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684B1 -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 Google Patents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684B1
KR101706684B1 KR1020140150134A KR20140150134A KR101706684B1 KR 101706684 B1 KR101706684 B1 KR 101706684B1 KR 1020140150134 A KR1020140150134 A KR 1020140150134A KR 20140150134 A KR20140150134 A KR 20140150134A KR 101706684 B1 KR101706684 B1 KR 10170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water storage
seed
aqueous solu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931A (ko
Inventor
조영손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6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복수의 종자를 한꺼번에 소독 또는 발아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종자를 수용하는 종자 포대를 포함하고, 상기 종자 포대는 상기 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수분이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SEED GER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볍씨를 포함한 종자의 발아 과정은 물론, 볍씨의 발아를 위한 전처리 과정이나 후처리 과정 모두를 처리할 수 있는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볍씨를 포함한 모든 종자를 발아시킬 때 적절한 온도에서 수분을 공급하고 육안으로 발아 상태를 보아가며 종자의 발아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2704호는 현미의 발아과정에서 언급하고 있으나, 종자의 발아 과정을 기계화시킨다거나 전처리 과정이나 후처리 과정을 포함한 발아 과정을 자동화시키는 수단은 매우 드물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2704호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으로서, 많은 양의 종자를 한꺼번에 소독 또는 발아시킬 수 있는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벼키다리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볍씨 소독 후 소독된 볍씨를 발아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볍씨 소독을 위하여 종자를 소금물이나 약제로 소독하고 맑은 물로 씻어낼 수 있으며, 온탕 침법, 약제혼용 침지소독 및 습분의 처리 등의 소독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복수의 종자를 한꺼번에 소독 또는 발아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종자를 수용하는 종자 포대를 포함하고, 상기 종자 포대는 상기 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수분이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모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종자가 수용되는 종자 포대; 상기 종자 포대가 수납되며, 상기 종자 포대가 잠기는 수용액이 담기는 저수조;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수용액을 상기 종자 포대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종자 포대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종자 포대의 외부에 설치된 상기 기포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기포가 상기 종자 포대의 상기 모눈을 통하여 상기 종자 포대 내부로 유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종자 포대를 회전 가능한 저수조 거치대에 걸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다수의 종자 포대를 한꺼번에 소독 또는 발아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종자를 한꺼번에 소독 또는 발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챔버 벽과 챔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종자 포대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종자를 균일하게 소독 또는 발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제1 채널부 또는 제2 채널부를 포함하는 수용액 조절수단에 의해 기포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포와 히터에서 발생된 열을 저수조에서 순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기포 발생부의 상단에 히터를 배치하므로써 기포 발생부의 기포에 의한 수용액의 종자 포대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회전 가능한 저수조 거치대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종자 포대를 계속해서 저수조 거치대에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기포 발생부를 구동하지 않고 히터만 구동할 경우 수용액의 온도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자 소독까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의 종자 포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의 부분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선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복수의 종자를 한꺼번에 소독 또는 발아시키도록 복수의 종자를 수용하는 종자 포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종자 포대(110)는 종자의 소독 또는 발아에 필요한 수분, 열이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발아의 3요소는 온도, 수분, 공기라고 할 수 있으므로, 발아시키기 위한 종자는 온도, 수분, 공기에 충분히 노출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다공성 구조의 종자 포대(110)를 사용하여, 발아시키기 위한 종자를 온도, 수분, 공기에 충분히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종자를 발아시키기 전에 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겸용 장치로 사용 가능하다.
종자 포대(110)는 다수 가닥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자 포대(110)를 이루는 섬유 가닥은 가요성을 가져 저수조(100) 내부에서 종자를 수납한 상태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다수 가닥의 섬유 재질은 모눈을 형성할 수 있다. 모눈의 크기는 적어도 종자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종자 포대(110)를 저수조(100)에 수납한 상태에서 어떠한 외력을 가하더라도 종자 포대(110)에서 볍씨가 빠져나오지 않는 것이 좋다.
종자 포대(110)는 저수조(100) 내부에 담긴 수용액 속에 완전히 잠기도록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저수조(100) 및 제어부(30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다.
저수조(100)는 종자를 소독 또는 발아시키기 위한 온도, 수분,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저수조(100)는 종자 포대(110)를 수용할 수 있다.
