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377B1 - 풍력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377B1
KR101707377B1 KR1020160062980A KR20160062980A KR101707377B1 KR 101707377 B1 KR101707377 B1 KR 101707377B1 KR 1020160062980 A KR1020160062980 A KR 1020160062980A KR 20160062980 A KR20160062980 A KR 20160062980A KR 101707377 B1 KR101707377 B1 KR 10170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enter
generator
wind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규
Original Assignee
최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남규 filed Critical 최남규
Priority to KR102016006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풍력 발전장치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측 수평지지대를 가진 기둥과,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의 바깥 끝단 하면에 고정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축홀이 형성된 상부측 축하우징과, 상기 축하우징의 축홀에 회전되지 않게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걸이축과, 상기 걸이축을 상부로 견인하도록 기둥에 설치되는 견인수단과, 상기 걸이축의 하단에 회전 자유롭게 매달리도록 상면 중앙이 연결되는 풍력팬과, 상기 풍력팬의 하면 중앙에 결합되어 풍력팬과 동시 회전되는 발전기와, 상기 하부측 수평지지대의 바깥 끝단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축이 회전되지 않게 잡아주는 하부측 축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자의 회전력을 크게 높임은 물론 발전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풍력 발전장치{a wind power generators}
본 발명은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장소의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협곡 등에 설치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은 환경오염이 없는 청정에너지원이자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바람은 어떤 에너지원도 만족시키기 힘든, 풍부하고, 싸고, 소모되어 없어지지 않고, 광범위하게 산재해 있는 등 미래의 개발에너지원으로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바람에 의해 발전을 일으키는 이러한 풍력발전도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풍력터빈설계 등의 기술이 발전되고 바람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에너지화에 따른 상업성이 높아지고 있다.
풍력발전은 이제 지속가능하고 튼튼하고 빨리 성장하는 산업이다. 미래 에너지원의 큰 축이 될 것이 거의 확실해 지고 있으며, 국제 경제의 에너지 영역뿐만 아니라 국제경제 자체의 지형을 바꿔 놓을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성장은 지구촌의 많은 나라들이 풍력발전체제로 전환하도록 만들고 있다. 덴마크, 독일, 스페인, 미국과 같은 초기의 풍력발전 주도국가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속한 영국, 프랑스, 브라질, 중국 등 세계 많은 나라에서 야심찬 계획들이 기업, 연구소를 가리지 않고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의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41231호 고효율 수직형 풍력 발전장치는, 회전자의 외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바람을 집풍하는 가변형 집풍덮개와, 상기 가변형 집풍덮개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축과 접하지 않는 외주면에 관성무게추가 형성되고, 회전축과는 공기 통로를 이루는 다수의 다이아프램으로 결합되고 일부면이 풍속에 따라 개방되는 개방 회전자로 구성된 좌우 대칭의 한쌍의 상부 가변 회전자와, 상기 상부 가변 회전자의 하부와 결합되고 회전자 날개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는 좌우대칭의 한쌍의 하부 가변 회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효율 수직형 풍력 발전장치는 가변형 집풍덮개 등을 포함하도록 구조화시켜 풍력발전의 효율증대를 꾀하고 있으나, 소형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복잡함, 풍속에 따른 가변 작동등 형체적 불안요소가 상존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견고함을 유지하면서 풍력발전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지는 의문스럽다.
