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318B1 - 수신된 디바이스내 공존(idc) 구성에 따른 무선 측정들의 조건부 수행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idc 가능 사용자 장비의 구성 - Google Patents

수신된 디바이스내 공존(idc) 구성에 따른 무선 측정들의 조건부 수행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idc 가능 사용자 장비의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318B1
KR101704318B1 KR1020157011127A KR20157011127A KR101704318B1 KR 101704318 B1 KR101704318 B1 KR 101704318B1 KR 1020157011127 A KR1020157011127 A KR 1020157011127A KR 20157011127 A KR20157011127 A KR 20157011127A KR 101704318 B1 KR101704318 B1 KR 101704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idc
measurement
wireless
network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779A (ko
Inventor
알리 베라반
무함마드 카즈미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5006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10)에서의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사용자 장비(10)는 디바이스내 공존(In Device Coexistent)(IDC) 가능하고, 통신 네트워크(1)에서 네트워크 노드(12, 13)에 의해 서비스된다. 사용자 장비(10)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을 네트워크 노드(12, 13)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 장비(10)는,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수신된 디바이스내 공존(IDC) 구성에 따른 무선 측정들의 조건부 수행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IDC 가능 사용자 장비의 구성{CONFIGURATION BY A NETWORK NODE OF IN-DEVICE COEXISTENT IDC CAPABLE USER EQUIPMENT FOR THE CONDITIONAL PERFORMANCE OF RADIO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RECEIVED IDC CONFIGURA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0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708340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또한 2013년 4월 1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인 동시 계류 중인 출원 제13/860378호와 상호 참조된다. 상호 참조된 출원은 참조 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노드, 및 그에서의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내 공존(in device coexistence)이 가능한 사용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국 및/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라고도 알려진 무선 단말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들과 통신한다. RAN은 셀 영역들로 분할되어 있는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고, 각각의 셀 영역은 기지국, 예컨대,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RBS)[일부 네트워크들에서는, 예를 들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NodeB"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eNodeB"라고도 불릴 수 있음]에 의해 서비스된다(served). 셀은 안테나와 무선 기지국이 동일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 기지국 사이트(base station site) 또는 안테나 사이트(antenna site)에서 무선 기지국에 의해 무선 커버리지가 제공되는 지리적 영역이다. 각각의 셀은 셀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로컬 무선 영역(local radio area) 내에서의 식별자(identity)에 의해 식별된다. 전체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다른 식별자가 또한 셀 내에서 브로드캐스트된다.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셀들을 가질 수 있다. 셀은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셀일 수 있다. 기지국들은 무선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기지국들의 범위(range) 내에 있는 사용자 장비들과 통신한다.
RAN의 일부 버전들에서, 몇개의 기지국들이, 그에 연결된 복수의 기지국들의 다양한 활동들을 감독하고 조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또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와 같은 제어기 노드에 예컨대, 지상선(landline)들 또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RNC들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들에 연결된다.
UMTS는 2세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으로부터 발전된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장비들에 대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HSPA(High Speed Packet Access)를 사용하는 RAN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고 알려진 포럼에서, 통신 공급업자들은, 예컨대, 3세대 네트워크들 및 추가의 세대들에 대한 표준들을 제안하고 합의하며,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 및 무선 용량을 조사한다.
EPS(Evolved Packet System)에 대한 규격들이 3GPP 내에서 완성되었고, 이 연구는 후속 3GPP 릴리스들에서 계속된다. EPS는 LTE 무선 액세스라고도 알려진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코어 네트워크라고도 알려진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E-UTRAN/LTE는 무선 기지국들이 RNC들보다는 EPC 코어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는 3GPP 무선 액세스 기술의 한 변형례이다. 일반적으로, E-UTRAN/LTE에서, RNC의 기능들이 무선 기지국들(예컨대, LTE에서의 eNodeB들)과 코어 네트워크 간에 분산되어 있다. 그에 따라, EPS의 RAN는 RNC들에 보고하는 일 없이 무선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기본적으로 "평면(flat)"인 아키텍처를 가진다.
오늘날의 모바일 사용자 장비(UE)에서,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들이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 패키징된다. UE는 외부 무선 시스템(즉, 비-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을 갖추고 있다. 셀룰러 디바이스 또는 UE 상에 위치해 있을 수 있는 이러한 외부 무선 시스템들의 예들은 LTE, WiFi, 블루투스 송수신기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기, 스포츠 또는 의료 관련 단거리 무선 디바이스들, 무선 전화기 등이다. GNSS의 예들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갈릴레오(Galileo), COMPASS(Common Positioning Architecture for Several Sensors), GANSS(Galileo and Addit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등이다.
각종의 사용자 장비들이 있고, 사용자 장비들이 상이한 기술적 명칭 및 브랜드명, 예컨대, USB-동글, 목표 디바이스,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기계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단말, 디바이스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되고 있다. 도 1은 2.4 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들 주위에 있는 3GPP 주파수 대역들을 나타낸 것이다. 하나의 송신기의 송신 전력이 다른 수신기의 수신 전력 레벨보다 훨씬 더 높을 수 있고, 이는, 이 무선 송수신기들이 극도로 근접해 있는 것으로 인해, 피해자 무선 수신기(victim radio receiver)에 대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Wi-Fi는 ISM 대역 내의 주파수 대역 2400 내지 2495 MHz를 사용한다. 이 대역은 14개의 채널들로 나누어져 있고, 여기서 각각의 채널은 22 MHz의 대역폭을 가지며, 다른 채널들과 5 MHz 간격(단, 채널 번호 14는 간격이 12 MHz임)을 가진다. LTE 대역 40의 송신기는 WiFi의 수신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대역 7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대역이기 때문에, Wi-Fi 송신기로부터 LTE 수신기에 대한 영향은 없지만, Wi-Fi 수신기는 LTE UL(Uplink) 송신기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블루투스는 2402와 2480 MHz 사이에서 동작하고, 각각이 1 MHz 대역폭인 79개의 채널로 되어 있다. 따라서, Wi-Fi와 유사하게, 대역 40과 블루투스 간의 간섭은 물론, 대역 7 UL로부터 블루투스 수신기(RX)로의 간섭도 있다.
게다가, ISM 대역에서의 GNSS의 수신[예컨대, 2483.5 내지 2500MHz를 운영하는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은 대역 7 UL 전송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요약하면, 간섭 시나리오들의 어떤 예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1
LTE 대역 40 무선 송신기(TX)가 ISM 무선 RX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것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2
ISM 무선 TX가 LTE 대역 40 무선 RX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것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3
LTE 대역 7 무선 TX가 ISM 무선 RX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것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4
LTE 대역 7/13/14 무선 TX가 GNSS 무선 RX에 대한 간섭을 야기하는 것
유의할 점은, 앞서 논의된 주파수 대역들 및 무선 기술들이 상이한 가능한 시나리오들의 예들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섭이 임의의 무선 기술에 의해 그리고 임의의 이웃하는 또는 저조파(sub harmonic) 주파수 대역에서 야기될 수 있다.
LTE 송수신기로부터 다른 기술들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어떤 간섭 회피 해결책들이 UE에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간섭 회피 해결책은 UE에 의해 자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거나 UE로부터의 지시(indication)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2가지 방법들이 간략히 기술되어 있다:
UE가 UE 자체에 의해 해결될 수 없는 어떤 레벨의 IDC(In Device Coexistence) 간섭을 경험할 때, UE는 문제점들을 보고하기 위해 IDC 지시(IDC indication)를 전용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한다[소위 네트워크 제어 UE 보조 간섭 회피(Network-controlled UE-assisted Interference avoidance)]. UE가 ISM DL 수신에서 또는 LTE DL 수신에서 문제점을 가질 때마다 지시들이 UE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IDC 지시 메시지의 일부는 IDC 간섭의 방향을 나타내는 간섭 방향이다. IDC 지시의 트리거링은 UE 구현에 달려 있다(즉, 기존의 LTE 측정들 및/또는 UE 내부 조정에 의존할 수 있음).
LTE RRC 규격, TS 36.331, Rel-11, v. 11.1.0 섹션 5.6.9에 정의된 그리고 또한 이하에 나타내어져 있는 정보 요소 InDeviceCoexIndication은, UE가 IDC와 관련된 문제점을 겪을 때, UE에 의해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메시지를 기술한다.
InDeviceCoexIndication 메시지는 UE가 겪는 IDC 문제점들, 이전에 통보된 IDC 문제점들에서의 임의의 변화들에 관해 E-UTRAN에 통보하는 데 그리고 그들을 해결하기 위해 E-UTRAN에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SRB1
RLC-SAP: AM
논리 채널: DCCH
방향: UE에서 E-UTRAN으로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5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6
UE로부터 IDC 지시를 통해 IDC 문제점들을 통지받을 때, 무선 기지국은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해결책들을 적용하기로 선택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이 적절한 해결책을 선택하는 것을 돕기 위해, FDM 및 TDM 해결책들 둘 다에 대한 모든 필요한/이용가능한 보조 정보가 함께 IDC 지시에서 무선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IDC 지시는 또한, UE가 더 이상 IDC 간섭을 겪지 않는 경우들에 대한 것을 비롯하여, IDC 보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된다.
이 2개의 해결책들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FDM 해결책의 기본 개념은, E-UTRAN 내에서 주파수간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LTE 신호를 ISM 대역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이다. UE는, LTE 또는 다른 무선 신호들을 운영하는 것이 LTE가 특정한 반송파들 또는 주파수 자원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이득을 보거나 더 이상 이득을 보지 않을 때, 네트워크에 통보한다. IDC 문제점에 의해 영향을 받는 E-UTRA 반송파 주파수들의 목록을 송신함으로써, UE는 어느 주파수들이 디바이스내 공존으로 인해 사용가능하지 않은지를 알려줄 것이다.
TDM 해결책의 기본 개념은 무선 신호의 전송 시간이 외부 무선 시스템[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GNSS]의 다른 무선 신호의 수신 시간과 일치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UE는 필요한 정보, 예컨대, 간섭체 유형, 모드, 및 어쩌면 무선 기지국으로의 서브프레임들에서의 적절한 오프셋을 신호할 수 있다. UE는 또한 제안된 패턴을 무선 기지국으로 신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TDM 패턴들(즉, 스케줄링 기간 및 비스케줄링된 기간)이 무선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TDM 해결책들은 여러 가지 유형의 방법들로 나누어진다:
- DRX(Discontinuous Reception) 기반 해결책: LTE DRX 메커니즘은 IDC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TDM 패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M 패턴은 DRX 주기(DRX periodicity)라고 불리는 총 길이에 의해 특정되고, 활성 기간, 스케줄링 기간, 및 비활성 기간, 비스케줄링된 기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UE는 TDM 패턴의 주기 및 스케줄링 기간 또는 비스케줄링된 기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원하는 TDM 패턴을 무선 기지국에 제공한다. UE에 의해 사용되는 패턴을 결정하고 신호하는 것은 네트워크 노드의 일이다.
