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949B1 - 다기능 유모차 - Google Patents
다기능 유모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7949B1 KR101707949B1 KR1020150103891A KR20150103891A KR101707949B1 KR 101707949 B1 KR101707949 B1 KR 101707949B1 KR 1020150103891 A KR1020150103891 A KR 1020150103891A KR 20150103891 A KR20150103891 A KR 20150103891A KR 101707949 B1 KR101707949 B1 KR 101707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shaft
- base frame
- folded
- st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being convertible or adaptable to a preambulator, e.g. a baby-carriage or a push-ch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2—Collapsible wheels
- B62B2205/123—Collapsible wheels comprising a foldable interconnecting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를 태워 이동하는 다기능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유모차를 바퀴에 의해 이동하다가 필요에 따라 목에 메달에 이동하는 캐리어, 카 시트 또는 유아용 베드로 간단히 변형시켜 다기능으로 사용하도록 하되, 유모차의 전륜과 후륜을 용도에 따라 동시에 접이 또는 펼침 조작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고, 유모차 전방의 가아드 패널을 접이 또한 펼침 조작하여 가아드 용도나 지지 다리 용도로 변형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과 함께 탑승 유아의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를 태워 이동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유모차를 바퀴에 의해 이동하다가 필요에 따라 목에 메달에 이동하는 캐리어, 카 시트 또는 유아용 베드로 간단히 변형시켜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시트에 태워 간편하게 이동하는 이동수단이다.
그러나 상기한 유모차는 바퀴 굴림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이기 때문에 바퀴의 굴림이 용이하지 못한 불 규칙 노면이나 계단 이동, 버스 등의 승하차, 기타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유모차를 힘으로 들어 운반하게 되는데, 상기 유모차의 중량때문에 유모차를 들어 운반하는 것 자체가 매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등록 제20-0169798호, 특허공개 제1999-0037785호 등에서 유모차에 캐리어 등의 구조를 결합 구성하여 바퀴 굴림으로 이동하거나 캐리어 처럼 간편하게 들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유모차에 캐리어 등의 구조를 부가한 결합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 중량이 유모차에 비해 중량이 무거워져 실제 캐리어로 사용하기에 큰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캐리어로 사용시 착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유모차, 캐리어 기능 이외에 다기능으로 변환하지는 못하므로 사용상 비 효율성의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유모차를 바퀴에 의해 이동하다가 필요에 따라 목에 메달에 이동하는 캐리어, 카 시트 또는 유아용 베드로 간단히 변형시켜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접이 또는 펼침 조작할 수 있고, 유모차 전방의 가아드 패널을 접이 또한 펼침 조작하여 다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안전성과 함께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후방에 수직 설치되되, 수평으로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역 U자형으로 절곡되어 사람의 목이나 차량의 헤드 레스트에 걸어 둘수 있는 걸이부를 갖는 등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유아가 앉는 시트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굴림 이동하는 바퀴 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바퀴 수단은 전,후방 회전축에 축 설치되는 전륜과 후륜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니 버설 조인트 연결부로 연결하는 샤프트 양단부에 힌지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는 중앙에 볼 부재를 마련하여 전륜 또는 후륜을 상부로 접이하거나 펼칠 때 샤프트에 의해 전륜과 후륜이 동시에 작동함과 함께 볼 부재가 내,외측으로 신축 가능한 링 형태의 걸림부재를 전,후로 통과하여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서 걸림 작동하면서 전륜과 후륜의 펼침 또는 접이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샤프트는 중앙에 볼 부재를 중심으로 전륜에 연결되는 제1 샤프트와 후륜에 연결되는 제2 샤프트를 힌지 연결하되, 상기 제1,2 샤프트는 유니 버설 조인트 연결부로 연결되어 관절 운동과 함께 동시에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가아드 패널을 결합 구성하되, 상기 가아드 패널의 상단 및 좌,우측 단의 테두리에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부재를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모차를 바퀴에 의해 이동하다가 필요에 따라 걸이부에 의해 목에 메달에 이동하는 캐리어, 차량의 헤드 레스트에 메달아 카 시트로 선택 사용하거나, 등 프레임을 펼쳐 유아용 베드로 간단히 변형시켜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효율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유모차의 전륜과 후륜을 용도에 따라 접이 또는 펼침 조작하되, 전,후륜을 동시에 접이 또는 펼침 