저수조(100)에 저수조 거치대(130)가 마련된다. 저수조 거치대(130)는 저수조(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저수조 거치대(130)는 종자 포대(110)의 일측면과 평행이며, 저수조(100)의 높이보다 일정값 이상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종자 포대(110)가 많아서 다수의 저수조 거치대(130)가 필요할 경우, 저수조 거치대(130)에 설치된 저수조 거치대 구멍(22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종자 포대(110)의 일측면에 적어도 두 개의 고리(120)를 설치할 수 있다. 종자 포대(1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리(120)는 일정값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종자 포대(110)가 저수조(100)에 수용될 때, 종자 포대(110)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리(120)를 상기 저수조 거치대(130)에 걸어서 상기 종자 포대(1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온도 센서(320)에 의해 저수조(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표시부(301)에 표시하고, 온도 입력부(330)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값을 입력받아 히터(3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기포 발생부 전원 제어부(302)를 통해서 기포 발생부 구동 전원을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저수조(10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310)는 전원의 인가시 발열되며, 저수조(100) 내부의 수용액을 가열한다.
제어부(300)는 온도 입력부(330)에서 입력되는 온도값에 따라 수용액의 온도를 조절한다. 온도 센서(320)는 히터(310)의 피드백 제어를 위하여 저수조(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아 전에 종자의 소독이 필요한 경우 온도 입력부(330)에서 볍씨를 소독하기 위한 온도로 저수조(100) 내부의 온도를 유지한다.
온도 입력부(330)에서 볍씨를 발아하기 위한 온도(30~34℃)를 설정한 후, 온도 센서(320)가 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설정한 온도보다 낮을 경우, 히터(3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수용액의 온도를 올린다.
온도 입력부(330)에서 볍씨를 발아하기 위한 온도(30~34℃)를 설정한 후, 온도 센서(320)가 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설정한 온도보다 높을 경우, 히터(31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거나 기포를 순환시켜 수용액의 온도를 낮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저수조(100) 내부에 담긴 수용액의 온도를 조절한다.
일 실시예로서, 수용액 조절 수단(140)이 설치된다.
수용액 조절 수단(140)은 저수조(100) 내부에 수용액을 공급 또는 순환시키거나 저수조(100)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수용액 조절 수단(140)은 저수조(1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채널부(150)와,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에 배치되는 제2 채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부(150)는 저수조(1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대 내부의 빈 공간으로써 온도, 수분,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채널부(150)는 저수조(100)의 중앙 부분 지지대 상부의 양쪽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멍(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부(150)은 저수조(1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대 하부의 양쪽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멍(171)을 포함할 수 있다.
기포 발생부(400)에서 발생한 기포는 저수조(100)의 바닥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제3 구멍(111)을 통과하여 종자 포대 방향으로 저수조(10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수용액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기포 발생부(400)에 의해 발생한 저수조(10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발생한 수용액의 유동은 저수조(100) 내에서 상단에서 하단으로 수용액의 유동을 일으킨다. 왜냐하면, 수용액은 저수조(100) 내에서 순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제1 채널부(150)는 기포 발생부(400)에서 발생한 기포에 의해 종자 포대 방향으로 저수조(10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한 수용액 중에서 저수조(100)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는 수용액이 저수조(1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채널부(150)의 제1 구멍(170)은 수용액이 저수조(100)의 상단에서 제1 채널부(150)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구멍(170)을 통해 저수조(100)의 상단에서 제1 채널부(150)로 이동한 수용액은 제1 채널부(150)를 통하여 저수조(100) 하단으로 이동하고, 제2 구멍(171)을 통하여 기포 발생부(400)와 히터(310)로 이동한다.
즉, 제1 채널부(150)는 저수조(100)내의 종자 포대(110) -> 저수조 중앙 부분 -> 저수조 하단의 수용액의 순환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다수의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수용액의 순환 흐름을 보여준다.
제2 채널부(160)는 제1 채널부(150)과 배치된 위치가 다르다.
제2 채널부(160)는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에 배치되는 지지대 내부의 빈 공간으로써 온도, 수분,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채널부(160)는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 지지대 상부에서 저수조(100) 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4 구멍(1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부(160)는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 지지대 하부에서 저수조(100) 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5 구멍(1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부(160)는 기포 발생부(400)에서 발생한 기포에 의해 종자 포대 방향으로 저수조(10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한 수용액 중에서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으로 이동하는 수용액이 저수조(1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부(160)의 상기 제4 구멍(180)은 수용액이 저수조(100)의 상단에서 제2 채널부(160)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구멍(180)을 통해 저수조(100)의 상단에서 제2 채널부(160)로 이동한 수용액은 제2 채널부(160)와 제5 구멍(181)을 통하여 저수조(100) 하단의 기포 발생부(400)와 히터(310)로 이동한다. 즉, 제2 채널부(160)는 저수조(100)내의 종자 포대(110) -> 저수조 외곽부분 -> 저수조 하단의 수용액의 순환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다수의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수용액의 순환 흐름을 보여준다.