모든 DRX 정의들은 3GPP TS 36.321 섹션 3.1 v.11.0.0에 따른다. IDC 지시 메시지는 E-UTRAN이 구성하도록 추천받는 원하는 DRX 사이클 길이를 나타내는 DRX 사이클 길이, E-UTRAN이 구성하도록 추천받는 원하는 DRX 시작 오프셋을 나타내는 DRX 오프셋, 및 E-UTRAN이 구성하도록 추천받는 원하는 활성 시간을 나타내는 DRX 활성 시간에 관계된 정보를 포함한다.
-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 이 TDM 해결책에서, 다수의 LTE HARQ 프로세스들 또는 서브프레임들이 LTE 동작을 위해 예약되고,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이 ISM/GNSS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한 예로서, LTE TDD(Time Division Duplexing) 구성 1에 대한 HARQ 예약 프로세스, 3GPP TR 36.816 v. 11.2.0 Figure 5.2.1.2.2-1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E가 ISM/GNSS 신호들을 수신하는 특정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디바이스내 공존 시스템들에 걸친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예약 패턴은 UE에 의해 보고된 보조 정보에 기초하여 비트맵의 형태로 UE로 송신된다. 제공된 비트맵은 E-UTRAN이 어느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패턴들의 목록이다. 값 0은 E-UTRAN이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요청받는 것을 나타낸다. 한 예로서, 비트 시퀀스 1111110100은 7번, 9번 및 10번 서브프레임들이 사용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FDD에 대한 비트열(bit string)의 크기는 40이고, TDD에 대한 비트열의 크기는 서브프레임 구성 0, 서브프레임 구성 1-5, 및 서브프레임 구성 6에 대해, 각각, 70, 10, 60이다. 여기서의 요점은 예약된 서브프레임들이 LTE 릴리스 8/9 UL 및 DL HARQ 타이밍을 준수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UE는 또한, 다른 무선 기술들에서의 중요한 시그널링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LTE 서브프레임들을 자율적으로 거부할 수 있다. 거부된 서브프레임들 동안, UE는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는다. UE는 또한 어떤 신호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거부 유효 기간(denial validity period)에 걸친 최대 허용 거부 서브프레임(maximum allowed denial subframe)들을 사용하여 거부의 양이 제한된다. 최대 거부 서브프레임들 및 거부 유효 기간 둘 다는 무선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적절한 거부율(denial rate)을 구성하는 것이 무선 기지국 구현에 달려 있지만, 무선 기지국으로의 어떤 추가의 피드백도 없이, UE가 어느 서브프레임들이 거부되는지를 결정한다. 그래서, 그것은 '자율 거부(autonomous denial)'라고도 불린다. 무선 기지국이 어떤 거부율도 구성하지 않는 경우, UE는 어떤 자율 거부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LTE RRC 규격, TS 36.331, v. 11.1.0 섹션 6.3.6에 정의된 그리고 또한 이하에 나타내어져 있는 정보 요소 'IDC-Config'는,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 autonomousDenialSubframes 및 autonomousDenialValidity를 해제(release) 또는 설정(setup)하기 위해 E-UTRAN(eNB)에 의해 UE로 송신되는 메시지를 기술한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7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은 물론, 무선 링크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몇 가지 무선 관련 측정들이 UE 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된다.
셀 선택, 셀 재선택[예컨대, E-UTRAN들 사이에서, 상이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 사이에서, 그리고 비-3GPP RAT들로], 및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와 같은 RRC 유휴 상태(RRC idle state) 동작들에서 그리고 또한 셀 변경(예컨대, E-UTRAN들 간의 핸드오버, 상이한 RAT들 간의 핸드오버, 및 비-3GPP RAT들로의 핸드오버)을 위한 것과 같은 RRC 연결 상태(RRC connected state) 동작들에서 RRM 측정들이 사용된다.
셀 ID 측정
UE는 먼저 셀을 검출해야만 하고, 따라서 셀 식별[예컨대, PCI(Physical Cell Identity)의 획득]이 또한 신호 측정이다. UE는 또한 UE의 CGI(Cell Global ID)를 획득해야만 할지도 모른다.
HSPA 및 LTE에서, 서빙 셀(serving cell)은 타겟 셀(target cell)의 SI(System Information)를 획득하라고 UE에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표 셀의 CGI(셀을 고유하게 식별해줌)를 획득하기 위해 SI가 UE에 의해 판독된다. UE는 또한 목표 셀로부터 CSG(Closed Subscriber Group) 지시자, CSG 근접 검출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획득하라고 요청받을 수 있다.
UE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예컨대, HSPA에서 RNC 또는 LTE의 경우에 eNode B로부터) 명시적 요청(explicit request)을 수신할 시에, 목표 셀(예컨대, 주파수내, 주파수간 또는 RAT간 셀)의 SI를 판독한다. 획득된 SI는 이어서 서빙 셀에 보고된다.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관련 HSPA 및 LTE 규격들에 정의되어 있다.
목표 셀의 CGI를 포함하는 SI를 획득하기 위해, UE는 나중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및 관련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포함하는 SI의 적어도 일부를 판독해야만 한다. SI 판독/디코딩/획득, CGI/ECGI 판독/디코딩/획득, CSG SI 판독/디코딩/획득이라는 용어들이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지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SI를 판독하여 셀의 CGI를 획득하기 위해, UE는 DL 동안 그리고 또한 UL에서 자율 갭(autonomous gap)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셀의 MIB 및 관련 SIB들을 판독해야만 하는 경우에 자율 갭들이 생성되고, 이는 RAT에 의존한다. MIB 및 SIB들은 특정한 주기성으로 반복된다. 각각의 자율 갭은 전형적으로 LTE에서 3 내지 5 ms이고, UE는 CGI를 획득하기 위해 그들 중 몇개를 필요로 한다.
신호 측정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는 RRC 연결 상태에서는 물론 RRC 유휴 상태에서의 이동성을 포함하는 이동성에 대해서와 같이 적어도 RRM을 위해 사용되는 2가지 기존의 측정들이다. RSRP 및 RSRQ는 또한 향상된 셀 ID 위치 결정,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 등과 같은 다른 목적들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RSRP 측정은 UE에서의 셀 특정 신호 세기 메트릭(cell-specific signal strength metric)을 제공한다. 이 측정은 주로 상이한 LTE 후보 셀들을 그들의 신호 세기에 따라 순위 부여하는 데 사용되고, 핸드오버 및 셀 재선택 결정을 위한 입력으로서 사용된다.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는 RSRP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이 참조 심볼들은 각각의 슬롯의 끝에서 첫번째 및 세번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에, 6개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12개의 부반송파 및 0.5ms 슬롯의 자원 블록 내에, 4개의 참조 심볼이 있다.
RSRQ는 RSRP와 반송파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비인 품질 척도이다. 후자 부분은 모든 소스들(예컨대, 동일 채널 간섭, 인접 반송파, 대역외 방사(out of band emission), 잡음, 기타)로부터의 간섭을 포함한다.
UE는 또한, 그의 능력에 따라, 다른 시스템들, 예컨대, HSPA, GSM/GERAN[GSM EDGE(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RTT(Round Trip Time) 및 HRPD(High Rate Packet Data), 기타에 대해 측정하기 위해 RAT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RAT간 무선 측정의 예로는 RAT간 UTRAN에 대한 CPICH RSCP(Common Pilot Channel Received Signal Code Power) 및 CPICH Ec/No(energy per chip over total received power spectral density, 칩당 에너지/총 수신 전력 스펙트럼 밀도), RAT간 GSM에 대한 GERAN 반송파 RSSI, 및 심지어 CDMA2000 1xRTT/HRPD에 대한 파일럿 세기 측정이 있다.
RRC 연결 상태에서, UE는 측정 갭(measurement gap) 없이 주파수내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UE는, 측정 갭 없이 주파수간 및 RAT간 측정을 수행할 수 없는 한, 측정 갭에서 이들을 수행한다. 갭을 필요로 하는 UE에 대해 주파수간 및 RAT간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측정 갭을 구성해야만 한다. LTE에 대해 2개의 주기적 측정 갭 패턴(둘 다 6 ms의 측정 갭 길이를 가짐)이 정의되어 있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8
반복 주기 40 ms를 갖는 측정 갭 패턴 #0
Figure 112015041370229-pct00009
반복 주기 80 ms를 갖는 측정 갭 패턴 #1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이 이어서 네트워크에 보고되고, 네트워크는 다양한 작업들을 위해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무선 기지국)는 또한 신호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LTE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 측정의 예로는 UE와 자신 사이의 전파 지연, UL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UL SNR(Signal to Noise Ratio), UL 신호 세기, RIP(Received Interference Power) 등이 있다. 무선 기지국은 또한 나중의 섹션에서 기술되는 위치 결정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링크 모니터링 측정
UE는 또한 서빙 셀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서빙 셀[주 셀(primary cell)이라고도 함]에 대해 측정을 수행한다. 이것은 LTE에서 RLM(Radio Link Monitoring) 또는 RLM 관련 측정이라고 불리운다.
RLM을 위해, UE는 서빙 셀 또는 주 셀(PCell)의 하향링크 무선 링크 품질을 검출하기 위해 셀 특정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한다.
비동기(out of sync) 및 동기(in sync)를 검출하기 위해, UE는 추정된 품질을 임계치 Qout 및 Qin과, 각각, 비교한다. 임계치 Qout 및 Qin은 하향링크 무선 링크가 신뢰성있게 수신될 수 없는 레벨로서 정의되고, 각각, 가상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전송의 10% 및 2% 블록 오류율(block error rate)에 대응한다.
비-DRX(non-DRX)에서, 비동기에 대한 하향링크 링크 품질 및 동기에 대한 하향링크 링크 품질이, 각각, 200 ms 및 100 ms의 평가 기간에 걸쳐 추정된다.
DRX에서, 비동기에 대한 하향링크 링크 품질 및 동기에 대한 하향링크 링크 품질이 DRX 사이클에 따라 스케일링되는 동일한 평가 기간(예컨대, 10 ms 초과 40 ms 이하의 DRX 사이클에 대해 20개의 DRX 사이클과 같은 기간)에 걸쳐 추정된다.
비-DRX에서, 비동기 상태 및 동기 상태는 모든 무선 프레임에서 UE에 의해 평가된다. DRX에서, 비동기 상태 및 동기 상태는 매 DRX마다 한번씩 UE에 의해 평가된다.
