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337B1 -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337B1
KR101705337B1 KR1020150185345A KR20150185345A KR101705337B1 KR 101705337 B1 KR101705337 B1 KR 101705337B1 KR 1020150185345 A KR1020150185345 A KR 1020150185345A KR 20150185345 A KR20150185345 A KR 20150185345A KR 101705337 B1 KR101705337 B1 KR 10170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dy
desulfurizing
tank
desulfurization
fil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욱
라종래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엔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엔
Priority to KR102015018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2Metals or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2253/104 or B01D2253/106
    • B01D2253/1124Metal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4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1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 B01D2259/4141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 B01D2259/4145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arrang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7/00Multiple 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02W10/23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10)는 탈황여재(14)를 산화철, 활성탄과 같은 건식 흡착제를 사용하는 탈황탱크이고, 원통형의 탱크몸체(11)와, 상기 탱크몸체(1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황화수소가 포함된 바이오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12)와, 상기 탱크몸체(1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된 바이오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13)와, 상기 탱크몸체(11) 내부에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탈황여재(14)가 충진되는 필터층(20)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층(20)이 다수의 통공을 갖는 타공망(21)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 타공망(21)이 경사면을 갖는 콘 타입 구조로 형성되고, 이러한 필터층(20)이 탱크몸체(11)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2단 이상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필터층(20)에는 밸브판(23)에 의해 개폐되는 낙하구(22)가 마련되고, 상기 밸브판(23)은 탱크몸체(11) 내부에 수직하게 세워진 작동축(25)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작동축(25)에 구비된 조작핸들(24)을 조작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De-sulphurization Tank of Biogas power plant}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분뇨나 음식물류 폐기물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플랜트에서 탈황탱크 내부에 2개 이상의 다단 필터층을 구비함으로써, 바이오가스가 필터층을 통과하면서 발생 가능한 채널링(Channeling) 현상을 방지하거나 완화시켜 주어 바이오가스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바이오가스의 품질을 높여주고, 탈황여재의 품질 및 수명 신뢰성을 높여주며, 아울러, 상부에 충진된 탈황여재를 한 단계씩 아래로 내려보내서 사용함으로 탈황여재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산업이 고도화되고 인간생활이 윤택해지면서 가축분뇨와 음식물 폐기물과 같은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문제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주요 선진국들도 직면하고 있는 문제로서, 일찍이 유럽(EU), 일본에서는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을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연구 및 개발되어 왔다.
특히, 근래 기후온난화 및 온실가스의 저감, 화석연료의 대체라는 환경 에너지 정책에 발맞추어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 발효시켜 메탄(CH4)가스를 생산하는 시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혐기 발효에 의한 메탄가스 생산기술은 이미 유럽, 일본 등지에서는 정착 보급된 기술로서,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농업부산물 등)의 처리라는 환경적 기능뿐만 아니라 바이오가스(biogas) 등의 대체 에너지 생산 기능 및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의 농지환원을 통한 자연 순환적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처럼, 신재생에너지 중 환경과 시간의 제약이 없이 지속적이고 실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바이오가스(biogas)이며, 현재 바이오가스는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가스는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식품/주정공장 폐기물, 하수 슬러지(sludge)와 같이 바이오매스(biomass)의 함량이 높은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소화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써, 각종 생활폐기물을 매립하는 매립장에서도 바이오가스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원료물질인 유기성 폐기물은 인간 활동과 각종 산업 활동을 통해 끊임없이 발생되므로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상기 바이오가스는 메탄 함유량이 높아 훌륭한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바이오가스는 다량의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혐기(anaerobic) 상태 및 중온(38℃) 혹은 고온(52℃) 조건하에서 소화 처리하면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 작용에 의해 유기물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바이오가스는 주로 메탄(CH4) 60~70%와 이산화탄소(CO2) 30~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하수슬러지나 매립지가스의 경우 실록세인(Siloxane) 등도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바이오가스는 메탄가스를 약 60~70% 정도 다량 함유하므로, 적정한 수준의 개질 과정만 거치면 바이오가스는 천연가스를 사용하고 있는 모든 수요처에서 사용이 가능하나, 상기 바이오가스는 황화수소(H2S)의 함유량을 수요처에 따라 적합하게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가스는 가온 및 난방, 발전의 연료로 사용하거나 정제를 통해 도시가스, 차량용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바이오가스 내에 황화수소(H2S)는 발전기나 자동차 엔진 및 설비로 유입될 경우 산화와 부식의 원인이 되어 제품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이 된다.
