있는 세이프티 로더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0725111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0725111호(세이프티 로더)의 경우, 차량 적재함으로의 피이동차량 적재 및 하차의 용이성을 위해 차량 적재함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차량 적재함의 전단부가 지면과 인접하도록 차량 적재함의 구조를 불가피하게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072511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의 적재함의 상부에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적재함내에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를 상차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하차시킬 수 있는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닥판부와; 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로 인출 및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출플레이트와; 차량의 적재함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를 전후이동시키는 메인실린더와;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플레이트를 인입출시키는 보조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차량의 상기 적재함의 전측에 상기 메인실린더의 실린더몸체의 전측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브라켓은 차량의 상기 적재함의 전측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메인실린더의 전측과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차량의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부가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강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판부에 상기 바닥판부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바닥판부의 후측에 상기 바닥판부의 후측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부의 후측 하부에 상기 지지대가 수용되는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홈의 전측에 상기 지지대의 전측이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바닥판부의 후측 상부에 상기 지지대가 수용되는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홈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상기 지지대의 전측이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의 적재함의 상부에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적재함내에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를 상차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하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의 바닥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바닥판부의 내부에 구비된 인출플레이트가 바닥판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바닥판부가 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고,
도 7은 차량의 적재함의 전측면에 보강브라켓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8은 지지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지지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바닥판부의 전후이동 및 인출플레이트의 인출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의 바닥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바닥판부의 내부에 구비된 인출플레이트가 바닥판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바닥판부가 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인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바닥판부(10), 가이드레일(20), 인출플레이트(30), 메인실린더(도 7의 40) 및 보조실린더(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바닥판부(10)는 차량의 적재함(3)의 상부에 상기 적재함(3)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된다.
상기 바닥판부의 전측 중간부는 개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차량의 적재함(3)의 상부 일측과 상기 적재함(3)의 상부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단면 형상이 'ㄷ'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부가 각각 상기 바닥판부(10) 방향으로 수평절곡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내측에 상기 바닥판부(10)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부(10)의 타측이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바닥판부(10)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인출플레이트(30)는 상기 바닥판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판형태로 형성되거나 사다리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플레이트(30)는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 일측에 수평구비되는 일측인출플레이트(310)와;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 타측에 수평구비되는 타측인출플레이트(320);로 구성되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외부로 인출 및 상기 바닥판부(10)의 외부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로 인입된다.
도 7은 차량의 적재함의 전측면에 보강브라켓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실린더(40)의 실린더몸체(410)의 전측은 차량의 적재함(3)의 전측에 상기 적재함(3)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수직판(31)의 후면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실린더(40)의 로드(420)의 전측이 상기 실린더몸체(4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메인실린더(40)의 로드(420)의 후측은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10)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실린더(40)의 로드(420)의 길이가 상기 메인실린더(40)의 전후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상기 바닥판부(10)가 상기 적재함(3)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실린더(50)는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플레이트(30)를 인입출시키게 된다.
상기 보조실린더(50)는 상기 메인실린더(40)의 일측방향과 상기 메인실린더(40)의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 전측에 수평구비되는 일측보조실린더(510)와 타측보조실린더(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실린더(510)의 실린더몸체(511)의 전측과 상기 타측보조실린더(520)의 실린더몸체(521)의 전측은 각각 상기 바닥판부(10)의 전측 내면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실린더(510)의 로드(512)의 전측이 상기 일측보조실린더(510)의 실린더몸체(511)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일측보조실린더(510)의 로드(512)의 후측은 상기 일측인출플레이트(310)의 중간부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실린더(520)의 로드(522)의 전측이 상기 타측보조실린더(520)의 실린더몸체(521)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타측보조실린더(520)의 로드(522)의 후측은 상기 타측인출플레이트(320)의 중간부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린더(50)의 일측보조실린더(510)의 로드(512)의 길이 및 타측보조실린더(520)의 로드(522)의 길이가 상기 보조실린더(50)의 전후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상기 일측인출플레이트(310)와 상기 타측인출플레이트(320)가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바닥판부(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실린더(40)에 의해 상기 바닥판부(10)가 상기 적재함(3)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메인실린더(40)의 실린더몸체(410)의 전측에 발생되는 