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972Y1 - 가변형 유모차 - Google Patents

가변형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972Y1
KR960001972Y1 KR2019930024821U KR930024821U KR960001972Y1 KR 960001972 Y1 KR960001972 Y1 KR 960001972Y1 KR 2019930024821 U KR2019930024821 U KR 2019930024821U KR 930024821 U KR930024821 U KR 930024821U KR 960001972 Y1 KR960001972 Y1 KR 960001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heel
stroller
guide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4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068U (ko
Inventor
류춘우
양용희
Original Assignee
류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춘우 filed Critical 류춘우
Priority to KR2019930024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972Y1/ko
Publication of KR950014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변형 유모차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가변형 유모차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변형된 실시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록킹수단을 보인 것으로,
(a)는 록킹장치의 상세이고,
(b)는 그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바퀴
3 : 샤프트 4 : 힌지
5 : 지지축 6 : 지지대
7 : 연결클립 8 : 연결대
9,9,' : 연결핀 10 : 가이더
11 : 안내공간 12 : 스토퍼
13 : 고정턱 14 : 힌지
15 : 푸쉬버튼 16 : 걸림턱
17 : 탄성부재 18 : 걸쇠
본 고안은 형상변화가 구현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별히 사용장소, 용도에 따라 기능적으로 쉽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유아를 태우고 목적지로의 안락한 이동을 위한 유모차의 일반적인 기능에 있어서 차제구조가변을 통해 새로운 용도를 사용목적을 다르게 하는 유모차의 구조는 많이 알려져 있다.
보통의 경우 바퀴를 접어넣어 구조변형을 달성하는데 수회의 가변단계를 거치거나 새로운 부착물을 부가함으로써 기능을 다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시트에 안착할 수 있는 안전의자와, 지지부속물을 설치한 흔들 그네, 또는 전후방향으로 몸체가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안락의자등의 형상변형으로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다기능유모차는 안전의자에서 유모차로 변경할 경우 수회의 조작단계를 거치는데 먼저 유아를 내려놓고 직접바퀴를 펼쳐 유모차형상을 만든후 다시 유아를 태운다.
이와는 다르게 유모차에서 안전의자로 변경할 경우에도 유아를 일단차체에서 내려놓고 손으로 바퀴를 접어넣어 안전의자로 만든후 유아를 다시 앉히도록 하는 조작순서를 밞는다.
따라서 유모차의 구조변경이 있을시 유아를 내리고 다시 태우는 불편이 있고 바퀴를 접어 넣거나 펼치는데 있어 수회의 접는 동작과 펼치는 동작을 거치게 됨으로서 구조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를 태운상태에서 유모차의 구조를 쉽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의 바퀴를 접고 펼치는 동작을 일회의 작동으로 마무리시켜 바퀴의 절첩작동성을 좋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은 유모차의 바퀴를 접고 펼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안내하고 고정하기 위해 몸체의 측면상에 구성된 지지체안내부와,
상기 지지체 안내부에 안내된 지지체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록킹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유모차의 바퀴(2)를 접동가능하게 하나로 연결해주기 위해 지지체를 본체(1)의 하부측에 두고 몸체(1)의 측부상에는 상기 지지체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이 안내부에 안내된 지지체를 몸체(1)상에 탄성적으로 걸어주고 내러주기 위한 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는 가로상의 샤프트(3)에 힌지(4)결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바퀴(2)를 회전시키는 지지축(5)과, 이 지지축(5)을 지지대(6)측에 연결하는 연결클립(7)과, 상기 연결클립(7)과 지지대(6)를 접동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8)와,
상기 연결대(8)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하이동되는 지지대(6)로 이루어지고 연결부분은 연결핀(9)(9')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안내부는 지지체를 수용하기 위해 몸체측면상에 공간으로 형성되는 가이더(10)및 바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간(11)과, 지지축(5)의 과펼쳐짐을 정지시키기 위해 지지축(5)의 근접위치에 설치된 스토퍼(12)와,
지지대(6)의 중앙부분을 받쳐주어 지지대(6)의 이탈을 차단시키는 고정턱(3)으로 구성된다.
록킹수단은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내측변상에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푸쉬버튼(15)과, 상기 푸쉬버튼(15)에 지지대(6)를 걸어주기 위해 푸쉬버튼(15)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6)과,
푸쉬버튼(15)을 탄성력으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17)로 이루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부호 18은 지지대의 굴절을 방지하기 위한 걸쇠이다.
본 고안의 작용은 바퀴(2)의 지지체 들어주고 내려줌에 따라 유모차에서 안락의자 및 안전의자로 변형되고 또한 유모차의 구조변경이 한동작으로 완료되는 특징이 있다.
유모차의 바람직한 형태는 제1도와 같다.
지지대(6)는 고정턱(13)에 안내되어 밑으로의 처짐이 차단되고 이 지지대(6)의 양단에 연결핀(9)으로 고정된 연결대(8)는 연결핀(9')으로 연결클립(7)에 연결되어 있어 이들의 각 연결부위는 접동가능하지만 펼쳐진 상태에서는 걸쇠(18)에 의해 꺾임이 방지된다.
이러한 지지대(6)를 연결하는 연결클립(7)은 바퀴(2)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축(5)고정되는데 지지축(5)은 몸체(1)측 샤프트(3)에 힌지(4)로 고정되어 바퀴(2)를 회전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이 힌지(4)를 중심으로 접동된다.
제2도는 제1도의 구조와는 다르게 안락의자로 변형된 상태로서 바퀴(2)가 접혀들어가 접지면이 몸체(1)의 하단이 된 상태이다.
이러한 구조로의 변형은 지지체를 동작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데 지지대(6)를 잡고 들어 올리면 지지축(5)이 샤프트(3)와의 연결 중심점인 힌지(4)를 축으로 접혀지고 지지축(5)에 고정된 연결클립(7)과 연결된 연결대(8)는 연결핀(9)(9')을 중심으로 서서히 수직에 가까운 위치로 가변되면서 바퀴(2)를 몸체(1)상에 형성된 암내공간(11)으로 유도하고 지지대(6)는 가이더(10)에 안내되어 록킹수단에 걸려 바퀴(2)가 접혀진 상태에 도달되도록 한다.
제3도의 (a)는 지지대(6)가 록킹수단측 걸림턱(16)에 걸려 바퀴(2)가 접혀진 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지지대(6)의 안쪽이 걸림턱(16)에 얹혀져 밑으로 쳐짐이 방지된 상태이다.
(b)는 지지체의 이탈이 구현되는 록킹수단의 동작과정을 보인 것으로 푸쉬버튼(15)에 누름력이 작용되어 푸쉬버튼(15)은 힌지(14)를 중심으로 탄성회전하여 선단부의 걸림턱(16)을 안쪽으로 보내 지지체를 이탈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푸쉬버튼(15)은 탄성부재(17)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고 지지체의 지지대(6)는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내려가면서 접혀지는 동작의 역순으로 연속적으로 펼쳐져 제1도와 같은 유모차로의 형상복원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술된 일련의 동작 구현과정에 있어 본 고안은 바퀴의 접고 펼침 작동시 유아를 태운상태에서도 바퀴의 접고 펼침 동작이 별다른 장애 요인없이 무난히 이루어져 유아를 내리거나 태우는 등의 번거로움을 줄일수 있고,
바퀴의 절첩동작을 지지대의 상승조작과 버튼의 누름조작으로 완료하여 유모차의 쉽고 빠른 기능변경을 도모한 것이다.

