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083B1 -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 Google Patents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083B1
KR101165083B1 KR1020100109742A KR20100109742A KR101165083B1 KR 101165083 B1 KR101165083 B1 KR 101165083B1 KR 1020100109742 A KR1020100109742 A KR 1020100109742A KR 20100109742 A KR20100109742 A KR 20100109742A KR 101165083 B1 KR101165083 B1 KR 10116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wireless communication
main body
bus
cycling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222A (ko
Inventor
정재준
임상범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플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플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플럭스
Priority to KR102010010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0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 이용자들로 형성되는 자전거 버스에서 이용자들이 원격지에 있는 자전거 버스를 쉽게 검색하여 탑승할 수 있고 거리에 관계없이 누름 통화 버튼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음성통신을 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 선택용 키 버튼과, 키 버튼 조작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외장메모리 및 PC를 연결할 수 있는 I/O단자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과, 주변장치와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과, 속도/ 거리/ 심박수/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송수신 정보 처리하고 연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과,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의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LCD가 설치되는 본체와; 휠 마그네틱과 페달 마그네틱 이용하여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휠/페달센서와, 자전거 이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계를 구비하여 본체에 신호를 통해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이클링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채널 무선 통신모듈과, 전방 촬영, 조향, 경사, 조도, 온도를 감지하여 자전거 주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가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Description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CYCLING COMPUTER FOR BICYCLES BUS}
본 발명은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이용자들로 형성되는 자전거 버스에서 이용자들이 자전거 버스의 위치를 쉽게 검색하여 탑승할 수 있고 거리에 관계없이 누름 통화 버튼의 사용을 통해 탑승자간의 의사 소통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안전운행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개인의 건강증진을 도모함과 동시에 교통 혼잡을 피해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한 대체 교통수단으로써 자전거의 이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일반자전거를 비롯하여 산악자전거, 경주용 자전거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자전거 이용자들이 함께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형태를 자전거 버스라고 한다. 상기한 자전거 버스는, 다른 교통수단의 운전자에게 쉽게 확인시킬 수 있어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고, 다수 인원이 목적지까지 함께 이동할 수 있어 자전거 출퇴근 문화가 형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자전거 버스는, 다수 인원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선두 안내자 및 후미 안내자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선두 안내자 및 후미 안내자는, 자전거 버스의 선두와 후미사이 중간에서 이동하는 이용자들의 대열을 유지하고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선두 안내자 및 후미 안내자는, 수신호 및 소리를 보내 의사 소통을 하거나 또는 무전기를 이용하여 의사 교환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전거로 이동하다가 중간 기착지에 도착하면 해당 이용자는 자전거 버스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이때 다른 이용자, 선두 안내자 및 후미 안내자와 수신호를 보내 인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중간 기착지에서는, 또 다른 이용자가 자전거 버스에 합류하게 되고 수신호 및 기타 방법으로 확인한 후 다음 목적지까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자전거 버스 외에 소 규모로 자전거를 즐기는 경우에도 이용자들은 이동 방향을 주로 수신호 및 생활 무전기를 사용하여 의사 소통을 한다.
또한, 자전거를 즐기거나 자전거 버스처럼 교통수단으로 이용할 때 선두와 후미 간격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선두의 방향 안내 정보가 수신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후미까지 전달하는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의사 소통 단점은 간격이 많이 벌어진 경우 중간에서 다시 전달해야 함으로써, 많은 자전거들의 이동을 지체시키고 정확한 정보 전달에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전거 동호인들이 함께 이동하거나 상기 자전거 버스의 경우처럼 목적지까지 이동할 때 중간 기착지마다 멈추는 경우 이용자들간 의사 소통이 수신호 및 소리를 질러 이루어짐에 따라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의사 소통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전거 버스의 선두 및 후미 안내자 또는 동호인들은, 생활 무전기를 구비해야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들이 함께 이동하는 경우에 생활 무전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함에 따라 번거롭고, 주행 중 생활 무전기를 한 손으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사고위험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주행속도, 거리, 위치, 심박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이클링 컴퓨터(자전거 속도계라고도 함.)를 주로 장착하고 있으나, 상기한 사이클링 컴퓨터에는 음성통신을 할 수 있는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구비되지 않고 있다.
즉, 사이클링 컴퓨터에는, 휠/페달센서 및 심박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단채널 무선 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정도다.
