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933B1 - 철도 레일용 도유기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용 도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933B1
KR101707933B1 KR1020150141520A KR20150141520A KR101707933B1 KR 101707933 B1 KR101707933 B1 KR 101707933B1 KR 1020150141520 A KR1020150141520 A KR 1020150141520A KR 20150141520 A KR20150141520 A KR 20150141520A KR 101707933 B1 KR101707933 B1 KR 101707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brush
rail
fixing
mani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동석
안병길
김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엘
Priority to KR102015014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스 토출 영역에서 토출된 그리스가 철도 레일의 매우 넓은 영역에 걸쳐 도포될 수 있도록 차륜과의 충격 및 원심력에 의하여 그리스 전이 영역으로 전이되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그리스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노즐부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철도 레일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리스가 토출되는 지점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철도 레일용 도유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철도 레일용 도유기{Automated lubricant supplying machine for rail}
본 발명은 기차, 지하철 등의 철도 레일의 곡선 궤도에서 열차 차륜과 철도 레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철도 레일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철도 레일용 도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 지하철 등의 열차가 철도 레일의 곡선 궤도를 주행할 때 원심력에 의하여 열차 차륜이 선로의 외측 레일에 횡압을 가하게 되어 열차 차륜과 레일 간에 과도한 마찰력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레일 및 열차 차륜이 마모되고,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0081호 "철도용 도유기" (등록일 2014.12.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9588호 "도유기"(등록일 2003. 6.17)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도유기는 그리스가 수용되는 그리스 저장조와 제어반이 설치된 케이싱, 상기 그리스 저장조에 보관된 그리스를 적정의 압력으로 송출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에서 송출되는 그리스를 철도 레일에 토출하는 노즐부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도유기는 철도 레일에 반고체 상태의 윤활유인 그리스를 자동적으로 도포하여 열차가 철도 레일의 곡선 궤도를 주행할 때 철도 레일과 열차의 차륜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도유기는 노즐부로부터 토출되는 그리스가 노즐부로부터 가까운 레일의 일부분에만 도포되어 그 도포 효과가 미미하며, 아울러 차륜과의 충격 및 원심력에 의하여 그리스가 비산되어 레일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즐부를 철도 레일에 고정하기 위하여 철도 레일의 양측에 고정브라켓을 설치하고 이를 볼트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그리스가 토출되는 지점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0081호 "철도용 도유기" (등록일 2014.12.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9588호 "도유기"(등록일 2003. 6.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리스 토출 영역에서 토출된 그리스가 철도 레일의 매우 넓은 영역에 걸쳐 도포될 수 있도록 차륜과의 충격 및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되는 그리스가 그리스 전이 영역으로 전이되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그리스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노즐부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철도 레일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리스가 토출되는 지점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철도 레일용 도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리스가 저장되는 그리스 저장조, 상기 그리스 저장조에 저장된 그리스를 송출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에서 송출되는 그리스를 철도 레일상에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 레일용 도유기에 있어서 : 상기 노즐부는, 일측에 철도 레일의 받침부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1받침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고정브라켓, 일측에 철도 레일의 받침부의 일측에 걸리기 위한 U자형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나사부가 상기 제1고정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1고정볼트, 상기 제1고정볼트의 제1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고정볼트 및 상기 제1고정브라켓이 상기 철도 레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너트,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니폴더 장착대, 상기 매니폴더 장착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복수의 노즐 장착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그리스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그리스 유입구로 유입된 그리스가 상기 복수의 노즐 장착공으로 유동하기 위한 내부 유동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더, 상기 매니폴더의 복수의 노즐 장착공마다 장착되어 철도 레일에 그리스를 토출하는 그리스 토출 노즐, 상기 매니폴더에 결합되는 제1브러시 장착대,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이격되어 마련되되 일측에 철도 레일의 받침부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2받침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고정브라켓, 일측에 철도 레일의 받침부의 일측에 걸리기 위한 U자형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2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나사부가 상기 제2고정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2고정볼트, 