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737B1 -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37B1
KR101706737B1 KR1020090088422A KR20090088422A KR101706737B1 KR 101706737 B1 KR101706737 B1 KR 101706737B1 KR 1020090088422 A KR1020090088422 A KR 1020090088422A KR 20090088422 A KR20090088422 A KR 20090088422A KR 101706737 B1 KR101706737 B1 KR 10170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stimulating factor
colony stimulating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macroph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811A (ko
Inventor
한규범
천용강
신윤철
김완종
허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메디텍
Priority to KR102009008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7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그리고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화장품 기제를 포함하는 함유하고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창상, GM-CSF

Description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WOUND-HEALING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ICE CELL-DERIVED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본 발명은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그리고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화장품 기제를 포함하는 함유하고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처(창상) 치유 과정에는 일련의 생화학적, 물리학적 작용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이 관여하게 된다. 상처 유발 후 혈관이 확장되고 모세혈관 삼투압이 증가함에 따라 백혈구들이 상처부위로 이동하는데, 주로 호중구와 대식세포가 감염된 조직이나 세포성 물질들을 제거하고 상처 가장자리부터 표피화가 시작된다.
상처 치유 과정은 응고, 염증 혹은 손상 조직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에 세포증식, 이동, 혈관생성, 세포외기질 합성 및 축적의 순으로 재표피화(reepithelialization)되고 재구성됨으로써 종결된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간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사이토카인(cytokine)이나 성장인자가 세포 표면의 수용체들과 결합함으로써 시작된다(Brem et al., 2008).
GM-CSF(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는 골수 내 전구 세포(progenitor cell)들을 자극하여 과립구 및 대식세포로 발달하도록 하며, 127개의 아미노산들로 구성되어 있고, 분자량 23kDa 정도의 당단백질 성장인자이다(Kaplan et al., 1992; Bussolino et al., 1994; Hill et al., 1995).
또한, GM-CSF는 피부 손상 직후 각질세포(keratinocyte)에서 분비되어 자가분비(autocrine) 방식으로 표피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상처회복을 도와주는 다기능(pleitropic) 사이토카인이다(Braunstein et al., 1994; Malik et al., 1998). 특히 GM-CSF의 국소 적용은 만성적 피부 궤양과 같이 치유가 어려운 환자들의 상처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Fararh et al., 2005).
일반적으로, 재조합 GM-CSF는 주로 대장균 또는 효모를 숙주로 이용하여 생산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벼속(genus Oryza)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이하, rrhGM-CSF(rice cell-derived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라고도 함)는 식물세포를 숙주로 사용함으로써 단백질을 생산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바이러스 혹은 프리온과 같은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며, 현탁 배양(suspension culture)이 가능하다는 장점들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rhGM-CSF는 이스트나 대장균 유래 rhGM-CSF에 비해 당 사슬이 매우 풍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단백질에서 당화(glycosylation)의 정도는 물질의 안정성 혹은 효과의 지속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08). 즉, rrhGM-CSF는 풍부한 당 사슬에 의하여 체내에서의 반감기가 이스트나 대장균에서 유래된 rhGM-CSF에 비해 더 길기 때문이다.
중국 특허출원 제200810051015호는, 염기성 섬유모세포 성장인자, hGM-CSF, 및 상피세포의 대사 및 증식을 촉진하는 생물학적 활성 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주름을 개선하며 햇빛에 의한 피부 손상을 줄이고 항노화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화장품은, 상기 중국 특허출원에서와 같은 염기성 섬유모세포 성장인자와 다른 생물학적 활성 인자를 포함하지 아니하면서도, 상기 중국특허출원 발명의 조성물이 나타내지 못하는 여드름 개선 효과를 보여 준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화장품 기제를 포함하는 함유하고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rrhGM-CSF)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은 연고, 크림 또는 로션 등의 제형으로 제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은 추가로 스테아릴 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탄올, 라우릴황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및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의 농도는 1 μg/g 내지 1,000 μg/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화장품 기제를 포함하는 함유하고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또는 미용액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추가로 스테아릴 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탄올, 라우릴황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및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벼속 식물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의 농도는 1 μg/g 내지 1,000 μg/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벼세포 유래의 rrhGM-CSF는, 피부 창상의 국소적인 상처회복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rrhGM-CSF가 당 사슬이 풍부하기 때문에 체내 반감기가 길고, 따라서 상처부위에서 오랫동안 안정하게 유지함으로써, rrhGM-CSF 조성물은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는 rrhGM-CSF 조성물은 여드름 환자의 피부개선 효과도 나타낸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 거나 제한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rrhGM - CSF 제조
rrhGM-CSF 배양에는, 비타민이 포함된 CHU N6를 기본배지로 하여 탄소원으로서 자당 3%, 2.4-D 2 ppm, 키네틴(Kinetin) 0.2 ppm 및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50 ppm을 포함하고 pH 5.8인 액체 배지를 사용하였다.
