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314B1 -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 - Google Patents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314B1
KR101705314B1 KR1020150136981A KR20150136981A KR101705314B1 KR 101705314 B1 KR101705314 B1 KR 101705314B1 KR 1020150136981 A KR1020150136981 A KR 1020150136981A KR 20150136981 A KR20150136981 A KR 20150136981A KR 101705314 B1 KR101705314 B1 KR 10170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nel
concrete
nut
precast concret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헌
장지훈
우주용
윤영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4Dowel assembly ; Design or construction of reinforcements in the area of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 활주로에 항공기 및 중차량 등의 운행에 따른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내부와 표면에 발생한 균열 및 파손 등에 의해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평탄성을 포함한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기능을 상실하였을 경우에, 기존 도로의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을 철거하고, 상기 철거부위에 별도로 공장에서 제작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에 레미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에 따른 공기를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이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이 설치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l,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l,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l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 광촉매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이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이 설치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l,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l,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l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 광촉매를 도포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시킨 후, 상기 차량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행한 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와 역순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으로 운반하는 단계; 노후된 콘크리트패널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포장(O)의 철거부분을 결정하되, 부분적으로 노후되고 산재된 종래의 노후된 콘크리트포장(O)을 부분적으로 결정하지 말고,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포함하여 인접한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셋트로 하여 철거단면의 철거부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철거부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 셋트로 하여 휠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철거하는 단계; 상기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절단 및 철거하여 형성된 철거홈(H)의 바닥면을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고르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가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임시로 사용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을 이용하여 설치장소 인근으로 인양 및 이동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을 기준으로 철거홈(H)의 양측면 또는 전후 사면에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거나, 노후 콘크리트포장(O)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비닐(660)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비닐(660) 상에 설치장소 인근에 이동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이동 및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안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을 이용하여 평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콘크리트 주입공(30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배출공(310)에서 유출되는지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을 긴밀히 콘크리트 충전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에 백업재(670)를 설치하고, 상기 백업재(670) 상에 실링재(680)를 설치하여 줄눈(69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Precast concrete panels and paving method using an embedded nut and asymmetric pocke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항 활주로에 항공기, 중차량, 중장비 등의 운행에 따른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내부와 표면에 발생한 균열 및 파손 등에 의해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평탄성을 포함한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기능을 상실하였을 경우에, 기존 도로의 노후된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을 철거하고, 상기 철거부위에 별도로 공장에서 제작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삽입 및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에 레미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설치함으로써, 도로의 아스팔트, 콘크리트포장에 따른 공기를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관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노후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및 신설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에 적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사층은 반복되는 차륜하중 작용시 변형이 생기므로 차륜과 토사층 사이에 차량으로 인한 변형을 막아주는 구조체가 필요하며, 그 구조체는 여러 층으로 구성되며 포장이라 한다.
상기한 포장을 형성하는 도로포장은 표면처리 형식에 따라서 연성포장과 강성 포장으로 구분하고, 상기 연성포장의 대표적인 공법으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포장이 있으며, 강성포장의 대표적인 공법으로는 콘크리트포장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은 포설 후 몇 시간 후면 차량통행이 가능하며 국내에서도 많은 기술적 노하우가 있으므로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도로포장 공법이다.
그러나 아스팔트, 콘크리트포장은 특성상 고온과 정지하중에 취약하여 대부분의 포장파손이 러팅, 표면밀림 등과 같은 영구변형의 형태로 나타나는 단점이 있으며, 내구성이 좋지 못하여 5년 주기로 재포장을 하는 등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경제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콘크리트포장은 아스콘 포장에 비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며 유지관리 비용이 훨씬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포장의 손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패치 공법이 존재하며, 기존 콘크리트포장면 위에 실시하는 본디드(bonded) 덧씌우기와 기존 포장면과 신규 포장면 사이에 아스팔트를 포설한 후 콘크리트 덧씌우기를 실시하는 언본디드(unbonded) 덧씌우기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포장도 소정의 강도를 얻기 위하여 일정시간의 양생 기간이 필요하여 차량통행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면에 발생된 균열은 반사균열 형태로 상부 콘크리트포장면에 영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687210호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1이고, 도 2는 종래에 따른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1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 몸체(1)와, 상기 패널 몸체(1)와 인접되는 다른 패널 몸체(1)에 결합되도록 외주면 상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2) 및/또는 모르타르가 공급되는 슬롯 그라우트 포트(3a)와 연통되는 충전슬롯(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2)와 충전슬롯(3)은 인접된 패널 몸체(1)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 몸체(1)의 하면에는 그라우트 시 테두리 역할을 하는 폼 가스켓(4)이 형성되고, 상기 폼 가스켓(4) 내부로 그라우트를 하기 위해서 상기 패널 몸체(1)에 수직으로 관통된 그라운드 포트(4a)가 형성되며, 상기 그라운드 포트(4a)와 연통되도록 상기 패널 몸체(10)의 하면에 그라운드 분배홈(4b)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복수 제작한 상태에서 기층의 표면을 평탄성 처리한 후 기층에 설치한다.