즉, 바이오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수소(H2S)는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가스배관, 가스엔진 부품에 부식 및 손상을 초래하며, 실록세인의 경우 엔진부품에 규소성분의 결정체가 달라붙어 막힘이나 마모로 인하여 엔진 혹인 가스터빈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제거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혐기성 소화조내의 황화합물을 환경친화적으로 제거하고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탈황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62715호(2007.10.4. 공고)에는 소화가스 탈황 및 촉매재생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26480호(2014.8.6. 공고)에는 혐기발효에 의해 생산된 바이오가스의 탈황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13908호(2014.6.30. 공고)에는 건식 탈황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무수히 많은 바이오가스에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탈황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바이오가스에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건식법과 습식법이 있다.
이중에서 습식법은 가성소다 또는 인산칼륨 등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세정으로 황화수소를 용해 제거한다. 습식법은 가스 내 수분량 증가와 세정수의 수처리 시설로 재순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습식법에 비해 건식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건식법은 산화철 또는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화학 및 물리적인 흡착을 통해서 황화수소를 제거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 탈황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식 탈황장치(1)는, 하나의 탈황탱크(2)가 구비되어 있고, 탈황탱크(2)의 내부에 탈황여재(4)가 일정 높이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탈황탱크(2)의 하부에는 황화수소가 포함된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3)가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황화수소가 제거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구(5)가 구비되어 있다.
탈황여재(4)는 지지판(6)에 의해서 탈황탱크(2)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위치하고 있으며, 지지판(6)의 측면에는 탈황여재(4)를 제거할 수 있는 탈황여재 유출맨홀(7)이 구비되어 있다.
탈황여재(4)의 탈황 성능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탈황시설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탈황여재 유출맨홀(7)을 개방하여 수작업으로 탈황여재(4)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건식 탈황장치(1)는 탈황여재(4)를 제거하기 위해서, 지지판(6)의 탈황여재 유출맨홀(7)을 개방한 후 인력으로 일일이 탈황여재(4)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탈황여재(4)는 일정 높이를 가지고 적층되어 있어서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이를 모두 제거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요하는 작업이다.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탈황여재 유출맨홀(7)을 열어서 내부에 있는 탈황여재(4)를 끄집어내어야 하며, 넓적괭이(일명, 고물개) 등을 활용하여 구석에 있는 잔류 탈황여재(4)를 긁어낸다.
탈황탱크(2)가 대형일 경우, 인력이 탈황탱크(2) 내부로 들어가서 탈황여재 유출맨홀(7)의 반대편에 있는 탈황여재(4)를 외부로 퍼내어야 하는데, 바이오가스를 방출하고 충분히 탈황탱크(2) 내부를 환기시켰다고는 하지만, 밀폐된 탈황탱크(2) 내부로 인력이 들어가서 작업하기에는 항시 위험성이 잔존하며, 탈황여재(4) 반출 작업시 활성탄의 분진이나 잔류 황화수소나 암모니아 가스의 독성과 악취를 견뎌내어야 하기 때문에 열악하고 위험한 작업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탈황탱크(2) 하부에 위치하는 탈황여재(4)는 교체 공사 과정 또는 운영 중에 소화 가스의 수분과 탈황여재(4)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서 상당 부분 파손된다.
