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435B1 -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435B1
KR101704435B1 KR1020150070514A KR20150070514A KR101704435B1 KR 101704435 B1 KR101704435 B1 KR 101704435B1 KR 1020150070514 A KR1020150070514 A KR 1020150070514A KR 20150070514 A KR20150070514 A KR 20150070514A KR 101704435 B1 KR101704435 B1 KR 10170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absorbing member
shock absorbing
bobbin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737A (ko
Inventor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주)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15007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43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코일이 권취됨과 더불어 내부가 빈 파이프체 구조로 형성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내측 상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저면의 중앙측 부위에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보빈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일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되며, 상면 중앙에는 장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플런저; 상기 플런저 상면의 장착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 상단은 상기 헤드부의 장착홈 내에 수용된 상태로 안착되고, 하단은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면에 얹혀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플런저를 탄력 이동시키는 탄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가 제공되며, 이로써 플런저의 승강 이동시 상기 플런저가 헤드부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접촉 면적을 최대한 크게 형성하여 충격 소음의 분산을 유도하면서도 전류 흐름의 방해로 인한 동작 성능의 저하는 방지하며, 이러한 충격 소음의 저감을 위한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밸브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런저의 승강 이동시 상기 플런저가 헤드부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접촉 면적을 최대한 크게 형성하여 충격 소음의 분산을 유도하면서도 전류 흐름의 방해로 인한 동작 성능의 저하는 방지하며, 이러한 충격 소음의 저감을 위한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로 상에는 유체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밸브 중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전자적 제어에 의해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는 코일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를 강제 이동시켜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플런저는 상기 코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코일로의 전원 공급에 의한 플런저의 상승 이동이 발생될 때 이 플런저의 상면이 헤드부에 부딪힘에 따른 충격 소음이 발생되며, 이러한 충격 소음에 의해 사용자의 제품 신뢰성 저하가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한 충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의 상면과 헤드부 사이에 다양한 구조의 충격완화부재를 제공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45839호, 등록특허 제10-502307호, 등록특허 제10-0944761호, 등록특허 제10-042163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상기 충격완화부재와 탄력스프링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플런저에 상기 탄력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음을 고려할 때 상기 플런저와 탄력스프링 간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조를 이룰 수밖에 없고, 이러한 플런저와 탄력스프링은 모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서로 간의 접촉에 따른 충격 소음은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상기 플런저에 형성되는 장착홈의 경우는 플런저로 제공되는 자기장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그의 내경이나 요입 깊이에 대한 형성이 세밀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술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충격완화부재는 코일과 플런저 사이에 흐르는 자기장의 흐름을 방해하는 작용을 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의 정확한 동작을 위해서는 더욱 큰 전류를 공급하여야만 하고, 이로써 제품의 전체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런저의 승강 이동시 상기 플런저가 헤드부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접촉 면적을 최대한 크게 형성하여 충격 소음의 분산을 유도하면서도 전류 흐름의 방해로 인한 동작 성능의 저하는 방지하며, 이러한 충격 소음의 저감을 위한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는 코일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코일이 권취됨과 더불어 내부가 빈 파이프체 구조로 형성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내측 상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저면의 중앙측 부위에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보빈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일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되며, 상면 중앙에는 장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플런저; 상기 플런저 상면의 장착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 상단은 상기 헤드부의 장착홈 내에 수용된 상태로 안착되고, 하단은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면에 얹혀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플런저를 탄력 이동시키는 탄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의 저면에는 다이아프램가이드에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요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에는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흐름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회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피홈은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스프링은 그의 내경이 상기 플런저의 장착돌기가 이루는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충격흡수부재 및 밀착부재에 의해 그의 동작시 헤드부 및 다이아프램가이드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이루는 충격흡수부재의 경우 플런저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탄력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플런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설치를 위한 구조를 정밀하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그 설치 작업 역시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의 