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770B1 -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70B1
KR101706770B1 KR1020150026403A KR20150026403A KR101706770B1 KR 101706770 B1 KR101706770 B1 KR 101706770B1 KR 1020150026403 A KR1020150026403 A KR 1020150026403A KR 20150026403 A KR20150026403 A KR 20150026403A KR 101706770 B1 KR101706770 B1 KR 10170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display
information
smartphone
heart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716A (ko
Inventor
김준호
김현우
최필구
유구현
차상선
Original Assignee
김준호
김현우
최필구
유구현
차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호, 김현우, 최필구, 유구현, 차상선 filed Critical 김준호
Priority to KR102015002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7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41D19/0027Measuring instruments, e.g. watch, thermo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의 손등에 가시적으로 표출하거나, 장갑 내부에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시선을 전방으로 고정하여도 주행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심박수를 체크하여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장갑; 상기 장갑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주행 정보를 제공받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주행 정보를 토대로 표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복수의 LED가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되어 도트매트릭스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장갑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표출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Smart glove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의 손등에 가시적으로 표출하거나, 장갑 내부에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시선을 전방으로 고정하여도 주행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심박수를 체크하여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탄소 친환경 흐름의 일환으로 자전거가 무공해 이동수단으로서 주목받고 있고, 또한 건강한 취미 활동으로서 그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자전거에 거치한 후 스마트폰의 GPS를 활용하여 속도, 위치, 방향 등을 안내받을 수 있는 자전거용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도 속속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를 타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자전거에 스마트폰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거치한다 하더라도 자전거 주행중에는 많은 진동이 발생되므로, 스마트폰의 안내 화면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높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렇든 자전거 라이딩 중 스마트폰의 안내를 받기 위해서는 작은 화면 내의 정보를 읽어들여야 하기 때문에 전방 주시를 태만히 할 수 있고, 따라서 크고 작은 안전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GPS를 이용한 주행 거리로서 단순히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므로, 사용자의 심박수와 체중 및 체지방률 등에 기반한 정확한 소모 칼로리의 계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의 손등에 가시적으로 표출하거나, 장갑 내부에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시선을 전방으로 고정하여도 주행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심박수를 체크하여 소모된 칼로리를 정확히 계산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1219089(등록번호) 2012.12.31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의 손등에 가시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기 위해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는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 내부에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시선을 전방으로 고정하여도 주행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박수를 체크하여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갑; 상기 장갑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주행 정보를 제공받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주행 정보를 토대로 표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복수의 LED가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되어 도트매트릭스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장갑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표출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표출 신호는, 향후 진행 방향 정보,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 시작점으로부터 진행한 거리 정보, 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표출 방식 변경 신호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는 상기 표출 신호의 종류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장갑은, 오른손용 장갑 및 왼손용 장갑으로 구성되며, 상기 오른손용 장갑 및 왼손용 장갑 각각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장치;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른손용 장갑 또는 상기 왼손용 장갑에 내장된 진동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는 표출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표출 신호는, 향후 진행 방향 정보,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 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표출 방식 변경 신호를 토대로 상기 진동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표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갑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박수 측정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토대로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상기 계산된 칼로리를 표출하는 표출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100)의 손등에 가시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스마트폰(10)의 화면을 보기 위해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한 자전거 라이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100) 내부에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시선을 