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77B1 -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177B1
KR101707177B1 KR1020160086973A KR20160086973A KR101707177B1 KR 101707177 B1 KR101707177 B1 KR 101707177B1 KR 1020160086973 A KR1020160086973 A KR 1020160086973A KR 20160086973 A KR20160086973 A KR 20160086973A KR 101707177 B1 KR101707177 B1 KR 101707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length
adjusting
insertion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더블유 (E&W)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더블유 (E&W)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더블유 (E&W)
Priority to KR102016008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77B1/ko
Priority to PCT/KR2017/007308 priority patent/WO20180090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6Plasma torch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hooks engaging end-pieces on the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를 확실하게 상호 고정하며 상호 고정된 밴드의 자유단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 해제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연구소 또는 공장의 무균실(bioclean room)에서 근무자가 착용하는 무균복, 일정 지역의 방사선량 측정 또는 인수(人獸) 전염병 차단 및 예방 활동 근무자가 착용하는 방호복, 또는 다량의 유해 중금속 및 화학 분진이 발생하는 공장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방진마스크 등에 형성되어 무균복, 방호복, 방진마스크 등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도록 조여주는 밴드에 있어서,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 각각에 형성된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에 의해, 밴드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조여 고정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를 상호 확실하게 고정하여 무균복, 방호복 또는 방진마스크가 사용자 신체에 밀착하도록 하며, 고정된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를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 해제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A band fixture }
본 발명은 밴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를 확실하게 상호 고정하며 상호 고정된 밴드의 자유단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 해제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구소 또는 공장의 무균실(bioclean room)에서 근무자가 착용하는 무균복, 일정 지역의 방사선량 측정 또는 인수(人獸) 전염병 차단 및 예방 활동 근무자가 착용하는 방호복, 또는 다량의 유해 중금속 및 화학 분진이 발생하는 공장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방진마스크 등에 형성되어 무균복, 방호복, 방진마스크 등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도록 조여주는 밴드에 있어서,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밴드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조여 고정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를 상호 확실하게 고정하여 무균복, 방호복 또는 방진마스크가 사용자 신체에 밀착하도록 하며, 고정된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를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 해제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균복(無菌服)은 유전자 조작과 같은 미소한 유전자를 다루는 의과학 및 식품 산업의 연구실 또는 실험실과 초고밀도 집적회로를 생산하는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의 제조 현장과 같은 극미세 제품산업에서 극미세한 먼지, 미생물, 세균 등이 공기 중에 부유하지 않도록 제거되는 장소에서 출입자가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의복이며, 방호복은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선을 측정하거나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전염병을 예방하고 차단하는 활동에 투입되는 근무자가 착용하게 되므로,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를 방호하기 위해 전신을 보호하며 특히 얼굴 및 머리를 가리면서 목 부위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도록 탄성 재질의 밴드가 무균복 또는 방호복의 목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밴드를 조여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착용자의 목 부위에 무균복 및 방호복을 긴밀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신체에 매우 치명적인 중금속이나 화학 물질을 배출하게 되는 제조 공장에서는 그 분진을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에 쌓이지 않도록 근로자들은 법적으로 반드시 방진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 특히 얼굴이나 목 부분에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하여 극미세한 먼지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중금속, 화학 분진을 들이마시지 않도록 무균복, 방호복, 방진마스크에는 탄성 재질의 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밴드를 착용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알맞도록 밴드를 조여 길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밴드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밴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조절된 길이로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재에 관한 종래의 제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228호, 명칭으로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한 방진마스크'가 제안된바, 첨부된 도 1의 도시와 같은 상기 제안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의 양측으로 연결된 밴드의 양끝단에 길이조절과 고정을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스토퍼를 밀어 구멍 내부로 밴드에 밀착시켜 길이조절된 밴드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안에 따른 길이조절부재는 밴드의 양측 자유단부가 하나의 길이조절부재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스토퍼를 밀어 길이가 조절되고 고정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마스크의 좌측과 우측을 착용자의 얼굴 좌우의 곡면에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어려워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빈 틈이 생기기 쉬우며, 스토퍼에 의해서만 밴드가 고정되는 1차 고정구조이어서 밴드에 조그만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을 받은 밴드가 스토퍼를 다시 외부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어 밴드의 고정이 쉽게 해제되면서 길이조절된 밴드가 풀려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228호