탄력스프링은 플런저에 직접 맞닿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가압하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탄력스프링과 플런저 간의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은 방지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는 충격흡수부재가 플런저의 상면을 최대한 넓게 감싸도록 형성되면서도 이 충격흡수부재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피홈에 의해 코일과 플런저 사이에 흐르는 자기장의 흐름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되어 충격흡수 효과는 상승될 수 있되 제품 전체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더라도 빠른 응답성을 얻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 중 충격흡수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는 크게 보빈(100)과, 헤드부(200)와, 플런저(300)와, 충격흡수부재(400)와, 탄력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충격흡수부재(400)는 플런저(300)의 승강 이동시 상기 플런저(300)가 헤드부(200)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류 흐름의 방해로 인한 동작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설치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보빈(100)은 코일(110)이 권취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보빈(100)은 코일하우징(610) 내를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코일(110)이 권취됨과 더불어 내측 중앙이 상하로 관통된 파이프체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빈(100)의 상면에는 단자(120)가 설치되며, 상기 보빈(100)의 상단측 내주면에는 확장홈(130)이 확장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부(200)는 상기 보빈(100)의 내측 상단을 폐쇄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헤드부(200)는 상기 보빈(100)의 내로 수용되면서 상기 보빈(100)의 내측 상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200)의 저면 중앙측 부위에는 장착홈(210)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헤드부(200)의 상단에는 확장단(220)이 형성되어 상기 보빈(10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확장홈(130)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플런저(300)는 상기 보빈(100)에 권취된 코일(11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코일(110)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플런저(300)는 상기 보빈(100)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일(110)로의 전원 공급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되는 가동철심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 중앙에는 장착돌기(310)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상기한 장착돌기(310)는 후술될 충격흡수부재(400)의 장착을 위한 부위로 제공되는 구성이며, 상기 헤드부(200)의 장착홈(210)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플런저(300)의 저면에는 다이아프램가이드(620)의 출수공(621)에 밀착되는 밀착부재(320)가 요입 설치된다. 즉, 상기 플런저(300)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밀착부재(320)가 상기 다이아프램가이드(620)의 출수공(621)을 폐쇄하도록 밀착됨으로써 원치않는 유체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충격흡수부재(400)는 플런저(300)와 헤드부(200) 간의 부딪힘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부위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충격흡수부재(400)는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과 헤드부(200)의 저면 사이에 위치되며,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중앙에는 결합공(410)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플런저(300) 상면의 장착돌기(310)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300)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격흡수부재(400)가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을 최대한 넓게 덮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한 충격흡수부재(400)에는 자기장 흐름의 방해를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4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충격흡수부재(400)가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을 최대한 넓게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충격의 발생시 충격 소음의 분산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충격흡수부재(400)의 구조(최대한 넓게 형성된 구조)로 야기될 수 있는 자기장의 흐름에 대한 방해는 상기한 회피홈(420)의 추가 형성을 통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회피홈(420)은 첨부된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둘레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면서 상하를 관통하는 절개된 구조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회피홈(420)의 끝단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이로써 자기장의 흐름에 대한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최대한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결합공(410)의 내경은 상기 장착돌기(310)의 외경과 같거나 혹은, 더욱 작게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충격흡수부재(400)를 상기 장착돌기(310)에 끼워 결합할 경우 원치않게 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결합공(410) 내경을 상기 장착돌기(310)의 외경과 같거나 혹은, 더욱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한 충격흡수부재(400)의 높이(두께)는 상기 장착돌기(310)의 돌출 높이와 같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플런저(300)가 상승 이동될 경우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과 헤드부(200)의 저면 간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과도한 두께로 인한 플런저(300)의 상승 이동 거리가 부족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탄력스프링(500)은 코일(1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경우 플런저(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탄력스프링(500)은 그의 상단이 상기 헤드부(200)의 장착홈(21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안착되고, 하단은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상면에 얹히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탄력스프링(500)는 코일(1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플런저(300)가 원위치로 하향 이동될 경우 상기 플런저(300) 저면의 밀착부재(320)가 다이아프램가이드(620)의 출수공(621)에 정확히 밀착될 수 있을 정도의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길이나 스프링 직경 및 스프링 상수가 결정된다.