종자 포대(110)는 제1 채널부(150) 및 제2 채널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채널부(150)는 저수조(100)의 중앙 부분 지지대의 내부의 빈 공간이고 제2 채널부(160)은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 지지대의 내부의 빈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 지지대와 중앙 부분 지지대가 챔버 벽(190)이 되고, 저수조(100)의 중앙 부분 지지대와 외곽 부분 지지대 사이에서 챔버 플레이트(200)로 구분된 공간이 챔버(191)가 될 수 있다.
즉, 제1 채널부(150) 및 제2 채널부(160) 사이에는 종자 포대(110)를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챔버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종자 포대(110)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포 발생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 발생부(400)는 종자 포대(110)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기포 발생부(400)는 기포를 발생시켜 수용액을 종자 포대(110)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종자 포대(110) 내부의 종자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기포 발생부(400)는 저수조(100) 바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용액의 유동은 저수조(100) 바닥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제3 구멍(111)을 통과하여 저수조(100)의 종자 포대(110) 방향으로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수조(100)의 바닥에서 발생된 수용액의 유동을 제1 채널부(150) 및 제2 채널부(160)의 통로를 이용하여 저수조(100) 내에서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기포 발생부(400)에서 발생한 기포가 수용액 조절수단(140)을 통하여 순환할 수 있다. 기포 발생부(400)는 공기 흡입부(410), 공기 파이프(430) 및 공기 분사부(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의 기포 발생부(400)는 저수조(100)의 바닥에 내장되어 있어서, 공기 흡입부(410)는 저수조(10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410)은 공기 펌프라고 할 수 있다. 기포 발생부 전원 제어부(302)는 공기 흡입부(4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 파이프(430)는 공기 흡입부(410)와 연결되며 저수조(100)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공기 파이프(430)는 외부에 마련된 공기 흡입부(410)에서 흡입된 공기를 저수조(100) 내부에 제공할 수 있도록 공기 파이프(430)을 통해 저수조(100)의 수용액이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다.
공기 분사부(440)는 공기 파이프(430)의 측면으로부터 저수조(100)를 향하여 노출되어 있고, 공기 파이프(430)을 통해 공기 흡입부(4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저수조(100)의 상부를 향하여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공기 파이프(430), 공기 분사부(440) 중 적어도 하나는 히터(3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파이프(430), 공기 분사구(440) 중 적어도 하나는 히터(310) 주변에 설치되며 히터(310) 주변의 수용액을 종자 포대(110)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한다.
히터(310)는 종자 포대(110)가 수납되는 저수조(100)에 설치되어 저수조(100)에 수용된 수용액을 가열할 수 있다. 기포 발생부(400)는 히터(310)에 대면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포 발생부(400)는 수용액에 기포를 생성하며 히터(310) 주변의 수용액을 유동시키고, 기포와 함께 수용액을 종자 포대(1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저수조(10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종자 포대(110)가 잠기는 수용액을 수용하는 수용액 챔버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액 챔버(191)는 챔버 벽(190)과 챔버 플레이트(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 벽(190)은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 지지대 또는 저수조(100)의 중앙 부분 지지대일 수 있다. 챔버(191)는 저수조(100)의 외곽 부분 지지대, 중앙 부분 지지대 및 챔버 플레이트(200)로 구분한 공간이 될 수 있다.
챔버 플레이트(200)는 챔버 벽(19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챔버 벽(190)에는 챔버 플레이트(200)가 끼워지는 복수의 슬롯(210)이 마련될 수 있다. 슬롯(210)의 홈에 챔버 플레이트(200)가 끼워지고, 챔버 플레이트(200)가 저수조(100)의 하단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슬롯(210)과 챔버 플레이트(200)의 특정 부위에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 거치대 구멍(220)은 슬롯(210)의 수직 연장선 위의 저수조 외곽 부분 지지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 플레이트(200)의 양쪽으로 종자 포대(110)가 저수조 거치대(130)에 고리(120)에 의해 매달릴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 발생부(400)에 의해 발생된 기포는 챔버 플레이트(200)에 의해 구분된 특정한 챔버(191)를 통해서 저수조(100)의 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챔버 벽(190)이 챔버 플레이트(200)보다 적어도 두 배 이상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챔버 플레이트(200)가 슬롯(210)에 착탈되는 위치를 가변하면 챔버 플레이트(200)의 고정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자 포대(110)의 두께를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종자 포대(110)의 두께를 10cm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종자 포대(110)를 챔버 플레이트(200) 사이에 수납하는 경우 종자 포대(110)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대용량의 종자를 발아하는 경우에도 균일하게 발아시킬 수 있다.