이와 같은 탈황여재(4)의 파손에 따라서 탈황여재(4)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이 불균일하게 됨으로써, 채널링(channeling, 편류)가 발생하게 되어 탈황여재(4)의 사용 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탈황탱크(2)의 하부에 위치하는 탈황여재(4)부터 탈황 성능이 저하되는 포화 농도에 우선 도달하고, 탈황여재(4)의 적층 높이 약 70% 정도까지 포화 농도에 도달한 경우, 가스배출구(5)에서 나오는 가스에서 황화수소가 검출되기 때문에 탈황여재(4)를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탈황장치(1)에서 탈황여재(4)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충진된 탈황여재(4) 전부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상부에 위치하여 포화 농도에 도달하지 않은 탈황여재(4)를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 탈황여재(4)를 좀 더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가 제안되어 개시된 바 있기도 하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7570호(2012.3.23. 공고)에는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200)는 다단으로 적층되는 탈황용기(100)를 구비함으로써, 적층된 탈황용기(100) 중에서 포화 농도에 도달하지 않은 탈황제가 충진된 탈황용기(100)를 분리하여 탈황장치(200)의 가장 하단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탈황용기(100)는 중공(中空)의 원통 형상의 바디(130)와, 바디(13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상부결합부(120) 및 하부결합부(140)와, 바디(130)의 내부에 결합된 다공판(1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탈황용기(100)의 바디(130) 둘레에는 상부고리(134) 및 하부고리(136)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둘레의 상부에는 가스채취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30)의 하부에는 다공판(160)이 결합되어 탈황용기(100)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다공판(160)에는 다수 개의 통공(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162)을 통해서 가스가 탈황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다공판(160)의 상부에는 튜브 타입의 탈황제가 충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탈황용기(100)는 다수 개가 적층되어 하나의 탈황장치(200)를 형성하게 되고, 인접하는 2개의 탈황용기(100)는 상호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탈황장치(200)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탈황용기(100)는 가스유입구(220)가 구비된 베이스(210)와 결합되어 있고,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탈황용기(100)는 가스유출구(250)가 구비된 커버(240)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하는 탈황용기(100)의 상부결합부(120)와 상부에 위치하는 탈황용기(100)의 하부결합부(140)가 각각 면 접합하면서 체결부재(230)에 의해서 상호 체결된다.
그런데, 상기 탈황용기(100) 내 충진된 탈황제를 재활용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한 탈황용기(100)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다단으로 적층된 탈황용기(100)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위치를 이동시켜 교체해야 하는바, 이때, 탈황제가 충진된 탈황용기(100)의 중량이 매우 무거운 관계로, 인력으로 교체하기 어려워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탈황용기(100)는 바디(130)의 외주면 상부 및 하부에는 다수 개의 상부고리(134) 및 하부고리(136)가 형성되어 있고, 크레인 작업 시 크레인의 와이어를 상부고리(134)에 걸어서 각각의 탈황용기(100)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들어 올려진 탈황용기(100)의 하부고리(136)에 크레인의 와이어를 걸어서 당기게 되면, 탈황용기(100)가 뒤집어지면서 탈황용기 내부에 충진된 탈황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탈황용기(100)에 충진된 탈황제를 제거하거나 탈황용기(100)의 위치를 교체할 때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 및 탈황탱크 제품화에 대한 실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62715호(2007.10.4. 공고, 명칭: 소화가스 탈황 및 촉매재생장치와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26480호(2014.8.6. 공고, 명칭: 혐기발효에 의해 생산된 바이오가스의 탈황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13908호(2014.6.30. 공고, 명칭: 건식 탈황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7570호(2012.3.23. 공고, 명칭: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건식 탈황탱크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탈황탱크 내부에 탈황여재를 충진하는 2개 이상의 다단 필터층을 구비함으로써, 탈황여재의 교체 시 포화농도에 도달하지 않은 재활용 가능한 탈황여재의 경우 복수의 필터층 중간에 구비된 밸브판의 작동으로 단계별 탈황여재를 아래쪽으로 내려보내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황화수소(or 실록세인) 제거에 신뢰성을 부여하고, 복수의 필터층을 통해 탈황여재의 채널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교체작업시 교체시간 단축과 분진방지, 작업환경(인력의 질식, 가스중독, 매몰 및 분진폭발 방지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황화수소가 포함된 바이오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와, 상기 탱크몸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된 바이오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와, 상기 탱크몸체 내부에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탈황여재가 