1차 배양은 삼각플라스크에서 사용하였으며, 배양 부피는 삼각플라스크 전체 부피의 20%를 최종 배양 부피로 하였다. 배지의 최종 부피의 3±0.5 %(w/v) 비율로 세포를 접종한 후, 배양 온도 28℃, 교반 속도 120 rpm 및 암(暗) 조건으로 유지하며 7 일간 배양하였다.
2차 배양에는 20 L의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air lift bioreactor)를 사용하였으며, 배양 조건은 온도 28℃, 공기 유량 0.1 vvm 내지 0.2 vvm 및 암 조건으로 하였다. 최종 배양액 부피 5 L 내지 10 L로 하여 삼각 플라스크에서 배양된 세포를 3±0.5 %(w/v) 비율로 접종하여 7일간 배양하였다.
7일간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였고, 자당을 제거한 새롭게 조성된 배양액을 첨가하여 11일간 유도(induction)한 후 수집(harvest)하였다. 필터를 사용하여 수집된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세포를 제거하였고, 세포 배양액을 0.45 μm 필터로 불순물을 제거하였으며, 5 K 막(membrane)을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그 후, 염을 제거하고, 평형 완충용액(sodiume Phosphate, pH 7.4)을 사용하고 염화나트륨에 대하여 상향 농도구배를 갖는 DEAE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용출시 켰으며, 용출액을 5 K 막을 사용하여 농축하였고, pH를 5.0으로 조정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HiScreen Phenyl FF 소수성 수지를 사용하여 암모늄 설페이트 평형 완충용액을 pH 7.2 조건으로 암모늄 설페이트가 하향 농도 구배를 갖도록 하여 용출시켰으며, 용출액을 5 K 막을 사용하여 농축하였고, Sephacryl S-200 수지를 이용하여 PBS 완충용액 상태에서 겔 여과(gel filtration)하여 순도를 높였다.
용출된 rrhGM-CSF는 5 K 막을 사용하여 최종 농축하였고, 0.22 μm 필터를 사용하여 제균하였으며, PBS 완충용액으로 rrhGM-CSF의 농도가 1 mg/ml가 되도록 제조하여, 바이알(vial)에 충진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실시예 2. rrhGM - CSF 를 포함하는 연고 제조
rrhGM-CSF 연고제는, 동결건조된 rrhGM-CSF 1 mg/vial 파우더에 주사용 증류수 1 ml를 첨가하여 상기 파우더를 녹인 후, 1 mg/ml의 rrhGM-CSF를 제조하고 이를 베이스크림(삼아제약)과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rrhGM-CSF 크림을 제조하였다. rrhGM-CSF의 함량을 24 μg rrhGM-CSF/g base cream 및 50 μg rrhGM-CSF/g base cream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베이스크림(삼아제약)의 성분을 나타낸다.
베이스크림(삼아제약) 1 g의 성분량
성분 경납 스테아릴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탄올 라우릴 황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함량 38 mg 116 mg 38 mg 192 mg 23 mg 9 mg 0.87 mg 0.12 mg
실시예 3. 24 μg rrhGM - CSF /g base cream 연고제의 창상 치료 효능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조건에서 7일간 기초 사육된 5주령, 90 g 내외의 골든 햄스터(Golden hamster, Mesocricetus auratus )를 실험 동물로서 사용하였고, 만성당뇨 유발을 위해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igma사)을 사용하였다. 대조군 1에는 베이스 크림(삼아제약)을 사용하였다.