전방으로 고정하여도 주행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자전거 라이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박수를 체크하여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장갑(100)과, 장갑(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10)으로부터 주행 정보를 제공받는 무선 송수신부(310)와, 장갑(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주행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무선 송수신부(310)로부터 전송된 스마트폰(10)의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주행 정보를 토대로 표출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제공하는 제어부(300) 및 무선 송수신부(310), 디스플레이부(200), 제어부(300) 및 기타 구성들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갑(100)은, 사용자가 양 손에 착용 후 활동할 수 있도록 일반 장갑(100)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며, 내측에 여러 구성들이 내장될 수 있도록 일측이 도톰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장갑(100)은 손등 부분 외측으로 디스플레이부(200)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장갑(100)의 내측에 디스플레이부(200)가 내장된 후 장갑(100)의 손등 부분이 디스플레이부(200)를 노출할 수 있도록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갑(100)은, 스마트폰(10)의 화면을 터치하기 위하여 번거롭게 벗지 않아도 되도록 검지 또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 부위가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공지의 스마트폰(10) 터치용 장갑(100)과 같이 신체의 미세 전류를 도통할 수 있는 재질로 손가락 부위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장갑(100)의 내부에는 제어부(300), 배터리(400), 진동 장치(220) 등이 내장되고, 내측 또는 외측에 디스플레이부(200) 및 무선 송수신부(310)가 장착되며, 각 구성들은 장갑(100)의 내측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무선 송수신부(31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주행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또는 스마트폰(10)이 제어부(300)의 역할까지 병행하는 경우 직접 디스플레이부(2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200)가 점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부(310)는 1m 이내의 비교적 근거리에서 사용되는 특성상 블루투스 통신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지의 무선 송수신 기술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부(310)는 또한 스마트폰(10)으로부터 표출 방식 변경 신호가 전송될 경우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30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300)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진동 장치(220)가 표출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장갑(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또는 장갑(10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주행 정보 및 기타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00)는 기판상에 복수의 LED(210)가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되어 구비되며, 도트매트릭스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문자는 주로 거리, 시간, 심박수, 칼로리 등을 표시하며, 도형은 향후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는 오른손 및 왼손 양쪽 장갑(100)에 각각 구비되어서 왼손용 장갑(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0)는 문자 정보를, 오른손 장갑(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0)는 도형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양 손에 각각 향후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도형이 표출되거나 특별한 진행 방향 표시가 필요 없는 구간에서는 양 손에 각각 문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00)는 제어부(300)에서 전송되는 표출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게 되며, 제어부(300)가 장갑(100) 내에 구비되지 않고 스마트폰(10)에 내장될 경우 무선 송수신부(310)로부터 전송되는 스마트폰(10)의 주행 정보를 포함한 표출 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는 평상시 녹색 LED(210)를 이용하여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다가, 별도로 구비되는 후방 센서 또는 스마트폰(1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인식 기능에의한 타 사용자의 근접 감지시 접근 주의의 용도로서 적색 LED(210)를 점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색 LED(210)는 녹색 LED(210)의 도트매트릭스를 위한 배열을 흐트러트리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00)의 테두리 부근에 나열될 수 있다.
배터리(400)는, 장갑(100)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디스플레이부(200), 무선 송수신부(310), 제어부(300), 진동 장치(220), 심박수 측정기(500) 등의 구성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충전지가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야외에서 장시간 활동하는 자전거 라이딩의 특성상 배터리(400) 방전시 곤란을 격지 않도록 획득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건전지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400) 충전 단자 또는 배터리(400) 교환구는 장갑(100)의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또는 별도의 덮개가 구비된 형태로서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300)는, 무선 송수신부(310)로부터 전송된 스마트폰(10)의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주행 정보를 토대로 표출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장갑(100)의 내측에 내장되어서 무선 송수신부(310), 디스플레이부(200), 진동 장치(220), 심박수 측정기(50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300)는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어 스마트폰(10)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주행 정보를 제공받은 후 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주행 정보를 토대로 표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기능으로 인해 스마트폰(10)과 상시 연결되지 않고 수초 간격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10)의 배터리(400)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자전거의 경우, 그 속도가 빠르지 않고 경로를 이탈하여도 경로의 회복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수 초 단위의 주행 정보 전송이라 하여도 크게 문제시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따라 스마트폰(10)의 애플리케이션 설정으로 주행 정보의 전송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향후 진행 방향 정보, 현재 위치로부터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 시작점으로부터 진행한 거리 정보, 주행한 시간 정보, 현재 속도 정보, 평균 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출될 수 있도록 표출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송한다. 