본 발명은 종래 제안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균복, 방호복, 방진마스크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에 각각 형성된 탄성 재질의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좌우의 밴드의 길이를 길이조절부의 조절편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조이면서 손쉽게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얼굴 또는 목의 좌우 부분을 각각 긴밀히 밀착하여 밀폐시킬 수 있게 하고, 길이조절되어 고정된 좌우의 밴드를 수체결부와 암체결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이 상호 맞닿아 걸리면서 확실하게 고정되게 하고, 수체결부와 암체결부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볼록하게 형성하여 착용자의 목 또는 머리 부분의 곡면에 긴밀하게 밀착하게 되고 착용자가 작은 외력을 가하여 곡면으로 형성된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의 걸림턱이 상호 이탈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 해제를 할 수 있게 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밴드의 좌우 양측의 자유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밴드 일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수체결부는 밴드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밴드삽입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삽입공 내부에 배치되면서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편이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와, 타단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고정편과, 상기 돌출고정편의 수평면의 저면으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되며; 밴드 타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암체결부는 밴드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밴드삽입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삽입공 내부에 배치되면서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편이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와, 타단에는 상기 수체결부의 돌출고정편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인접하여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체결부의 조절편의 끝단과 암체결부의 조절편의 끝단은 요철(凹凸)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면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은 상부가 원형인 삼각 바(bar)의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는, 무균복, 방호복, 방진마스크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에 형성된 탄성 재질의 밴드 양측의 자유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좌우의 밴드 각각의 길이를 길이조절부의 조절편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조이면서 손쉽게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얼굴 또는 목의 좌우 부분을 각각 긴밀히 밀착하여 밀폐시킬 수 있게 하고, 길이조절되어 고정된 좌우의 밴드를 수체결부와 암체결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이 상호 맞닿아 확실하게 고정되게 하고, 수체결부와 암체결부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볼록하게 형성하여 착용자 신체에 밀착시키게 하며, 착용자가 작은 외력을 가하면 곡면으로 형성된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의 걸림턱이 상호 이탈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 해제를 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진마스크 및 밴드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가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호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의 길이조절부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의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의 결합고정 및 고정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가 방호복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가 방진마스크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대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동일한 기능과 구조를 갖는 구성은 그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최초 설명에는 자세히 기재하고, 반복되는 설명에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A)는, 첨부된 도 6 및 7의 도시내용과 같이, 무균복, 방호복, 방진마스크 등에 형성되는 밴드(b)의 양측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무균복 또는 방호복에는 착용자의 얼굴 윤곽에 밀착하도록 밴드(b)는 목 부분을 감싸며 목 뒷부분 또는 머리 뒷부분에 체결 고정되고, 방진마스크의 밴드(b)는 하부 밴드가 착용자의 목을 감싸며 연결되어 있고 상부 밴드가 착용자의 머리 뒷부분에서 체결 고정되는 차이가 있으나, 이러한 차이는 밴드(b)가 착용자의 신체 부위를 감싸게 되는 위치의 차이에 해당하고 밴드(b)의 양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A)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호복에 형성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A)를 대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A)는, 첨부된 도면의 도시내용과 같이, 밴드(b) 일측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수체결부(10)와 밴드(b) 타측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암체결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체결부(10)는, 밴드(b)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밴드삽입공(112)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삽입공(112) 내부에 배치되면서 밴드(b)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편(111)이 형성되는 길이조절부(11)와, 타단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21) 및 상기 경사면(121)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면(122)이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고정편(12)과, 상기 돌출고정편(12)의 수평면(122)의 저면으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11)의 밴드삽입공(112)은, 탄성재질의 밴드(b)가 삽입되어 통과하게 된다. 상기 밴드삽입공(112)을 통과한 밴드(b)를 잡아당기면 방호복에 형성된 밴드(b)의 길이는 짧아지게 되며, 전방으로 밀면 밴드(b)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1)의 조절편(111)은, 길이조절부의 작동 단계별 상태를 나타내는 도 4a 내지 4c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밴드삽입공(112)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조절편(111)을 후방으로 밀면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어 밴드(b)를 상기 밴드삽입공(112)으로 삽입 통과시켜 밴드(b)를 수체결부(10)와 연결하게 되고, 연결된 밴드(b)의 자유단부를 잡아당겨 상기 밴드삽입공(112)에 위치하는 밴드(b)의 일면에 누르며 밀착하여 밴드(b)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편(111)은 사용자가 힘을 주어 후방으로 밀면 상기 밴드삽입공(112)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후퇴하며 벌어지므로, 상기 밴드삽입공(112)과 조절편(111) 사이의 공간으로 밴드(b)가 통과하도록 하면 상기 조절편(111)은 탄성회복력에 의해 밴드(b)를 누르면 밀착하게 되어 밴드(b)는 수체결부(10)의 밴드삽입공(112) 내부에서 수체결부(10)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이때 밴드(b)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길게 하여 밴드(b)의 길이를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되도록 1차로 밴드(b)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밴드삽입공(112)으로 삽입 통과되어 1차로 길이조절이 완료된 밴드(b)의 자유단부를 잡고 밴드(b)를 잡아당기면 밴드(b)를 누르며 밀착된 상기 조절편(11)은 밴드(b)와의 마찰에 의해 밴드삽입공(112)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밴드(b)의 2차 길이조절이 수행되며, 2차 길이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조절편(111)은 상기 밴드삽입공(112) 방향으로 원상회복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조절편(111)의 끝단이 상기 밴드삽입공(112)의 내부에서 밴드(b)의 일면을 다시 누르며 긴밀히 밀착하게 되면서 밴드(b)를 수체결부(10)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편(111)의 끝단은 연속되는 요철(凹凸) 형상의 요철면(111a)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면(111a)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편(111)의 끝단인 경사진 요철면(111a)에 의해 요철면(111a)이 누르면서 밀착하게 되는 밴드(b)의 일면은 산과 골이 생기면서 2차 길이조절 후 밴드(b)는 확실하게 길이조절부(11)에 고정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2차 길이조절이 완료된 밴드(b)의 고정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 상기 조절편(111)의 상부를 약간의 외력을 가해 눌러주어 조절편(111)과 밴드(b)의 고정을 보장한다.
