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45B1 -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 Google Patents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45B1
KR101707445B1 KR1020150104943A KR20150104943A KR101707445B1 KR 101707445 B1 KR101707445 B1 KR 101707445B1 KR 1020150104943 A KR1020150104943 A KR 1020150104943A KR 20150104943 A KR20150104943 A KR 20150104943A KR 101707445 B1 KR101707445 B1 KR 10170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rame
closing member
window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753A (ko
Inventor
이봉구
Original Assignee
이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구 filed Critical 이봉구
Priority to KR102015010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06B7/0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with one ventilation w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3Adjust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 환기공을 갖고 창호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환기공의 일부를 가리는 커버부재; 상기 개폐부재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대향하는 제1 자석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대응하며,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동일한 극성을 이루는 제2 자석부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과 대향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원통 또는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과 대향하는 일단이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회전구; 스크류 형태의 나사산을 갖는 봉 형태를 이루어, 일단이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봉;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NON-ELECTRIC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VENTILATOR}
본 발명은 문이나 창문에 설치되는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조작과 전기 사용 없이 자동 개폐되는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655호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등 다수 자료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창문에 환기창을 달고 그 환기창을 자동 개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환기창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기술도 다수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환기창을 자동 개폐하는 선행기술은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문제가 있고, 환기창을 수동 개폐하는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개폐장치를 조작해야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2655호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과 전기 사용 없이 자동 개폐되는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기공을 갖고 창호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환기공의 일부를 가리는 커버부재; 상기 개폐부재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대향하는 제1 자석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대응하며,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동일한 극성을 이루어 상기 제1 자석부재와의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환기공 쪽으로 밀어 상기 환기공을 폐쇄하도록 한 제2 자석부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과 대향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원통 또는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과 대향하는 일단이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회전구; 스크류 형태의 나사산을 갖는 봉 형태를 이루어, 일단이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봉;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가 닫혀 상기 나사봉의 타단이 창호틀과 접해 상기 프레임으로 밀려 들어가면 상기 나사봉이 상기 너트부재와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환기공이 개방되고, 상기 창호가 열리면 상기 제1 및 제2 자석부재들의 척력으로 인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환기공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구의 끼움돌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봉의 일단과 상기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는 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나사봉의 일단 또는 상기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를 끼워 고정하는 락홈을 갖는 제1 락수단이 회전되게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나사봉의 타단에는 제2 락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제2 락수단은 상기 나사봉의 타단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1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나사봉의 타단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홈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2 끼움홈과, 일단이 막힌 원통형상을 이루어 상기 나사봉의 타단에 회전되게 끼움 설치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끼움홈 또는 상기 제2 끼움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상기 나사봉의 작동을 제어하는 락돌기를 갖는 캡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window)이나 문(door) 등의 창호를 열고 닫는 동작만으로 환기창이 개폐되기 때문에, 환기창을 개폐하기 위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과 전기 사용없다. 따라서 전기 사용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의 번거로운 수고를 덜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기창이 창문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환기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환기창을 단면하여 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 락수단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환기창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환기창을 개방하기 위한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2 락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2 락수단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창은 창문(window)이나 문(door) 등의 창호(1)에 설치되는 프레임(1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창호(1)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부에 홈을 두어 창호(1)에 분리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0)에는 환기공(11)이 형성되며, 환기공(11)은 내외기가 소통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한다. 도면에서는 프레임(10)이 사각틀 형태를 이루나 이는 창호(1)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레임(10)에는 개폐부재(20)가 설치된다. 개폐부재(20)는 프레임(10)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환기공(11)을 개폐한다. 예를 들면, 개폐부재(20)의 상단에는 길이를 따라 돌기(23)가 형성되고, 프레임(10)에는 그 돌기(23)를 끼울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개폐부재(20)가 프레임(10)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환기공(11)을 개폐할 수 있다.
프레임(10)에는 커버부재(30)가 설치된다. 커버부재(30)는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개폐부재(20)의 전방에 위치하며, 환기공(11)의 일부를 가려 차양과 개방된 환기공(11)으로 비가 들이치는 것을 방지한다.
개폐부재(20)에는 제1 자석부재(40)가 설치된다. 제1 자석부재(40)는 개폐부재(20)의 길이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 설치되며, 커버부재(30)와 대향한다.