물리 계층에서의 필터링(즉, 평가 기간)에 부가하여, UE는 또한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network configured parameter)들에 기초하여 상위 계층 필터링을 적용한다. 이것은 무선 링크 장애 검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불필요한 무선 링크 장애 그리고 결과적으로 RRC 재설정(RRC re-establishment)을 회피한다. 무선 링크 장애 및 회복 검출을 위한 상위 계층 필터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제어 파라미터(network controlled parameter)들을 포함할 것이다:
- 히스테리시스 카운터(hysteresis counter)들, 예컨대, 각각 N310 및 N311 비동기 및 동기 카운터들.
- 타이머들, 예컨대, T310 RLF(Radio Link Failure) 타이머.
예를 들어, UE는 N310 연속적 OOS(Out of Sync) 검출 후에 타이머 T310을 기동시킨다. UE는 N311 연속적 IS(In Sync) 검출 후에 타이머 T310을 중지시킨다. UE의 송신기 전력이 T310 타이머의 만료 후 40 ms 내에 턴오프된다. T310 타이머의 만료 시에, UE는 T311 타이머를 기동시킨다. T311 만료 시에, UE는 새로운 가장 강한 셀을 재선택하는 RRC 재설정 단계를 개시한다.
HSPA에서, 비동기 및 동기 검출이라고 불리는 유사한 개념이 UE에 의해 수행된다. 상위 계층 필터링 파라미터들(즉, 히스테리시스 카운터 및 타이머)이 HSPA에서도 사용된다. 또한 HSPA에서 규정된 RLF 및 궁극적으로 RRC 재설정 절차가 있다.
셀 측정의 샘플링
전체적인 서빙 셀 또는 이웃 셀 측정량 결과들은 2개 이상의 기본적인 비코히런트 평균된 샘플(non-coherent averaged sample)들의 비코히런트 평균(non-coherent averaging)을 포함한다. 정확한 샘플링은 구현에 의존하고, 일반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E-UTRAN에서의 RSRP 측정 평균의 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DRX가 사용되지 않을 때 또는 DRX 사이클이 40 ms 이하일 때, UE가 물리 계층 측정 기간(즉, 200 ms) 동안 4개의 비코히런트 평균된 샘플들 또는 스냅샷들(이 예에서, 각각의 길이는 3 ms임)을 수집하는 것에 의해 전체 측정량 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모든 코히런트 평균된 샘플(coherent averaged sample)은 길이가 1 ms이다. 이웃 셀 측정량(예컨대, RSRP 또는 RSRQ)의 측정 정확도는 이 물리 계층 측정 기간에 걸쳐 규정된다. 유의할 점은, 샘플링 레이트가 UE 구현 특정(UE implementation specific)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구현예에서, UE는 200 ms 구간에 걸쳐 단지 3개의 스냅샷만을 사용할 수 있다. 샘플링 레이트에 관계없이, 측정된 양이 규정된 측정 정확도의 면에서 성능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RSRQ의 경우에, RSRP(분자) 및 반송파 RSSI(분모) 둘 다에 대해 유사한 페이딩 프로파일을 따르기 위해 이들 성분 둘 다가 동시에 샘플링되어야만 한다. 샘플링이 또한 DRX 사이클의 길이에도 의존한다. 예를 들어, DRX 사이클 > 40 ms인 경우, UE는 전형적으로 측정 기간에 걸쳐 매 DRX 사이클마다 하나의 샘플을 취한다.
UE에 의한 그리고 또한 UL 측정의 경우에 무선 기지국에 의한 다른 신호 측정들에 대해 유사한 측정 샘플링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LTE에서의 HARQ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는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에서 전송을 확인 응답하는 프로세스이다. 수신된 데이터가 오류가 없는(error-free) 경우, 긍정 확인 응답(positive acknowledgement)(ACK)을 선언하는 확인 응답이 송신기로 송신된다. 다른 한편으로, 전송에서 오류가 검출되는 경우, 부정 확인 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NACK)이 송신기로 송신되고, 이는 패킷이 재전송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LTE에서, 재전송을 위해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특정한 타이밍이 합의된다.
FDD 모드에서, HARQ 프로세스는 UL 및 DL 둘 다에서 8ms(8개의 서브프레임)의 RTT(round trip time)를 가진다. 이것은 전송으로부터 4ms 후에 수신기로부터의 ACK 또는 NACK 피드백이 예상되고, 피드백으로부터 4ms 후에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 패킷이 재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DD 모드에서, 상이한 UL/DL 구성들에서 DL 서브프레임 및 UL 서브프레임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HARQ 타이밍이 상이하다. UL/DL 구성 1에서의 한 예로서, 이하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이 2번, 3번, 7번 및 8번 서브프레임들에서만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FDD에 대해 언급되었던 8ms RTT(round trip time)가 이 경우에 대해서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0
CSI 피드백
채널 의존적 스케줄링에서 채널에서의 변동들을 이용하기 위해, LTE UE는 채널 상태 보고를 무선 기지국에 제공해야만 한다. 채널 상태 보고는 DL에서 전송되는 기지의 참조 심볼들에 기초한다. 채널 상태 보고는 이하의 정보 중 하나 또는 몇개를 포함한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1
RI(Rank indication): RI는 하향링크 전송에서 몇개의 계층들이 사용되어야만 하는지에 관한 eNB에 대한 추천이다. RI는 추천된 랭크가 전체 대역폭에 걸쳐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하나의 값에 불과하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2
PMI(Precoder matrix indication): PMI는 하향링크 전송에서 사용되어야만 하는 추천된 프리코더 행렬(recommended precoder matrix)을 나타낸다. 추천된 프리코더 행렬은 주파수 선택적(frequency-selective)일 수 있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3
CQI(Channel quality indication): CQI는 DL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가장 높은 변조 및 코딩을 나타낸다. CQI도 역시 주파수 선택적일 수 있고, 이는 대역폭의 상이한 부분들에 대해 다수의 CQI 보고들이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TE 네트워크는 주기적 및 비주기적 CSI 보고 둘 다를 요청할 수 있다. LTE 릴리스 8/9에서, 주기적 및 비주기적 보고 둘 다가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지만, LTE 릴리스 10에서, CSI 보고가 또한 전송 모드 9에 대해 사용되는 CSI-RS에 기초할 수 있다.
위치 결정(Positioning)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 이동 릴레이(mobile relay),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기타 등등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는 목표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몇가지 위치 결정 방법들이 존재한다. 적당한 측정 노드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 측정들을 사용함으로써 목표 디바이스의 위치가 결정된다. 위치 결정에 따라, 측정 노드는 목표 디바이스 자체, 별도의 무선 노드(즉, 독립형 노드), 목표 디바이스의 서빙 및/또는 이웃 노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유형의 측정 노드들에 의해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공지된 위치 결정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4
위성 기반 방법: 이 경우에, 항법 위성(navigational satellite)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해 목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은 목표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GNSS 또는 A-GNSS, 예컨대, A-GPS, 갈릴레오(Galileo), COMPASS, GANSS 등의 측정들은 UE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5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이 방법은 LTE에서 또는 HSPA에서의 SFN(Single Frequency Network)-SFN 유형 2에서 UE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 노드들로부터의 신호들의 도착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val)에 관련된 UE 측정들, 예컨대, UE 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측정을 사용한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6
UTDOA(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이는 UE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에 대해 측정 노드, 예컨대, LMU(Location Measurement Unit)에서 행해진 측정을 사용한다. LMU 측정은 UE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7
E-CID(Enhanced cell ID): 이는 UE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들 중 하나 이상, 예컨대, UE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UE Rx-Tx 시간차, BS Rx-Tx 시간차, 무선 기지국에 의해 측정된 TA(timing advanced), LTE RSRP/RSRQ, HSPA CPICH 측정들, CPICH RSCP / Ec/No, UE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에 대해 무선 기지국에 의해 측정된 AoA(Angle of Arrival) 등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한다. TA(Time Advance) 측정은 UE Rx-Tx 시간차 또는 BS Rx-Tx 시간차 또는 둘 다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8
하이브리드 방법: 이는 UE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위치 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획득된 측정들에 의존한다.
LTE에서, 위치 결정 노드[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 또는 위치 서버라고도 함]는 위치 결정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UE, 무선 기지국 또는 LMU를 구성한다. 위치 결정 측정들은 UE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UE에 의해 또는 측정 노드에 의해 또는 위치 결정 노드에 의해 사용된다. LTE에서, 위치 결정 노드는 LPP(LTE Position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UE와 통신하고,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nnex)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과 통신한다.
D2D(Device-to-Device) 통신
D2D 통신은 디바이스들 간의(예컨대, UE들의 쌍 또는 그룹 간의)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D2D 통신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관리될 수 있거나, D2D 통신에 관여된 UE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D2D UE들은 제어, 자원 할당 등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와의 통신 링크도 유지한다. D2D 통신은 UE와 무선 네트워크 노드 간의 셀룰러 통신을 위해 사용된 스펙트럼 또는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 있거나, 전용 스펙트럼 또는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이 셀룰러 기지국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인프라구조 노드를 통해 통신할 필요가 있는 것과 달리, 직접 D2D 통신의 가능성을 소개하는 몇가지 동기들이 있다.
D2D UE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되고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해 보통의 UE와 같이 무선 측정(예컨대, RSRP, RSRQ, UE Rx-Tx 시간차 등)을 수행한다. 그에 부가하여, D2D UE는 또한 그와 통신하는 상대방 D2D UE로 전송되는 및/또는 그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해 무선 측정을 수행한다. 이 D2D 특정 측정들이 또한 SINR, SNR, BLER(Block Error Ratio), RSRP, RSRQ, UE Rx-Tx 시간차 등과 유사하다.
사용자 장비 또는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측정이 때때로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되는 상이한 기술로부터의 간섭으로 인해 부정확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측정의 정확도를 개선시키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에서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사용자 장비는 디바이스내 공존(In Device Coexistent)(IDC) 가능하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비스된다.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추가로 수행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사용자 장비가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사용자 장비는 IDC 가능(IDC capable)하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비스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으로 사용자 장비를 구성한다. IDC 구성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에 의해 달성된다. 사용자 장비는 IDC 가능하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회로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사용자 장비가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되어 있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달성된다. 사용자 장비는 IDC 가능하고, 네트워크 노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으로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 회로를 포함한다. IDC 구성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장비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이것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측정의 정확도를 개선시킨다.
실시예들이 이제부터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ISM 대역 주위에 있는 3GPP 주파수 대역들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IDC 간섭 회피를 위한 DRX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HARQ 프로세스 예약의 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E-UTRAN에서의 RSRP 측정 평균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 개략적 개요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와 시그널링 방식을 결합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측정 샘플들 사이의 자율 거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거부에 대해 측정 순간들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거부 기간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측정 샘플링의 조절과 거부 기간의 조절을 결합시킨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IDC 신호에 따라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는 것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서의 방법을 나타낸 개략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를 나타낸 블록도.