조작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고, 유모차 전방의 가아드 패널을 접이 또한 펼침 조작하여 가아드 용도나 지지 다리 용도로 변형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과 함께 탑승 유아의 안전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퀴 수단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퀴 수단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접이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아드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걸림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사용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퀴 수단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퀴 수단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접이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아드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걸림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사용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유모차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이외에 목에 걸어 이동하는 캐리어, 베드 및 카시트의 4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다기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후방에 수직 설치되되, 수평으로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역 U자형으로 절곡되어 사람의 목이나 차량의 헤드 레스트에 걸어 둘수 있는 걸이부(22)를 갖는 등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유아가 앉는 시트부(2)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굴림 이동하는 바퀴 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바퀴 수단(30)은 전,후방 회전축(31a)(32a)에 축 설치되는 전륜(31)과 후륜(32)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니 버설 조인트 연결부(41)로 연결하는 샤프트(40) 양단부에 힌지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40)는 중앙에 볼 부재(42)를 마련하여 전륜 또는 후륜을 상부로 접이하거나 펼칠 때 샤프트에 의해 전륜과 후륜이 동시에 작동함과 함께 볼 부재(42)가 내,외측으로 신축 가능한 링 형태의 걸림부재(45)를 전,후로 통과하여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서 걸림 작동하면서 전륜과 후륜의 펼침 또는 접이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45)는 스프링 와이어를 원통형으로 엮어 외측으로 탄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원위치 복귀하는 구조로 형성하되, 베이스 프레임(10) 하부 중앙에 메달아 설치되게 마련된다.
상기 샤프트(40)는 중앙에 볼 부재(42)를 중심으로 전륜(31)에 연결되는 제1 샤프트(40a)와 후륜(32)에 연결되는 제2 샤프트(40b)를 힌지 연결하되, 상기 제1,2 샤프트(40a)(40b)는 유니 버설 조인트 연결부(41)로 연결되어 관절 운동과 함께 동시에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에는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가아드 패널(50)이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아드 패널(50)을 베이스 프레임(10) 상부로 설치하는 경우에 시트부(2)에 앉은 유아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용도로 사용하게 되고, 상기 가아드 패널(50)을 베이스 프레임(10) 하부로 설치하는 경우(베드 용도 사용시)에 가아드 패널(50)이 바닥에 지지되어 전후 이동이 방지되는 고정 다리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아드 패널(50)는 중앙에 전륜(31)의 접이시 간섭되지 않도록 삽입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고, 상단 및 좌,우측 단의 테두리에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에어백 기능의 완충 부재(55)가 마련되어 구성된다.
상기 시트부(2)는 유아의 다리 사이로 유아가 앉을 수 있는 넓은 벨트를 삽입 설치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양 단부의 걸이 구멍(2a)을 등 프레임(20)이나 가아드 패널(50)에 마련된 걸이구(3)에 걸어 장착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그 밖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유모차는 유모차로 사용하거나 그 밖에 목에 걸어 이동하는 캐리어, 베드 및 카시트의 4가지 형태로 간단히 변형 사용할 수 잇는 것이다.
먼저, 유모차로 사용하는 경우에 시트부(2)에 유아를 앉히고 바퀴수단(30)에 의해 굴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모차로 사용하다가 유모차로 이동할 수 없어 캐리어로 변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별도 조작 없이 등 프레임(20) 상부에 역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걸이부(22)에 목을 삽입하여 들어 올리므로 간편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모차를 베드로 변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등 프레임(20)을 베이스 프레임(10) 후방의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으로 펼쳐주므로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베드로 간단히 변형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모차를 카시트로 변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 및 도 9에서와 같이 바퀴수단(30)을 접이한다.