충진되는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탈황여재로 산화철, 활성탄 중 어느 하나의 흡착제를 사용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이 다수의 통공을 갖는 타공망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 타공망이 경사면을 갖는 콘 타입 구조로 형성되고, 이러한 필터층이 탱크몸체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2단 이상으로 구비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단의 필터층을 구성하는 경사진 타공망의 끝단 부위에는 각각 낙하구가 형성되고, 맨 아래쪽 필터층의 낙하구를 제외한 나머지 필터층의 낙하구에는 개폐 가능한 밸브판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밸브판은 탱크몸체 내부에 수평 고정된 축지지대를 통해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작동축에 관통 연결되고, 최상단 필터층의 위쪽에 위치하는 작동축의 상단에는 조작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탱크몸체의 하단 부위는 경사면을 갖는 콘 타입 구조로 형성되고, 콘 타입 경사면의 끝단 부위에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탈황여재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황탱크 내부에 탈황여재를 충진하는 2개 이상의 다단 필터층을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함으로써, 탈황여재의 교체 시 포화농도에 도달하지 않은 재활용 가능한 탈황여재의 경우 복수의 필터층 중간에 구비된 밸브판의 작동으로 단계별 탈황여재를 아래쪽으로 내려보내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황화수소(or 실록세인) 제거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필터층을 통해 탈황여재의 채널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불량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탈황여재배출구를 경사면을 갖는 콘 타입 구조의 탱크몸체 하단에 구비함으로써, 탈황여재 교체 작업시 탈황여재가 탱크몸체 내부에 전혀 잔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체시간 단축과 분진방지, 작업환경(인력의 질식, 가스중독, 매몰 및 분진폭발 방지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 탈황탱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127570호에 개시된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에 적용된 탈황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탱크몸체 내부에 3단의 필터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의 내부에 작동축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탈황탱크의 상부쪽에서 바라 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층의 낙하구 내에 설치된 밸브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탱크몸체 내부에 2단의 필터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황탱크(10)는 탈황여재(14)를 산화철 또는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는 건식 탈황탱크와 관련된 것으로써, 탈황탱크(10)는 원통형의 탱크몸체(11)와, 상기 탱크몸체(1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황화수소가 포함된 바이오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12)와, 상기 탱크몸체(1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된 바이오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13)와, 상기 탱크몸체(11) 내부에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탈황여재(14)가 충진되는 필터층(20)과, 상기 필터층(20)에 충진되어 황화수소 제거 공정을 수행 후 폐기되는 탈황여재(14) 및 수분을 포함하는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탈황여재배출구(15)를 가지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탈황여재배출구(15)는 탱크몸체(11)의 최하단에 구비되는바, 탱크몸체(11)의 최하단 부위는 경사면을 갖는 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이 콘 형태의 경사면 끝단 부위에 탈황여재배출구(15)가 형성되어 개폐밸브(16)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몸체(11)의 최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상단맨홀(17)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상단맨홀(17)은 탱크몸체(11) 내부의 필터층(20)에 탈황여재(14)를 투입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탈황여재(14) 교체 작업시 각각의 필터층(20)의 낙하구(22)에 구비된 밸브판(23)을 개방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상단맨홀(17)을 개방하여 작동축(25)에 연결된 조작핸들(24)을 조작하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탈황탱크(10) 내부에 충진되어 황화수소 흡착 공정에 사용된 탈황여재(14)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면서 포화농도에 도달하지 않은 탈황여재(14)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첫 번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탱크몸체(11) 내부에 탈황여재(14)를 충진할 수 있는 2단 이상의 필터층(20)을 일정 간격을 두고 갖추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3단 수준의 필터층(20)을 갖추는 것이 좋다.
이처럼, 상기 탱크몸체(11)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의 필터층(20)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2단 필터층 또는 3단 필터층 혹은 그 이상의 다단 필터층으로 구성할 지 여부는 탈황탱크(10)의 규격에 따른 경제성 등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한 설계자의 선택사항에 불과할 뿐이며, 다만, 탱크몸체(11) 내부에 필터층(20)을 적어도 2단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은 변함이 없다.