부하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상기 적재함(3)의 전측에 형성된 수직판(31)의 전측면 중심부에 상기 메인실린더(40)의 실린더몸체(410)의 전측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5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강브라켓(50)은 차량의 상기 적재함(3)의 전측면에 형성된 상기 수직판(31)의 전면 중간부에 구비되는 보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의 상기 적재함(3)의 수직판(31)의 후면 중간부에는 상기 메인실린더(40)의 실린더몸체(410)의 전측이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3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11)의 일측과 상기 연결브라켓(311)의 타측은 각각 고정부재(60)에 의해 상기 보강브라켓(50)을 이루는 보강판의 일측과 보강판의 타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0)는 차량의 상기 적재함(3)의 수직판(31)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연결브라켓(311)의 일측과 상기 보강판의 일측 및 상기 연결브라켓(311)의 타측과 상기 보강판의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610)와; 상기 고정볼트(610)의 전측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차량의 상기 적재함(3)의 수직판(31)의 전면 중간부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너트(620);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부에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가 상차하는 과정 중에 상기 적재함(3)의 상부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상기 적재함(3)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의 상기 적재함(3)의 상부에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강판부(70)가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부(70)의 상부 일측과 상기 보강판부(70)의 상부 타측에 상기 가이드레일(2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지지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부에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가 상차하는 과정 및 상기 바닥판부(10)로부터 농기계를 하차하는 과정 중에 농기계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과 상기 인출플레이트(30)의 전측이 각각 상기 바닥판부(10)의 하부방향 및 상기 인출플레이트(30)의 하부방향으로 내려앉으면서 차량의 전측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에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을 지지하는 지지대(80)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예로,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 중간부 하부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80)가 수용되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단차홈(120)이 상기 바닥판부(10)의 하부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80)의 전측 하부가 상기 단차홈(120)의 전측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단차홈(12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3)의 후측방향으로 상기 바닥판부(10)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지지대(80)의 전측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대(80)의 후측은 상기 바닥판부(10)의 하부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을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지지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서,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 중간부 상부에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80)가 수용되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단차홈(120)이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부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80)의 전측이 상기 단차홈(1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단차홈(12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3)의 후측방향으로 상기 바닥판부(10)가 이동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80)의 전측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대(80)의 후측은 상기 바닥판부(10) 하부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이동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을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대(80)의 전측과 상기 단차홈(120)의 후측하부를 결합시키는 축을 구동모터를 통해 정역회전시켜 상기 지지대(80)의 후측을 자동으로 상기 바닥판부(1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바닥판부의 전후이동 및 인출플레이트의 인출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후측에 수평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적재함(3)이 안착지지되는 지지프레임(90)의 일측면 중간부와 상기 적재함(3)의 일측면 전측 사이 및 상기 지지프레임(90)의 타측면 중간부와 상기 적재함(3)의 타측면 전측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적재함(3)의 전측을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적재함승강용실린더(1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승강용실린더(100)의 로드(101)의 상측은 상기 적재함(3)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적재함(3)의 타측면 전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승강용실린더(100)의 실린더몸체(102)의 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90)의 일측면 중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90)의 타측면 중간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3)의 일측면 후측과 상기 적재함(3)의 타측면 후측은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90)의 일측면 전측의 반대측인 일측면 후측과 상기 지지프레임(90)의 타측면 전측의 반대측인 타측면 후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차량의 적재함(3)내에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의 상차시키거나 상기 적재함(3)으로부터 상기 농기계를 하차시키기 위해, 먼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3)의 후측에 하부가 축결합된 후측판(330)의 상부를 작업자가 상기 적재함(3)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적재함(3)의 후측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태에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3)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적재함(3)의 전측이 상기 적재함(3)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승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적재함(3)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바닥판부(10)가 이동할 수 있다.
이 후,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상기 인출플레이트(30)가 인출될 수 있다.
차량의 적재함(3)내에 농기계만이 위치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 등의 다른 차량 등이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3)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의 적재함(3)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부(10)와, 상기 바닥판부(10)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바닥판부(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인출플레이트(30)를 설치하여 상기 적재함(3)내에 이앙기, 콤바인 등의 농기계를 상차시키거나 상기 적재함(3)의 외부로 하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바닥판부, 20; 가이드레일,
30; 인출플레이트, 40; 메인실린더,
50; 보조실린더.