이러한 사이클링 컴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바에 연결마운트로 장착되는 본체(30)를 구비한다. 상기한 본체(30)에는, 자전거의 속도와 분당 패달수 및 심박수를 표시하는 LCD(2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 이용자는, 주행중 LCD(22)를 보고 현재 자신의 주행속도와 심박수를 알 수 있어 주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에는, 이용자에게 경고음이나 기능의 선택여부를 알려주는 스피커(4)와, 기능의 선택 및 정보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키 버튼(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에는, 내장된 메모리(10) 등에 저장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I/O단자(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I/O단자(12)는 PC(8)등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에는, 전원을 충전하거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14)가 구비되어 있어 실외에서도 사이클링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체(30)에는, GPS의 신호를 받는 GPS 모듈(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GPS 모듈(16)은, 자전거 이용 중 현재의 위치 정보를 LCD(2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에는, 주변장치(60)의 센서들과 수신하는 단채널 무선 통신모듈(18a)과, 상기 단채널 무선 통신모듈(18a)을 통해 수집된 속도/ 거리/ 심박수/ 위치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단채널 무선 통신모듈(18a)은, 음성통신이 불가하고, 통신 채널수가 제한되는 FM(Frequency Modulation) 또는 IR 센서(Infrared Rays Sensors)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본체(30)에는, CPU를 탑재한 하드웨어 컨트롤 유닛으로 수신 및 조작 정보를 처리하여 속도/ 회전수/ 거리 등의 정보를 연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Micro Control Unit,2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클링 컴퓨터는,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심박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휠/패달센서(46) 및 심박계(48)를 주변장치(60)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주변장치(60)의 휠/페달센서(46)는, 자전거 주행시 휠 마그네틱(42)를 통해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페달 마그네틱(44)를 통해 페달의 회전수를 감지한다.
그리고 심박계(48)는, 이용자의 신체에 착용함으로써 심박수를 측정한다.
상기한 휠/패달센서(46) 및 심박계(48)는, 주변장치(60)를 2가지 만 사용해야 하는 단채널 무선통신 모듈(18a)을 통해 자전거의 주행 속도 및 심박수를 사이클링 컴퓨터에 제공한다.
이러한 단채널 무선 통신모듈(18a)은, 채널수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자전거 주행에 필요한 주변장치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없고 근거리 및 장거리 통신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이클링 컴퓨터는, 단채널 무선 통신모듈의 기능 한계로 주변장치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없어 자전거 버스 이용자 및 자전거를 즐기는 동호인들의 욕구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이용자들이 이동하는 중에 다채널을 제공하는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자전거 버스의 위치를 쉽게 검색하여 탑승할 수 있고, 탑승자간의 용이한 의사 소통을 통해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클링 컴퓨터에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자전거 주변장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이클링 컴퓨터에 전방 주시용 카메라 모듈, 자이로센서, 조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구비시킴으로써, 자전거 주행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이클링 컴퓨터로 음성 통신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핸들 바를 잡은 상태에서 누름 통화 버튼을 조작만으로 마이크를 통해 용이하게 음성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를 통해 누름 통화 버튼을 조작만 하면 이어세트를 통해 통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 이용자와 근거리 및 장거리 음성 통신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후방의 교통상황을 LCD를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 트레이너 사용시 사이클링 컴퓨터 및 PC와 유/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주행훈련을 제어하고 훈련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 연결 모듈을 통해 PC 및 인터넷 웹싸이트(World Wide Web)와 무선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 선택용 키 버튼과, 키 버튼 조작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외장메모리 및 PC 연결할 수 있는 I/O단자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과, 주변장치와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과, 속도/ 거리/ 심박수/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송수신 정보 처리하고 연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과,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의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LCD가 설치되는 본체와; 휠 마그네틱 및 페달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휠/페달센서와, 자전거 이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계를 구비하여 본체에 신호를 통해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이클링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에는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채널 무선 통신모듈과, 전방 촬영, 조향, 경사, 조도, 온도를 감지하여 자전거 주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가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채널 무선 통신 모듈은, 근거리를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과, 장거리를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부가 센서부는, 전방 주시용 카메라 모듈, 조향 감지용 자이로센서, 경사도 감지용 3축 가속도 센서, 조도를 측정하여 본체의 LCD를 점멸하도록 하는 조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주변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음성통신을 제어할 수 있는 