이와 함께, 상기 탄력스프링(500)의 내경은 상기 플런저(300)의 장착돌기(310)가 이루는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기 탄력스프링(500)의 외경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회피홈(420)이 형성된 위치에까지는 이르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은 탄력스프링(500)의 구조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결합공(410) 내경이 플런저(300)의 장착돌기(310) 외경에 비해 크다 하더라도 상기 충격흡수부재(400)는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에 항상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특히, 플런저(30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탄력스프링(500)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탄력스프링(500)과의 접촉에 따른 접촉 소음이나 충격 소음이 발생되지만, 전술된 충격흡수부재(400)의 구조와 탄력스프링(500)의 설치 구조로 인해 상기 탄력스프링(500)과 플런저(300) 간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서로 간의 부딪힘에 따른 접촉 소음이나 충격 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의 작용을 첨부된 도 2와 도 3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보빈(100)에 권취된 코일(11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최초의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00)는 그의 자중 및 탄력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100) 내의 하측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플런저(300)의 저면에 구비된 밀착부재(320)는 다이아프램가이드(620)의 출수공(621)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유입측관로(630)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흐름이 단속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탄력스프링(500)의 복원력은 충격흡수부재(400)를 경유하여 플런저(300)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탄력스프링(500)과 플런저(3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의 상태에서, 코일(110)로 전원이 공급되면 이 코일(110)을 따라 흐르는 전류로 인해 자기장이 생성되며, 이러한 전류와 자기장의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300)는 보빈(100) 내를 상승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플런저(300)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플런저(300)와 헤드부(200) 사이에 제공되는 탄력스프링(500)이 압축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과 헤드부(200)의 저면은 서로 부딪힌다. 하지만,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돌기(310)에는 충격흡수부재(40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충격흡수부재(400)가 상기 플런저(300)와 헤드부(200) 간의 직접적인 부딪힘을 방지하게 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충격흡수부재(400)는 상기 플런저(300)와 헤드부(200) 간의 간접적인 부딪힘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충격흡수부재(400)는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 대부분을 덮도록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와 헤드부(200)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400)로 제공되는 충격은 상기 충격흡수부재(400)가 이루는 형상에 따라 분산되어 플런저(300)의 특정 부위로 충격이 집중되는 현상은 미연에 방지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400)가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 대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회피홈(420)에 의해 자기장의 흐름에 대한 방해는 최소화되어 상기 플런저(300)는 상기 자기장의 영향을 최대한 제공받으면서 원활히 상승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플런저(300)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면 탄력스프링(500)은 압축됨과 더불어 상기 플런저(300)의 저면에 요입 설치된 밀착부재(320)는 다이아프램가이드(620)의 출수공(62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출수공(621)을 개방시킴으로써 유입측관로(630)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상기 출수공(621)을 통과한 후 유출측관로(640)를 통해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유입측관로(630) 및 유출측관로(640) 간의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코일(1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플런저(300)는 그의 자중 및 탄력스프링(500)의 복원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어 보빈(100) 내의 하측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플런저(300)의 저면에 구비된 밀착부재(320)는 다이아프램가이드(620)의 출수공(621)을 가로막으면서 해당 출수공(621)을 통한 유체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300)의 복귀 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다이아프램가이드(620)에는 밀착부재(320)가 부딪힘에 따라 서로 간의 접촉에 따른 충격 소음은 상기 플런저(300)가 다이아프램가이드(629(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확연히 줄어 들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충격흡수부재(400) 및 밀착부재(320)에 의해 그의 동작시 헤드부(200) 및 다이아프램가이드(620)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경우 플런저(30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탄력스프링(500)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플런저(30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충격흡수부재(400)의 설치를 위한 구조를 정밀하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그 설치 작업 역시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탄력스프링(500)은 플런저(300)에 직접 맞닿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충격흡수부재(400)를 가압하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탄력스프링(500)과 플런저(300) 간의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은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의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는 충격흡수부재(400)가 플런저(300)의 상면을 최대한 넓게 감싸도록 형성되면서도 이 충격흡수부재(400)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피홈(420)에 의해 코일(110)과 플런저(300) 사이에 흐르는 자기장의 흐름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되어 충격흡수 효과는 상승될 수 있되 제품 전체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더라도 빠른 응답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보빈 110. 코일