즉, 대용량의 종자 포대(110)를 챔버 플레이트(200) 없이 저수조(100)에 수용하는 경우 무작위로 적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수조(100)의 하단에 적체되는 종자 포대(110) 내부의 종자와 저수조(100)의 상단에 적체되는 종자 포대(110) 내부의 종자 사이에 소독 또는 발아에 있어서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챔버(191) 구조는 종자 포대(11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납함으로써 균일한 소독 또는 발아를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기포 발생부(400)와 히터(310)을 저수조(100)의 바닥 아래에 매장하지 않고 저수조(100) 하단에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자의 발아는 물론 종자 소독 장치로도 활용 가능하다. 그런데, 종자 소독 장치로 활용할 경우 소금물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 발생부(400)와 히터(310)가 소금물에 노출되면 부식될 염려가 있으므로 사용 후 세척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기포 발생부(400)와 히터(310)를 저수조(100) 하단에 노출되도록 설치할 경우,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를 종자 소독 장치로 활용한 후 세척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세척이 용이하므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는 저수조(100)의 형태를 원통 모양으로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모양의 저수조(100) 내에서 저수조 거치대 지지부(131)에 의해 저수조(100)의 바닥에 지지되며 회전 가능한 저수조 거치대(130)를 마련할 수 있다.
즉, 저수조 거치대(130)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고정된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저수조 거치대(130)를 회전시키면서 종자 포대(110)를 저수조 거치대(130)에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다수의 실시예를 통하여, 종자를 소독 및 발아하는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상기 발아조건인 온도, 수분, 공기에서 공기를 빼고 상기 온도의 조건을 다르게 하면 소독하는 조건이 된다.
즉, 상기 기포 발생부(400)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수용액의 온도를 소독하는 조건에 조절할 경우, 볍씨를 소독할 수 있는 종자 소독 장치가 된다.
일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를 이용하여 벼키다리병을 줄이는 볍씨 소독 방법을 설명한다.
볍씨 소독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자가 채종한 종자는 저수조(100)에 넣고 소금물 가리기(물 20ℓ에 소금 4.2kg를 희석해서 사용한다.)를 실시한 후 종자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저수조(100) 내부의 종자 포대(110)에 수용된 종자를 소금물 가리기 후 맑은 물로 씻어내고 건조 볍씨로 종자 소독을 실시할 수 있다.
저수조(100) 내부의 종자 포대(110)에 수용된 종자에 대하여 벼키다리병을 줄이는 볍씨 소독 방법으로 온탕 침법, 약제혼용 침지소독 및 습분의 처리 등의 소독방법을 저수조(100) 내부에서 실시할 수 있다. 종자 포대(110)를 이용하면 한꺼번에 소독 처리를 할 수 있다.
저수조(100) 내부의 온탕 침법은 60℃의 물에서 10분 또는 65℃의 물에서 7분간 침지한 후 10분간 냉수처리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온도 조절부가 동작된다.
저수조(100) 내부의 약제혼용 침지소독은 물 20ℓ에 소독약(프로클로라즈 유제) 10㎖를 잘 섞어서 온도 조절부로 온도를 조절하며 물온도 30℃에서 48시간동안 소독을 하는 방법이다.
저수조(100) 내부의 습분의 처리는 파종직전 싹이 1.5㎜이하일 때 실시할 수 있다. 습분의 처리 가능한 소독약으로는 프루디옥소닐 종자처리 액상수화제 100㎖로 종자 40kg을 처리할 수 있고, 프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50㎖로 종자 40㎏을 처리할 수 있고, 카프로마미드 프루디옥소닐 이미다클로프리드 종자처리수화제 400g으로 종자 40kg을 처리할 수 있다. 종자 포대(110)에 수용된 종자의 용량과 저수조 내부의 수용액의 온도를 조절하며 습분 처리 조건을 만족하도록 운전한다.
상기 온탕 침법시, 80%이하의 발아율을 나타낸 품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수조(100) 내부의 60℃의 물에서 10분 침지시, 서안1호가 있다.