풍력발전을 위한 설비나 장치에 있어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구애됨없이 발전이 가능하고, 또한 큰 발전플랜트 시설이 아니라 하더라도 풍력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 뿐만아니라 새롭고 효율적인 구조를 적용시킬 수 있는 기술 또한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회전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켜 회전자의 회전력을 크게 높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풍력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측 수평지지대를 가진 기둥과,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의 바깥 끝단 하면에 고정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축홀이 형성된 상부측 축하우징과, 상기 축하우징의 축홀에 회전되지 않게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걸이축과, 상기 걸이축을 상부로 견인하도록 기둥에 설치되는 견인수단과, 상기 걸이축의 하단에 회전 자유롭게 매달리도록 상면 중앙이 연결되는 풍력팬과, 상기 풍력팬의 하면 중앙에 결합되어 풍력팬과 동시 회전되는 발전기와, 상기 하부측 수평지지대의 바깥 끝단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축이 회전되지 않게 잡아주는 하부측 축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부측 축하우징은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의 바깥 끝단 하면에 위치되면서 상부측 수평지지대에 형성된 관통홀과 일치되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축홀이 형성되고, 이 축홀의 상부측 내경보다 하부측 내경이 작도록 내부 중간높이에 단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걸이축은, 그 상단에 상기 견인수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측 축하우징의 축홀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는 아이볼트와, 그 하부 단차부에 상기 풍력팬의 상부 중앙이 걸림작용에 의해 매달리도록 지지하면서 풍력팬이 회전될 때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견인수단은, 일측단이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의 바깥 끝단 일측단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걸이축의 상단측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기둥의 상부를 거쳐 하부로 처지도록 위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의 바깥 끝단 상면과 기둥의 상부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직각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주면서 견인력을 유지시켜 주는 복수의 제1 및 제2 도르레와, 상기 기둥의 중간 높이에 설치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연결하면서 조여주는 턴버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풍력팬은, 측면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방향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날개부가 설치된 회전몸통과, 상기 회전몸통의 회전 중심에 위치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회전몸통의 상면 중앙을 연결함과 동시에 회전축과 상기 걸이축의 하단이 동심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 커플러와, 상기 회전축의 하부 플랜지와 상기 회전몸통의 하면 중앙을 연결함과 동시에 회전축과 상기 발전기의 상단이 동심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2 커플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발전기는, 상기 풍력팬의 하면 중앙에 동심되게 연결되어 풍력팬과 함께 동시 회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몸체와 함께 동시 회전되는 회전자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앙에 상기 회전자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하부 중앙에 동심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측 축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자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하부측 축하우징은,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축에 끼워지면서 연결핀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된 축받이와, 상기 축받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측 수평지지대의 바깥 끝단 상면에 체결되는 플랜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장치는 풍력팬과 발전기의 결합체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도르레 방식에 의해 공중으로 당겨서 회전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회전자의 회전력을 크게 높임은 물론 발전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결합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고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측 수평지지대(12)(14)를 가진 기둥(10)과,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바깥 끝단 하면에 고정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축홀(22)이 형성된 상부측 축하우징(20)과, 상기 축하우징(20)의 축홀(22)에 회전되지 않게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걸이축(30)과, 상기 걸이축(30)을 상부로 견인하도록 기둥(10)에 설치되는 견인수단(40)과, 상기 걸이축(30)의 하단에 회전 자유롭게 매달리도록 상면 중앙이 연결되는 풍력팬(50)과, 상기 풍력팬(50)의 하면 중앙에 결합되어 풍력팬(50)과 동시 회전되는 발전기(60)와, 상기 하부측 수평지지대(14)의 바깥 끝단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발전기(60)의 고정자축(60a)이 회전되지 않게 잡아주는 하부측 축하우징(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측 축하우징(20)은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바깥 끝단 하면에 위치되면서 상부측 수평지지대(12)에 형성된 관통홀(12a)과 일치되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축홀(22)이 형성되고, 이 축홀(22)의 상부측 내경보다 하부측 내경이 작도록 내부 중간높이에 단차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축(30)은, 그 상단에 상기 견인수단(40)과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측 축하우징(20)의 축홀(22)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는 아이볼트(32)와, 그 하부 단차부(30a)에 상기 풍력팬(50)의 상부 중앙이 걸림작용에 의해 매달리도록 지지하면서 풍력팬(50)이 회전될 때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설치되는 베어링(34)을 포함한다.