누름 통화 버튼과, 상기 마이크를 통한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무선 이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주변장치는, 후방 교통 상황을 LCD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자전거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주변장치는, 유무선으로 PC 및 사이클링 컴퓨터와 연결되어 바퀴 회전 부하량을 조절하고 주행훈련을 제어 할 수 있는 자전거 트레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주변장치는, PC 및 인터넷 웹싸이트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온라인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클링 컴퓨터에 다채널 접속이 가능한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설치함으로써, 통신 범위내의 근거리 및 장거리에서 자전거 버스의 위치를 쉽게 검색하여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선두 및 후미를 포함한 탑승자간 의사 소통을 음성 통신을 통해 운행 중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장치로 누름 통화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마이크와 무선 이어세트의 송수신을 누름 통화 버튼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다수 이용자와 음성 통신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장치로 자전거의 후방에 후방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후방 교통 상황을 LCD를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장치로 자전거에 가하는 부하량을 유무선으로 연결된 PC 및 사이클링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는 자전거 트레이너를 사용함으로써, 주행 훈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장치로 온라인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PC 및 인터넷 웹싸이트와 무선으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클링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체, 주변장치의 설치 및 착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자전거 동호회에서 운행하는 자전거 버스 노선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링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사이클링 컴퓨터용 주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누름 통화 버튼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에 나타낸 사이클링 컴퓨터의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의 송수신을 표시한 도면.
도 8(a)(b)(c)(d)(e)는, 도 4에 나타낸 사이클링 컴퓨터를 이용한 자전거 버스의 이용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사이클링 컴퓨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선택용 키 버튼(6)과, 키 버튼(6) 조작음 및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4)와, 외장메모리(10) 및 PC(8) 연결할 수 있는 I/O단자(12)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16)과, 주변장치(60)와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18)과, 속도/ 거리/ 심박수/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0)와, 송수신 정보 처리하고 연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0)과,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0)에 의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LCD(22)가 설치되는 본체(30)와; 휠 마그네틱(42)과 페달 마그네틱(44)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휠/페달 센서(46)와, 자전거 이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계(48)를 구비하여 본체(30)에 신호를 통해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장치(6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링 컴퓨터의 특징부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사이클링 컴퓨터의 본체(30)는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채널 무선 통신모듈(T)과, 전방 촬영, 조향, 경사, 조도, 온도를 감지하여 자전거 주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가 센서부(S)를 포함한다.
상기한 다채널 무선 통신 모듈(T)은, 근거리를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b)을 구비한다. 상기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b)은, 다양하게 제공되는 주변장치(6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b)은, 단채널 무선 통신모듈(18a)이 허용하는 주변장치(60)의 수량을 2개로 제한되는데 반해 주변장치(60)를 3개 이상 허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채널 무선 통신 모듈(T)은, 장거리를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24)을 구비한다.
상기한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24)은, 무전기 수준의 통신 범위를 갖기 때문에 자전거 대열의 선두 및 후미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용이하게 음성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부가 센서부(S)는, 전방 주시용 카메라 모듈(24), 조향 감지용 자이로센서(26), 경사도 감시용 3축 가속도 센서(29), 조도를 측정하여 본체(30)의 LCD(22)를 점멸하도록 하는 조도센서(27) 및 온도센서(28)를 포함한다.
상기한 카메라 모듈(25)은, 본체(30)에 전방을 주시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자전거의 주행기록을 저장하고 사고시 증거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블랙박스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5)을 통해 입력된 정보는, 메모리(10)에 저장된다.
상기한 주변장치(60)들은 본체(3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8b)과 통신하기 위해 자체에 본체와 통신 프로토콜이 동일한 근거리 통신을 구비한다.
상기한 사이클링 컴퓨터의 본체(30)는, 다채널 무선 통신 모듈(T)인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18b)(24)을 이용하여 다수 이용자와 마이크(3) 및 스피커(4)를 통해 음성통신을 할 수 있다. 이때, 본체(30)의 마이크(3)는 본체에 구비된 키버튼(6)을 누르거나 , 주변장치(60)로 구비된 누름 통화 버튼(50)의 누름 조작시 마다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마이크(3)를 사용할 수 있는 누름 통화 버튼(50)은, PTT(Push To Talk) 타입으로 손가락에 끼우고 필요시마다 누르면 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핸들 바에서 손을 떼고 사용하는 불편이 해소된다.