커버부재(30)에는 제2 자석부재(50)가 설치된다. 제2 자석부재(50)는 커버부재(30)에 길이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 설치되어 제1 자석부재(40)와 대응하며, 제1 자석부재(40)와 동일한 극성을 이룬다. 예를 들면, 제1 자석부재(40)가 음극이면 제2 자석부재(50)도 음극으로 제1 자석부재(40)와 대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자석부재(40)와 동일한 극성을 갖는 제2 자석부재(50)는 제1 자석부재(40)와의 사이에 강력한 척력을 발생시켜 커버부재(30)를 환기공(11) 쪽으로 밀어 환기공(11)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10)에는 하우징(60)이 형성된다. 하우징(60)은 프레임(10)의 내부에 형성되어 개폐부재(20)의 일단(21)과 대향하며, 원통형상을 이룬다. 하우징(60)은 환기공(11)을 닫은 개폐부재(20)의 일단(21)과 같은 선상에 놓이도록 프레임(10)의 내부에 형성된다.
하우징(60)에는 회전구(70)가 삽입 설치된다. 회전구(70)는 원통 또는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하우징(60)의 내부에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회전구(70)는 개폐부재(20)의 일단(21)과 대향하는 일단(71)이 하우징(60)의 일단(61)으로부터 간격(S)를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구(70)의 일단(71)에는 하우징(60)의 일단(61)을 관통하여 개폐부재(20)의 일단(2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73)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75)에는 결합돌기(77)가 돌출 형성된다.
개폐부재(20)의 일단(21)에는 끼움홀(25)이 형성되고, 하우징(60)의 일단(61)을 관통한 끼움돌기(73)는 끼움홀(25)에 끼워져 개폐부재(20)와 결합되며, 끼움돌기(73)는 하우징(60)의 일단(61)에 형성된 가이드공(63)을 관통하여 끼움홀(25)에 끼워진다.
가이드공(63)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회전구(70)를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끼움돌기(73)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하우징(60)의 타단(65)에는 구멍(66)이 형성되고, 결합돌기(77)는 구멍(66)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프레임(10)에는 나사봉(80)이 설치된다. 나사봉(80)은 스크류 형태의 나사산을 갖는 봉 형태를 이룬다. 즉, 나사봉(80)은 피치가 긴 스크류 형태의 나사산을 갖으며, 일단(81)이 프레임(10)을 관통하여 회전구(70)의 결합돌기(77)와 결합되고 타단(83)은 프레임(10)으로부터 돌출된다. 프레임(10)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봉(80)의 타단(83)의 길이는 간격(S)의 길이와 같거나 짧은 것이 좋다.
나사봉(80)의 일단(81)과 결합돌기(77) 중 어느 하나는 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77)에 홈이 형성되고, 나사봉(80)의 일단(81)이 그 홈에 끼워짐으로써 나사봉(80)의 일단(81)과 결합돌기(77)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홈은 사각홈 등과 같은 각홈이며, 나사봉(80)의 일단(81)도 그 홈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어 헛돌지 않고 나사봉(80)의 회전이 결합돌기(77)에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너트부재(90)가 설치된다. 너트부재(90)는 나사봉(80)의 중간에 위치하며 나사봉(80)과 나사 결합되어 나사봉(80)의 축상에 놓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환기창은 창호(1)가 닫혀 나사봉(80)의 타단(83)이 창호틀(3)과 접하면, 나사봉(80)이 프레임(10)으로 밀려 들어가며 회전구(70)가 개폐부재(20)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나사봉(80)이 너트부재(90)와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회전되고, 이로 인해 회전구(70)가 회전됨으로써 끼움돌기(7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부재(20)가 제1 및 제2 자석부재들(40)(50)의 척력을 이기고 커버부재(30) 쪽으로 회전되어 환기공(11)이 개방된다.
제1 및 제2 자석부재들(40)(50)의 척력에 의해 개폐부재(20)가 환기공(11)을 폐쇄하려해도 창호틀(3)이 나사봉(80)이 튀어나오지 못하도록 막기 때문에 개폐부재(20)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창호(1)가 열리면, 창호틀(3)로부터 나사봉(80)이 자유롭기 때문에, 제1 및 제2 자석부재들(40)(50)의 척력으로 인해 개폐부재(20)가 환기공(11)을 폐쇄한다. 이때, 회전구(70)는 너트부재(90) 쪽으로 이동하고, 나사봉(80)의 타단(83)이 프레임(10)으로부터 튀어나온다. 그와 동시에 나사봉(80)과 회전구(70)가 회전되어 끼움돌기(7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개폐부재(20)는 끼움돌기(73)의 간섭없이 제1 및 제2 자석부재들(40)(50)의 척력으로 인해 환기공(11)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환기창은 제1 락수단(110)을 포함한다. 제1 락수단(110)은 일단에 락홈(111)을 갖는 ㅋ자 형상을 이루어 나사봉(80)의 일단(81) 또는 결합돌기(77) 중 어느 하나를 끼워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제1 락수단(110)은 프레임(10)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타단(113)이 프레임(10)으로부터 돌출되며, 타단(113)을 들어올리거나 내려 락홈(111)이 나사봉(80)의 일단(81) 또는 결합돌기(77)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거나 해제한다.