120. 단자 130. 확장홈
200. 헤드부 210. 장착홈
220. 확장단 300. 플런저
310. 장착돌기 320. 밀착부재
400. 충격흡수부재 410. 결합공
420. 회피홈 500. 탄력스프링
610. 코일하우징 620. 다이아프램가이드
621. 출수공 630. 유입측관로
640. 유출측관로

Claims (5)

  1. 코일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코일이 권취됨과 더불어 내부가 빈 파이프체 구조로 형성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내측 상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저면의 중앙측 부위에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헤드부;
    상기 보빈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일을 따라 흐르는 전자기력에 의해 승강되며, 상면 중앙에는 장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플런저;
    상기 플런저 상면의 장착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
    상단은 상기 헤드부의 장착홈 내에 수용된 상태로 안착되고, 하단은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면에 얹혀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플런저를 탄력 이동시키는 탄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에는 그의 둘레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되면서 상하를 관통하는 절개된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각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복수의 회피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력스프링은 그의 내경이 상기 플런저의 장착돌기가 이루는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의 외경은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회피홈이 형성된 위치에까지는 이르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70514A 2015-05-20 2015-05-20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170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514A KR101704435B1 (ko) 2015-05-20 2015-05-20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514A KR101704435B1 (ko) 2015-05-20 2015-05-20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737A KR20160137737A (ko) 2016-12-01
KR101704435B1 true KR101704435B1 (ko) 2017-02-10

Family

ID=5757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514A KR101704435B1 (ko) 2015-05-20 2015-05-20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989B1 (ko) 2023-06-29 2023-11-30 (주)플로우웨이 저소음 솔레노이드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715B1 (ko) * 2019-07-12 2021-02-05 주식회사 엔비엘 소형 다이어프램 밸브
KR102212770B1 (ko) * 2019-08-30 2021-02-05 주식회사 엔비엘 소형 다이어프램 래치 밸브
KR102262383B1 (ko) * 2019-10-14 2021-06-08 한국전력공사 솔레노이드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670A (ja) * 2003-01-10 2004-08-05 Nok Corp 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7768U (ko) * 1979-03-24 1980-10-01
JPH0724707Y2 (ja) * 1988-11-11 1995-06-0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670A (ja) * 2003-01-10 2004-08-05 Nok Corp 電磁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989B1 (ko) 2023-06-29 2023-11-30 (주)플로우웨이 저소음 솔레노이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737A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435B1 (ko) 소음 저감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1893361B1 (ko) 연료 차단 밸브
CN104471505A (zh) 直动式螺线管致动器
US7669832B2 (en) Solenoid actuated valve with a damping device
KR102629911B1 (ko) 전자기 밸브
KR20200066709A (ko) 전자밸브
US11306844B2 (en) Pilot solenoid valve
US4783044A (en) Hung diaphragm solenoid valve
JP2008101777A (ja) 耐振比例バルブおよび流体の流れ調整時の振動減衰方法
KR20200033641A (ko)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190081437A (ko)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
JP7232907B2 (ja) 電子膨張弁
KR101601710B1 (ko) 전자밸브
EP3480500A1 (en) Solenoid valve with integral pressure relief arrangement
KR102052260B1 (ko) 전자기 밸브
KR20130082377A (ko) 급수용 밸브 조립체
US4880205A (en) Hung diaphragm solenoid valve
KR20120116497A (ko) 용접 동안 뒤틀리지 않는 고압 연료 주입기 시트
KR20170115654A (ko) 솔레노이드 밸브
KR20140147176A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2357776B1 (ko) 밸브
KR102607989B1 (ko) 저소음 솔레노이드밸브
KR20110097242A (ko) 이중 스프링을 이용한 능동형 엔진 마운트용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CN112747163A (zh) 一种控制阀及其制造方法
CN220505835U (zh) 电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