또한, 본체(30)의 다채널 무선 통신모듈(T)을 통해 송수신 되는 사용자간 음성 통신은 주변장치로 연결된 무선 이어세트(52)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체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본체와 연결된 이어세트의 마이크 및 스피커(리시버)를 사용하여 음성통신을 하게 된다.
무선 이어세트(52)는, 골진동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적용한 이어세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무선 이어세트(52)는, 다채널 무선 통신 모듈(T)을 통해 수신된 음성파가 골진동 스피커에 의하여 귀 주변의 뼈가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청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이어세트(52)에서 골진동 마이크는 귀 주변의 사용자 음성 진동을 전류적 신호로 전환하여 음성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변장치(60)는, 자전거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카메라(54)를 구비한다. 상기한 후방 카메라(54)는, 후방 교통 상황을 LCD(22)를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후방 카메라(54)는, 자전거 이용자가 뒤를 돌아보지 않아도 후방의 교통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이 안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변장치(60)는, PC(8) 및 사이클링 컴퓨터 제어용 트레이너(56)를 구비한다. 상기한 트레이너(56)는 고정식 자전거 운동기구로서 원통형 롤러위에 자전거를 부착한 롤러형 트레이너, 타이어를 일정 압력으로 마찰시키는 타이어 마찰형 트레이너 등이 있으며, 실외 날씨가 좋지 않을 때 실내에서 PC(8)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주행 훈련을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너(56)를 타이어 마찰조절부 및 전동장치를 구비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PC(8) 및 사이클링 컴퓨터의 본체(30)와 연결하면, 자전거에 가하는 부하량 즉 타이어 마찰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과거에 운동한 주행상태와 동일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주변장치(60)는, 사이클링 컴퓨터를 PC(8) 및 인터넷 웹싸이트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연결모듈(58)를 구비한다. 상기한 온라인 연결모듈(58)은, 사이클링 컴퓨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거나 유무선을 함께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클링 컴퓨터의 LCD(22)에는, 도 8(a)(b)(c)(d)(e)에 도시한 바와 같이, GPS 연결 상태, 무선통신 연결 상태, 현재 시간 및 베터리 용량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창(70)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사이클링 컴퓨터의 LCD(22)에는, 상태창(70)의 하단에 자전거 속도, 이동 거리, 패달수, 경사도, 주변 온도, 칼로리 소모량 등의 운동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창(72)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사이클링 컴퓨터의 LCD(22)에는, 각종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선택창(73)이 표시된다. 상기한 상태창(70), 정보창(72) 및 매뉴 선택창(73)은, 필요에 따라 배치나 내용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최근 자전거 이용자들이 증가하면서 출퇴근 교통수단으로 사용하는 이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한 자전거 이용자들이 함께 출퇴근함으로써 자전거 무리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자전거 버스라고 한다.
먼저, 자전거에는, 사이클링 컴퓨터의 본체(30) 및 주변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 버스가 여의도에서 출발하여 일산까지 이동한다고 하면 선두와 후미에 위치하는 자전거 이용자는 선두 및 후미 안내자가 된다.
사이클링 컴퓨터의 본체(30) 및 주변장치(60)가 작동하면, 본체(30)는 부가 센서부(S)의 전방 주시용 카메라 모듈(24), 조향 감지용 자이로센서(26), 경사 감지용 3축 가속도 센서(29), 조도를 측정하여 본체(30)의 LCD(22)를 점멸하도록 하는 조도센서(27) 및 온도센서(28)에 의한 정보가 키 버튼(6)의 조작시 LCD(22)에 표시된다.
그리고, GPS 모듈(16)은, 현재 위치와 주행거리를 감지하고, 휠/페달센서(46) 및 심박계(48)는, 주행속도와 심박수를 LCD(22)에 표시하게 된다.
자전거 이용자는 상기 정보를 보고 주행에 참고할 수 있고 상기 정보들은 메모리(10)에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클링 컴퓨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자전거 주행 중 누름 통화 버튼(50)을 누르고 마이크(3)를 통해 자전거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과 통화를 할 수 있다.
상기한 누름 통화 버튼(50)을 누르면,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18b)(24)로 구성된 다채널 무선 통신모듈(T)은, 무선 이어세트(52)에 음성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 이어세트(52)를 사용하고 있는 자전거 버스 이용자들은, 누름 통화 버튼(50)을 눌러 음성 신호를 보낸 이용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특히, 누름 통화 버튼(50)은, 손가락에 끼고 통화 필요시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면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의 핸들 바에서 손을 놓지 않아도 된다.