저수조(100) 내부의 60℃의 물에서 15분 침지시, 동진1호, 서안1호, 품미벼 등 3품종이 있다.
저수조(100) 내부의 60℃의 물에서 20분 침지시, 고운벼, 동진호, 삼광벼, 서안1호, 신운봉1호, 운광벼, 일미벼, 풍미벼 등 8품종이 있다.
저수조(100) 내부의 62℃의 물에서 10분 침지시, 백진주1호, 수라벼, 신동진벼, 영안벼, 태성벼, 하남벼, 해평찰, 고운벼, 서안1호, 신운봉1호, 운광벼 등 11개 품종이 있다.
저수조(100) 내부의 62℃의 물에서 15분 침지시, 고품벼, 세계화벼, 새추청벼, 수라벼, 신동진벼, 영안벼, 오대벼, 주남조생, 청담, 태성벼, 풍미1호, 해평찰, 호품벼, 고운벼, 동진1호, 삼광벼, 서안1호, 신운봉1호, 운광벼, 일미벼, 품이벼서안1호, 품미벼 등 21개 품종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벼키다리병을 줄이는 볍씨 소독 방법은 여러가지의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혼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약제혼용 침지소독시, 벼키다리병 약제저항성균에 대비한 종자소독법이 있다. 아래의 5가지 방법 중 2년마다 바꾸어 소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번째는 저수조(100) 내부의 소독약으로 헥사코나졸과 프로클로라즈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저수조(100) 내부의 수온 30℃의 물 20ℓ에 '균마기' 10㎖를 희석하여 48시간 침지 후 맑은 물로 2~3회 씻는 방법이다. 단, 저수조(100) 내부의 프로글로라즈는 반드시 정량, 온도, 침지시간을 준수해야 한다.
두번째는 저수조(100) 내부의 소독약으로 이프코나졸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저수조(100) 내부의 수온 30℃의 물 20ℓ에 '키맨' 40㎖를 희석하여 48시간 침지하는 방법이다. 단, 이 방법은 선충방제용 페이트로티온 유제 혼용시 효과가 약해지니 주의해야 한다.
세번째는 저수조(100) 내부의 소독약으로 티오파네이트메틸과 트리플루미졸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저수조(100) 내부의 수온 30℃의 물 20ℓ에 '동방아그로굳타임' 또는 '모도우리' 100g을 희석하여 48시간 침지하는 방법이다. 단, 침지소독 후 헹굼을 좋지 않다.
네번째는 저수조(100) 내부의 소독약으로 플루디옥소닐과 프로클로라즈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저수조(100) 내부의 수온 30℃의 물 20ℓ에 '아리스위퍼' 20㎖와 '스포탁' 10㎖를 희석하여 48시간 침지하거나, 수온 30℃의 물 20ℓ에 '사파이어' 10㎖와 '스포탁' 10㎖를 희석하여 48시간 침지하는 방법이다. 단,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프로클로라즈는 반드시 정량, 온도, 침지시간을 준수해야 한다.
다섯번째는 저수조(100) 내부의 소독약으로 테부코나졸과 프로클로라즈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저수조(100) 내부의 수온 30℃의 물 20ℓ에 '균마기골드' 10㎖를 희석하여 48시간 침지 후 맑은 물로 2~3회 씻거나, 수온 30℃의 물 20ℓ에 '호리쿠어' 또는 '시크릿' 5㎖에 '스포탁' 10㎖를 희석하여 48시간 침지 후 맑은 물로 2~3회 씻는 방법이다. 단, 이 방법은 선충방제용 페이트로티온 유제 혼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저수조:100 종자 포대:110
고리:120 저수조 거치대:130
저수조 거치대 지지부:131 수용액 조절수단:140
제1 채널부:150 제2 채널부:160
제1 구멍:170 제2 구멍:171
제3 구멍:111 제4 구멍:180
제5 구멍:181 챔버: 191
챔버 벽: 190 챔버 플레이트:200
슬롯:210 저수조 거치대 구멍: 220
제어부:300 표시부:301
히터:310 온도 센서:320
온도 입력부:330 기포 발생부:400
기포 발생부 전원제어부:302 공기 흡입부:410
공기 파이프:430 공기 분사부:440

Claims (11)

  1. 모눈 구조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종자가 수용되는 종자 포대;
    상기 종자 포대가 수납되며, 상기 종자 포대가 잠기는 수용액이 담기는 저수조;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수용액을 상기 종자 포대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종자 포대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기포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종자 포대의 외부에 설치된 상기 기포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기포가 상기 종자 포대의 상기 모눈을 통하여 상기 종자 포대 내부로 유동되며,
    상기 저수조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저수조의 중심에 설치되는 저수조 거치대 지지부, 상기 저수조 거치대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종자 포대를 걸어 놓는 저수조 거치대가 마련되며,
    상기 저수조 거치대에 걸려지는 상기 종자 포대는 상기 저수조 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저수조 거치대는 상기 저수조 거치대 지지부와 함께 회전하는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의 소독 또는 발아에 필요한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저수조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시 발열되는 히터 및 상기 저수조 내부에 담긴 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저수조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 포대는 다수 가닥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 가닥의 섬유 재질은 모눈을 형성하고, 상기 모눈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종자의 크기보다 작으며, 가요성을 가져 상기 저수조 내부에서 상기 종자를 수납한 상태에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내부에 수용액을 공급 또는 순환시키거나 상기 저수조 내부에 수용된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용액 조절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액 조절 수단은 상기 저수조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채널부와, 상기 저수조의 외곽 부분에 배치되는 제2 채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액은 상기 제1 채널부로부터 상기 제2 채널부를 향하여 순환되거나, 상기 제2 채널부로부터 상기 제1 채널부를 향하여 순환되며