도 14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을 나타낸 개략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통신 네트워크(1)(예컨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 개략적 개요이다. 통신 네트워크(1)는 하나 이상의 RAN들 및 하나 이상의 CN들을 포함하고, 단지 몇몇 가능한 구현들을 언급하자면, LTE, LTE-Advanced,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EDGE),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UMB(Ultra Mobile Broadband)와 같은 다수의 상이한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에서, 이동국 및/또는 무선 단말이라고도 알려진 사용자 장비(10)는 RAN(Radio Access Network)을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N)들과 통신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사용자 장비"가 셀 내에서 통신하는 임의의 무선 단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 또는 노드,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모바일(mobile), 센서, 릴레이, 모바일 태블릿 또는 심지어 소형 기지국을 의미하는 비제한적 용어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1)는 셀 영역들[예컨대, 무선 기지국(12)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11)]로 나누어져 있는 지리적 영역을 커버한다. 무선 기지국(12)은 또한, 예컨대,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 용어에 따라, 무선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 내의 사용자 장비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무선 기지국, NodeB,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 eNodeB),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Access Point Base Station), 기지국 라우터,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유닛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무선 기지국(12)은 셀(11)과 같은 하나 이상의 셀들에 서비스할 수 있다.
셀은 기지국 사이트에 있는 무선 기지국 장비에 의해 무선 커버리지가 제공되는 지리적 영역이다. 셀 정의는 또한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들 및 무선 액세스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2개의 상이한 셀들이 동일한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지만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셀은 셀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로컬 무선 영역 내에서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다. 전체 통신 네트워크(1)에서 셀(11)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다른 식별자가 또한 셀(11) 내에서 브로드캐스트된다. 무선 기지국(12)은 무선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공중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기지국(12)의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 장비(10)와 통신한다. 사용자 장비(10)는 UL 전송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기지국(1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 기지국(12)은 하향링크(DL) 전송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비(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게다가, 통신 네트워크(1)는 사용자 장비(10)의 위치 결정 또는 위치 관련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결정 노드(13)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다른, 상이한 또는 제2 무선 기지국(14)이 또한 통신 네트워크(1)에 포함되어 있다. 제2 무선 기지국(14)은 다른 또는 상이한 셀인 제2 셀(15)[예컨대, 셀(11)에 이웃하는 셀]에 걸쳐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무선 기지국들(12, 14) 및 위치 결정 노드(13) 모두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이다. 네트워크 노드의 다른 예로는 SON(Self-Organizing Network) 노드,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s) 노드 등이 있다.
통신 네트워크(1)의 일부 버전들에서(예컨대, UMTS에서), 몇개의 기지국들이 전형적으로, 그에 연결된 복수의 기지국들의 다양한 활동들을 감독하고 조율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또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와 같은 제어기 노드(도시 생략)에 예컨대, 지상선들 또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RNC들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들에 연결된다. 그렇지만,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LTE 네트워크에서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10)는 IDC(In Device Coexistence) 가능한데, 즉, 사용자 장비(10)에서 상이한 기술들의 전송 및 수신 간의 간섭을 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섭 회피 해결책들을 사용할 때, 앞서 기술한 바와 상이한 측정들이 비-IDC 경우에 대한 측정 정확도를 충족시켜야만 한다. 환언하면, 간섭 회피 해결책이 측정들에 대해 투명(transparent)해야만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섭 회피 해결책이 사용될 때, 어떤 UL 또는 DL 서브프레임들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스킵될 수 있다. 이것은 보다 낮은 정확도를 야기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측정들이 한 세트의 수신된 심볼들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성능 열화를 가져올 수 있고 또한 측정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가 IDC 가능하다는 것은, 하나의 무선 기술이 동일한 디바이스[즉, 사용자 장비(10)]에서 다른 무선 기술들에 대한 간섭을 거의 또는 전혀 야기하지 않도록, 사용자 장비(10)가 하나의 무선 기술로의 신호들의 전송(TX) 및 그로부터의 신호들의 수신(RX)을 처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IDC 간섭 완화 방법들은, 다른 무선 기술에서 동작하고 있는 송수신기를 보호하기 위해, 하나의 무선 기술에서의 사용자 장비(10)에서의 UL 및/또는 DL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사용자 장비(10) 또는 네트워크 노드가 규칙적으로 행하고 있는 측정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통신 네트워크(1)의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양한 동작들(예컨대, 이동성, 위치 결정 등)을 위해 측정들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IDC 시나리오 하에서의 측정들이 적절히 수행되도록 보장하는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장비(10)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본 명세서에서 무선 기지국(12) 또는 위치 결정 노드(13)로서 예시되어 있음]가, 특정한 규칙들 또는 조건들이 충족될 때,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방법들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들은 사전 정의된 규칙들 및/또는 사전 정의된 요구사항들을 포함한다. 이 규칙들 및/또는 요구사항들은 또한, 예컨대, 특정한 주파수 대역들(예컨대, 대역 40, 대역 7 등)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10)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무선 측정에 관계된 요구사항들(측정 요구사항, 성능 요구사항, 기타라고도 함)의 예로는 셀 식별 지연, CGI 보고 지연, 측정 기간, 측정 보고 지연, 측정 보고 시간, UE 전송 타이밍 정확도, 측정 정확도, RLM에서의 비동기의 평가 기간, RLM에서의 동기의 평가 기간, UE 전송 타이밍 정확도 등이 있다.
이 요구사항들은 또한 성능 지수(performance figure) 또는 성능 요구사항 또는 측정 요구사항 등이라고 바꾸어 불리울 수도 있다. 이 요구사항들은 측정, 절차의 유형(예컨대, 핸드오버, 위치 결정 등)에 의존한다.
사전 정의된 요구사항들 중 임의의 것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자 장비(10)는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들 또는 절차들에 적응시켜야만 할지도 모른다(예컨대, 측정 샘플링의 적응,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의 적응 등). 무선 동작들을 적응시키지 않는 UE는 적합성 테스트(conformance testing)에 의해 검증되는 사전 정의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측정들은 신뢰할 수 없고, 통신 네트워크(1)의 성능이 감소될 것이다. 그렇지만,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무선 기지국(12), 위치 결정 노드(13)]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으로(예컨대, IDC 서브프레임 패턴, 자율 거부 파라미터 등으로)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한다. IDC 구성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장비(10)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10)는 이어서,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한다. 사용자 장비(10)를,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걸쳐 X개 미만의 거부 서브프레임"과 같은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IDC 구성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지 그러면 무선 측정은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고, 측정이 신뢰성있도록 보장한다.
도 6은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서의 일부 실시예들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와 시그널링 방식을 결합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사용자 장비(10)는 IDC 처리를 할 수 있고, 통신 네트워크(1)에서의 네트워크 노드[도 6에서 무선 기지국(12)으로서 예시되어 있음]에 의해 서비스된다. 동작들이 이하에서 언급되는 순서로 취해질 필요가 없고,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취해질 수 있다.
동작(600). 무선 기지국(12)은 진행 중인 무선 프로세스들 또는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무선 프로세스들 - 이 무선 프로세스들은 사용자 장비(10)와 연관되어 있음 - 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601). 사용자 장비(10)는 IDC를 처리할 수 있는 그의 능력을 무선 기지국(12)에 보고할 수 있다. 이 능력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10)는, 이전의 섹션들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IDC 시나리오들로 구성될 때, 사용자 장비(10)가 사전 정의된 규칙들 및 사전 정의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를 무선 기지국(12)에 통보하기 위해, 관련 능력 정보를 무선 기지국(12)에 알려주거나 제공한다.
무선 기지국(12)으로 송신되는 능력 정보는 또한, 예컨대, 다음과 같은 부가의 또는 특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자 장비(10)가 특정의 IDC 시나리오들에서만(예컨대, 특정한 외부 무선 시스템이 셀룰러와 공존하는 GNSS일 때)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 및/또는 앞서 개시된 규칙들 및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사용자 장비(10)가 특정한 주파수 대역들(예컨대, LTE 대역 40, LTE 대역 7 등)에 대해서만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 및/또는 앞서 개시된 규칙들 및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사용자 장비(10)가 특정의 IDC 해결책들(예컨대, 자율 거부,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 DRX 기반 해결책 등)에 대해서만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 및/또는 앞서 개시된 규칙들 및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사용자 장비(10)가 D2D 통신 모드에 있을 때에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 및/또는 이전의 섹션에서 개시된 규칙들 및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사용자 장비(10)가 단일 반송파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만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 및/또는 이전의 섹션에서 개시된 규칙들 및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사용자 장비(10)가 단일 반송파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만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 및/또는 앞서 개시된 규칙들 및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 사용자 장비(10)가 다중 반송파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도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 및/또는 앞서 개시된 규칙들 및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이는 또한 사용자 장비(10)가 UL 및/또는 DL 다중 반송파 동작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특정한 UE들이 또한 특정한 유형의 다중 반송파 동작[예컨대, 대역내 연속적 CA(intra-band 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대역간 CA(inter-band CA), 대역내 비-연속적 CA(intra-band non-contiguous CA) 등]에서만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는 것 및/또는 앞서 개시된 규칙들 및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는 다음과 같은 방식 중 임의의 것으로 능력 정보(즉, 지원되는 방식에 관계되어 있음)를 무선 기지국(12)으로 송신할 수 있다:
- 예컨대, 서빙 네트워크 노드 또는 제2 무선 기지국(14)과 같은 임의의 목표 네트워크 노드인 무선 기지국(12)으로부터 어떤 명시적 요청도 수신하지 않는 경우의 사전 대응적 보고(proactive reporting);
- 예컨대, 서빙 네트워크 노드 또는 제2 무선 기지국(14)과 같은 임의의 목표 네트워크 노드인 무선 기지국(12)으로부터 어떤 명시적 요청을 수신할 시의 보고. 명시적 요청은 네트워크에 의해 언제라도 또는 임의의 특정의 시기에 사용자 장비(1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력 보고에 대한 요청이, 초기 설정 동안 또는 셀 변경(예컨대, 핸드오버), RRC 연결 재설정, 리디렉션에 의한 RRC 연결 해제, CA에서의 PCell 변경, PCC(Primary Component Carrier)에서의 PCC 변경, 기타 등등 후에, 사용자 장비(10)로 송신될 수 있다.
사전 대응적 보고의 경우에, 사용자 장비(10)는 다음과 같은 시기들 중 하나 이상 동안 그의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초기 설정 또는 호 설정 동안, 예컨대, RRC 연결을 설정할 때; 셀 변경, 예컨대, 핸드오버,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주 반송파 변경, 다중 반송파 동작에서의 PCell 변경, RRC 재설정, 리디렉션에 의한 RRC 연결 해제, 기타 동안.