상기 제2고정볼트의 제2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2고정볼트 및 상기 제2고정브라켓이 상기 철도 레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고정너트, 상기 제2고정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부 일측에 브러시 측부 걸림턱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 제2브러시 장착대, 상면에 브러시 상부 걸림턱이 형성된 브러시 부재 장착홈을 형성하는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의 하부에 상기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를 따라 연결판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기 제1브러시 장착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제2브러시 장착대에 결합되는 브러시 프레임, 복수의 브러시 모와 상기 브러시 모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브러시 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브러시 고정대가 상기 브러시 부재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브러시 상부 걸림턱에 의하여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브러시 고정대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브러시 측부 걸림턱에 의하여 측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브러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브러시 부재에서 상기 복수의 그리스 토출 노즐 사이의 영역인 그리스 토출 영역과, 상기 브러시 부재에서 상기 그리스 토출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서 상기 그리스 토출 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그리스 전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그리스 전이 영역의 길이는 상기 그리스 토출 영역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더가 상기 매니폴더 장착대에 결합되는 높이는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브러시 장착대가 상기 매니폴더에 결합되는 높이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리스 토출 영역에서 토출된 그리스가 철도 레일의 매우 넓은 영역에 걸쳐 도포될 수 있도록 차륜과의 충격 및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되는 그리스가 그리스 전이 영역으로 전이되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그리스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노즐부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철도 레일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리스가 토출되는 지점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철도 레일용 도유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 레일용 도유기의 사용 상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노즐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도,
도 5는 도 2의 매니폴더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브러시 부재가 브러시 프레임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 레일용 도유기의 사용 상태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노즐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매니폴더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브러시 부재가 브러시 프레임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조립을 위한 볼트 및 너트 등은 대부분 생략도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크게 도 1과 같이 그리스 저장조(300), 펌핑부(200), 노즐부(100)로 이루어진다.
그리스 저장조(300)에는 그리스가 저장되며, 그리스 저장조(300)에 저장된 그리스는 펌핑부(200)에 의하여 노즐부(100)로 송출되며, 노즐부(100)는 철도 레일(10)상에 그리스를 토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리스 저장조(300) 및 펌핑부(200)의 구성은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노즐부(100)의 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노즐부(100)는 철도 레일(10)에 고정 결합된다.
철도 레일(10)은 열차 차륜이 지지되는 상부의 두부(11)와, 침목에 지지되는 하부의 받침부(13)와, 두부(11)가 받침부(13)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두부(11)를 지지하는 중간부(12)로 구성된다.
노즐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고정브라켓(111), 제1고정볼트(112), 제1고정너트(113), 매니폴더 장착대(114), 매니폴더(115), 그리스 토출 노즐(116) 등이 마련된다.
제1고정브라켓(111)은, 수평상으로 마련되는 상판(111a)과, 상판(111a)의 하부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두 쌍의 받침부 지지판(111b)과, 한 쌍의 지지판(111b) 사이마다 마련되는 수평상의 보조판(11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받침부 지지판(111b)의 일측에는 철도 레일(10)의 받침부(13)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1받침부 삽입홈(111b-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고정브라켓(111)은 제1고정볼트(112)와 제1고정너트(113)에 의하여 철도 레일(10)의 받침부(13)에 결합된다.
제1고정볼트(112)는 일측에 철도 레일(10)의 받침부(13)의 일측에 걸리기 위한 U자형 제1걸림부(112a)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1수나사부(1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고정볼트(112)는 제1수나사부(112b)가 제1고정브라켓(111)을 관통하도록, 구체적으로는 제1고정브라켓(111)의 한 쌍의 받침부 지지판(111b) 사이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쌍의 받침부 지지판(111b)이 마련되므로 제1고정볼트(112)는 2개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1고정볼트(112)의 제1수나사부(112b)에 제1고정너트(113)가 나사체결되면서 받침부 지지판(111b)의 일측면에 밀착되면 제1고정볼트(112) 및 제1고정브라켓(111)이 철도 레일(10)의 받침부(13)에 고정된다.
즉 제1고정볼트(112)의 U자형 제1걸림부(112a)가 철도 레일(10)의 받침부(13)의 일측에 걸리는 한편 제1고정브라켓(111)의 제1받침부 삽입홈(111b-1)에 철도 레일(10)의 받침부(13)가 삽입된 상태가 제1고정너트(113)에 의하여 유지되어 그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제1고정브라켓(111)의 상부에 L자 형태의 매니폴더 장착대(114)가 결합되며, 매니폴더 장착대(114)의 상부에 매니폴더(115)가 결합된다.