이는 전륜(31)이나 후륜(32)을 전,후방 회전축(31a)(32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접이하는데 상기 전륜(31)과 후륜(32)이 샤프트(40)의 양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일체로 접이 작동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륜(31)이나 후륜(32)을 회전시켜 접이하면, 샤프트(40) 중앙의 볼 부재(42)가 내,외측으로 신축 가능하게 링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재(45)를 벌리면서 강제로 전진 이동한다.
이때, 상기 볼 부재(42)를 중심으로 전방의 제1 샤프트(40a)와 후방의 제2 샤프트(40b)는 유니버설 조인트 연결부(41)로 연결되어 관절 운동과 함께 동시에 전진 이동하면서 전륜(31)과 후륜(32)을 동시에 회전시켜 접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전륜(31)과 후륜(32)의 접이가 완료되면 상기 샤프트(40) 중앙의 볼 부재(42)는 걸림부재(45)를 통과하고 걸림부재(45)가 벌어진 상태에서 원위치 수축되어 볼 부재(42)의 후퇴를 방지하도록 지지하므로 접이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바퀴수단(30)을 접이한 상태에서 차량 시트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등 프레임(20) 상부에 역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걸이부(22)를 차량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삽입하므로 안전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모차 전방에는 가아드 패널(50)을 마련하되, 상기 가아드 패널(50)의 상단 및 좌,우측 단의 테두리에 완충 부재(55)를 마련하여 사고시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모차를 카 시트로 변형 사용하는 경우에 등 프레임(20)을 차량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걸어 설치하므로 사고시 차량 시트와 일체로 분리되지 않아 안전하고, 가이드 패널(50) 및 완충 부재(55)에 의해 전면 충돌 충격을 완충하여 안전성을 우수하게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모차를 다시 분리하여 유모차로 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접이된 바퀴수단(30)을 원위치로 펼쳐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전륜(31)이나 후륜(32) 중에 하나를 펼치면 샤프트(40)에 의해 동시에 펼쳐져 간단히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퀴수단(30)을 펼칠 때 샤프트(40) 중앙의 볼 부재(42)가 내,외측으로 신축 가능하게 링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재(45)를 벌리면서 강제로 원위치 후퇴 이동하고, 바퀴수단의 펼침이 완료되면 샤프트(40) 중앙의 볼 부재(42)가 걸림부재(45)를 통과하고 걸림부재(45)가 벌어진 상태에서 원위치 수축되어 볼 부재(42)의 전진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므로 펼침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바퀴수단(30)의 접이 또는 펼침 상태에서 전륜(31)과 후륜(32)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미도시)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단순 구조의 변경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2: 시트부 10: 베이스 프레임
20: 등 프레임 22: 걸이부
30: 바퀴 수단 31: 전륜
32: 후륜 40: 샤프트
41: 유니 버설 조인트 연결부 42: 볼 부재
45: 걸림부재 50: 가아드 패널
55: 완충 부재
20: 등 프레임 22: 걸이부
30: 바퀴 수단 31: 전륜
32: 후륜 40: 샤프트
41: 유니 버설 조인트 연결부 42: 볼 부재
45: 걸림부재 50: 가아드 패널
55: 완충 부재
Claims (3)
-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후방에 수직 설치되되, 수평으로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역 U자형으로 절곡되어 사람의 목이나 차량의 헤드 레스트에 걸어 둘수 있는 걸이부(22)를 갖는 등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유아가 앉는 시트부(2)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굴림 이동하는 바퀴 수단(30);으로 구성하되,