    상기 종자 포대는 상기 제1 채널부 및 상기 제2 채널부 사이에 배치되는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에 수용된 상기 수용액을 가열하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기포 발생부는 상기 히터에 대면되고 상기 히터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히터 주변의 상기 수용액을 상기 기포로 유동시켜 상기 기포와 함께 상기 가열된 수용액을 상기 종자 포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저수조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 파이프, 상기 공기 파이프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저수조를 향하여 노출되는 공기 분사부를 포함하는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11. 삭제
KR1020140150134A 2014-10-31 2014-10-31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KR10170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134A KR101706684B1 (ko) 2014-10-31 2014-10-31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134A KR101706684B1 (ko) 2014-10-31 2014-10-31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931A KR20160050931A (ko) 2016-05-11
KR101706684B1 true KR101706684B1 (ko) 2017-02-14

Family

ID=5602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134A KR101706684B1 (ko) 2014-10-31 2014-10-31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6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9109A (ja) 2006-04-26 2007-11-0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温湯消毒装置
KR200450637Y1 (ko) 2009-06-23 2010-10-20 김완수 분리형 종자 발아기 지지대
KR101250034B1 (ko) * 2012-09-06 2013-04-03 박종병 종자 소독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704B1 (ko) 2004-05-24 2005-03-14 주식회사 자연건강 그 신비를 캐는 사람들 현미 발아 장치 및 발아 방법
KR101427374B1 (ko) * 2012-08-21 2014-08-07 정지현 볍씨발아기 겸용 반자동 씨앗온탕소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9109A (ja) 2006-04-26 2007-11-0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温湯消毒装置
KR200450637Y1 (ko) 2009-06-23 2010-10-20 김완수 분리형 종자 발아기 지지대
KR101250034B1 (ko) * 2012-09-06 2013-04-03 박종병 종자 소독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931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034B1 (ko) 종자 소독장치 및 방법
JP6604465B2 (ja) 水耕栽培装置
DE60229121D1 (de) Vorrichtung zur zell- oder gewebezüchtung
KR101706684B1 (ko) 종자 소독 및 발아 장치
KR101512032B1 (ko) 새싹 재배기
CN112638148B (zh) 具有谷物种子消毒功能的发芽装置
JP3957733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JP4006705B2 (ja) 種子発芽促進装置
KR101584544B1 (ko) 종자 소독장치
KR200440288Y1 (ko) 간이온탕 소독 겸용 발아기
JPH0545549U (ja) 生物組織の処理装置
KR101917364B1 (ko) 인삼 종자의 개갑 방법
JP4046317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KR101717880B1 (ko) 커피 생두 발아장치
KR20180059646A (ko) 초음파를 이용한 종자 발아 향상 장치
JP3885191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JP2876001B1 (ja) 種子の消毒装置
KR200304959Y1 (ko) 볍씨 및 종자 발아기
WO2006049879A2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a water tub using a removeable chemical carrier
RU27698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ращивания зерна
JP2003009612A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CN109430021A (zh) 芽菜培育方法及其种植装置
KR20160069682A (ko) 발아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발아방법
KR200366417Y1 (ko) 숙주나물 재배장치
KR20040103232A (ko) 식물종자의 수중발아 및 오존살균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