동작(602). 무선 기지국(12)은, 예를 들어, 수신된 능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10)에 대한 IDC 구성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IDC 구성은 수신된 능력에 기초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12)은 일관성있는 사용자 장비 거동을 보장하게 될 그리고/또는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도록 보장하게 될 규칙에 따라 IDC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603). 무선 기지국(12)은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으로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하고, 이 IDC 구성은, 앞서 결정된 바와 같이,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장비(10)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을 무선 기지국(12)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2)은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을 사용자 장비(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604). 사용자 장비(10)는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거부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특정한 시간 구간 내에 사전 설정된 거부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605). 사용자 장비(10)는 이어서,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10) 및 무선 기지국(12) 둘 다는 규칙적으로 및 시간상 다수의 수신된 샘플들에 기초하여 무선 측정을 행하고 있다. 사용자 장비(10)가 어떤 서브프레임들을 자율적으로 거부할 때, 무선 측정이 보다 적은 수의 샘플들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무선 측정이 측정 기간[물리 계층(L1) 측정 기간이라고도 함]에 걸친 측정 정확도와 같은 특정한 사전 정의된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예를 들어, RSRP는 비-DRX에서 200 ms에 걸친 측정이고, 특정한 측정 정확도(예컨대, 90% 신뢰 구간에서 ±6 dB)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특정한 서브프레임들 또는 시간 인스턴스들의 펑처링(puncturing)으로 인한 부적절한 수의 샘플들로 인해, 진행 중인 측정의 정확도가 보장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부가 사용자 장비(10) 및 무선 기지국(12)에서의 측정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DL 및 UL 서브프레임들 둘 다에 대한 것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또한 전송된 신호들에 대해 행해지는 사용자 장비(10)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측정들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전송한 신호 및 사용자 장비가 전송한 신호에 대해 BS Rx-Tx 시간차가 측정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10)가 자율 거부로 인해 전송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시간 인스턴스들에서, 무선 기지국(12)은 BS Rx-Tx 시간차 측정을 수행할 수 없다.
사전 정의된 규칙들 및/또는 요구사항들의 몇가지 예들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10) 및/또는 무선 기지국(12)은, 규칙/요구사항들에 따라, 그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10)가, 특정한 조건들이 충족되기만 한다면, 측정들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조건들의 예는 특정의 "간섭 회피 해결책"(예컨대, DRX 기반 해결책,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 거부에 기초한 UE 자율 해결책, 기타)에 관계된 파라미터들의 값들이다. 앞서 언급한 요구사항들의 예는 측정 기간, DRX에서 및 비-DRX에서 RLM 비동기 및 동기에서 사용되는 평가 기간들, 기타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10)가 네트워크에 의해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IDC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예컨대, 자율 거부 관련 파라미터 "autonomousDenialSubframes"가 20 ms 이하일 때; 및/또는 자율 거부 관련 파라미터 "autonomousDenialValidity"가 1초 이하일 때; 또는 자율 거부 관련 파라미터 "autonomousDenialSubframes"가 전체 범위(예컨대, 30 ms) 또는 임의의 값 이하일 때; 및/또는 자율 거부 관련 파라미터 "autonomousDenialValidity"가 전체 범위(예컨대, 2 s) 또는 임의의 값 이하일 때, 요구사항들이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10)가 네트워크에 의해 특정한 autonomousDenialValidity 지속기간(예컨대, 1초)에 걸쳐 특정한 값(예컨대, 20 ms) 이하인 autonomousDenialSubframes로 이루어지는 IDC 구성으로 구성되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특정의 예에서, 사용자 장비(10)가 네트워크에 의해, 예컨대,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에 대해 사용되는 또는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특정한 IDC 서브프레임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예컨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IDC 서브프레임 패턴은 기간마다(예컨대, 프레임마다) 적어도 특정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E-UTRAN을 위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음(예컨대, IDC 패턴에서 모든 프레임에 특정한 수의 '1'이 있음)], 요구사항들(예컨대, DRX에서 및 비-DRX에서 RLM 비동기 및 동기에서 사용되는 평가 기간들, 기타)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IDC 서브프레임 패턴은 무선 프레임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E-UTRAN을 위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환언하면 10개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서, E-UTRAN이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을 중지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패턴의 예는 다음과 같다: [1000000000, 1000000000, 1000000000, 1000000000].
어떤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10)가 네트워크[예컨대, 무선 기지국(12)]에 의해 특정한 IDC 관련 방식으로 구성될 때, 제2 요구사항 세트가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충족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10)가 제1 요구사항 세트를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요구사항 세트는 제1 요구사항 세트보다 더 완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구사항 세트는 제1 요구사항 세트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더 긴 측정 기간에 의해 특징지워질 수 있다(예컨대, 제2 세트 및 제1 세트가, 각각, 400 ms 및 200 ms의 측정 기간을 사용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또한, 하나 이상의 IDC 방식으로(예컨대, IDC 서브프레임 패턴,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 기타로) 구성될 때, 사용자 장비(10)가 특정한 측정(예컨대, RLM 비동기 및/또는 동기)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에, 상기 측정의 측정 기간(예컨대, 비동기 및/또는 동기 RLM 평가 기간)이 IDC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측정 기간이, IDC 갭이 없는 경우와 동일(즉, 200 ms)할 수 있지만, 다른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요구사항들이 완화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측정될 필요가 있는, 식별된 셀들의 수(즉, RSRP/RSRQ 측정의 수)가, 예컨대, 8개의 셀로부터 6개의 셀로 감소된다. 셀들의 정확한 감소는 UE 수신기가 측정을 행하기 위해 활성이도록 보장되는 활성 또는 이용가능 시간의 함수인 표현식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사용자 장비(10)가 측정을 하는 데 이용가능한 무선 시간이 IDC 갭의 시간[즉, 하나 이상의 TDM 해결책(예컨대, 자율 거부,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 기타)에 의해 생성된 유휴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 규칙은 특정한 측정들에 대해서만 및/또는 특정한 사전 정의된 요구사항들에 대해 또는 모두에 대해 적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구사항 세트가 특정한 조건들 하에서, 예컨대, 사용자 장비(10)가 네트워크에 의해
Figure 112015041370229-pct00019
예컨대,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에 대해 사용되는, IDC 서브프레임 패턴으로, 및/또는
Figure 112015041370229-pct00020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예컨대, autonomousDenialValidity, autonomousDenialSubframes, 기타)로 구성되어 있을 때,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요구사항 세트 또는 특정한 요구사항 세트가, 사용자 장비(10)가 네트워크에 의해
Figure 112015041370229-pct00021
예컨대,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에 대해 사용되는, IDC 서브프레임 패턴으로, 예컨대, LTE 동작을 위해 이용가능한 매 20 ms마다 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및/또는
Figure 112015041370229-pct00022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과 연관된 특정한 파라미터 값들(예컨대, autonomousDenialValidity > 1초, autonomousDenialSubframes > 20 ms, 기타)로 구성되어 있을 때]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예에 따르면, 무선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사용되는 측정 갭과 IDC 동작(예컨대,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 자율 거부, 기타)으로 인해 생성된 갭 둘 다가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동시에 구성되거나 사용될 때 그들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규칙들이 사전 정의되어 있다. 그 유형의 갭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복되는 경우에 특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측정 갭이 네트워크 구성 갭(network configured gap)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측정 갭이, 예컨대, 셀의 CGI를 판독하기 위한, UE 자율 갭(UE autonomous gap)일 수 있다. 사전 정의된 규칙들은 일관성있는 UE 거동을 보장할 것이고, 네트워크가 규칙에 따라 사용자 장비(10)로부터의 예상된 결과들을 알 수 있게 할 것이고,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가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몇몇 특정의 예들이 이하에서 제공된다:
- 하나의 예에서, 사전 정의된 규칙은 사용자 장비(10)가 네트워크에 의해 하나 이상의 IDC 관련 방식들로 구성되어 있을 때 그리고 사용자 장비(10)가 또한 측정 갭을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라고 요청받을 때, 사용자 장비(10)가 측정 갭보다 IDC를 위해 생성된 갭 또는 유휴 시간에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하는 것(즉, IDC를 위해 생성된 갭 또는 유휴 시간을 측정 갭보다 우선시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10)가 갭 동안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그 대신에, 디바이스내 외부 무선 시스템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IDC를 위한 갭을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IDC를 위해 생성된 갭 또는 유휴 시간이, 측정 갭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복할 때에만,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우선순위를 부여받는 것이 또한 규정되어 있을 수 있다.
- 이전의 예와 반대인 제2 예에서, 사전 정의된 규칙은 사용자 장비(10)가 네트워크에 의해 하나 이상의 IDC 관련 방식들로 구성되어 있을 때 그리고 사용자 장비(10)가 또한 측정 갭을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라고 요청받을 때, 사용자 장비(10)가 IDC를 위해 생성된 갭 또는 유휴 시간보다 측정 갭에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하는 것(즉, IDC를 위해 생성된 갭 또는 유휴 시간보다 측정 갭을 우선시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10)가 측정 갭 동안 측정을 수행할 것이고 디바이스내 외부 무선 시스템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IDC를 위한 유휴 갭을 생성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측정 갭이 IDC를 위해 생성된 갭 또는 유휴 시간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복할 때에만 측정 갭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우선순위를 부여받는 것이 또한 규정되어 있을 수 있다.
측정 갭이 IDC 구성(예컨대, IDC 서브프레임 패턴, 자율 거부 구성, 기타)으로 인해 생성된 유휴 시간 또는 갭과 중복하지 않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측정 갭(예컨대, 네트워크 구성 갭, 자율 갭, 기타)에서 수행되는 측정에 관계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 또한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갭에서 행해지는 측정의 예는 주파수간, RAT간, 기타이다. 이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무선 기지국(12)이 측정 갭을 구성하거나 갭을 필요로 하는 측정을 구성하는 것(예컨대, 셀의 CGI 획득)이 갭 및 IDC를 필요로 하는 측정(들)을, 측정 갭이 IDC로 인한 유휴 시간 또는 갭과 중복하거나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데 필요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12)은 갭을 필요로 하는 측정을 연기시킬 수 있거나, IDC 구성을 연기시킬 수 있다. 어느 것을 연기시킬지를 결정하는 결정은 시나리오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중요한 측정(예컨대, 핸드오버 실패의 위험으로 인한 핸드오버를 위한 측정, 응급 호출을 위한 위치 결정, 기타)이 필요한 경우, 무선 기지국(12)은 IDC보다 갭을 필요로 하는 측정을 구성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IDC를 위해 생성된 갭 또는 유휴 시간과 측정 갭 사이의 우선순위 레벨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일관성없는 UE 거동을 가져오고, IDC 간섭 그리고 또한 갭에서의 측정의 실패 둘 다를 야기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12)은 또한 사용자 장비(10)를 양쪽 IDC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즉, IDC를 위한 갭 및 측정을 위한 측정 갭을 허용함). 이것은 또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고, 사용자 장비(10)에서의 처리 및 복잡도를 증가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DC 갭이 위치 결정 측정이 수행되는 참조 신호와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하거나 충돌하지 않기만 한다면, IDC 갭이 생성될 때(예컨대, IDC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이 구성될 때), 사용자 장비(10)가 위치 결정 측정 요구사항들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규칙 또는 조건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 결정 측정의 예는 OTDOA RSTD 주파수내 RSTD 측정, 주파수간 RSTD 측정, 기타이다. 또 다른 예는 UTDOA(UL Time Difference of Arrival) 측정[예컨대, UL RTOA(Relative Time of Arrival)]이다. 대응하는 요구사항들은 RSTD 측정 기간, RSTD 측정 정확도, RTOA 측정 기간, 기타이다.