상기 돌출고정편(12)은, 타단에 형성되어, 후방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2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1)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면(1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고정편(12)의 수평면(122)은 후술하는 암체결부(20)의 삽입공(22)에 삽입되어 수체결부(10)와 암체결부(20)가 상호 고정결합하게 된다.
상기 돌출고정편(12)의 수평면(122) 저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3)은 상부가 원형인 삼각 바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고정편(12)이 암체결부(20)의 삽입공(22)에 삽입되면 암체결부(20)에 형성된 동일한 형상의 걸림턱(23)과 상호 걸림 고정됨으로써 수체결부(10)와 암체결부(20)가 상호 고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체결부(10)와 암체결부(20) 각각에 형성된 걸림턱(13,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부가 원형인 삼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나, 바의 형상은 삼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걸림턱(13,23)간의 상호 신속하고 용이한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수체결부(10)를 구성하는 상기 길이조절부(11), 돌출고정편(12), 걸림턱(13)은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내부 응력을 갖추게 된다.
상기 수체결부(10)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암체결부(20)와 체결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수체결부(10)가 이러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중의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목 또는 머리 부분의 곡면에 긴밀하게 면접촉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의 상호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한다.
상기 암체결부(20)는, 밴드(b)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밴드삽입공(212)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삽입공(212) 내부에 배치되면서 밴드(b)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편(211)이 형성되는 길이조절부(21)와, 타단에는 상기 수체결부(10)의 돌출고정편(12)이 삽입되는 삽입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2)에 인접하여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21)는, 밴드삽입공(212) 및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요철면(211a)을 갖는 조절편(211)으로 이루어져 밴드(b)의 길이를 사용자 신체 조건에 맞도록 길이조절을 하며, 상기 길이조절부(21)의 밴드삽입공(212), 요철면(211a), 조절편(211)은 상기 수체결부(10)의 길이조절부(11)의 밴드삽입공(112) 및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요철면(111a)을 갖는 조절편(111)과 완전히 동일한 기능과 구조를 갖추고 있어, 그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삽입공(22)은, 상기 수체결부(10)의 돌출고정편(12)이 삽입되므로 수체결부(10)의 돌출고정편(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는 사각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상기 암체결부(20)에는 상기 삽입공(22)에 인접하여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3)은 상기 수체결부(10)의 걸림턱(13)과 동일하게 상부는 원형의 삼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고정편(12)이 삽입공(22)에 삽입되면 수체결부(10)의 걸림턱(13)과 상호 걸림 고정됨으로써 수체결부(10)와 암체결부(20)가 상호 고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암체결부(20)를 구성하는 상기 길이조절부(21), 삽입공(22), 걸림턱(23)은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내부 응력을 갖추게 된다.