이 때, 제어부(300)는 오른손용 장갑(100)과 왼손용 장갑(100) 모두에 구비될수도 있고, 어느 한 쪽 손의 장갑(100)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300)가 구비되지 않은 쪽의 장갑(100)에 내장된 무선 송수신부(310)는 제어부(300)가 구비된 쪽의 장갑(100)에 내장된 무선 송수신부(310)로부터 표출 신호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어부(30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전송된 표출 방식 변경 신호를 토대로 디스플레이부(200)로 전송되는 표출 신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행 중 자신이 알고 싶은 정보에 대하여 스마트폰(10)의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명령을 하게 되고,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 스마트폰(10)은 표출 방식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행 중 자신의 평균 시속을 알고 싶을 때에는 별도의 터치 조작 없이 "평균 시속"이라고 말하는 것 만으로 디스플레이부(200)에 현재까지의 평균 시속이 표출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 뿐만 아니라 진동 장치(220)에 표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고, 진동 장치(220)에 표출되는 정보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제어부(300)에 전송된 표출 방식 변경 신호에 의해 선택된다. 이 때 표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00)와는 다르게 전달할 수 있는 정보가 매우 제한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향후 진행 방향 정보를 표출하기 위해 왼손용 장갑(100) 또는 오른손용 장갑(100)에 각각 내장된 진동 장치(220) 중 어느 하나를 진동시킴으로써 향후 진행 방향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이 그 예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300)가 진동 장치(220)에 전송하는 표출 신호는 크게 향후 진행 방향 정보,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 속도 정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향후 진행 방향 정보는 오른손용 장갑(100) 또는 왼손용 장갑(100)에 내장된 진동 장치(220) 중 향후 진행해야 할 방향쪽의 장갑(100)에 내장된 진동 장치(220)를 반복적으로 진동시킴으로서 표출할 수 있다. 이때,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진동 사이의 간격을 점점 더 짧게 함으로써 진행 방향의 변경점이 머지 않았음을 알릴 수 있고, 진행 방향 변경점에 도달해서는 계속적으로 진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는, 오른손용 장갑(100) 및 왼손용 장갑(100)에 내장된 각 진동 장치(220)를 진동시키되, 그 진동 패턴으로서 남은 거리를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과 왼손의 진동 장치(220)가 동시에 두 번 진동하고, 얼마간의 간격 후에 다시 두 번 진동하면 남은 거리가 200m인 것으로 약속하거나, 오른손과 왼손의 진동 장치(220)가 두번 진동하고 이어서 오른손의 진동 장치(220)만 한번 더 진동하면 남은 거리가 250m인 것으로 약속하는 방식이다. 이때, 각 진동 장치(220)의 진동 패턴은 스마트폰(1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패턴으로 사전에 설정할 수 있고, 위의 예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속도 정보는 평균 속도, 현재 속도 등으로 세분될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전송되는 표출 방식 변경 신호로서 이 중 하나가 선택될 뿐 기본적으로 속도의 표시는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거리 정보의 표출과 유사하게 왼손의 진동장치는 10의 단위 오른손의 진동 장치(220)는 0과 5로 양분된 1의 단위를 표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세팅 및 1의 단위의 세분화가 가능하다.
한편, 진동 장치(220)는 과속 경고 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데, 미리 설정된 과속 기준을 넘게 되면 오른손 및 왼손의 진동 장치(220)가 동시에 길게 진동하는 등으로 속도를 낮출 것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진동 장치(220)는, 제어부(300)로부터 표출 신호가 전송되면 진동을 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장갑(100)의 내측에 사용자의 피부와 밀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진동 장치(220)는 오른손용 장갑(100)과 왼손용 장갑(100)에 각각 구비되어서 설정된 진동 패턴에 따라 동시에, 또는 교차하여 진동함으로써 방향, 거리, 속도 등의 여러 가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심박수 측정기(500)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스마트폰(10)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박수, 이를 토대로 계산된 소모 칼로리 등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장갑(100)에 내장되어 제어부(300) 및 배터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심박수 측정기(500)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손목 밴드의 안쪽팔 부분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심박수 측정기(500)의 장착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심박수 측정기(50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를 통해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는 방법은, 기 입력된 사용자의 체중 및 체지방 수치 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심박수가 위험 수치에 도달되면 경보를 울리고 라이딩을 중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심박수 및 소모 칼로리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표출되어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외에도 자전거는 2륜차의 특성상 외부의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자전거 라이딩 중 뜻밖의 위급 상황을 겪게 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자전거 라이딩 중 도랑에 굴러 목이나 허리를 다친 경우, 스스로 움직여 멀리 있는 곳에 떨어진 스마트폰(10)을 들고 구호를 요청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장갑(100)의 일측에 내장되어 있는 구호 버튼을 눌러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10)으로 하여금 자동으로 경찰, 소방서 등 구호 기관에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구호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100)의 손등에 가시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스마트폰(10)의 화면을 보기 위해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한 자전거 라이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의 주행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장갑(100) 내부에서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시선을 전방으로 고정하여도 주행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자전거 라이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박수를 체크하여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스마트폰 100 : 장갑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LED