RSTD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가 특정한 주기성으로 구성된다[예컨대, 하나의 PRS 시기가 특정한 PRS 시기 주기성(certain PRS occasion periodicity)(예컨대, 매 640 ms, 1280 ms, 기타마다 하나의 시기)으로 PRS와 함께 최대 7개의 DL 서브프레임을 전달할 수 있음].
이와 유사하게, LMU에 의해 행해지는 RTOA 측정에 대해, 사용자 장비(10)는 특정한 주기성을 갖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IDC 갭이 PRS와 중복하지 않는 방식으로 IDC 방식이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 장비(10)는 OTDOA RSTD 요구사항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IDC 갭 및 PRS 서브프레임이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다른 예에서, 사용자 장비(10)는 PRS 시기에서 RSTD 측정을 위해 이용가능한 PRS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대해서만 RSTD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킨다.
위치 결정 측정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행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즉, 네트워크 노드)는, IDC 갭이 위치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들과 중복하지 않거나 적어도 완전히 중복하지는 않도록, 하나 이상의 IDC 방식이 파라미터들(예컨대, IDC 서브프레임 패턴,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 기타)로 구성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동작(606).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기지국(12)은, 수신된 능력에 기초하여, 측정의 유형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 또는 조치들을 수행한다. 획득된 능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 또는 조치들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1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작업들은 절차의 선택, 측정, 스케줄링, 이동성 등에 관계된 구성 메시지에서의 파라미터의 적응을 포함한다. 무선 동작 작업의 하나의 예는 사용자 장비(10)를 특정한 유형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지 여부에 대한 무선 기지국(12)에서의 결정이다. 예를 들어, 능력에 따라, 무선 기지국(12)은 가장 적당한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10)가 자율 거부 하에서만 절차들의 적응을 지원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이 방법을 사용할 것이고 또한 사용자 장비(10)를 특정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것이다. 다른 방법들(예컨대, HARQ 기반 해결책)에 대해, 네트워크는, 아주 중요한 측정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및/또는 무선 기지국(12)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때, 그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 장비(10)가 이 방식(HARQ 기반 해결책)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예컨대, 응급 상황에서 위치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아주 중요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자율 거부가, 하나 이상의 무선 측정들에 관계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 거부의 적응은 무선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 기간, 측정 샘플들의 수, 측정 샘플링 레이트, 측정 샘플 크기 등과 같은 파라미터들에 의존할 수 있다.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 기간(71)이 측정 샘플링 기간보다 더 작은 경우, 사용자 장비(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순간들 사이에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샘플링 레이트 T는 매 40 ms마다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획득되는 하나의 2ms 길이의 측정 샘플을 포함한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수의 면에서 요구된 총 거부의 양이 30개의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10)는, 자율 거부가 측정 샘플링 순간들과 일치하지 않고 오히려 연속적인 측정 샘플들 내에 있도록, 자율 거부를 적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샘플들이 절감되고, 측정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 장비(10)가, 측정 기간을 연장시키는 일 없이, 기존의 측정 기간에 걸쳐 진행 중인 측정의 측정 정확도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측정의 성능이 열화되지 않고, 측정에 의존하는 핸드오버와 같은 대응하는 기능이 열화되지 않는다.
사용자 장비(10)는 그의 자율 거부를 적응시킬 수 있고, 그로써 자율적으로 거부된 서브프레임(즉, 전송 및/또는 수신이 없는 갭)과 측정 샘플 간의 충돌을 회피하고 따라서 측정 성능을 열화시키는 것을 회피한다.
사용자 장비(10)가 거부하는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측정 샘플링 기간보다 더 큰 경우, 사용자 장비(10)는 측정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샘플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일부 실시예들은 거부 서브프레임 기간에 기초하여 측정을 위한 샘플링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샘플링 순간(81)은, 거부 기간(82)이 끝난 후에 일어나도록, T1만큼 지연되어 있다. 이전에는, UE가 샘플링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즉, 샘플들이 시간상 등거리로 위치해 있음).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10)는 적어도 특정한 측정 샘플들을 비주기적으로 획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거부 기간(82)이 30 ms이지만 측정 샘플링 레이트가 매 20 ms마다 1 샘플인 경우, 사용자 장비(10)는 거부 기간(82)과 중복하게 될 어떤 측정 샘플도 취하지 않을 것이고, 그 대신에, 거부 기간(82)이 끝나고 나서 T2 후에, 하나 이상의 샘플을 보다 빈번하게, 예컨대, 매 10 ms마다 한번씩 취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측정 샘플링의 적응은 거부 기간(82) 이전에 또는 그 이후에 행해질 수 있다.
도 9는, 통합된 거부 기간(aggregated denial period)이 연속적인 측정 샘플링 순간들 사이의 시간보다 더 큰 경우에, 측정들의 샘플링 시간 T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거부 기간을 조절하는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있다. 이것은, 통합된 거부 기간이 샘플링 기간보다 훨씬 더 큰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10)가 이전의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을 따르는 경우, 사용자 장비(10)는 몇개의 샘플들의 조절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실시예는 총 필요 거부 기간이 20 ms인 반면, 측정 샘플링 기간이 10 ms(예를 들어, 1 ms 샘플이 매 10 ms마다 한번 취해짐)인 것을 고려하고 있다. 이 실시예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10)는 그의 거부 기간을 각각이 5 ms의 시간 구간 T인 4개의 그룹(거부 기간 - 1 내지 거부 기간 - 4)으로 분할하고 그들 각각을 연속적인 측정 샘플들 사이에 생성할 수 있다. 이것이 도 9에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10)는 또한 샘플링 기간을 조절하는 방법들(즉, 도 8에 도시됨)과 거부 기간을 조절하는 방법(도 9에 도시됨)의 조합을 적용할 수 있다. 측정 샘플링의 조절과 거부 기간의 조절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10)는 총 거부 서브프레임들을 3개의 그룹(거부 기간 - 1 내지 거부 기간 - 3)으로 분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가 측정 샘플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하나의 10 ms 거부 기간 및 연속적인 측정 샘플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나머지 2개의 거부 기간(각각이 5 ms임).
기술된 적응 방식 중 임의의 것에 따라 하나 이상의 측정을 수행한 후에, 사용자 장비(10)는 수행된 측정을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을 위해 사용할 것이고; 이러한 작업들의 예는 셀 선택, 셀 재선택, 측정 결과를 이동성, 위치 결정 등을 위해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것이다. 사용자 장비(10)는 또한, 그에 부가하여, 거부 시간, 측정 샘플링 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임의의 것을 적응 또는 조절했다는 것을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적응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무선 동작의 예는 데이터의 스케줄링, 측정을 수행하는 것, 측정 요청을 송신하는 것 등이다. 한 예로서, 유효 기간 내의 최대 수의 거부가 소비(consume)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어떤 서브프레임 거부에 관해서도 걱정하지 않고, 유효 기간의 나머지 부분 동안 사용자 장비(10)(즉, D2D UE의 경우에 UE1)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한, 한 기간 내에 많은 수의 거부가 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유효 범위의 나머지 부분 동안 보다 공격적으로[예컨대, 사용자 장비(10)로 송신할 보다 많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 연속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기간의 나머지 기간(1101) 전체에 걸쳐 무선 측정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이 초기 200 ms에서 행해지는 경우, 측정 기간이 연장될 필요가 있을 수 있지만; 나머지 800 ms에서 행해지는 경우,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
이전의 섹션들에서, IDC 시나리오에서의 하나 이상의 절차들(예컨대, 측정 샘플링, IDC 구성 등)의 적응에 관계된 방법들이 UE 자율 거부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UE 자율 거부는 IDC 시나리오에서[즉, 셀룰러 시스템(예컨대, LTE 대역 40) 및 외부 무선 시스템(예컨대, ISM 대역)이 동일한 무선 디바이스 상에 공존할 때] 사용되는 TDM 방식들 중 하나이다. 그렇지만, 원칙적으로, 이전의 개시 내용에 개시된 방법들은 사용자 장비(10)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특정한 서브프레임들에서 동작, 수신 및/또는 전송하지 않고, 그 대신에, 그 시간을 외부 무선 시스템들(예컨대, GPS, WLAN 등)을 위해 사용하는 임의의 유형의 TDM 방식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에서와 같이 IDC 시나리오에 관계된 다른 TDM 방식에서, 다수의 LTE HARQ 프로세스들 또는 서브프레임들이 LTE 동작을 위해 예약되어 있고,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은 외부 무선 시스템(예컨대, ISM/GNSS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LTE 동작을 위해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들 및 외부 무선 시스템 동작을 위해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들의 실제 수는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은 네트워크에 의해 TS 36.331 Rel-11, v. 11.1.0 섹션 5.6.9 및 섹션 6.2.1에 정의된 "IDC 서브프레임 패턴"이라고 불리는 서브프레임들의 패턴을 구성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는 외부 무선 시스템을 위한 그리고 LTE 사용을 위한 서브프레임들을 정의한다. 패턴은, 예컨대, FDD에 대해서는 40 ms이고 LTE TDD에 대해서는 70, 10 및 60 ms이다. 환언하면, 사용자 장비(10)는 LTE 신호들의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한 제한된 서브프레임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HARQ 프로세스 예약 기반 해결책을 사용할 때, D2D UE를 또한 커버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10)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가 또한 앞서 기술한 규칙들에 따라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사용자 장비(10) 및 네트워크 노드가 사전 정의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하고 IDC 시나리오가 동작 중일 때 양호한 성능을 보장할 것이다. 방법들이 또한 IDC 시나리오에서 사용되는 DRX 기반 해결책에 적용된다.
아주 중요한 순간 동안 IDC 갭을 회피하는 방법
몇몇 아주 중요한 시나리오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IDC 방식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사용자 장비(10)는 IDC 요청을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사용자 장비(10)가 IDC 방식(예컨대, IDC 서브프레임 패턴,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 기타)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장비(10)는 IDC 갭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주 중요한 순간 동안 IDC 갭을 회피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10)는 아주 중요한 시나리오 또는 조건이 끝날 때까지 요청을 송신하거나 IDC 갭을 적용하는 것을 기다릴 수 있다. 아주 중요한 시나리오들의 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23
사용자 장비(10)가 데이터, 서비스, 지연에 엄격한 서비스(delay stringent service)(예컨대, VOIP) 등을 높은 우선순위로 수신 및/또는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되어 있을 때.