만성 당뇨유발은 Phares 방법(1980)을 개량하여 적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되었던 햄스터들의 평균 혈당치는 80 mg/dl 내외였다. 골든 햄스터를 하루 한 번씩 3일 동안 50 mg/kg의 스트렙토조토신을 I.P. 주사로 투여하여 1주일간의 당뇨 유발 기간을 거친 후, 햄스터의 꼬리에서 란셋으로 채혈하여 혈당검사지와 측정기(Roche사)를 사용하여 당뇨 유발 여부를 측정하였다. 혈당치가 200 mg/dl 이상인 경우를 만성당뇨가 유발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만성 당뇨가 유발된 햄스터의 등쪽 털을 제모기로 깎은 후 제모제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털을 제거하고, 알코올을 이용하여 소독한 후 양쪽으로 지름 9 mm의 크기로 피부 전층을 제거하였다.
1번 햄스터 모델의 경우 상처 ②에 24 μg rrhGM-CSF/g base cream의 연고 100 μg을 적용(실험군)하였고, 상처 ①에 베이스 크림 100 μg을 적용(대조군 1)하였다(도 1).
2번 햄스터 모델의 경우 상처 ①에 베이스 크림 100μg을 적용(대조군 1)하였고, 상처 ②에는 아무것도 적용하지 않았다(대조군 2).(도 1) 또한 시험 물질의 손실을 막기 위해서 건식밴드와 의료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처를 드레싱하였다.
시험물질 적용 후 각각 1일, 7일, 14일 후에 상처부위의 가피를 제거한 후 동일한 높이에서 사진촬영을 하고(도 2), 1일, 3일, 7일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상처의 크기를 100으로 하여 상처의 회복 정도를 비율로 표시하였다(표 2).
1 day 3 day 7 day
정상 대조군 100.0 50.9 84.3
베이스 크림 적용 100.0 39.3 33.1
rrhGM-CSF 적용 100.0 11.8 10.4
도 2를 보면, 7일 후에는 rrhGM-CSF 연고제를 도포한 실험군은 재표피화가 많이 진행되어 상처크기가 줄어든 것을 불수 있으며, 첫번째 rrhGM-CSF 연고제 실험군, 두번째 베이스크림 대조군 1, 세번째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은 대조군 2의 순으로 상처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결과를 나타냈다.
7일째 조직을 생검하였으며, 생검된 조직을 pH 7.2의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하고, 흐르는 물로 수세하여 조직 속의 고정액을 제거한 후, 에탄올 60%부터 무수 에탄올까지 농도를 상승시키면서 탈수(dehydration)하였다. 에탄올과 자일렌 1:1 혼합물과 자일렌을 사용하여 2회, 자일렌과 파리핀 1:1 비율로 치환한 후 파라핀 침투과정을 거쳐 동일한 파라핀으로 포매(embedding)하여 블록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블록은 회전식 박절기(rotary microtome, Leica사)를 사용하여 5 μm 두께로 박절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부착시킨 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자일렌으로 파라핀을 제거하고, 무수에탄올에서 60% 에탄올까지 함수과정을 거친 후 수세하였고, 해리스 헤마톡실린(Harris 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이중염색을 하였다. 염색된 조직은 다시 탈수 과정을 거치고 캐나다 발삼(Canada balsam)으로 봉입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3).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창상유발 후 재표피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햄스터 피부 구조를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비교하기 위해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한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7일째 실험군은 재표피화가 상당부분 진행되고 있어 얇은 표피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나, 대조군 1 및 2는 아직도 상처 중앙 부위의 재표피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손상을 입은 피부의 회복속도가 실험군에 비해 지연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50 μg rrhGM - CSF /g base cream 연고제의 창상 치료 효능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조건에서 7일간 기초 사육된 5주령, 90 g 내외의 골든 햄스터(Golden hamster, Mesocricetus auratus )를 실험 동물로서 사용하였고, 만성당뇨 유발을 위해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igma사)을 사용하였다. 대조군 1에는 베이스 크림(삼아제약)을 사용하였다.
만성 당뇨유발은 Phares 방법(1980)을 개량하여 적용하였다. 골든 햄스터를 하루 한 번씩 3일 동안 50 mg/kg의 스트렙토조토신을 I.P. 주사로 투여하여 1주일간의 당뇨 유발 기간을 거친 후, 햄스터의 꼬리에서 란셋으로 채혈하여 혈당검사지와 측정기(Roche사)를 사용하여 당뇨 유발 여부를 측정하였다.
만성 당뇨가 유발된 햄스터의 등쪽 털을 제모기로 깎은 후 제모제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털을 제거하고, 알코올을 이용하여 소독한 후 양쪽으로 지름 9 mm의 크기로 피부 전층을 제거하였다.