상기 견인수단(40)은, 일측단이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관통홀(12a)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이축(30)의 상단측 아이볼트(32)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기둥(10)의 상부를 거쳐 하부로 처지도록 위치되는 와이어(42)와,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바깥 끝단 상면과 기둥(10)의 상부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42)를 직각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주면서 견인력을 유지시켜 주는 복수의 제1 및 제2 도르레(44a)(44b)와, 상기 기둥(1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된 고정편(46)과, 상기 고정편(46)과 상기 와이어(42)의 끝단을 연결하면서 조여주는 턴버클(4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풍력팬(50)은, 측면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방향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날개부(52a)가 설치된 회전몸통(52)과, 상기 회전몸통(52)의 회전 중심에 위치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플랜지(54a)(54b)가 형성된 회전축(54)과, 상기 회전축(54)의 상부 플랜지(54a)와 상기 회전몸통(52)의 상면 중앙을 연결함과 동시에 회전축(54)과 상기 걸이축(30)의 하단이 동심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 커플러(56)와, 상기 회전축(54)의 하부 플랜지(54b)와 상기 회전몸통(52)의 하면 중앙을 연결함과 동시에 회전축(54)과 상기 발전기(60)의 상단이 동심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2 커플러(5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커플러(56)는, 상기 걸이축(30)이 하부에서 관통되면서 걸이축(30)의 단차부(30a)에 설치된 베어링(34)이 걸려서 맞닿음과 동시에 회전 마찰저항을 줄여주도록 상기 회전축(54)의 상부 플랜지(54a)에 동심되게 결합되는 걸림받이(56a)와, 상기 걸림받이(56a)가 상기 회전몸통(52)의 상면 회전 중심에 고정되도록 경계부분 상하면에 맞닿아 체결되는 상하 한 쌍의 연결링판(5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커플러(58)는, 상기 회전축(54)의 하부 제2 플랜지(54b)의 하면 중앙과 상기 발전기(60)의 상면이 동심되게 맞닿아 고정되도록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판(58a)과, 상기 회전축(54)의 하부 제2 플랜지(54b)가 상기 회전몸통(52)의 하면 회전 중심에 고정되도록 경계부분 상하면에 맞닿아 체결되는 상하 한 쌍의 연결링판(58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전기(60)는, 상기 풍력팬(50)의 하면 중앙에 제2 커플러(58)를 매개로 동심되게 연결되어 풍력팬(50)과 함께 동시 회전되는 몸체(62)와, 상기 몸체(62)의 내부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몸체(62)와 함께 동시 회전되는 회전자(64)와, 상기 몸체(62)의 내부 중앙에 상기 회전자(64)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자(66)와, 상기 고정자(66)의 하부 중앙에 동심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몸체(62)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측 축하우징(70)에 고정되는 고정자축(6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측 축하우징(70)은, 상기 발전기(60)의 고정자축(60a)에 끼워지면서 연결핀(72)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축홀(74a)이 형성된 축받이(74)와, 상기 축받이(7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측 수평지지대(14)의 바깥 끝단 상면에 체결되는 플랜지(76)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0은 발전기(60)의 가동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케이블(82)로 연결된 축전지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풍력 발전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풍력 발전장치는, 풍력팬(50)이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하부에 걸이축(30)과 상부측 축하우징(20) 및 견인수단(40)의 견인력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 매달리도록 설치되고, 발전기(60)가 풍력팬(50)의 하면 중앙에 동심되게 고정되면서 하부측 수평지지대(14)의 상면에 하부측 축하우징(70)을 매개로 발전기(60)의 고정자축(60a)이 회전되지 않게 결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풍력팬(50)과 발전기(60)의 결합체가 자중에 의해 무게 중심이 하부로 집중되어 쏠리는 처짐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균형을 잡아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풍력팬(50)과 발전기(60)의 결합체의 회전력이 증대된다.