상기한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연결부재(2)와 충전슬롯(3)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설치하는데, 패널의 슬롯 그라우트 포트(3a)를 통해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충전슬롯(3) 내에 결합된 연결부재(2)를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포트(4a)를 통해 모르타르를 주입하면 그라운드 포트(4a)에 연통된 그라운드 분배홈(4b)을 통해 폼 가스켓(4) 내부에 모르타르가 공급되어 패널의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하부 기층을 평탄하게 처리한 후 그라운드 포트(4a)에 연통된 그라운드 분배홈(4b)의 내부로 주입되는 모르타르에 의해서만 수평이 조절됨으로써, 하부기층의 미세한 수평조절이 매우 어려우며, 국내 고속도로로는 빈배합(lean) 콘크리트에 의해 포장체를 높이는 방식이므로 패널의 수평을 조절하기가 무척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662015호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이 제안되었다.
도 3은 종래에 따른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2이고, 도 4는 종래에 따른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 몸체(10)와, 상기 패널 몸체(10)와 인접되는 다른 패널 몸체(10)에 결합되도록 외주면 상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20) 및/또는 모르타르가 공급되는 슬롯 그라우트 포트(12)와 연통되는 충전슬롯(30)을 포함하는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 몸체(10)의 내부에 복수의 높이조절수단(40)이 설치되어 도로포장시에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패널 몸체(10)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패널 몸체(10)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공(13)에 설치된 너트부재(41)와, 상기 너트부재(41)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패널 몸체(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2)와, 상기 관통공(13)을 통해 너트부재(41)에 나사결합되고, 공구에 의해 결합되는 볼트부재(43)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도로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하부 기층을 높이조절수단으로 평탄하게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나, 상부기층의 미세한 수평조절은 사실상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662015호(등록일: 2006.12.20) 등록특허 제10-0687210호(등록일: 2007.02.20) 등록특허 제10-0687211호(등록일: 2007.02.20) 등록특허 제10-0710892호(등록일: 2007.04.17) 등록특허 제10-0947655호(등록일: 2010.03.08) 등록특허 제10-1285089호(등록일: 2013.07.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항 활주로에 항공기 및 중차량 등의 운행에 따른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내부와 표면에 발생한 균열 및 파손 등에 의해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평탄성을 포함한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기능을 상실하였을 경우에, 기존 도로의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을 철거하고, 상기 철거부위에 별도로 공장에서 제작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에 레미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에 따른 공기를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이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이 설치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l,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l,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l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 광촉매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이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이 설치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l,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l,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l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 광촉매를 도포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시킨 후, 상기 차량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행한 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와 역순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으로 운반하는 단계; 노후된 콘크리트패널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포장(O)의 철거부분을 결정하되, 부분적으로 노후되고 산재된 종래의 노후된 콘크리트포장(O)을 부분적으로 결정하지 말고,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포함하여 인접한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셋트로 하여 철거단면의 철거부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철거부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 셋트로 하여 휠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철거하는 단계; 상기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절단 및 철거하여 형성된 철거홈(H)의 바닥면을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고르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가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임시로 사용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을 이용하여 설치장소 인근으로 인양 및 이동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을 기준으로 철거홈(H)의 양측면 또는 전후 사면에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거나, 노후 콘크리트포장(O)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비닐(660)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비닐(660) 상에 설치장소 인근에 이동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이동 및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안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을 이용하여 평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콘크리트 주입공(30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배출공(310)에서 유출되는지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을 긴밀히 콘크리트 충전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에 백업재(670)를 설치하고, 상기 백업재(670) 상에 실링재(680)를 설치하여 줄눈(69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은 공항 활주로에 항공기 및 중차량 등의 운행에 따른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내부와 표면에 발생한 균열 및 파손 등에 의해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평탄성을 포함한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 기능을 상실하였을 경우에, 기존 도로의 콘크리트, 아스팔트포장을 철거하고, 상기 철거부위에 별도로 공장에서 제작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주입 및 충전하여 설치함으로써, 도로포장에 따른 공기를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1,
도 2는 종래의 도로 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1,