상기 필터층(20)은 다수의 미세한 통공(도시안됨)을 가지고 있는 타공망(21)에 의해 대략 콘(cone)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경사면을 갖는 콘 형태의 타공망(21)으로 필터층(20)을 구성함으로써, 탈황여재(14)가 필터층(20)에 충진되어 황화수소 흡착 공정을 수행하여 포화농도에 도달하게 되면, 탈황여재(14)를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후술하는 타공망(21)의 하단에 구비된 낙하구(22)가 개방된 상태에서 탈황여재(14)가 콘 형태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낙하구(22)쪽으로 모아진 상태로 자유 낙하를 통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층(20)에 잔류되는 탈황여재(14)가 하나도 없이 자연스럽고 깨끗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공은 대략 3㎜~3.5㎜ 수준으로 설계되는바, 이는 탈황여재(14)의 직경이 대략 4㎜ 정도인 것을 감안하여 타공망(21)의 통공으로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가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에서 가스유입구(12)로 유입된 바이오가스가 타공망(21)의 통공을 통과하여 탈황여재(14)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가스유입구(12)로 유입된 바이오가스가 타공망(21)의 통공을 통과하면서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에 충분히 접촉할 수 있어 황화수소가 탈황여재(14)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탈황탱크(2) 내부에 직경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된 지지판(6)의 구멍으로 바이오가스가 유입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타공망(21)이 탱크몸체(11) 내부에 콘 형태의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있는 관계로, 동일 규격의 탈황탱크라고 가정할 때, 수평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타공망(21)의 경사면을 따라 바이오가스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바이오가스가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로 유입되어 탈황여재(14)에 넓은 범위로 고르게 접촉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기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층(20)의 하단면에는 탈황여재(14)를 낙하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낙하구(2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낙하구(22)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밸브판(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판(23)은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핸들(24)에 작동축(25)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낙하구(22)와 밸브판(23)은 상부 필터층(20)의 탈황여재(14)를 바로 아래 하부 필터층(20)으로 낙하시켜 내려보낼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탱크몸체(11) 내부의 최하단에 위치한 필터층(20)에는 낙하구(22)만 구비되어 있을 뿐 밸브판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는 최하단의 필터층(20) 바로 아래에는 탈황여재(14) 및 수분을 포함하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개폐밸브(16)를 갖춘 탈황여재배출구(15)가 매우 근접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탈황여재배출구(15)의 개폐밸브(16) 조작을 통해 탈황여재배출구(15)를 개방하게 되면, 최하단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가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하단 필터층(20)의 낙하구(22)에는 별도의 개폐용 밸브판이 불필요한 것이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판(23)은 낙하구(22) 내부에서 탄성적인 마찰력으로 부드럽게 개폐 가능하게 낙하구(22)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무판(23a)과, 이 고무판(23a)을 상하에서 견고하게 잡아주는 철판(2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밸브판(23)은 작동축(25) 상에 고정링(23c)와 평와셔(23d)를 통해 상하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축(25)은 필터층(20)의 낙하구(22)에 각각 설치되는 밸브판(23)의 중앙을 관통하여 탱크몸체(11)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축 부재로써, 상기 작동축(25)의 상단에 작업자가 잡고 회동시킬 수 있는 조작핸들(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25)은 탱크몸체(11) 내부에 수평하게 사방으로 지지되는 축지지대(26)를 통해 수직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대(26)는 최상단 필터층(20) 바로 위쪽에서 탱크몸체(11) 내부의 내주면에 수평하게 걸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작동축(25)을 지탱하는 십자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십자형 구조의 축지지대(26)의 정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작동축(25)이 수직하게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작동축(25)이 관통 결합되는 축지지대(26)의 정중앙 연결부위에는 상호 나사 결합되는 관통보스(2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몸체(11) 내부의 내주면에 견고히 고정된 