Figure 112015041370229-pct00024
사용자 장비(10)가 아주 중요한 상태(예컨대, 진행 중인 응급 호출, 응급 위치 결정 세션 등)에 있을 때.
IDC 갭이 생성되지 않은 또는 IDC 방식이 구성되지 않은 아주 중요한 시나리오들이 사전 정의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장비(10)에 통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10)에서의 방법 동작들이 이제부터 도 1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동작들이 이하에서 언급되는 순서로 취해질 필요가 없고,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취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이 파선 박스들로 표시되어 있다.
동작(1201). 사용자 장비(10)는 사용자 장비(10)의 능력을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이 능력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동작(1202). 사용자 장비(10)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동작(1203). 사용자 장비(10)는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은 M개 이하의 IDC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이 특정한 IDC 자율 거부 유효 기간에 걸쳐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특정한 IDC 서브프레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M개의 서브프레임들이 특정한 기간에 걸쳐 E-UTRAN 동작을 위해 이용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 어느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패턴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1204). 사용자 장비(10)는,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한다. 특정한 조건은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특정한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의 예는 autonomousDenialSubframes 및 autonomousDenialValidity이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10)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장비(10)는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10)는 IDC 가능하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10)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RX)(1301)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10)는,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회로(1302)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한 조건은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예컨대, 특정한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은 M개 이하의 IDC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이 특정한 IDC 자율 거부 유효 기간에 걸쳐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특정한 IDC 서브프레임 패턴을 포함한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M개의 서브프레임들이 특정한 기간에 걸쳐 E-UTRAN 동작을 위해 이용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E-UTRAN이 어느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패턴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는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회로(130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사용자 장비(10)는, 예컨대, 능력의 보고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장비(10)의 능력을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도록 구성된 보고 회로(13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능력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사용자 장비(10)는 송신기(TX)(1305)를 포함한다. 송신기(1305) 및 수신기(1301)는 사용자 장비(10)에서 송수신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의 기능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와 함께, 도 13에 도시된 사용자 장비(10) 내의 처리 회로(1306)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10)에 로드될 때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담고 있는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캐리어(carrier)는 CD ROM 디스크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는 메모리 스틱과 같은 다른 데이터 캐리어들로 실현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게다가 서버 상의 순수 프로그램 코드로서 제공되고 사용자 장비(10)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는 그리고, 예를 들어, 조건들, 요구사항들, 측정들, 능력과 같은 데이터, 사용자 장비 상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메모리(1307)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변형례에 따르면,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자율 거부가 적용될 수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10)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a) 사용자 장비(10)에서 측정들에 대한 조건들을 결정하는 단계; b) 요구사항들이 충족되는 경우, 자율 거부 시간을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측정 시간에 기초하여 자율 거부가 적용될 수 있을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10)가 제공되고, 프로세서는 a) 사용자 장비(10)에서 측정들에 대한 조건들을 결정하고; b) 요구사항들이 충족되는 경우, 자율 거부 시간을 적응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DL 또는 UL 시간에서의 비활동 기간에 기초하여 무선 측정들을 위한 샘플링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10)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10)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도면들에서 무선 기지국(12) 및/또는 위치 결정 노드(13)(D2D 사용자 장비일 수도 있음)라고 지칭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동작들이 이제부터 도 1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동작들이 이하에서 언급되는 순서로 취해질 필요가 없고,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취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이 파선 박스들로 표시되어 있다.
동작(1401). 네트워크 노드는 진행 중인 무선 동작들 또는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무선 동작들을 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노드는 이어서 이하의 동작(1404)에서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할 때 진행 중인 무선 동작들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진행 중인 또는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10)에 의한 허용 거부 시간(allowed denial time)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무선 동작들의 예는 사용자 장비(10)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측정, 데이터(예컨대, 상위 우선순위 데이터)의 스케줄링, 진행 중인 서비스(예컨대, 응급 호출)의 중요도(criticality level), 위치 결정 세션 등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서빙 eNode B)는 자율적으로 거부된 서브프레임들의 최대 수 및 거부된 서브프레임들이 카운트되는 유효 기간을 알려준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진행 중인 무선 동작들이 있는 경우 또는 그 동작들이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10)에 서비스하는 서빙 무선 노드는 사용자 장비(10)로 송신되는 IDC 구성을 적응시킨다. IDC 구성은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 및 자율 거부 유효 필드(autonomous denial validity field)들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들을 고려하는 IDC 구성의 적응은 다음과 같은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25
IDC 구성을 특정한 지연을 갖게 송신하는 것: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사용자 장비(10)가 진행 중인 무선 동작을 완료했을 때 이것이 지연을 갖게 송신될 수 있다. 지연은 무선 동작들의 유형(예컨대, 데이터의 스케줄링, 측정, 위치 결정 세션 등)에 의존한다. 동작 작업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것인 경우, 보다 짧은 지연(예컨대, 10 ms)이 필요할 수 있다. 그것은 네트워크 노드가 먼저 데이터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스케줄링하고 이어서 거부를 허용하는 IDC 구성을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측정을 위해 그리고 상세하게는 위치 결정 측정을 위해, 지연이 더 길 수 있다(예컨대, 200 ms 내지 1초).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노드가 적어도 UE UL 신호들에 대해 자체적으로 측정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노드는 IDC 구성을 사용자 장비(10)로 송신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26
제한된 구성 파라미터(들) 값을 갖는 IDC 구성을 송신하는 것: 이 경우에,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10)가 제한된 구성(예컨대, 거부 서브프레임의 총수가 10 이하임)을 가질 수 있게만 할 수 있다. 진행 중인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어야 하는 동작들(측정 등)에 대해 구성 파라미터들이 적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 중인 무선 동작들에 대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생성된 유휴 서브프레임들의 영향이 감소되거나 최소화될 것이다. 따라서, 성능 열화가 감소될 수 있다.
Figure 112015041370229-pct00027
IDC 구성을 지연을 갖게 송신하는 것과 제한된 구성 파라미터(들) 값을 갖는 IDC 구성을 송신하는 것의 결합: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동작 작업들이 보다 긴 기간에 걸쳐 수행될 때(예컨대, 스케줄링에 뒤이은 무선 측정 등),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가, 예컨대, 무선 기지국(12) 및/또는 사용자 장비(10)인 경우, IDC 구성을 언제 적응시킬지 및 어떤 유형의 적응이 적용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할 때,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다른 노드들로부터[예컨대, 위치 결정 노드(13)로부터] 수신된 무선 작업들에 관계된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 노드(13)로부터 수신된 위치 결정에 관계된 정보(예컨대, E-CID, OTDOA 등) 및/또는 사용자 장비(10)로부터의 지시 및/또는 계층간 통신(cross layer communication)에 의해[예컨대, LTE에서 사용자 장비(10)와 위치 결정 노드(13) 사이에서 송신된 LPP 메시지들을 판독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 지시.
동작(1402).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10)의 능력을 나타내는 보고를 사용자 장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능력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동작(1403). 네트워크 노드는 일관성있는 사용자 장비 거동을 보장하게 될 그리고/또는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도록 보장하게 될 규칙[사용자 장비(10)에서 검사되는 조건에 대응함]에 따라 IDC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IDC 구성의 결정은 수신된 능력에 기초할 수 있다.
동작(1404).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으로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하고, 이 IDC 구성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정한 조건은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특정한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은 결국 M개 이하의 IDC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이 특정한 IDC 자율 거부 유효 기간에 걸쳐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다른 대안으로서, 특정한 IDC 서브프레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예컨대, 적어도 M개의 서브프레임들이 특정한 기간에 걸쳐 E-UTRAN 동작을 위해 이용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E-UTRAN이 어느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패턴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동작(1405).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능력 및/또는 IDC 구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 또는 조치들을 수행할 수 있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나타낸 것이다. 네트워크 노드[본 명세서에서 무선 기지국(12), 위치 결정 노드 또는 D2D UE로서 예시되어 있음]는 사용자 장비(10)가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10)는 IDC 가능하고, 네트워크 노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10)에 서비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으로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 회로(1501)를 포함한다. IDC 구성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한 조건은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특정한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은 M개 이하의 IDC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이 특정한 IDC 자율 거부 유효 기간에 걸쳐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특정한 IDC 서브프레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M개의 서브프레임들이 특정한 기간에 걸쳐 E-UTRAN 동작을 위해 이용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범위의 파라미터들은 E-UTRAN이 어느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패턴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일관성있는 사용자 장비 거동을 보장하게 될 그리고/또는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도록 보장하게 될 규칙에 따라 IDC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회로(150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10)의 능력을 나타내는 보고를 사용자 장비(1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수신 회로(1503)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능력은, IDC 구성이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자 장비(10)가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능력에 기초하여 IDC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회로(150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된 능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 또는 조치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회로(1505)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 노드는 전송 회로(1506)를 포함한다. 송신기(1305) 및 수신기(1301)는 사용자 장비(10)에서 송수신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가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의 기능들 및/또는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와 함께, 도 15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 내의 처리 회로(1507)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에 로드될 때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담고 있는 데이터 캐리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캐리어는 CD ROM 디스크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는 메모리 스틱과 같은 다른 데이터 캐리어들로 실현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게다가 서버 상의 순수 프로그램 코드로서 제공되고 네트워크 노드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는 그리고, 예를 들어, 조건들, 요구사항들, 측정들, 능력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 노드 상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메모리(1508)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노드, 위치 결정 노드, SON 노드, MDT 노드, 또는 D2D UE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고, 이 방법은 UE 자율 거부를 결정하거나 예측하는 단계; 결정된 UE 자율 거부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절차들을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10)에 서비스하는 또는 사용자 장비(10)와 통신하는 또는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하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기지국, NodeB, eNode B, 릴레이 노드, 릴레이 노드에 서비스하는 도너 노드(donor node), 이동 릴레이, BSC, RNC, 위치 결정 노드, MDT, SON, OSS, O&M, LMU, 위치 결정 측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UL 측정 노드 등이다.