도 3은 종래의 도로 포장용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2,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평면사시도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정면도 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측면도 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평면사시도 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2,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정면도 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측면도 2,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2,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철근 배근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A-A선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B-B선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접합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가"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간 접합 및 콘크리트 주입공을 도시한 배치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간 접합 및 콘크리트 주입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다웰바 및 타이바 포켓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다웰바 및 타이바 포켓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다웰바 및 타이바 포켓 설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다웰바 및 타이바 포켓 설치 상세도,
도 27은 도 26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원추형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원추형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관통형 매립너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 상부에 H빔을 설치하여 높이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관통형 매립너트 상부에 H빔을 설치하여 높이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설치 및 높이조절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매립너트 상부에 인양프레임을 설치하여 운반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매립너트 상부에 인양프레임을 설치하여 운반하는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매립너트 상부에 인양프레임을 설치하여 운반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 상부에 H빔을 설치하여 높이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관통형 매립너트 상부에 H빔을 설치하여 높이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철근배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1은 도 40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상세도,
도 42는 도 40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상세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무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1일 설치작업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2일 설치작업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은 콘크리트패널(100), 비대칭 포켓(200), 콘크리트 주입공(300), 콘크리트 배출공(310),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및 공간(5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 또는 2이상의 분할체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통상 콘크리트는 압축에는 강하나 인장에는 약하므로 철근을 보강한 철근콘크리트구조로 하되, 상부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패널(100)에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제작시,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를 10∼15중량부를 상온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면 콘크리트패널(100)의 균열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면, 항공기, 중장비 차량에 의한 상재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패널(10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광촉매를 도포한다.
특히, 상기 광촉매는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ℓ,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ℓ,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ℓ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다.
상기한 광촉매는 광촉매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콘크리트패널에 부착된 오염물질 및 NOx, SOx, 악취가스 등의 분해/제거와 미생물에 대한 살균기능이 있다.
즉, 상기한 광촉매는 광촉매 활성을 결정성이 우수한 이산화티탄(TiO2) 초미립자를 형성하고, Ag, Zn, Cu 중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함으로써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가전자대에서 여기되어 전도대로 여기된 전자들이 가전자대의 정공에 이른 시간 내에 재결합되는 것을 억제하여 광화학 반응의 활성점을 최대로 지속시킴으로써 적은 양의 자외선 에너지량에서 광화학 반응이 충분함은 물론 금속이온에 의한 악취물질의 분해와 미생물의 살균메커니즘에 의해 더욱 우수한 탈취효과, 방호효과 및 살균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된 즉, 콘크리트패널(100)의 측면 하부가 파인 홈이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비대칭 포켓(200)을 콘크리트패널(100)의 측면 하부에 형성한 이유는 노후된 콘크리트포장(O)에 설치된 다웰바(60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비대칭 포켓(200)을 형성한 이유는 만일,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접합 포켓의 상하부가 대칭이거나 하부 단면이 큰 경우에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의 통과하중 즉, 중장비나 항공기의 이동에 의해 나타나는 진동 및 충격으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콘크리트가 분리되며, 이로 인해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포장기능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간 접합 비대칭 포켓(200)의 단면형상을 상부(210)와 하부(220)의 폭에 비하여 중심부(230) 폭을 크게 한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상부의 통과하중 즉, 중장비나 항공기의 이동에 의해 나타나는 진동 및 충격으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콘크리트가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토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제작 및 설치하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및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의 비대칭 포켓(200)에 다웰바(600) 및 타이바(610)를 설치하고, 이후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수평조정 및 높이조절을 완료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하부 및 측면을 콘크리트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설치를 완료하면,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상부의 통과하중 즉, 중장비 및 항공기에 의해 나타나는 진동 및 충격에도 불구하고,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콘크리트재의 재료분리가 되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필요에 따라 연결구(250) 즉 비대칭 포켓(200)이 노출되는 콘크리트패널(100)의 표면에 원형구멍의 연결구(25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50)는 콘크리트패널(10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260)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와 같은 형상은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하부에 별도의 포켓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에 연결구(250)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250)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다웰바(600) 및 타이바(61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삽입 설치하되,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내부에 에폭시 또는 케미컬 수지를 충전시킨 후, 상기 에폭시 또는 케미철 수지가 충전된 부분에 다웰바(600)의 일측인 즉 다웰바(600) 전장의 1/2을 삽입하여 구속하고, 타측인 다웰바(600)를 다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비대칭 포켓(200) 또는 노후 콘크리트포장(O)의 연결구(250)에 에폭시 또는 케미컬 수지를 매개로 고정 설치한다.