상기 암체결부(20)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상기 수체결부(10)와 완전히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수체결부(10)와 체결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암체결부(20)가 이러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중의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목 또는 머리 부분의 곡면에 긴밀하게 면접촉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의 상호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암체결부(20)에 형성되는 걸림턱(23)을 대신할 수 있는 등가관계의 치환 구성으로 상기 수체결부(10)의 걸림턱(13)이 삽입되어 결합고정하는 걸림홈(도면에는 미도시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치환 구성은 단순 설계변경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체결부(10)와 암체결부(20)는 동일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턱(13)과 걸림홈의 결합고정보다 각각의 걸림턱(13,23)이 상호 걸림 고정되고 걸림 고정 해제되는 구성이 고정 및 고정 해제가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암체결부(20) 및 수체결부(10) 각각의 걸림턱(23,13)이 상호 걸려 고정되고 고정 해제되는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A)의 고정 및 고정 해제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착용자는 먼저 얼굴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방호복 모자 하단 부분의 밴드(b)의 좌우 양측의 자유단부를 잡고 양측 자유단부를 교차하도록 하여 방호복을 착용자 얼굴에 긴밀하게 면접촉하게 하고,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도록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에 각각 고정된 밴드(b) 양측의 자유단부를 각각 삽입 통과하여 연결고정하고 잡아당겨 조여주면서 밴드(b)의 길이를 착용자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우선 1차적인 길이조절을 하게 된다.
밴드(b)의 1차 길이조절이 완료되면, 수체결부(10)의 돌출고정편(12)을 암체결부(20)의 삽입공(22)에 삽입하고, 수체결부(10)의 걸림턱(13)과 암체결부(20)의 걸림턱(23)이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배치하게 되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A)의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의 상호 결합고정은 완료된다.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A)의 결합고정이 완료되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밴드(b)의 길이를 다시 2차로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에서 긴밀히 조절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착용자는 1차로 길이조절이 완료된 밴드(b)의 자유단부를 잡고 밴드(b)를 잡아당기면 밴드(b)를 누르며 밀착된 상기 조절편(111,211)은 밴드(b)와의 마찰에 의해 밴드삽입공(112,212)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밴드(b)의 2차 길이조절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며, 2차 길이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조절편(111,211)은 상기 밴드삽입공(112,212) 방향으로 원상회복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조절편(111,211)의 끝단인 요철(凹凸) 형상의 요철면(111a,211a)이 상기 밴드삽입공(112,212)의 내부에서 밴드(b)의 일면을 다시 누르며 긴밀히 밀착하게 되면서 밴드(b)를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에 각각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편(111,211)의 끝단은 연속되는 요철(凹凸) 형상의 요철면(111a,211a)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면(111a,211a)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편(111,211)의 끝단인 경사진 요철면(111a,211a)에 의해 요철면(111a,211a)이 누르면서 밀착하게 되는 밴드(b)의 일면은 산과 골이 생기면서 2차 길이조절 후 밴드(b)는 확실하게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2차 길이조절이 완료된 밴드(b)의 고정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 상기 조절편(111,211)의 상부를 약간의 외력을 가해 눌러주어 조절편(111,211)과 밴드(b)의 고정을 보장한다.
착용자가 작업을 종료하고 밴드고정부재(A)의 고정을 해제하려면,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 각각의 길이조절부(11,21)에 인접한 부분을 잡고 약간의 외력을 가해 동시에 중앙을 향해 밀게 되면,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 각각에 형성된 걸림턱(13,23)이 상호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서 수체결부(10)의 돌출고정편(12)을 암체결부(20)의 삽입공(22)에서 인출하면 수체결부(10)와 암체결부(20)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 고정되어 있으므로, 직선면으로 형성된 수체결부 및 암체결부의 상호 고정 해제에 비해 훨씬 약한 외력으로도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가 고정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의 고정 해제를 완료하면,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도록 조여진 길이조절된 밴드(b)의 길이를 느슨하게 하여 원상회복하도록,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에 각각 형성된 길이조절부(11,21)의 조절편(111,211)을 밴드삽입공(112,212) 후방 방향으로 밀어주면 조절편(111,211) 끝단인 경사진 요철면(111a,211a)은 자신이 누르고 있던 밴드(b)의 일면에서 이탈하면서 밴드삽입공(112,212)으로부터 벌어지게 되고, 이같이 벌어진 틈으로 밴드(b)를 밴드삽입공(112,212) 내에서 느슨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밴드(b)의 길이조절 역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는, 무균복, 방호복, 방진마스크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밴드에 부착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산업분야에서 동일한 고정부재를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매우 큰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A : 밴드고정부재
10 : 수체결부 11 : 길이조절부
111 : 조절편 111a: 요철면
112 : 밴드삽입공 12 : 돌출고정편
121 : 경사면 122 : 수평면
13 : 걸림턱
20 : 암체결부 21 : 길이조절부
211 : 조절편 211a: 요철면
212 : 밴드삽입공 22 : 삽입공
23 : 걸림턱 b : 밴드

Claims (3)

  1. 밴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밴드 양단을 고정할 수 있는 밴드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A)는,