매니폴더 장착대(114)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장공형 볼트 결합구가 형성되어 매니폴더(115)의 측방향 위치 및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매니폴더(115)가 매니폴더 장착대(114)에 결합되는 높이 및 매니폴더(115)와 철도 레일(10)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매니폴더(115)는, 그 상면에 복수의 노즐 장착공(115a)이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 그리스 유입구(115b)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그리스 유입구(115b)로 유입된 그리스가 복수의 노즐 장착공(115a)으로 유동하기 위한 내부 유동로(115c)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스 유입구(115b)에는 연결 커플러(115b-1)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결 커플러(115b-1)에 펌핑부(200)의 공급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
매니폴더(115)의 복수의 노즐 장착공(115a)마다 그리스 토출 노즐(116)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스 토출 노즐(116)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철도 레일(10)에 그리스를 상방향으로 토출하게 된다.
한편 매니폴더(115)에 제1브러시 장착대(117)가 마련된다. 제1브러시 장착대(117)의 하단부는 수직하게 형성되어 매니폴더(115)에 결합되는 한편, 제1브러시 장착대(117)의 상단부는 철도 레일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브러시 장착대(117)의 하단부가 매니폴더(115)에 결합되는 높이는 장공형 볼트 결합구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브라켓(111)으로부터 이격되어 제2고정브라켓(121)이 마련된다.
제2고정브라켓(121)은, 제1고정브라켓(111)과 마찬가지로, 상판, 받침부 지지판, 보조판으로 구성되며, 받침부 지지판의 일측에는 제2받침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제2고정브라켓(121)에는 한 쌍의 받침부 지지판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제2고정볼트(122) 및 제2고정너트(123)는 한 개가 마련된다.
제2고정브라켓(121), 제2고정볼트(122), 제2고정너트(123)에 대한 설명은 제1고정브라켓(111), 제1고정볼트(112), 제1고정너트(113)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2고정브라켓(121)의 상부에 제2브러시 장착대(127)가 결합된다.
제2브러시 장착대(127)는 제2고정브라켓(121)과 결합되는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는 수직부와, 수직부로부터 철도 레일(10)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진다.
제2브러시 장착대(127)의 경사부의 상부 일측에 브러시 측부 걸림턱(127a)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브러시 장착대(117)와 제2브러시 장착대(127)를 기초로 브러시 프레임(130)이 경사지게 마련되며, 브러시 프레임(130)에 브러시 부재(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러시 프레임(130)은 상부에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131)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131)의 하부에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131)를 따라 연결판(132)이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131)는 브러시 부재 장착홈(131a)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브러시 부재 장착홈(131a)의 상면에는 브러시 상부 걸림턱(131b)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연결판(132)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제1브러시 장착대(117)에 결합되며 연결판(132)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제2브러시 장착대(127)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판(132)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제1브러시 장착대(117)와 제1보조장착대(117-1)사이에 삽입된 후 볼트 조립되며, 연결판(132)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제2브러시 장착대(127)와 제2보조장착대(127-1)사이에 삽입된 후 볼트 조립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브러시 프레임(130)은, 제1,2브러시 장착대(117, 127)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브러시 프레임(130)에 브러시 부재(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러시 부재(140)는 복수의 브러시 모(141)와, 브러시 모(141)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브러시 고정대(142)로 이루어진다.