또한,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삽입 설치하되,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내부에 에폭시 또는 케미컬 수지를 충전시킨 후, 상기 에폭시 또는 케미철 수지가 충전된 부분에 타이바(610)의 일측인 즉 타이바(610) 전장의 1/2을 삽입하여 구속하고, 타측인 타이바(610)를 다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비대칭 포켓(200) 또는 노후 콘크리트포장(O)의 연결구(250)에 에폭시 또는 케미컬 수지를 매개로 고정 설치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주입공(300)은 콘크리트패널(100)의 상,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는 초속경콘크리트, 초속경몰탈, 시멘트밀크, 시멘트몰탈, 자기치유몰탈, 수지몰탈, 케미컬약액, 에폭시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배출공(310)은 콘크리트 주입공(300)로부터 일정한 간격 이격된 상태로 콘크리트패널(100)의 상,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콘크리트 주입공(300)을 통해 주입된 콘크리트가 배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어,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콘크리트패널(100)의 횡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대향되게 수직으로 매립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를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에 설치하기 전에는 너트(410)에 지지부(420)가 설치된 구조이고, 이러한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를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에 설치시에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를 배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에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가 매립된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쪽에 위치하고, 이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는 하부의 일측이 막힌 형태 즉,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일정부분이 개구된 구조이다.
또한,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하부쪽에 위치하며, 내부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걸쳐 관통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한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와 관통형 매립너트(400b)를 이용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차, 하차, 이동 및 높낮이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에 설치된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를 이용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수평조정을 포함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공간(500)은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콘크리트패널(100)의 콘크리트 주입공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충전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공간(500)으로 인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제작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과 동시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설치시 기존 콘크리트포장과 지반 및 긴밀히 결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도로포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철근배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41은 도 40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42는 도 40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휠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철거하고, 상기 노후 콘크리트포장(O)이 철거되어 형성된 철거홈(H)의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다웰바 및 타이바를 설치하고, 상기 철거홈의 바닥면에 비닐을 포설한 후, 상기 비닐 상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조절을 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에 콘크리트 충전한 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에 줄눈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철근 배근된 것을 사용함을 밝혀둔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무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휠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철거하고, 상기 노후 콘크리트포장(O)이 철거되어 형성된 철거홈(H)의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다웰바 및 타이바를 설치하고, 상기 철거홈의 바닥면에 비닐을 포설한 후, 상기 비닐 상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조절을 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에 콘크리트 충전한 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에 줄눈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은 무근을 사용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1일 설치작업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반하는 단계; 노후된 콘크리트패널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포장(O)의 철거부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철거가 결정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휠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철거하는 단계; 상기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절단 및 철거하여 형성된 철거홈(H)의 바닥면을 균일하게 고르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의 양측면에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비닐(660)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비닐(660) 상에 설치장소 인근에 운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이동 및 설치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콘크리트 주입공(30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배출공(310)에서 유출되는지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을 긴밀히 콘크리트 충전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 또는 인양프레임을 사용하여 평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높이조절을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에 백업재(670)를 설치하고, 상기 백업재(670) 상에 실링재(680)를 설치하여 줄눈(69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제조단계; 운반단계; 철거부분 결정단계; 철거단계; 다짐단계; 다웰바(600) 및 타이바(610) 설치단계; 비닐(660) 포설단계;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이동 및 설치단계;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콘리트 충전단계; 높이 조절단계; 줄눈(690) 설치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제조단계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가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이 설치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거나,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프레임(652)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652)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세로판(654)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세로판(654)와 사각형 프레임(652)의 내측에 걸쳐 가로판(656)이 용접 설치되며, 상기 세로판(654)의 소정의 위치에 인양고리(658)이 설치된 인양프레임(650)이 배치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특히,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특히,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제조방법은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를 설치한 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제조한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가장자리 및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구조적으로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철근을 촘촘하게 배근한다.