즉, 풍력팬(50)과 발전기(60)의 결합체는 견인수단(40)측 와이어(42)의 견인력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 매달려서 같은 방향 및 같은 속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발전기(60) 내의 고정자(66)와 연결된 고정자축(60a)은 발전기(60) 내의 회전자(64)가 몸체(62)를 매개로 풍력팬(50)과 함께 회전될 때 회전되지 않도록 하부측 축하우징(70)에 고정되기 때문에 풍력팬(50)과 발전기(60)의 결합체가 일정한 높이에 매달려 있으면서도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됨은 물론 자중에 의해 무게 중심이 하부로 쏠리는 마찰 저항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풍력팬(50)과 발전기(60)의 회전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발전기(60) 내의 회전자(64)는 보다 크게 회전되면서 발전효율을 크게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발전기(60)는 몸체(62)와 결합된 회전자(64)가 풍력팬(50)과 함께 회전될려는 작용과 고정자(66)가 고정자축(60a)를 매개로 하부측 축하우징(70)에 결속되어 회전하지 않으려는 작용에 의해 발전기(60)는 구동하게 되고, 이 발전기(60)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는 축전지(80)에 저장되었다가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한전 발전소 또는 수용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풍력 발전장치는 와이어(42)와 도르레(44a)(44b)를 이용한 견인수단(40)에 의해 풍력팬(50)과 발전기(60)의 결합체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지 않도록 공중으로 당겨져 회전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킨 친환경 방식의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협곡 등에 설치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이므로 용이하게 운반 및 설치할 수 있고, 유지보수 및 관리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기둥 12 : 상부측 수평지지대
12a :관통홀 14 : 하부측 수평지지대
20 : 상부측 축하우징 22 축홀
22a : 단차면 30 : 걸이축
30a : 단차부 32 : 아이볼트
34 : 베어링 40 : 견인수단
42 : 와이어 44a : 제1 도르레
44b : 제2 도르레 46 : 고정편
48 : 턴버클 50 : 풍력팬
52 : 회전몸통 52a : 날개부
54 : 회전축 56 : 제1 커플러
56a : 걸림받이 56b : 연결링판
58 : 제2 커플러 58a : 고정판
58b : 연결링판 60 : 발전기
60a :고정자축 62 : 몸체
64 : 회전자 66 : 고정자
70 : 하부측 축하우징 72 : 연결핀
74a : 축홀 74 : 축받이
76 : 플랜지

Claims (7)

  1. 지면에 고정되고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측 수평지지대(12)(14)를 가진 기둥(10)과,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바깥 끝단 하면에 고정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축홀(22)이 형성된 상부측 축하우징(20)과, 상기 축하우징(20)의 축홀(22)에 회전되지 않게 지지되면서 상하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걸이축(30)과, 상기 걸이축(30)을 상부로 견인하도록 기둥(10)에 설치되는 견인수단(40)과, 상기 걸이축(30)의 하단에 회전 자유롭게 매달리도록 상면 중앙이 연결되는 풍력팬(50)과, 상기 풍력팬(50)의 하면 중앙에 결합되어 풍력팬(50)과 동시 회전되는 발전기(60)와, 상기 하부측 수평지지대(14)의 바깥 끝단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발전기(60)의 고정자축(60a)이 회전되지 않게 잡아주는 하부측 축하우징(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축하우징(20)은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바깥 끝단 하면에 위치되면서 상부측 수평지지대(12)에 형성된 관통홀(12a)과 일치되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축홀(22)이 형성되고, 이 축홀(22)의 상부측 내경보다 하부측 내경이 작도록 내부 중간높이에 단차면(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축(30)은, 그 상단에 상기 견인수단(40)과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측 축하우징(20)의 축홀(22)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는 아이볼트(32)와, 그 하부 단차부(30a)에 상기 풍력팬(50)의 상부 중앙이 걸림작용에 의해 매달리도록 지지하면서 풍력팬(50)이 회전될 때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설치되는 베어링(3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40)은, 일측단이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바깥 끝단 일측단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걸이축(30)의 상단측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기둥(10)의 상부를 거쳐 하부로 처지도록 위치되는 와이어(42)와, 상기 상부측 수평지지대(12)의 바깥 끝단 상면과 기둥(10)의 상부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42)를 직각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주면서 견인력을 유지시켜 주는 복수의 제1 및 제2 도르레(44a)(44b)와, 상기 