    밴드(b)의 좌우 양측의 자유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밴드(b) 일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수체결부(10)는, 밴드(b)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밴드삽입공(112)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삽입공(112) 내부에 배치되면서 밴드(b)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편(111)이 형성되는 길이조절부(11)와, 타단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21) 및 상기 경사면(121)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면(122)이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고정편(12)과, 상기 돌출고정편(12)의 수평면(122)의 저면으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13)이 형성되며;
    밴드(b) 타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암체결부(20)는, 밴드(b)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밴드삽입공(212)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삽입공(212) 내부에 배치되면서 밴드(b)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편(211)이 형성되는 길이조절부(21)와, 타단에는 상기 수체결부(10)의 돌출고정편(12)이 삽입되는 삽입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2)에 인접하여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3)이 형성되며;
    상기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13,23)은 상부가 원형인 바(bar)의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체결부(10) 및 암체결부(20)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결부(10)의 조절편(111)의 끝단과 암체결부(20)의 조절편(211)의 끝단은 요철(凹凸)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면(111a,211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면(111a,211a)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3. 삭제
KR1020160086973A 2016-07-08 2016-07-08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KR10170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973A KR101707177B1 (ko) 2016-07-08 2016-07-08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PCT/KR2017/007308 WO2018009027A1 (ko) 2016-07-08 2017-07-07 전자파 플라즈마 토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973A KR101707177B1 (ko) 2016-07-08 2016-07-08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77B1 true KR101707177B1 (ko) 2017-02-15

Family

ID=5811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973A KR101707177B1 (ko) 2016-07-08 2016-07-08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7177B1 (ko)
WO (1) WO201800902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3549A (en) * 1984-06-01 1987-01-06 Itw Fastex Italia S.P.A. Releasable buckle particularly for bags, satchels and similar articles
JPH0377515A (ja) * 1989-08-18 1991-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H073319U (ja) * 1993-06-18 1995-01-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KR200338228Y1 (ko) 2003-10-27 2004-01-13 주식회사 진아산업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한 방진마스크
WO2015179163A1 (en) * 2014-05-22 2015-1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device strap connecting buck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186A (ja) * 1992-10-22 1994-05-20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ズマ製造方法
JP2000021870A (ja) * 1998-06-30 2000-01-21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0864695B1 (ko) * 2007-03-23 2008-10-23 엄환섭 전자파로 발생한 순수 수증기 토치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발생장치
KR101166444B1 (ko) * 2010-06-21 2012-07-19 엄환섭 전자파로 발생한 이산화탄소 토치 및 그 응용
KR101475822B1 (ko) * 2014-03-19 2014-12-2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파 플라즈마 토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3549A (en) * 1984-06-01 1987-01-06 Itw Fastex Italia S.P.A. Releasable buckle particularly for bags, satchels and similar articles
JPH0377515A (ja) * 1989-08-18 1991-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H073319U (ja) * 1993-06-18 1995-01-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KR200338228Y1 (ko) 2003-10-27 2004-01-13 주식회사 진아산업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한 방진마스크
WO2015179163A1 (en) * 2014-05-22 2015-1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device strap connecting buck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9027A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5803B (zh) 用于调整带的长度的带扣和包括该带扣的呼吸器
US11648426B2 (en) Retainer assembly having a rotatable, releasable snap button engagement
KR101864883B1 (ko) 끈 길이 조절형 마스크
US9506601B2 (en) Suspension adapter for radiation protective garments
TWI391582B (zh) 繩狀體之扣具
KR20180104836A (ko)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
US10702024B2 (en) Buckle for connecting strap and respirator harness including the same
US20210345701A1 (en) Surgical face mask
CA2842185A1 (en) Belt buckle for the releasable connection of a belt
JP2016131644A (ja) 係止具、及びその係止具を備える物品
KR101707177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밴드고정부재
JP2016083250A (ja) マスク用係止具
US20110173781A1 (en) Attaching Structure for an Attachable Arrangement
JP2015021537A (ja) 弾性着脱クランプ
WO2014007834A1 (en) Restraining glove
KR20180028422A (ko) 작업용 의자
KR200482144Y1 (ko) 위생 마스크용 잠금용 지지대
KR20220000928U (ko) 마스크용 귀 보호대
US20210347571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ols and methods of use for manipulating a handle
JP3207267U (ja) 透明シールド付き防塵装着具
TWM505308U (zh) 口罩掛帶之固定片
CN211048458U (zh) 一种连体无菌服
TWI549715B (zh) A fastener with a mask
JP3059549U (ja) 無塵服
US10448769B1 (en) Apparel fix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