즉, 핸들 바에서 손을 놓지 않고서도 누름 통화 버튼(50)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 및 자전거 이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클링 컴퓨터의 LCD(22)는,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선택창(73)에서 4방향 조작 버튼(6a)을 이용하여 자전거 버스 검색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행하면, 주변에 운행 중인 자전거 버스 리스트가 LCD(22)에 나타난다.
LCD(22)에 나타난 자전거 버스 중 원하는 방향의 자전거 버스를 선택하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 버스의 현재 위치가 정보창(72)에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정보창(72)의 지도상에 표시된 자전거 버스의 위치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새로운 위치로 갱신 된다.
상기한 자전거 버스의 위치 검색은, 사이클링 컴퓨터의 장거리 무선통신 모듈(24)에 의하여 용이하게 검색된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 버스의 선두(기사) 및 후미(차장)가 사용하는 사이클링 컴퓨터는, GPS가 확인한 해당 버스의 현 위치 정보를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24)을 이용하여 불특정 임의의 원격지로 전송한다.
사이클링 컴퓨터를 통해 검색한 자전거 버스에 탑승하게 되면 탑승자의 현 위치는,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22) 상에 나타난다.
상기한 자전거 버스를 이용하는 탑승자의 위치는, GPS에 의하여 확인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8)을 통해 서로의 위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자전거 버스 선두와 후미간의 거리가 근접 할 경우 서로간의 위치 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8)을 이용할 수 있고 일정 거리 이상이면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24)로 자동 전환된다.
또한 자전거 버스 탑승 대기자는, 도8(b)와 같이 주변 자전거 버스를 검색한 후 도8(c)과 같이 원하는 자전거 버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면, 탑승 대기자의 본체(30)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24)은, 도8(e)와 같이 해당 자전거 버스의 위치를 또 다시 불특정 임의의 원격지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전거 버스의 위치를 확인한 다수의 탑승 대기자들은, 자전거 버스의 위치 정보를 주변과 피라미드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해당 버스 정보도 공유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전거 버스내에서 누름 통화 버튼(50)을 누르면, 거리에 따라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18b)(24)은, 자동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자전거 버스로 이동 중 중간 기착지에서 합류하거나 빠져나가는 이용자와 누름 통화 버튼(60)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무선 이어세트(52)를 통해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버스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54)는, 자전거 버스의 후방에 위치하여 후미를 안내하는 후미 안내자가 뒤를 돌아보지 않아도 LCD(22)만 보아도 후방 교통 상황을 감시하거나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자전거 버스의 대열을 다른 교통수단으로부터 자전거 버스의 후미에 위치하는 후미 안내자는,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전거 버스를 이용하거나 동호인들과 주행을 즐긴 후에는, 온라인 연결모듈(58)을 PC(8)에 연결시켜 메모리(10)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 또는 편집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본체(30)에 내장된 전방 주시용 카메라 모듈(25)은, 자전거 버스가 이동하는 경로가 촬영되어 메모리(10)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버스의 주행기록 저장은 물론 사고 시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블랙박스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한 자전거 버스는, 다수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다른 교통수단과 구별이 용이하여 자전거 이용자들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 날씨가 좋지 않아 실내에서 고정식 자전거 운동기구인 트레이너(56)를 이용하여 주행 훈련을 하는 경우에는, 트레이너(56)를 PC(8) 및 사이클링 컴퓨터의 본체(30)와 유무선으로 연결하면 훈련 및 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트레이너(56)를 이용한 훈련 및 연습으로 발생한 데이터는, 온라인 연결모듈(58)을 통해 PC(8) 및 온라인 상에 업데이트하여 자전거 이용자들끼리 정보를 공유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사이클링 컴퓨터에 근거리와 장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채널 무선 통신모듈을 설치하고 온라인 연결모듈 더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주변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자전거 버스 이용시 원격지에 있는 자전거 버스를 쉽게 검색하여 탑승할 수 있고, 탑승자 상호간의 자유로운 음성 통신을 통해 안전하게 운행이 이루어지며, 자전거 주행에 따른 데이터 가공도 PC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이클링 컴퓨터 제조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3: 마이크 4: 스피커
6: 키 버튼(Key Button) 8: PC(Personal Computer)
10: 메모리 12: I/O단자(In/Out)
16: GPS모듈(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18: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22: LCD 24: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
25: 카메라 모듈 26: 자이로센서(Gyro Sensor)
27: 조도센서 28: 온도센서
29 : 3축 가속도 센서(3-Axis Accelerometer)
30: 속도계 본체 42: 휠 마그네틱
44: 페달 마그네틱 46: 휠/페달센서
48: 심박계 50: 누름 통화 버튼
52: 무선 이어세트 54: 후방 카메라
58: 온라인 연결모듈

Claims (7)