상처 ②에 50 μg rrhGM-CSF/g base cream의 연고 100 μg을 적용(실험군)하였고, 상처 ①에 베이스 크림 100 μg을 적용(대조군)하였다. 또한 시험 물질의 손실을 막기 위해서 건식밴드와 의료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처를 드레싱하였다.
시험물질 적용 후 각각 3일, 6일, 9일 후에 상처부위의 가피를 제거한 후 동일한 높이에서 사진촬영을 하였다(도 4). 도 4를 참조하면, 3일 후에는 베이스 크림만을 적용한 대조군의 상처에서 삼출물이 많이 보였고, 6일 후에는 실험군의 재표피화가 많이 진행되어 상처크기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고름이 남아있었으며 재표피화가 많이 진행되지 않아 실험군에 비해 상처크기가 큰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9일째에는 두 그룹 모두 재표피화가 거의 완료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rrhGM-CSF를 포함한 연고를 적용한 실험군의 표피가 정상피부조직의 색과 더 유사하게 보였고, 대조군의 표피는 상대적으로 더 붉게 보였다.
창상이 유발된 조직을 생검 하였고, 생검된 조직을 pH 7.2의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하고, 흐르는 물로 수세하여 조직 속의 고정액을 제거한 후, 에탄올 60%부터 무수 에탄올까지 농도를 상승시키면서 탈수(dehydration)하였다. 에탄올과 자일렌 1:1 혼합물과 자일렌을 사용하여 2회, 자일렌과 파리핀 1:1 비율로 치환한 후 파라핀 침투과정을 거쳐 동일한 파라핀으로 포매(embedding)하여 블록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블록은 회전식 박절기(rotary microtome, Leica사)를 사용하여 5 μm 두께로 박절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부착시킨 후 건조시켰다. 이어서 자일렌으로 파라핀을 제거하고, 무수에탄올에서 60% 에탄올까지 함수과정을 거친 후 수세하였고, 해리스 헤마톡실린(Harris 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이중염색을 하였다. 염색된 조직은 다시 탈수 과정을 거치고 캐나다 발삼(Canada balsam)으로 봉입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5).
도 5를 보면, 3일째 대조군의 피부조직은 전층이 거의 제거된 상태로 남아 있었으나, 실험군의 피부는 상처부위로 피부조직이 확장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6일째 실험군은 재표피화가 되어 얇은 표피층을 이룬 것을 볼 수 있었으나, 대조군은 아직도 상처 중앙 부위의 재표피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손상을 입은 피부에서 일시적인 장벽 역할을 하는 가피가 남아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9일 후에는 두 그룹 모두 재표피화가 거의 이루어져 있었으나 실험군의 표피가 대조군에 비해 더 두꺼운 것을 볼 수 있었다.
H-E 염색한 슬라이드와 같은 방법으로 조직 표본을 제작하였고, DAB(diaminobenzidine) 크로모젠 키트(chromogen kit)와 PCNA(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Hall et al., 1990)으로 조사하였다(도 6 및 도 7).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3일째부터 시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세포증식을 하는 각질세포를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 6일째 재표피화 중인 피부를 비교하였을 때 두 그룹 모두 기처층에서 활발히 세포 증식을 하는 각질세포가 많이 나타났으나,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표피가 더 많은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것은 표피의 특성상 각질세포가 발달하면서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과정을 거치므로 실험군의 각질세포가 먼저 증식을 시작하여 같은 시간동안 대조군보다 많은 층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9일째의 결과에서도, 대조군의 기저층보다 실험군의 기저층에서 PCNA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기저층 각질세포들이 뚜렷이 증가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표피의 가장 바깥구조인 각질층도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인위적인 창상에 의한 피부상처의 재생이 거의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5. rrhGM - CSF 의 여드름 개선 효능
여드름 환자의 피부 개선제로서의 확인 시험방법으로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50 μg rrhGM-CSF/g base cream 연고제와 베이스 크림를 18세 내지 26세의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루 2회 아침과 저녁에 안면 피부 여드름 부위에 도포하였다.