축지지대(26)의 관통보스(27)를 중심으로 작동축(25)이 나사 회전(혹은 회동)에 의해 상하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작동축(25)의 상하 왕복이동에 의해 각각 필터층(20)의 낙하구(22)에 위치한 밸브판(23)이 상하로 이동하며 개폐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의 필터층(20)을 가지고 있는 경우, 최상단의 필터층(20) 및 중간단의 필터층(20)에 각각 구비된 낙하구(22)에 밸브판(23)이 각각 하나의 작동축(25)에 의해 연동되게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핸들(24) 조작에 의해 작동축(25)이 나사 회전하여 하향 이동하게 되면, 작동축(25)과 연동되는 각각의 밸브판(23)이 동시에 하향 이동하여 각각의 낙하구(22)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렇게 각각의 낙하구(22)가 개방되면서 최상단 및 중간단의 필터층(20)에 충진되어 있던 탈황여재(14)가 밑으로 자유낙하 형태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최하단 필터층(20)의 경우에는 탈황여재배출구(15)의 개폐밸브(16)를 개방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탈황여재(14)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탈황탱크(10)에는 각각의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에서 황화수소를 흡착에 따른 흡착제로써의 어느 정도의 포화농도에 도달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갖추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감지수단을 통해서 수시로 필터층(20)의 탈황여재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통상의 탈황탱크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탈황탱크(10)에서도 바이오가스가 탱크몸체(11) 하부쪽에 위치한 가스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탱크몸체 내부의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를 관통하여 상승하는 과정에서 황화수소가 흡착된 후 탱크몸체(11)의 상부쪽 가스배출구(13)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몸체(11) 내부에 탈황여재(14)를 충진한 필터층(2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황화수소 흡착 공정에서 자연스럽게 최하단 필터층(20) 내 충진된 탈황여재(14)에서 가장 먼저 황화수소를 흡착하게 되고, 최하단 필터층(20)에서 완전히 황화수소를 흡착 제거하지 못하더라도 바이오가스가 상승하면서 다음 차례의 필터층(20)의 탈황여재(14)에서 순차적으로 황화수소를 흡착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으로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최하단 필터층(20)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최상단 필터층(20)으로 황화수소를 흡착 제거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최하단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가 가장 먼저 설정된 포화농도에 도달하게 되고, 최하단 필터층(20)의 탈황여재(14)가 설정된 포화농도에 도달하여 교체할 시기가 되었을 때에도 그 위쪽의 필터층(20)의 탈황여재(14)는 설정된 포화농도에 도달하지 않아 흡착제로써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탈황여재(14) 교체시 탱크몸체(11) 내부의 모든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를 한꺼번에 모두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최하단 필터층(20)의 포화농도에 도달한 탈황여재(14)부터 순차적으로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고, 나머지 각 단의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는 바로 아래쪽 필터층(20)으로 내려보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설정된 포화농도에 도달한 최하단 필터층(20)의 탈황여재(14)는 탈황여재배출구(15)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그와 동시에 각각의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는 낙하구(22)의 밸브판(23)을 개방하여 각각 바로 아래 필터층(20)으로 내려보냄으로써,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각각의 필터층(20)에는 동일용량의 탈황여재(14)가 충진되어 있고, 낙하구(22)의 직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각각의 필터층(20)의 낙하구(22) 내에 설치된 밸브판(23)이 작업자의 조작핸들(24) 조작에 의해 작동축(25)이 작동하여 동시에 개방되게 되면, 동일시간에 동일한 량의 탈황여재(14)가 각각의 필터층 바로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상하 인접한 필터층(20) 간의 탈황여재(14)의 교체작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최상단 필터층(20)에는 상단맨홀(17)을 개방한 상태에서 새로운 탈황여재(14)를 투입하여 교체하게 됨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황탱크(10)에서는 탈황여재배출구(15)가 탱크몸체(11)의 최하단 경사면 끝단 부위에 구비되고, 개폐밸브(16) 조작을 통해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황여재(14) 교체 작업시 개폐밸브(16)를 개방하면 탱크몸체(11) 내부에 탈황여재(14)가 잔류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탈황여재(14)가 자유 낙하되어 외부로 모두 배출될 수 있는 관계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고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황장치(1)에서 탈황탱크(2) 내부에 잔류 탈황여재(4)가 남아 있어 탈황여재 유출맨홀(7)을 