Claims (7)

  1. 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구비되는 보강판부에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상부에 구비된 보강판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로 인출 및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출플레이트와;
    차량의 적재함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를 전후이동시키는 메인실린더와;
    차량의 적재함의 전측에 형성된 수직판의 전측면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실린더의 실린더몸체의 전측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과;
    차량의 적재함의 수직판의 후면 중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실린더의 실린더몸체의 전측이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과;
    차량의 적재함의 수직판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과 상기 보강브라켓의 일측 및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측과 상기 보강브라켓의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차량의 적재함의 수직판에 밀착고정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플레이트를 인입출시키는 보조실린더와;
    상기 바닥판부의 후측 하부에 형성되는 단차홈에 수용되고, 상기 단차홈의 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며,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의 후측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2. 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구비되는 보강판부에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상부에 구비된 보강판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로 인출 및 상기 바닥판부의 외부에서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인출플레이트와;
    차량의 적재함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부를 전후이동시키는 메인실린더와;
    차량의 적재함의 전측에 형성된 수직판의 전측면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실린더의 실린더몸체의 전측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과;
    차량의 적재함의 수직판의 후면 중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실린더의 실린더몸체의 전측이 축결합되는 연결브라켓과;
    차량의 적재함의 수직판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측과 상기 보강브라켓의 일측 및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측과 상기 보강브라켓의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차량의 적재함의 수직판에 밀착고정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바닥판부의 내부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플레이트를 인입출시키는 보조실린더와;
    상기 바닥판부의 후측 상부에 형성되는 단차홈에 수용되고, 상기 단차홈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전측이 축결합되며,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바닥판부의 후측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전측과 상기 단차홈의 후측을 결합시키는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차량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적재함이 안착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적재함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적재함의 전측을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적재함승강용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14019A 2015-08-12 2015-08-12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KR10170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019A KR101709777B1 (ko) 2015-08-12 2015-08-12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019A KR101709777B1 (ko) 2015-08-12 2015-08-12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10A KR20170020610A (ko) 2017-02-23
KR101709777B1 true KR101709777B1 (ko) 2017-02-24
KR101709777B9 KR101709777B9 (ko) 2023-07-13

Family

ID=5831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019A KR101709777B1 (ko) 2015-08-12 2015-08-12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78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소형 차량용 셀프로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1166B2 (ja) * 2008-12-25 2013-08-14 株式会社タダノ 車輌運搬車における荷台移動用の伸縮シリンダ組立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111B1 (ko) 2006-06-26 2007-06-04 수성특장 주식회사 세이프티 로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1166B2 (ja) * 2008-12-25 2013-08-14 株式会社タダノ 車輌運搬車における荷台移動用の伸縮シリンダ組立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78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소형 차량용 셀프로더
KR102015420B1 (ko) * 2017-06-13 2019-08-29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소형 차량용 셀프로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10A (ko) 2017-02-23
KR101709777B9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545B2 (en) Over-cab rack for traffic delineators
JP3881369B2 (ja) 貨物用ラック
US9896264B2 (en) Freight rack
CN1198750C (zh) 物件储存设备
CN109624817A (zh) 一种货车的装卸货装置
CN101208253B (zh) 用于汽车的挂车
US20180251060A1 (en) Truck and conveyor system
CN109533561A (zh) 运车架
KR101709777B1 (ko) 차량 적재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데크 구조
CN205953088U (zh) 一种全自动装车机
US20120230803A1 (en) Linearly extendable collection mechanism for refuse hauling vehicles
HU213891B (en) Device for collecting refuse, mainly domestic refuse
US20070269301A1 (en) Machine lift
US6443836B1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laterally supporting a cotton receiving basket of a cotton harvester
CN105110027B (zh) 一种集装箱散装货物卸货机
CN204398947U (zh) 加工番茄后倾式自卸双层运输车斗
CN108482439B (zh) 水稻转运车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JPS604440A (ja) ダンプ兼リフトカ−
KR20120080328A (ko) 카-캐리어의 상부 적재대 승강 장치
CN201901047U (zh) 一种汽车尾板以及具有该汽车尾板的汽车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EP0933251B1 (de) Transportfahrzeug insbesondere für Bier- und Brauereiindustrie
EP1167207A1 (en) Bag filling apparatus
KR102597345B1 (ko) 차량용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