도면에서는 락홈(111)이 결합돌기(77)를 끼워 고정하도록 예시되어 있고, 결합돌기(77)는 각(角)진 사각 형태를 이루어 ㄷ자형의 락홈(111)이 끼워진 상태에서 헛돌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락수단(110)은 나사봉(8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여 창호(1)가 열려도 개폐부재(20)가 환기공(11)을 계속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80)의 타단(83)에 제2 락수단(120)이 설치되어 나사봉(8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락수단(120)은 나사봉(80)의 타단(83)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1 끼움홈(121)과, 제1 끼움홈(121)과는 거리를 두고 나사봉(80)의 타단(83)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제1 끼움홈(121)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2 끼움홈(123)과, 일단이 막힌 원통형상을 이루어 나사봉(80)의 타단(83)에 회전되게 끼움 설치되며 내주연에는 제1 끼움홈(121) 또는 상기 제2 끼움홈(123)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나사봉(80)의 작동을 제어하는 락돌기(125a)를 갖는 캡부재(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사봉(80)의 타단(83)에서의 캡부재(125)의 제자리 회전은 손가락으로 돌려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125)의 락돌기(125a)가 제1 끼움홈(121)에 끼워지면 캡부재(125)가 나사봉(80)의 타단(83)으로부터 돌출되어 창호(1)가 닫히면 창호틀(3)과 접해 나사봉(80)이 작동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125)를 빼내 락돌기(125a)를 제1 끼움홈(121)으로부터 해제시킨 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락돌기(125a)를 제2 끼움홈(123)에 끼우면 캡부재(125)가 나사봉(80)의 타단(83)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창호(1)가 닫혀도 창호틀(3)과 접하지 않아 나사봉(80)이 작동되지 않는다. 이처럼 나사봉(80)이 작동되지 않으면 창호(1)의 개폐 작동에도 개폐부재(20)가 제1 및 제2 자석부재들(40)(50)의 척력에 의해 환기공(11)을 계속 폐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window)이나 문(door) 등의 창호(1)를 열고 닫는 동작만으로 환기창이 개폐되기 때문에, 환기창을 개폐하기 위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과 전기 사용없다. 따라서 전기 사용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의 번거로운 수고를 덜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창호 3: 창호틀
10: 프레임 11: 환기공
20: 개폐부재 21: 일단
23: 돌기 25: 끼움홀
30: 커버부재 31: 일단
40: 제1 자석부재 50: 제2 자석부재
60: 하우징 61: 일단
63: 가이드공 65: 타단
66: 구멍 70: 회전구
71: 일단 73: 끼움돌기
75: 타단 77: 결합돌기
80: 나사봉 81: 일단
83: 타단 90: 너트부재
110: 제1 락수단 111: 락홈
120: 제2 락수단 121: 제1 끼움홈
123: 제2 끼움홈 125: 캡부재
125a: 락돌기

Claims (5)

  1. 환기공(11)을 갖고 창호(1)에 설치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환기공(1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20);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환기공(11)의 일부를 가리는 커버부재(30);
    상기 개폐부재(20)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재(30)와 대향하는 제1 자석부재(40);
    상기 커버부재(30)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열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석부재(40)와 대응하며, 상기 제1 자석부재(40)와 동일한 극성을 이루어 상기 제1 자석부재(40)와의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개폐부재(20)를 상기 환기공(11) 쪽으로 밀어 상기 환기공(11)을 폐쇄하도록 한 제2 자석부재(50);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20)의 일단(21)과 대향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60);
    원통 또는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상기 하우징(6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되 상기 개폐부재(20)의 일단(21)과 대향하는 일단(71)이 하우징(60)의 일단(61)으로부터 간격(S)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일단(71)에는 상기 하우징(60)의 일단(61)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부재(20)의 일단(2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73)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75)에는 결합돌기(77)가 돌출 형성된 회전구(70);
    스크류 형태의 나사산을 갖는 봉 형태를 이루어, 일단(81)이 상기 프레임(10)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구(70)의 결합돌기(77)와 결합되고 타단(83)은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봉(80); 및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80)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90)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1)가 닫혀 상기 나사봉(80)의 타단(83)이 창호틀(3)과 접해 상기 프레임(10)으로 밀려 들어가면 상기 나사봉(80)이 상기 너트부재(90)와의 나사 결합으로 인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구(7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20)가 회전되어 상기 환기공(11)이 개방되고,