Claims (4)

  1. 유모차의 바퀴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안내하고 고정하기 위해 몸체의 측면상에 구성되는 지지체 안내부와,
    상기 지지체 안내부에 안내된 지지체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록킹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샤프트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고 바퀴를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지지대측에 연결하는 연결클립과,
    연결클립과 지지대를 각기 접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하이동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 안내부는 지지체를 수용하기 위해 몸체측면상에 공간으로 형성되는 가이더 및 바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간과,
    지지축의 과펼쳐짐을 정지시키기 위해 지지축의 근접위치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지지대의 중앙부분을 받쳐주어 지지대의 이탈을 막아주는 고정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유모차.
  4. 제1하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몸체내측벽상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에 지지대를 걸어주기 위해 푸쉬버튼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푸쉬버튼을 복원시기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유모차.
KR2019930024821U 1993-11-24 1993-11-24 가변형 유모차 KR960001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821U KR960001972Y1 (ko) 1993-11-24 1993-11-24 가변형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821U KR960001972Y1 (ko) 1993-11-24 1993-11-24 가변형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68U KR950014068U (ko) 1995-06-16
KR960001972Y1 true KR960001972Y1 (ko) 1996-03-06

Family

ID=1936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821U KR960001972Y1 (ko) 1993-11-24 1993-11-24 가변형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9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368A (ko) * 2015-07-22 2017-02-02 장인환 다기능 유모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368A (ko) * 2015-07-22 2017-02-02 장인환 다기능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68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429B2 (en) Stroller
JPH08509185A (ja) 折りたたみ乳母車
US5087066A (en) Foldable baby stroller
US3330575A (en) Convertible and foldable baby vehicles
US4610460A (en) Baby carriage
US6409205B1 (en) Infant car seat stroller
US4111454A (en) Folding baby carriage
US6412809B1 (en) Folding push chair for a child with memory of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hammock
US5833261A (en) Footrest movable between two positions
US4746140A (en) Baby carriage
GR3062780T3 (ko)
KR19990036542A (ko) 유모차 장치
US6152477A (en) Locking device for a foldable stroller
KR960001972Y1 (ko) 가변형 유모차
JPS5832067B2 (ja) 乳母車のハンモツク
CN114206167A (zh) 可折叠的婴儿床和婴儿车
JPH04154478A (ja) ベビーカー等の座席構造
JP3802635B2 (ja) 中折式構造体
CN210364000U (zh) 一种便于折叠的童车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US2701602A (en) Frame for baby support
CN213892640U (zh) 可收折的婴儿车
JP3043546U (ja) 折畳式ベッド
JPH10192100A (ja) 折畳み式多連結ベッド
CN215322803U (zh) 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