브러시 고정대(142)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브러시 부재 장착홈(131a)에 장착되며(도 6 참조), 이에 의하여 브러시 부재(140)는 경사진 자세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브러시 부재 장착홈(131a)에 장착된 브러시 고정대(142)는 브러시 상부 걸림턱(131b)에 의하여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브러시 고정대(142)의 길이방향 일측이 제2브러시 장착대(127)의 브러시 측부 걸림턱(127a)에 의하여 측부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브러시 프레임(130)은 제1,1브러시 장착대(117, 127)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 채 브러시 부재(140)를 열차의 진행 방향 반대측으로 이탈시켜 브러시 부재(14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브러시 측부 걸림턱(127a)은 열차의 진행 방향측으로 브러시 부재(1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브러시 부재(140)의 브러시 모(141)는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그 상단이 수직하게 배치된 그리스 토출 노즐(116)의 상단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그리스 토출 노즐(116)의 상단에서 토출되는 그리스는, 차륜과의 충격에 의한 비산 및 차륜에 도포된 후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을 통하여 브러시 모(141)의 상단을 따라 열차의 진행 방향으로 전이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노즐부(100)는 도 2와 같이 그리스 토출 영역(100a)과 그리스 전이 영역(10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스 토출 영역(100a)은 그리스가 철도 레일(10)에 직접 토출되어 철도 레일(10)이 도포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브러시 부재(140)에서 복수의 그리스 토출 노즐(116)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아울러 그리스 전이 영역(100b)은 그리스 토출 영역(100a)에서 토출된 그리스가 차륜과의 충격 및 원심력에 의한 비산을 통하여 브러시를 따라 이동하면서 철도 레일(10)이 도포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브러시 부재(140)에서 그리스 토출 영역(100a)을 제외한 영역으로서 그리스 토출 영역(100a)의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리스 전이 영역(100b)의 길이는 그리스 토출 영역(100a)의 길이보다 길다. 이로 인하여 그리스 토출 영역(100a)에서 토출된 그리스는 차륜과의 충격 및 원심력에 의하여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브러시 부재(140)를 따라 전이되어 매우 긴 길이에 걸쳐 철도 레일(10)에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철도 레일(10)이 매우 넓은 영역에 걸쳐 도포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그리스의 비산으로 인한 환경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철도 레일
100 : 노즐부 100a : 그리스 토출 영역
100b : 그리스 전이 영역
111 : 제1고정브라켓 111a : 상판
111b : 받침부 지지판 111b-1 : 제1받침부 삽입홈
111c : 보조판
112 : 제1고정볼트 112a : 제1걸림부
112b : 제1수나사부
113 : 제1고정너트
114 : 매니폴더 장착대
115 : 매니폴더 115a : 노즐 장착공
115b : 그리스 유입구 115b-1 : 연결 커플러
115c : 내부 유동로
116 : 그리스 토출 노즐
117 : 제1브러시 장착대 117-1 : 제1보조장착대
121 : 제2고정브라켓
122 : 제2고정볼트
123 : 제2고정너트
127 : 제2브러시 장착대
127a : 브러시 측부 걸림턱
127-1 : 제2보조장착대
130 : 브러시 프레임 131 :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
131a : 브러시 부재 장착홈 131b : 브러시 상부 걸림턱
132 : 연결판
140 : 브러시 부재 141 : 브러시 모
142 : 브러시 고정대
200 : 펌핑부
300 : 그리스 저장조

Claims (3)

  1. 그리스가 저장되는 그리스 저장조, 상기 그리스 저장조에 저장된 그리스를 송출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에서 송출되는 그리스를 철도 레일상에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 레일용 도유기에 있어서 :
    상기 노즐부는,
    일측에 철도 레일의 받침부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1받침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고정브라켓,
    일측에 철도 레일의 받침부의 일측에 걸리기 위한 U자형 제1걸림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나사부가 상기 제1고정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1고정볼트,
    상기 제1고정볼트의 제1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고정볼트 및 상기 제1고정브라켓이 상기 철도 레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너트,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니폴더 장착대,
    상기 매니폴더 장착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복수의 노즐 장착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그리스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그리스 유입구로 유입된 그리스가 상기 복수의 노즐 장착공으로 유동하기 위한 내부 유동로가 형성되는 매니폴더,
    상기 매니폴더의 복수의 노즐 장착공마다 장착되어 철도 레일에 그리스를 토출하는 그리스 토출 노즐,
    상기 매니폴더에 결합되는 제1브러시 장착대,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이격되어 마련되되 일측에 철도 레일의 받침부의 타측이 삽입되기 위한 제2받침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고정브라켓,
    일측에 철도 레일의 받침부의 일측에 걸리기 위한 U자형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2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나사부가 상기 제2고정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2고정볼트,
    상기 제2고정볼트의 제2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2고정볼트 및 상기 제2고정브라켓이 상기 철도 레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고정너트,
    상기 제2고정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부 일측에 브러시 측부 걸림턱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 제2브러시 장착대,
    상면에 브러시 상부 걸림턱이 형성된 브러시 부재 장착홈을 형성하는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의 하부에 상기 브러시 부재 장착홈 형성부를 따라 연결판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기 제1브러시 장착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제2브러시 장착대에 결합되는 브러시 프레임,
    복수의 브러시 모와 상기 브러시 모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브러시 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브러시 고정대가 상기 브러시 부재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브러시 상부 걸림턱에 의하여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브러시 고정대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브러시 측부 걸림턱에 의하여 측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브러시 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도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브러시 부재에서 상기 복수의 그리스 토출 노즐 사이의 영역인 그리스 토출 영역과, 상기 브러시 부재에서 상기 그리스 토출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서 상기 그리스 토출 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그리스 전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그리스 전이 영역의 길이는 상기 그리스 토출 영역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도유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더가 상기 매니폴더 장착대에 결합되는 높이는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브러시 장착대가 상기 매니폴더에 결합되는 높이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용 도유기.