  1. 기능 선택용 키 버튼(6)과, 키 버튼 조작음을 발생하는 스피커(4)와, 외장메모리 및 PC(8)를 연결할 수 있는 I/O단자(12)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16)과, 주변장치와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18)과, 속도/ 거리/ 심박수/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0)와, 송수신 정보 처리하고 연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0)과,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0)에 의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LCD(22)가 설치되는 본체(30)와; 휠 마그네틱(42)과 페달 마그네틱(44) 이용하여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휠/페달센서(46)와, 자전거 이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계(48)를 구비하여 본체(30)에 신호를 통해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이클링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에는 근거리 및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채널 무선 통신모듈(T)과, 전방 촬영, 조향, 경사, 조도, 온도를 감지하여 자전거 주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가 센서부(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무선 통신 모듈(T)은,
    근거리를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b)과, 장거리를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센서부(S)는,
    전방 주시용 카메라 모듈(25), 조향 감지용 자이로센서(26), 조도를 측정하여 본체(30)의 LCD(22)를 점멸하도록 하는 조도센서(27), 온도센서(28) 및 경사도 감지용 3축 가속도 센서(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60)는,
    마이크(3)의 음성 통신을 제어할 수 있는 누름 통화 버튼(50)과,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고 본체(30)와 근거리 통신 모듈(18)로 연결되어 본체(30)의 마이크 및 스피커의 역할을 대신하는 무선 이어세트(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60)는,
    후방 교통 상황을 LCD(22)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자전거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카메라(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60)는,
    PC(8) 및 본체(3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자전거에 가하는 부하량을 PC(8) 및 본체(30)로 제어할 수 있는 고정식 자전거 운동기구인 트레이너(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60)는,
    PC(8) 및 인터넷 웹싸이트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온라인 연결모듈(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KR1020100109742A 2010-11-05 2010-11-05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KR10116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42A KR101165083B1 (ko) 2010-11-05 2010-11-05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42A KR101165083B1 (ko) 2010-11-05 2010-11-05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22A KR20120048222A (ko) 2012-05-15
KR101165083B1 true KR101165083B1 (ko) 2012-07-12

Family

ID=4626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742A KR101165083B1 (ko) 2010-11-05 2010-11-05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0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22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0132B2 (ja) リアビュー前置安全スマートヘルメット
CN105547318B (zh) 一种智能头戴设备和智能头戴设备的控制方法
WO2016187973A1 (zh) 一种骑行智能头盔
US10322765B2 (en) Smartpack device for a bike
KR20180058968A (ko) 자전거용 알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시스템
TWI533693B (zh) 移動體攝影系統、移動體攝影裝置、移動體攝影方法及移動體攝影程式
WO2015147346A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52239B1 (ko)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전거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및 그 시스템
EP3923756A1 (en) A structure for personal protection, driving assistance and signalling, in particular for motor applications
WO2017153708A1 (en) Cyclist accessory system
KR20170116895A (ko) 고글 또는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8196A (ko) 자전거 라이더용 스마트 헬멧
CN208398889U (zh) 自行车导航仪和自行车
US11406152B2 (en) Integrated smart helmet and methods and systems of controlling smart helmet
KR101165083B1 (ko) 자전거 버스용 사이클링 컴퓨터
KR20170062084A (ko) 탈것 장치용 디바이스
CN215285110U (zh) 一种用于执行配送任务的电动车
KR101706770B1 (ko) 자전거용 스마트 장갑
KR101539026B1 (ko) 핸즈프리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블랙박스
KR102081515B1 (ko)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제어방법
KR102081514B1 (ko)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EP3389030A1 (en) Device for presenting onomatopoeia regarding evaluation result for user action
KR20190064781A (ko) 자전거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제어시스템
KR101935789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액션 다이얼이 구비된 사이클링 장치
WO2018189669A1 (en) Cycling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