이어서, 운반단계는 공장에서 제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반하는 단계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시킨 후, 상기 차량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행한 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와 역순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에 하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인양프레임(650)을 배치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을 설치한 후, 상기 인양프레임(650)의 인양고리(658)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시킨 후, 상기 크레인을 이동시켜 인양프레임(650)에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시켜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행한 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와 역순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에 하차한다.
이어서, 철거부분 결정단계는 노후된 콘크리트패널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포장(O)의 철거부분을 결정하되, 부분적으로 노후되고 산재된 종래의 노후된 콘크리트포장(O)을 부분적으로 결정하지 말고, 노후 콘크리트포장을 포함하여 인접한 콘크리트포장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셋트로 하여 철거단면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노후 콘크리트포장 철거단계는 철거부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노후 콘크리트포장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셋트로 하여 휠쏘를 이용하여 절단 및 철거한다.
이어서, 다짐단계는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절단 및 철거하여 노출 형성된 철거홈(H)의 바닥면을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고르고 일정한 강도로 다짐한다.
이어서, 다웰바(600) 설치단계는 철거홈(H)을 기준으로 철거홈(H)의 양측면 또는 전후 사면에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다웰바(600)를 설치하거나, 노후 콘크리트포장(O)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콘크리트포장을 주행하는 항공기나 중장비 차량의 진행방향인 횡방향으로는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인 종방향에는 타이바(610)를 설치하여 콘크리트포장의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면서 상부에서 포장에 가해지는 응력에 용이하게 대응토록 한다.
이어서, 상기 비닐(660) 포설단계는 철거홈(H)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비닐(660)을 포설한다.
이어서, 상기 비닐 상에 설치장소 인근에 운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인양프레임(650)을 배치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을 설치한 후, 상기 인양프레임(650)의 인양고리(658)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시킨 후, 상기 크레인을 이동시켜 인양프레임(650)에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한다.
이어서, 높이조절단계는 철거홈(H)에 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평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로, 철거홈(H)에 안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630) 또는 인양프레임(650)을 택일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평탄성을 확보한다.
이어서, 콘크리트 충전단계는 철거홈(H)에 안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콘크리트 주입공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배출공(310)에서 유출되는지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을 긴밀히 콘크리트 충전한다.
이어서, 줄눈 설치단계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 또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간에 백업재(670)를 설치하고, 상기 백업재(670) 상에 실링재(680)를 설치하여 줄눈(690)을 설치한다.
한편,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의 2일 설치작업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반하는 단계; 노후된 콘크리트패널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포장(O)의 철거부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철거가 결정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휠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철거하는 단계; 상기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절단 및 철거하여 형성된 철거홈(H)의 바닥면을 균일하게 고르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가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임시로 사용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으로 인양 및 이동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의 양측면에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비닐(660)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비닐(660) 상에 설치장소 인근에 운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이동 및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평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콘크리트 주입공(30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배출공(310)에서 유출되는지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을 긴밀히 콘크리트 충전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에 백업재(670)를 설치하고, 상기 백업재(670) 상에 실링재(680)를 설치하여 줄눈(69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제조단계, 운반단계, 철거부분 크기 결정단계, 절단 및 철거단계, 다짐단계,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가설치단계, 임시 사용단계, 인양 및 이동단계, 상기 다웰바(600) 및 타이바(610) 설치단계, 비닐(660) 포설단계,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이동 및 설치단계,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높이 조절단계, 콘크리트 충전단계, 줄눈(690) 설치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제조단계는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가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이 설치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거나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프레임(652)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652)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세로판(654)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세로판(654)와 사각형 프레임(652)의 내측에 걸쳐 가로판(656)이 용접 설치되며, 상기 세로판(654)의 소정의 위치에 인양고리(658)이 설치된 인양프레임(650)이 배치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특히,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제조방법은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를 설치한 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제조한다.
이때,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비대칭 포켓(200)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가장자리 및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구조적으로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철근을 촘촘하게 배근한다.