대조군1(여드름 부위에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환자), 대조군2(여드름 부위에 베이스 크림을 도포한 환자) 및 실험군(여드름 부위에 50 μg rrhGM-CSF/g base cream의 연고제를 도포한 환자)의 3 군에 동일 연령대의 남녀 여드름 환자 10명씩을 나누어 4주 동안 실험(표 3 참조)하였으며, 실험 실시 기간 동안은 다른 여드름 치료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0주 1주 2주 3주 4주
대조군1 3.0 3.0 3.0 2.5 2.5
대조군2 3.0 3.0 3.0 3.0 2.5
실험군 2.5 3.0 3.5 3.5 4.0
위 결과는 대조군 및 실험군을 대상으로 5점 측정법을 수행하여 결과를 얻었다(1: 매우 심한 증세; 2: 심한 증세; 3: 보통 증세; 4: 약한 증세; 5 매우 약한 증세).
표 3에 따르면, 대조군의 경우에는 안면 여드름 부위의 피부가 초기에 비해 조금 더 악화 되어 있는 상태였으나, 실험군의 경우에는 안면 피부 여드름의 증세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4에서 사용된 골든 햄스터의 상처 부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실험군, 대조군 1 및 대조군 2의 시간에 따른 창상 치료 과정에 대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실험군, 대조군 1 및 대조군 2의 7일째의 창상 피부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H-E 염색, X40)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시간에 따른 창상 치료 과정에 대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시간에 따른 창상 피부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H-E 염색, X40)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PCNA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한 후 시간에 따른 창상 피부의 사진이다(X10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PCNA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한 후 6일째의 창상 피부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X100).

Claims (8)

  1. 벼속 식물 세포를 숙주로 이용하여 생산된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화장품 기제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이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및 미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스테아릴 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탄올, 라우릴황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및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벼속 식물 세포를 숙주로 이용하여 생산된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의 농도가 50 μg/g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88422A 2009-09-18 2009-09-18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KR10170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422A KR101706737B1 (ko) 2009-09-18 2009-09-18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422A KR101706737B1 (ko) 2009-09-18 2009-09-18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811A KR20110030811A (ko) 2011-03-24
KR101706737B1 true KR101706737B1 (ko) 2017-02-17

Family

ID=4393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422A KR101706737B1 (ko) 2009-09-18 2009-09-18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737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ediatric Dermatology, Vol 24, Pages 465-473(2007)*
Soonchunhyang J. Nat. Sci., Vol 14, Pages 143-148(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811A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Flexibl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with Chitosan-Vaseline® dressing accelerates wound healing in diabetes
Chen et al. Sustained release of dermal papi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from injectable microgel promotes hair growth
EP0711171B1 (en)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lostrum fraction and its medical use
WO2006030887A1 (ja) 外用皮膚潰瘍治療剤
CN113698452B (zh) 一种促皮肤修复肽、制备方法及其应用
Duan et al. ZIF-8 as a protein delivery system enhances the application of dental pulp stem cell lysate in anti-photoaging therapy
CN110590932A (zh) 一种脐带间充质干细胞因子冻干粉的制备方法
CN110368347A (zh) 一种抗衰修复双层双色精华素及其制备方法
CN114058663A (zh) 一种多功能牡蛎活性多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76693A (zh) 一种促创面愈合的鹿茸多肽单体凝胶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248644A (zh) 一种促进糖尿病皮肤创伤修复的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
US20200230172A1 (en) Stem cell conditioned media for clinical and cosmetic applications
CN113274410A (zh) 外泌体水凝胶复合物在制备修复皮肤瘢痕的药物中的应用
Garcia, X. Santos Heredero, Á. Izquierdo Hernandez, E. Pascual Peña, G. Bilbao Gonzalez de Aledo, C. Hamann Experimental model for local application of growth factors in skin re-epithelialisation
KR101706737B1 (ko) 벼세포 유래 재조합 인간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외용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CN110638999A (zh) 一种方格星虫胶原肽在创伤修复中的应用
CN109646671A (zh) 一种生长因子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arkar et al. Bioactive wound dressing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non healing ulcers (CNHU)–A review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studies
RU2380106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возрастных изменений кожи
CN114774357A (zh) 多肽在制备促进皮肤创面愈合产品中的应用
US2024001689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wounds
CN110917179B (zh) 一种抗疤痕硅凝胶贴及其制备方法
US20230330183A1 (en) Stem cell conditioned media for clinical and cosmetic applications
CN113813283B (zh) 一类化合物促皮肤损伤修复的用途
US11744856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mprove skin quality and appearance, cure skin and tissue damage, and use i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