    상기 창호(1)가 열리면 상기 제1 및 제2 자석부재들(40)(50)의 척력으로 인해 상기 개폐부재(20)가 상기 환기공(11)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0)의 일단(61)에는 상기 회전구(70)의 끼움돌기(7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63)이 더 형성되는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80)의 일단(81)과 상기 결합돌기(77) 중 어느 하나는 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 결합되는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나사봉(80)의 일단(81) 또는 상기 결합돌기(77) 중 어느 하나를 끼워 고정하는 락홈(111)을 갖는 제1 락수단(110)이 회전되게 더 설치되는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80)의 타단(83)에는 제2 락수단(12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제2 락수단(120)은 상기 나사봉(80)의 타단(83)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1 끼움홈(121)과, 상기 제1 끼움홈(121)과는 거리를 두고 상기 나사봉(80)의 타단(83)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홈(121)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2 끼움홈(123)과, 일단이 막힌 원통형상을 이루어 상기 나사봉(80)의 타단(83)에 회전되게 끼움 설치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끼움홈(121) 또는 상기 제2 끼움홈(123)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상기 나사봉(80)의 작동을 제어하는 락돌기(125a)를 갖는 캡부재(125)로 이루어지는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KR1020150104943A 2015-07-24 2015-07-24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KR10170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943A KR101707445B1 (ko) 2015-07-24 2015-07-24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943A KR101707445B1 (ko) 2015-07-24 2015-07-24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753A KR20170011753A (ko) 2017-02-02
KR101707445B1 true KR101707445B1 (ko) 2017-02-17

Family

ID=5815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943A KR101707445B1 (ko) 2015-07-24 2015-07-24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7736A (zh) * 2019-10-17 2020-02-28 由中国 一种静音式磁滑铝合金门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5779A (ja) 2012-03-09 2013-09-19 Shimizu Corp 通風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537A (ja) * 1997-09-16 1999-04-06 Sankyo Alum Ind Co Ltd 換気装置
KR20100024088A (ko) * 2008-08-25 2010-03-05 박유진 창문틀의 상단프레임겸용 환기장치
KR101111171B1 (ko) * 2009-01-06 2012-03-05 조광석 창호용 통풍 환기장치
KR101002655B1 (ko) 2010-09-01 2010-12-20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5779A (ja) 2012-03-09 2013-09-19 Shimizu Corp 通風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7736A (zh) * 2019-10-17 2020-02-28 由中国 一种静音式磁滑铝合金门窗
CN110847736B (zh) * 2019-10-17 2021-08-20 广东徽马门窗科技有限公司 一种静音式磁滑铝合金门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753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4242B1 (en) Vehicle door latching device
RU138235U1 (ru) Дверной блок
KR20120051061A (ko) 문 개폐 시스템 및 문 개폐 시스템용 캐치
EP3179019A1 (en) Door latch actuator
KR101707445B1 (ko) 비전기식 자동 개폐 환기창
KR20170031883A (ko) 비상 해제기능을 갖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용 액츄에이터 장치
KR101179525B1 (ko) 임의 위치로의 클로저 기능을 갖는 힌지 장치
EP3480393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 handle to a door or window leaf
KR101014344B1 (ko) 비늘창의 개폐장치
KR102006290B1 (ko)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159842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원방 핸들 조작 장치
CN110685522A (zh) 汽车车门电动铰链
KR20140094896A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CN102536008B (zh) 锁装置以及门窗
KR101643394B1 (ko) 창문 개폐 보조장치
JP6125402B2 (ja) 蝶番付き扉ユニット
KR101769530B1 (ko) 창호설치용 자연환기장치
JP2016041892A (ja) 施錠装置
KR101336958B1 (ko) 리미트 시스템이 정면에 위치한 온실용 자동 개폐기
KR200202045Y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101547316B1 (ko) 엘리베이터 소방운전스위치
KR20180134247A (ko) 문닫힘 방지구
EP2770140A1 (en) Electric lock for sliding doors or shutters
KR0122083Y1 (ko) 떼어내기형 록 핸들장치
KR20160097840A (ko) 블라인드의 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