열어서 내부에 있는 탈황여재(4)를 끄집어내어야 하거나, 혹은 인력이 직접 탈황여재 유출맨홀(7)을 통해 탈황탱크(2) 내부로 들어가 탈황여재(4)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몸체(11)의 내부에 다단의 필터층(2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채널링(Channeling)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혹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채널링(Channeling) 현상이란, 모든 유체는 그 특성상 저항이 낮은 쪽으로 흐르고자 하며, 필터 자체가 유체 기준으로 볼 때는 대단히 큰 저항이고, 따라서, 유체가 저항이 없는 쪽으로 흐르는 것은 당연하며, 필터링 시스템에 저항이 없는 부분, 즉 채널(Channel)이 있으면, 채널로 유체가 흐르게 되면서 편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채널링 현상이 생기면, 아주 작은 구멍이라도 총 유체 중의 수십%가 순식간에 흐르게 되어 제품이 결정적이 불량이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만약 다단의 필터층(20) 중 어느 하나의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에 채널(Channel)이 생겨 채널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단의 필터층(20)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서로 떨어져 있는 필터층(20)에 충진된 탈황여재(14)는 그 충진 상태가 서로 연속성이 없어 채널(Channel)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채널링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되고 미설명된 도면부호 18은 안전밸브부착부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써, 안전밸브부착부(18)에는 탱크몸체(1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탈황탱크(10)의 안전을 수시로 감지할 수 있는 안전밸브가 부착되는 부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몸체(11) 내부에 필터층(20)이 2단으로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써, 도 4에 도시된 탱크몸체(11) 내부에 필터층이 3단으로 형성된 형태를 변형시킨 것으로써, 필터층이 탱크몸체 내부에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 외에 그 구성적 특징이 도 4에 도시된 탈황탱크(10)와 동일한 관계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탈황탱크 11 : 탱크몸체
12 : 가스유입구 13 : 가스배출구
14 : 탈황여재 15 : 배출구
16 : 개폐밸브 17 : 상단맨홀
18 : 안전밸브부착부 20 : 필터층
21 : 타공망 22 : 낙하구
23 : 밸브판 24 : 조작핸들
25 : 작동축 26 : 축지지대
27 : 관통보스

Claims (3)

  1. 원통형의 탱크몸체(11)와, 상기 탱크몸체(11)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황화수소가 포함된 바이오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12)와, 상기 탱크몸체(1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된 바이오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13)와, 상기 탱크몸체(11) 내부에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탈황여재(14)가 충진되는 필터층(20)을 포함하고, 상기 탈황여재(14)로 산화철, 활성탄 중 어느 하나의 흡착제를 사용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10)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20)이 다수의 통공을 갖는 타공망(21)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 타공망(21)이 경사면을 갖는 콘 타입 구조로 형성되고, 이러한 필터층(20)이 탱크몸체(11)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2단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다단의 필터층(20)을 구성하는 경사진 타공망(21)의 끝단 부위에는 각각 낙하구(22)가 형성되고, 맨 아래쪽 필터층(20)의 낙하구(22)를 제외한 나머지 필터층(20)의 낙하구(22)에는 개폐 가능한 밸브판(23)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밸브판(23)은 탱크몸체(11) 내부에 수평 고정된 축지지대(26)를 통해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작동축(25)에 관통 연결되고, 최상단 필터층(20)의 위쪽에 위치하는 작동축(25)의 상단에는 조작핸들(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몸체(11)의 하단 부위는 경사면을 갖는 콘 타입 구조로 형성되고, 콘 타입 경사면의 끝단 부위에 개폐밸브(16)에 의해 개폐되는 탈황여재배출구(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KR1020150185345A 2015-12-23 2015-12-23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KR10170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345A KR101705337B1 (ko) 2015-12-23 2015-12-23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345A KR101705337B1 (ko) 2015-12-23 2015-12-23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337B1 true KR101705337B1 (ko) 2017-02-10

Family

ID=5812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345A KR101705337B1 (ko) 2015-12-23 2015-12-23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3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4074A (zh) * 2017-11-16 2019-02-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可移动脱硫装置