이어서, 운반단계는 공장에서 제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반하는 단계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시킨 후, 상기 차량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행한 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와 역순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에 하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인양프레임(650)을 배치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을 설치한 후, 상기 인양프레임(650)의 인양고리(658)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시킨 후, 상기 크레인을 이동시켜 인양프레임(650)에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시켜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행한 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와 역순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에 하차한다.
이어서, 철거부분 결정단계는 노후된 콘크리트패널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포장(O)의 철거부분을 결정하되, 부분적으로 노후되고 산재된 종래의 노후된 콘크리트포장(O)을 부분적으로 결정하지 말고,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포함하여 인접한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셋트로 하여 철거단면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철거단계는 철거부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 셋트로 하여 휠쏘를 이용하여 절단 및 철거한다.
이어서, 다짐단계는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절단 및 철거하여 노출 형성된 철거홈(H)의 바닥면을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고르고 일정한 강도로 다짐한다.
이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가설치단계는 노후 콘크리트포장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시공에 하루에 이루어지기가 어려울 경우나, 기존 콘크리트포장(O)의 교통개방이 필요할 경우에는 철거홈(H)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임시로 가설치한다.
이어서, 임시 사용단계는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임시로 사용토록 하여 도로교통을 원활하게 한다.
이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이동단계는 가설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 또는 인양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장소 인근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다웰바(600) 설치단계는 철거홈(H)을 기준으로 철거홈(H)의 양측면 또는 전후 사면에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다웰바(600)를 설치하거나, 노후 콘크리트포장(O)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콘크리트포장(O)을 주행하는 항공기나 중장비 차량의 진행방향으로는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에는 타이바(610)를 설치하여 콘크리트포장의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면서 상부에서 콘크리트포장에 가해지는 응력에 용이하게 대응토록 한다.
이어서, 상기 비닐(660) 포설단계는 철거홈(H)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비닐(660)을 포설한다.
이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이동 및 설치단계는 설치장소 인근에 이동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인양프레임(650)을 배치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을 설치한 후, 상기 인양프레임(650)의 인양고리(658)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시킨 후, 상기 크레인을 이동시켜 인양프레임(650)에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한다.
이어서, 높이조절단계는 철거홈(H)에 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평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로, 철거홈(H)에 안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630) 또는 인양프레임(650)을 택일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평탄성을 확보한다.
이어서, 콘크리트 충전단계는 철거홈(H)에 안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여 평탄성을 확보한 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콘크리트 주입공(30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배출공(310)에서 유출되는지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을 긴밀히 콘크리트 충전한다.
이어서, 줄눈 설치단계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 또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 간에 백업재(670)를 설치하고, 상기 백업재(670) 상에 실링재(680)를 설치하여 줄눈(690)을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은 종래의 노후 콘크리트포장을 보수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노후 콘크리트포장을 지지대로 삼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노후 콘크리트포장이 아닌 신설 콘크리트포장인 경우에는 지반에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같이, 노후 콘크리트포장을 대상으로 하여 편의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신설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포장에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노후 또는 신설 콘크리트포장의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아니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고, 그들 특허청구범위의 의미중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콘크리트패널 200: 비대칭 포켓
210: 상부 220: 하부
250: 연결구 260: 테이퍼
300: 콘크리트 주입공 310: 콘크리트 배출공
400a: 상부개방형 매립너트 400b: 상부개방형 매립너트
410: 너트 420: 지지부
500: 공간 600: 다웰바
610: 타이바 620: 패드
630: H빔 640: 장볼트
650: 인양프레임 652: 프레임
654: 세로판 656: 가로판
658: 인양고리 660: 비닐
670: 백업재 680: 실링재
690: 줄눈 H: 철거홈
C: 콘크리트
O: 노후 콘크리트포장
P: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이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이 설치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l,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l,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l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 광촉매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7.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이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프레임(652)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652)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세로판(654)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세로판(654)와 사각형 프레임(652)의 내측에 걸쳐 가로판(656)이 용접 설치되며, 상기 세로판(654)의 소정의 위치에 인양고리(658)이 설치된 인양프레임(650)이 배치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l,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l,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l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 광촉매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8.