220 : 진동 장치 300 : 제어부
310 : 무선 송수신부 400 : 배터리
500 : 심박수 측정기

Claims (5)

  1. 장갑;
    상기 장갑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주행 정보를 제공받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주행 정보를 토대로 표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복수의 LED가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되어 도트매트릭스로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장갑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표출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되
    상기 장갑은, 오른손용 장갑 및 왼손용 장갑으로 구성되며,
    상기 오른손용 장갑 및 왼손용 장갑 각각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장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른손용 장갑 또는 상기 왼손용 장갑에 내장된 진동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는 표출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표출 신호는, 향후 진행 방향 정보,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는 진동 사이의 간격으로 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표출 방식 변경 신호를 토대로 상기 진동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표출 신호 중 상기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표출 방식 변경 신호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는 상기 표출 신호의 종류를 선택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는 상기 표출 신호의 종류는 향후 진행 방향 정보, 향후 진행 방향 변경점까지의 거리 정보, 시작점으로부터 진행한 거리 정보, 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박수 측정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토대로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상기 계산된 칼로리를 표출하는 표출 신호를 전송하는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KR1020150026403A 2015-02-25 2015-02-25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KR10170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03A KR101706770B1 (ko) 2015-02-25 2015-02-25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03A KR101706770B1 (ko) 2015-02-25 2015-02-25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16A KR20160103716A (ko) 2016-09-02
KR101706770B1 true KR101706770B1 (ko) 2017-02-15

Family

ID=5694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403A KR101706770B1 (ko) 2015-02-25 2015-02-25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27B1 (ko) 2017-01-02 2018-08-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심박 측정 장갑을 이용한 심박 정보 제공 방법
US20230028639A1 (en) * 2021-07-21 2023-01-26 Xiaowu Wu Smart Glov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64B1 (ko) 2004-10-14 2006-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로리 측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833A (ko) * 2006-04-17 2007-10-22 진선우 점멸기능을 갖는 장갑
KR20110101888A (ko) * 2010-03-10 2011-09-16 김미선 손에 착용 가능한 형태의 심박수 측정과 저장 및 전송 장치
KR101219089B1 (ko) 2010-10-04 2013-01-11 임재중 방향표시수단이 구비된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122324A (ko) * 2012-04-30 2013-11-07 제일모직주식회사 모바일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방향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64B1 (ko) 2004-10-14 2006-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로리 측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16A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5721B2 (ja) 人体に触覚指示を伝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333411B2 (en) Exercise supporting device, exercise supporting method and exercise supporting program
US10085692B2 (en) Exercise support device, exercise suppor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exercise support program stored therein
JP676487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方法
JP2018534534A (ja) ウォッチケース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構成
CN105547318B (zh) 一种智能头戴设备和智能头戴设备的控制方法
JP5896240B2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EP2721541B1 (en) An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device
US10342462B2 (en) Application of gait characteristics for mobile
JP6531299B2 (ja) 多機能スマートバックパック
US20170122769A1 (en) Mobile device control leveraging user kinematics
KR101706770B1 (ko)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KR101752239B1 (ko)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전거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70319939A1 (en) Sports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WO2017153708A1 (en) Cyclist accessory system
JP6241488B2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US11432777B2 (en) Sports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CN208398889U (zh) 自行车导航仪和自行车
KR20180048701A (ko) 시계 케이스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JP2018075377A (ja) 運動装置、腕降り角度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36387A (ja) 情報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65083B1 (ko)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KR20190039585A (ko) 시각적 방향지시 네비게이션 보조 시스템
JP2019092754A (ja) 走行データ評価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測定装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