기둥(1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된 고정편(46)과, 상기 고정편(46)과 상기 와이어(42)의 끝단을 연결하면서 조여주는 턴버클(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력팬(50)은, 측면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방향성을 갖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날개부(52a)가 설치된 회전몸통(52)과, 상기 회전몸통(52)의 회전 중심에 위치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플랜지(54a)(54b)가 형성된 회전축(54)과, 상기 회전축(54)의 상부 플랜지(54a)와 상기 회전몸통(52)의 상면 중앙을 연결함과 동시에 회전축(54)과 상기 걸이축(30)의 하단이 동심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 커플러(56)와, 상기 회전축(54)의 하부 플랜지(54b)와 상기 회전몸통(52)의 하면 중앙을 연결함과 동시에 회전축(54)과 상기 발전기(60)의 상단이 동심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2 커플러(5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60)는, 상기 풍력팬(50)의 하면 중앙에 동심되게 연결되어 풍력팬(50)과 함께 동시 회전되는 몸체(62)와, 상기 몸체(62)의 내부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몸체(62)와 함께 동시 회전되는 회전자(64)와, 상기 몸체(62)의 내부 중앙에 상기 회전자(64)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자(66)와, 상기 고정자(66)의 하부 중앙에 동심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몸체(62)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측 축하우징(70)에 고정되는 고정자축(60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축하우징(70)은, 상기 발전기(60)의 고정자축(60a)에 끼워지면서 연결핀(72)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축홀(74a)이 형성된 축받이(74)와, 상기 축받이(7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측 수평지지대(14)의 바깥 끝단 상면에 체결되는 플랜지(7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장치.
KR1020160062980A 2016-05-23 2016-05-23 풍력 발전장치 KR10170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980A KR101707377B1 (ko) 2016-05-23 2016-05-23 풍력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980A KR101707377B1 (ko) 2016-05-23 2016-05-23 풍력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377B1 true KR101707377B1 (ko) 2017-02-15

Family

ID=5811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980A KR101707377B1 (ko) 2016-05-23 2016-05-23 풍력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3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634A (ja) * 2003-04-01 2004-11-04 Mamoru Yamamoto 吊り下げ式風力発電装置
JP2012167662A (ja) * 2011-02-15 2012-09-06 Kenichi Suzuki 垂直軸型風車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634A (ja) * 2003-04-01 2004-11-04 Mamoru Yamamoto 吊り下げ式風力発電装置
JP2012167662A (ja) * 2011-02-15 2012-09-06 Kenichi Suzuki 垂直軸型風車の支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2700B2 (ja) 風力エネルギー変換デバイス
US6857846B2 (en) Stackable vertical axis windmill
RU2438039C2 (ru) Ветровая турбина, работающая на восходящем потоке
KR20070010169A (ko) 풍차 날개 및 상기 풍차 날개의 탑상 설치 방법
US20120242087A1 (en) Hollow Core Wind Turbine
KR101179702B1 (ko) 회전 효율을 향상시킨 풍력 발전 장치
US8137052B1 (en) Wind turbine generator
RU71386U1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с вертикальным ротором
CN102979668A (zh) 一种开窗式风力发电机风轮
KR101707377B1 (ko) 풍력 발전장치
KR102147538B1 (ko) 회오리 유도 발전장치
KR101031548B1 (ko) 고속도로용 풍력발전기
CN206942930U (zh) 叶片自保护型风能发电装置
KR20110085792A (ko) 풍력발전장치
KR20090082016A (ko) 수직형 풍력발전기
KR20100118741A (ko) 다단 풍력발전장치
CN105402082A (zh) 五级变桨风力发电装置
KR20130136027A (ko) 풍력 발전기
US20140145449A1 (en) Counter Rotating Wind Generator
JP2000145611A (ja) 各羽根に風向尾翼を備えた自転羽根式垂直軸風車に関する技術
KR101548628B1 (ko) 풍력발전기용 수직축형 풍차장치
CN217682089U (zh) 一种垂直轴磁悬浮风力发电装置
US20160333851A1 (en)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KR102021575B1 (ko) 집풍식 풍력 발전장치
JP2014058959A (ja) 風力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