KR102461921B1 (ko) * 2022-04-07 2022-11-03 주식회사 지이테크 악취 물질 처리를 위한 버블플레이트 및 액상 전용 다단형 탈취탑 장치
KR102467480B1 (ko) * 2021-10-20 2022-11-17 주식회사 성진엠텍 건식 탈황 장치 및 고품질 바이오가스 생산 처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715B1 (ko) 2007-07-04 2007-10-04 김전국 소화가스 탈황 및 촉매재생장치와 그 방법
KR20100022702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혜성 탈황제 공급장치
KR101127570B1 (ko) 2011-10-14 2012-03-23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탈황용기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
KR20120111431A (ko) * 2011-03-31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기가스 처리 장치
KR101413908B1 (ko) 2014-02-17 2014-06-30 에이티이 주식회사 건식 탈황장치
KR2014009581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지지 장치
KR101426480B1 (ko) 2012-04-30 2014-08-06 한화폴리드리머 주식회사 혐기발효에 의해 생산된 바이오가스의 탈황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715B1 (ko) 2007-07-04 2007-10-04 김전국 소화가스 탈황 및 촉매재생장치와 그 방법
KR20100022702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혜성 탈황제 공급장치
KR20120111431A (ko) * 2011-03-31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기가스 처리 장치
KR101127570B1 (ko) 2011-10-14 2012-03-23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탈황용기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
KR101426480B1 (ko) 2012-04-30 2014-08-06 한화폴리드리머 주식회사 혐기발효에 의해 생산된 바이오가스의 탈황 시스템
KR2014009581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지지 장치
KR101413908B1 (ko) 2014-02-17 2014-06-30 에이티이 주식회사 건식 탈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4074A (zh) * 2017-11-16 2019-02-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可移动脱硫装置
KR102467480B1 (ko) * 2021-10-20 2022-11-17 주식회사 성진엠텍 건식 탈황 장치 및 고품질 바이오가스 생산 처리 시스템
KR102461921B1 (ko) * 2022-04-07 2022-11-03 주식회사 지이테크 악취 물질 처리를 위한 버블플레이트 및 액상 전용 다단형 탈취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we et al. A review of biogas utilisation, purification and upgrading technologies
De Arespacochaga et al. Biogas deep clean-up based on adsorption technologies for Solid Oxide Fuel Cell applications
KR101705337B1 (ko)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탈황탱크
US10471387B2 (en) Renewable high efficient desulfurization process using a suspension bed
US20120264197A1 (en) H2S Removal from Contaminated Gases
CN101293108B (zh) 一种脱硫化氢材料和活性炭吸附的除臭处理装置
US10744451B2 (en) Wet desulfurization process using a suspension bed
US10449491B2 (en) Integrated system for wet desulfurization using a suspension bed and regeneration
KR102532439B1 (ko) 바이오가스 정제 설비에서 활성탄을 불활성화시키는 방법
KR100951367B1 (ko) 바이오메탄가스와 혼합된 가스를 압축과 냉각수를 이용하여 가스의 밀도와 비중차에 의해 바이오 메탄가스로 정제하는 정제장치 및 그 정제방법
US10464011B2 (en) Renewable wet desulfurization process using a suspension bed
Ghimire et al. Technologies for removal of hydrogen sulfide (H2S) from biogas
KR101127570B1 (ko) 탈황용기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건식 탈황장치
Al Mamun et al. Enhancement of production and upgradation of biogas using different techniques-a review
CN203061040U (zh) 干法脱除沼气中硫化氢的装置
Brandt et al. Control of diffuse emissions in UASB reactors treating sewage
CN103230737B (zh) 采气废水中恶臭尾气净化处理装置及其处理工艺
KR20120119755A (ko) 저온 바이오가스 분리방법
CN102423604A (zh) 组合式烟气脱硫脱硝装置
Venkiteshwaran et al. Anaerobic digester biogas upgrading using microalgae
Mwacharo et al. Biogas drying and purification methods
KR101751024B1 (ko) 바이오가스 불순물 정제용 흡착 카트리지
CN207347530U (zh) 一种沼气脱硫脱碳加臭装置
Torretta et al. Removal of odorous sulphur compounds from industrial gases by biotrickling filters
US10370608B2 (en) Desulfurization process using a combination of a suspension bed and a fixed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