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이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이 설치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이 설치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l,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l,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l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 광촉매를 도포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시킨 후, 상기 차량을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행한 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와 역순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으로 운반하는 단계; 노후된 콘크리트패널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포장(O)의 철거부분을 결정하되, 부분적으로 노후되고 산재된 종래의 노후된 콘크리트포장(O)을 부분적으로 결정하지 말고,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포함하여 인접한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셋트로 하여 철거단면의 철거부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철거부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 셋트로 하여 휠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철거하는 단계; 상기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절단 및 철거하여 형성된 철거홈(H)의 바닥면을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고르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가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임시로 사용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을 이용하여 설치장소 인근으로 인양 및 이동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을 기준으로 철거홈(H)의 양측면 또는 전후 사면에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거나, 노후 콘크리트포장(O)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비닐(660)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비닐(660) 상에 설치장소 인근에 이동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패드(620)을 설치하고, 상기 패드(620) 상에 H빔(630)을 설치하며, 상기 H빔(63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한 후, 상기 H빔(630)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H빔(630)이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이동 및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안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H빔을 이용하여 평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콘크리트 주입공(30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배출공(310)에서 유출되는지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을 긴밀히 콘크리트 충전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에 백업재(670)를 설치하고, 상기 백업재(670) 상에 실링재(680)를 설치하여 줄눈(69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
  9.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갖고,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패널(1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장자리 측면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 개가 절취 형성되는 비대칭 포켓(20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면으로부터 저면에 걸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주입 및 배출되는 콘크리트 주입공(300) 및 배출공(310)과;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내측면 코너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는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저면내 소정의 부분이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공간(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은 상부의 폭은 넓고, 하부의 폭은 좁은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포켓(200)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이 삽입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는 일정한 내경을 갖는 너트(410)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410)의 가운데에 양측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전체적으로 사각형 프레임(652)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652)의 내측에 종방향으로 세로판(654)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세로판(654)와 사각형 프레임(652)의 내측에 걸쳐 가로판(656)이 용접 설치되며, 상기 세로판(654)의 소정의 위치에 인양고리(658)이 설치된 인양프레임(650)이 배치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공간(500)은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상협하광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틀랜드시멘트 25중량%와 소석고 50중량%와 마그네시아 25중량%로 이루어진 균열방지제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0)의 상면에 비트민(Bitumen), 모노머, 분말 휠라, UV 차단제, 유산(Olic Acid),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를 혼합한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0) 상면 또는 표면강화제 상면에 Ti[OCH(Cl3)2]4와, (CH3)2 CHOH로 제조한 TiO2졸(sol) 0.57㏖/l, C8H20O4Si와 (CH3)CHOH로 제조된 SiO2졸(sol) 0.44㏖/l, Zn(C2H3O2)2로부터 제조한 ZnO 졸(sol) 0.50㏖/l에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이를 중량대비 TiO2졸(sol) 50%, SiO2졸(sol) 40%, ZnO졸(sol) 9%와 Ag, Zn, Cu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이온 1%의 비율로 구성된 광촉매를 도포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인양프레임(650)을 배치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을 설치한 후, 상기 인양프레임(650)의 인양고리(658)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시킨 후, 상기 크레인을 이동시켜 인양프레임(650)에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시켜 설치장소의 인근으로 운행한 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차량에 탑재와 역순으로 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설치장소 인근으로 운반하는 단계; 노후된 콘크리트패널로 이루어진 콘크리트포장(O)의 철거부분을 결정하되, 부분적으로 노후되고 산재된 종래의 노후된 콘크리트포장(O)을 부분적으로 결정하지 말고,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포함하여 인접한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셋트로 하여 철거단면의 철거부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철거부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까지 4개 포장 단위를 한 셋트로 하여 휠쏘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철거하는 단계; 상기 노후 콘크리트포장(O)을 절단 및 철거하여 형성된 철거홈(H)의 바닥면을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고르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가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을 