KR1020150141520A 2015-10-08 2015-10-08 철도 레일용 도유기 KR101707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520A KR101707933B1 (ko) 2015-10-08 2015-10-08 철도 레일용 도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520A KR101707933B1 (ko) 2015-10-08 2015-10-08 철도 레일용 도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933B1 true KR101707933B1 (ko) 2017-02-17

Family

ID=5826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520A KR101707933B1 (ko) 2015-10-08 2015-10-08 철도 레일용 도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9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1020A (ja) * 1999-04-08 2002-12-03 ポーテック・レー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ール上部アプリケータ
KR100389588B1 (ko) 2001-05-31 2003-06-27 이상도 도유기
JP2006193109A (ja) * 2005-01-17 2006-07-27 Kusano Sangyo Kk 電気制御式レール給油装置
JP2010125859A (ja) * 2008-11-25 2010-06-10 Kusano Sangyo Kk 曲線レール塗油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80081B1 (ko) 2013-10-18 2015-01-09 이찬호 철도용 도유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1020A (ja) * 1999-04-08 2002-12-03 ポーテック・レー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ール上部アプリケータ
KR100389588B1 (ko) 2001-05-31 2003-06-27 이상도 도유기
JP2006193109A (ja) * 2005-01-17 2006-07-27 Kusano Sangyo Kk 電気制御式レール給油装置
JP2010125859A (ja) * 2008-11-25 2010-06-10 Kusano Sangyo Kk 曲線レール塗油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80081B1 (ko) 2013-10-18 2015-01-09 이찬호 철도용 도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8956B (zh) 导轨涂覆器组件
US20080223661A1 (en) Grease Guide
US8944215B2 (en) Apparatus for delivering a pumpable material to a rail head
EP1683699B1 (en) Gage side or field side top-of-rail plus gage corner lubrication system
US20090000869A1 (en) Apparatus for Applying a Pumpable Material to a Rail Head
US7108104B2 (en) Lubricant applicator
US5722509A (en) Flange oiler
US20170174235A1 (en) Top of rail foam bar
JP2013032140A (ja) レールヘッドを湿潤させるまたは潤滑させるための装置
KR101707933B1 (ko) 철도 레일용 도유기
US5518085A (en) Assembly for applying solid material to wheels
US2272774A (en) Rail lubricator
DE602005005146T2 (de) Schmiersystem für Eisenbahngleise
EP0553055A1 (en) Guard rail assembly
US10994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uge-face lubrication
US1880672A (en) Wheel flange oiler
US2231394A (en) Rail and wheel flange lubricator
KR101588228B1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CA2854931C (en) Line distributor, preferably for anti-noise device for rail brakes
KR20120102208A (ko) 레일 윤활유 코팅장치
CN110873274B (zh) 一种机械设备用表面润滑保养装置
WO2005090139A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tion of corrugation of rails, of noise and of reduction of friction between wheel and rail
US1977755A (en) Flange and rail lubricator
CN105438216B (zh) 车载式曲线钢轨润滑剂侧向喷涂装置
CA2288370C (en) Rail lubr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