상기 바퀴 수단(30)은 전,후방 회전축(31a)(32a)에 축 설치되는 전륜(31)과 후륜(32)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니 버설 조인트 연결부(41)로 연결하는 샤프트(40) 양단부에 힌지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40)는 중앙에 볼 부재(42)를 마련하여 전륜 또는 후륜을 상부로 접이하거나 펼칠 때 샤프트에 의해 전륜과 후륜이 동시에 작동함과 함께 볼 부재(42)가 내,외측으로 신축 가능한 링 형태의 걸림부재(45)를 전,후로 통과하여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서 걸림 작동하면서 전륜과 후륜의 펼침 또는 접이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모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는 중앙에 볼 부재(42)를 중심으로 전륜(31)에 연결되는 제1 샤프트(40a)와 후륜(32)에 연결되는 제2 샤프트(40b)를 힌지 연결하되, 상기 제1,2 샤프트(40a)(40b)는 유니 버설 조인트 연결부(41)로 연결되어 관절 운동과 함께 동시에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모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에는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가아드 패널(50)을 결합 구성하되, 상기 가아드 패널(50)의 상단 및 좌,우측 단의 테두리에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부재(5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모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3891A KR101707949B1 (ko) | 2015-07-22 | 2015-07-22 | 다기능 유모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3891A KR101707949B1 (ko) | 2015-07-22 | 2015-07-22 | 다기능 유모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1368A KR20170011368A (ko) | 2017-02-02 |
KR101707949B1 true KR101707949B1 (ko) | 2017-02-17 |
Family
ID=5815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3891A KR101707949B1 (ko) | 2015-07-22 | 2015-07-22 | 다기능 유모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794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1972Y1 (ko) * | 1993-11-24 | 1996-03-06 | 류춘우 | 가변형 유모차 |
KR100289965B1 (ko) | 1999-01-20 | 2001-05-15 | 윤여철 | 다기능 유모차 |
KR200169798Y1 (ko) | 1999-07-21 | 2000-02-15 | 정국진 | 다기능 유아용 이동기구 |
KR101054245B1 (ko) * | 2009-10-20 | 2011-08-09 | 장인환 | 캐리어 겸용 유모차 |
KR200461290Y1 (ko) * | 2009-12-23 | 2012-07-06 | 장인환 | 다기능 캐리어 |
-
2015
- 2015-07-22 KR KR1020150103891A patent/KR101707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1368A (ko) | 2017-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69492A (en) | Reclining car seat | |
US3951450A (en) | Infant seat for automotive and other vehicles | |
US9056567B2 (en) | Baby carrier in the form of a bucket seat | |
EP1787855B1 (en) | Vehicle child seat arrangement | |
US8205894B2 (en) |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 |
CN106183907B (zh) | 便携式可折叠的多功能儿童安全座椅 | |
US7887140B1 (en) | Automobile seat with integral child safety restraining assembly | |
CN106696775B (zh) | 一种便携式可折叠的多功能儿童安全座椅 | |
US20180009341A1 (en) | Car seat stroller system and method | |
JP2008503378A (ja) | 子供用安全キャリアのベース | |
CN206653960U (zh) | 一种便携式可折叠的儿童安全座椅 | |
US6591763B2 (en) | Collapsible seat back tray assembly | |
US11051633B1 (en) | Vehicle mounted baby changing table | |
KR101362390B1 (ko) | 성인 및 어린이 겸용 자동차시트 | |
CN107585072A (zh) | 集成的换尿布台 | |
CN203110967U (zh) |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的基座 | |
US4075720A (en) | Support frames adapted for use with car seats and beds | |
KR101707949B1 (ko) | 다기능 유모차 | |
US9908553B2 (en) | Multi-function baby carriage | |
CN206383857U (zh) | 集成式汽车儿童安全座椅 | |
KR101054245B1 (ko) | 캐리어 겸용 유모차 | |
US5730493A (en) | Built-in baby seat for transport in vehicles | |
JP6165527B2 (ja) | 車輪保持ユニットおよび乳母車 | |
CN114683977B (zh) | 侧翼调整结构及儿童安全座椅 | |
CN204548197U (zh) | 平折推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