임시로 사용하는 단계; 상기 가설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장소 인근으로 인양 및 이동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을 기준으로 철거홈(H)의 양측면 또는 전후 사면에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에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거나, 노후 콘크리트포장(O)의 횡방향으로 다웰바(600)를 설치하고, 종방향으로 타이바(6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비닐(660)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비닐(660) 상에 설치장소 인근에 운반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상면에 인양프레임(650)을 배치하고, 상기 인양프레임(650)과 상부개방형 매립너트(400a) 또는 관통형 매립너트(400b) 간을 관통하여 장볼트(640)을 설치한 후, 상기 인양프레임(650)의 인양고리(658)에 크레인의 와이어(659)를 연결시킨 후, 상기 크레인을 이동시켜 인양프레임(650)에 부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비대칭 포켓(200)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철거홈(H) 내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이동 및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거홈(H)에 안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을 프레임을 이용하여 평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의 콘크리트 주입공(30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주입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배출공(310)에서 유출되는지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간을 긴밀히 콘크리트 충전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P)과 존치된 노후 콘크리트포장(O) 사이에 백업재(670)를 설치하고, 상기 백업재(670) 상에 실링재(680)를 설치하여 줄눈(69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도로 포장공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136981A 2015-09-25 2015-09-25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 KR10170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81A KR101705314B1 (ko) 2015-09-25 2015-09-25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81A KR101705314B1 (ko) 2015-09-25 2015-09-25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314B1 true KR101705314B1 (ko) 2017-02-10

Family

ID=5812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81A KR101705314B1 (ko) 2015-09-25 2015-09-25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31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392A (ko) * 1986-12-01 1988-08-27 백남훈 균열방지 및 보수용 시멘트 혼합혼화재 조성물
JPH04120302A (ja) * 1990-09-11 1992-04-21 Tochikou: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を用いた路面の舗装方法
JP2003252563A (ja) * 2002-03-07 2003-09-10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際用いる吊り金具
KR100662015B1 (ko) 2006-03-13 2006-12-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00687211B1 (ko) 2005-02-23 2007-02-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0687210B1 (ko) 2005-02-23 2007-02-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0892B1 (ko) 2005-03-10 2007-04-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KR100947655B1 (ko) 2009-06-16 2010-03-12 이풍희 레미탈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의 재포장 공법
KR101285089B1 (ko) 2011-10-28 2013-07-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승강이 가능한 조립식 하부구조물을 구비한 포장도로
KR101544988B1 (ko) * 2014-12-15 2015-08-18 우백건설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392A (ko) * 1986-12-01 1988-08-27 백남훈 균열방지 및 보수용 시멘트 혼합혼화재 조성물
JPH04120302A (ja) * 1990-09-11 1992-04-21 Tochikou: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を用いた路面の舗装方法
JP2003252563A (ja) * 2002-03-07 2003-09-10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際用いる吊り金具
KR100687211B1 (ko) 2005-02-23 2007-02-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0687210B1 (ko) 2005-02-23 2007-02-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0892B1 (ko) 2005-03-10 2007-04-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KR100662015B1 (ko) 2006-03-13 2006-12-28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00947655B1 (ko) 2009-06-16 2010-03-12 이풍희 레미탈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의 재포장 공법
KR101285089B1 (ko) 2011-10-28 2013-07-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승강이 가능한 조립식 하부구조물을 구비한 포장도로
KR101544988B1 (ko) * 2014-12-15 2015-08-18 우백건설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59667A (zh) 门形装配式钢筋混凝土箱型涵洞及其施工方法
SG181210A1 (en) Reusable paving slab for temporary road andmethod for paving temporary road with the same
KR1015449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208514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더블월식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68721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170531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설치공법
CN111794270B (zh) 一种内部充填式预制拼装格构箱型挡土墙
CN111021771B (zh) 一种钢结构置换原有建筑结构的施工方法
CN206495233U (zh) 门形装配式钢筋混凝土箱型涵洞
KR101705313B1 (ko) 매립너트와 비대칭 포켓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대칭형 포장공법
KR10170531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합성한 도로포장공법
KR101705314B1 (ko) 내부공간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도로 포장공법
CN105888281A (zh) 一种利用顶升增层技术提升小区整体功能的方法
KR101330145B1 (ko) 교량구조물의 교축방향 이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급속 교량교체공법
KR101187282B1 (ko) 2주식교대 구조를 이용한 철도 교량 시공방법
KR101705312B1 (ko) 매립너트와 비대칭 포켓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 및 이의 비대칭형 포장공법
KR101705311B1 (ko) 매립너트와 비대칭 포켓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이의 포장공법
CN106884366A (zh) 一种装配式道路及其施工方法
CN108978713B (zh) 一种工厂预制电梯井道基坑及其安装方法
CN110306398B (zh) 一种分段设梁先张法交错对称张拉预应力筋叠合装配道路及其施工方法
CN107034759A (zh) 钢板道路路面结构及施工方法
CN206666971U (zh) 一种装配式道路
CN113622254B (zh) 重载临用预制钢筋混凝土道路板的施工方法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CN218492562U (zh) 一种道路工程中检查井口加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