D2D 통신의 경우에, 이 방법은 D2D 가능한(D2D capable)[즉, 다른 UE(들)와 통신할 수 있는] UE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UE 거부를 나타내는 조건들에 기초하여 측정 기간을 연장시키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그리고 UE 거부를 나타내는 조건들에 기초하여 측정 기간을 연장시키도록 되어 있는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UE 거부를 나타내는 조건들은 신호 품질 척도(signal quality measure)가 특정한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UE 거부를 나타내는 조건들은 더미 하향링크 전송에 응답한 ACK/NACK 피드백에 기초한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UE 거부를 나타내는 조건들은 기지의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을 트리거하는 것에 기초한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그 자신의 측정 기간에 기초하여 허용 자율 거부 시간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그리고 그 자신의 측정 기간에 기초하여 허용 자율 거부 시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스케줄링 전략이 허용 거부 서브프레임들 중 어느 정도가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소비되었는지에 의존하도록, 사용자 장비(10)로부터의 인지된 거부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추가의 변형례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그리고, 스케줄링 전략이 허용 거부 서브프레임들 중 어느 정도가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소비되었는지에 의존하도록, 사용자 장비(10)로부터의 인지된 거부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도록 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1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구성으로 사용자 장비(10)를 인지하거나 구성한다. IDC 구성은 다음과 같은 것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DC 자율 거부, IDC 서브프레임 패턴, 및 DRX 구성.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10)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상에서 또는 UTRAN 상에서 동작하지 않는 거부 기간에 관계된 정보를 사용자 장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이어서 사용자 장비(10)가 IDC로 인해 자율 거부를 적용하게 될 시간 인스턴스(time instance)를 결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 품질 척도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 사용자 장비(10)로 송신된 하향링크 더미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송신된 ACK/NACK 피드백의 부재를 검출하는 것; 및 적어도 특정한 서브프레임에서 기지의 상향링크 신호의 상향링크 전송의 부재를 검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자율 거부를 암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UE 거부의 인지는 특정한 서브프레임들이 거부될 것이라는 사용자 장비(10)로부터의 명시적 시그널링에 기초할 수 있거나,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암시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 2개의 메커니즘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UE 자율 거부의 명시적 결정
UE 지시 메커니즘의 경우에, 사용자 장비(10)는 특정한 시간에 걸쳐 유효한(예컨대, 그 다음 5초에 걸쳐 유효한) 예상된 거부 기간들의 패턴에 관계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신호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가 D2D 통신에 관여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D2D 통신에 관여하고 있는 다른 UE들에 이것을 신호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IDC로 인한 거부를 적용하는 패턴에 관계된 정보를 UE1으로부터 수신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이 정보를 UE2로 신호할 수 있고, 여기서 UE1 및 UE2는 D2D 통신 모드에 있다. 또 다른 대안은, 정보의 정확도 또는 정보의 신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D2D가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할 뿐만 아니라 직접 수신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패턴은 패턴 정보와 연관된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거부의 패턴을 시작하는 참조 시간[예컨대, SFN(system frame number)], 각각의 거부의 크기(예컨대, N개의 서브프레임), 거부의 빈도수 또는 레이트, 거부의 목적(예컨대, WLAN, GNSS, 블루투스의 사용) 등. 사용자 장비(10)는 또한 과거에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거부 패턴 또는 거부들의 통계를 신호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는 UL 서브프레임들, DL 서브프레임들 또는 둘 다의 거부를 위해 이 정보를 신호할 수 있다. 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10)가 IDC로 인해 자율 거부를 적용하게 될 시간 인스턴스들을 결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수신하는 D2D UE(예컨대, UE2)는 그와 D2D 통신을 하고 있는 사용자 장비(10)(예컨대, UE1)가 자율 거부를 적용하게 될 시간 인스턴스들을 결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이하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제2 D2D UE와 구분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가 D2D UE일 수 있다.
UE 자율 거부의 암시적 결정
UE(즉, D2D의 경우에 UE1)에 의한 자율 서브프레임 거부의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또는 D2D UE에서의 암시적 실현의 일부 예들은 다음과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시적 결정은 전형적으로 서빙 무선 노드일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행해지거나, D2D UE에 의해(즉, UE2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 어떤 신호 품질 척도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거부하는 경우에, 예컨대, SNR, SINR, BER, BLER 등과 같은 신호 측정 품질이 특정한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사용자 장비(10)에 의한 UL 거부를 가정할 수 있다[즉, 사용자 장비(10)는 그 서브프레임에서 어떤 신호도 전송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특히 UE가 UL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되어 있는 서브프레임들에서 UL 신호 품질을 관찰할 수 있다. 신호 품질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UE가 그 서브프레임을 거부한 것으로 예상된다.
- 더미 DL에 기초한 ACK/NACK 피드백
이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즉, UE2)는 DL에서의 더미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10)로(즉, D2D UE의 경우에 UE1으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특정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사용자 장비(10)로부터 어떤 ACK/NACK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이 서브프레임들을 UE에 의해 거부된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DL에서 더미 데이터 전송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트리거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가 최대 허용 거부 서브프레임들(예컨대, 30개의 서브프레임, 즉 30 ms)을 사용자 장비(10)로 송신할 때이다. 더미 데이터는 데이터 채널(예컨대, DL에서의 PDSCH)을 통해 사용자 장비(10)로 송신될 수 있는 랜덤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 기지의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을 트리거링하는 것
이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UL 전송의 존재를 검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기지의 신호 또는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가 어떤 신호도 존재하지 않는(즉,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에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이는 사용자 장비(10)가 UL 거부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지의 UL 신호의 예는 CSI 보고(예컨대, CQI, RI, PMI 등), SRS, DMRS, ACK/NACK 또는 임의의 UL 참조 또는 파일럿 신호 등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보다 높은 빈도수(예컨대, 매 2ms마다 한번씩)를 갖는 CSI 보고로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할 수 있다. CSI 보고가 특정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그 UL 서브프레임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거부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IDC로 인해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실행되는 자율 거부(예컨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율 거부의 패턴 또는 각각의 개별 거부)를 결정할 시에, 무선 네트워크 또는 D2D UE는 UE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을 보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업들의 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신호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것
예를 들어, 측정 적응의 경우에,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D2D UE는 거부의 양 등에 따라 측정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경우에, UL 측정을 위해 파라미터(들)의 적응이 행해진다. D2D UE의 경우에, 자율 거부를 행하고 있는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또는 사용자 장비(10)로 전송되는 신호들에 대해 수행되는 UL 및/또는 DL 측정을 위해 파라미터(들)의 적응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노드 또는 D2D는, 100 ms에 걸친 총 거부가 20 ms 이상인 경우에, 100 ms 대신에 200 ms에 걸쳐 SINR을 측정할 수 있다.
- UL 및/또는 DL에서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조절하는 것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적응의 경우에,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즉, UE2)는 거부의 인지된 패턴 또는 통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10)(즉, D2D UE의 경우에 UE1)에 의해 거부될 것으로 예상되는 그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무선 노드 또는 D2D UE는 사용자 장비(10)가 이용가능한[즉,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거부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 동안 가능한 한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의 스케줄링에 보다 강건한 전송 포맷(예컨대, QPSK와 같은 저 차수 변조 및/또는 1/3과 같은 저 코드 레이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시스템 성능(예컨대, 비트 레이트, 처리율)이 자율 거부로 인해 열화되지 않는다.
- UE 측정에 관계된 구성 파라미터(들)를 적응시키는 것
예를 들어, 이 경우에,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D2D UE는 자율 거부를 행하는 사용자 장비(10)의 UE 측정(즉, D2D UE의 경우에 UE1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정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들은 측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측정을 행하는 사용자 장비(10)로 송신된다. 하나의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훨씬 더 긴 TTT(time to trigger) 파라미터 값(예컨대, 640 ms 내지 1280 ms)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위 계층 평균 파라미터 값(예컨대, L3 필터링 계수 값)이, 예컨대, 0.5초로부터 1초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측정이 행해지는 측정 BW가, 예컨대, 25개의 RB(Resource Block)(5 MHz)로부터 50개의 RB(10 MHz)로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10)가 자율 거부에 의해 생성된 유휴 기간으로 인해 특정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측정을 수행할 수 없을 때, 측정 구성 파라미터들의 적응(예컨대, 값을 확장시키는 것)은 측정 정확도를 개선시킬 것이다.
- D2D 통신을 위해 다른 UE를 선택하는 것
D2D 통신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D2D UE 자체(즉, UE2)는, 기존의 UE(즉, UE1)가 많은 수의 거부 및/또는 빈번한 거부를 야기하는 경우에, D2D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UE(예컨대, UE3)를 선택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특히 D2D 통신이 위치 결정 또는 응급 호출 등과 같은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 또는 아주 중요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D2D UE는 D2D 통신을 위한, 거부를 야기하지 않거나 UE1보다 더 적은 거부를 야기하는, 다른 UE를 선택할 수 있다.
- 위치 결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것
예를 들어, 위치 결정 노드(13)(예컨대, LTE에서 E-SMLC)는, IDC 자율 거부(예컨대, 측정이 행해지는 반송파 주파수), 위치 결정을 위한 상이한 위치 결정 측정들(예컨대, E-CID RSRP 및 AoA) 중의 선택, 상이한 위치 결정 방법들(예컨대, E-CID 및 OTDOA) 중의 선택, IDC 거부가 완료될 때까지 특정한 시간 동안 위치 결정 구성의 송신을 지연시키는 것 등을 고려하면서, 사용자 장비(10)로 송신된 위치 결정 구성(예컨대, 위치 결정을 위한 보조 데이터)을 적응시킨다. 위치 결정 노드(13)는 또한,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적용된 IDC 거부들의 패턴에 부가하여,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자 장비(10)로 송신된 IDC 구성에 관계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의 정보는 사용자 장비(10)의 서빙 무선 노드로부터(LPPa를 거쳐) 또는 사용자 장비(10) 자체로부터(LPP를 거쳐) 위치 결정 노드(13)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위치 결정 노드(13)는 또한 IDC 구성 및/또는 IDC 거부들의 패턴에 관계된 수신된 정보를 위치 결정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 노드(예컨대, LMU)와 같은 다른 노드들로 포워딩할 수 있다. 측정 노드는 측정에 관계된 그의 구성을 적응시키기 위해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예컨대,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거부되지 않은 그 서브프레임들에서만 UE 신호들에 대해 측정함].
- 거부의 완료 수준에 따라 무선 동작을 적응시키는 것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 또는 D2D UE는 유효 기간 동안 거부 서브프레임들의 총수가 완료될 때를 결정한다. 이 결정은 앞서 기술된 명시적 및/또는 암시적 메커니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1초의 유효 기간 및 30 ms의 허용 거부 서브프레임들의 최대 수로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할 수 있다. IDC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 장비(10)는 초기 200 ms에 걸쳐 총 허용 거부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사용자 장비(10)는 200 ms 후에 무선 동작을 적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거부 이전 및 이후의 동일한 유형의 절차에 대한 상이한 무선 동작 파라미터가 유효 기간 동안 완료될 수 있다. 환언하면, 무선 동작 파라미터들이 초기 200 ms 동안과 나머지 800 ms 동안에 상이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무선 측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는 IDC 가능 사용자 장비(10)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 디바이스내 외부 무선 시스템에 대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예컨대, 자율 거부, IDC 서브프레임 등)에 대한 구성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측정 샘플링과 관련하여 E-UTRAN 동작이 없는 경우, 측정 시간 또는 평가 시간, 측정 샘플링 레이트, IDC 자율 갭의 생성 중 하나 이상을 적응시키는 단계 - 여기서 적응은 하나 이상의 구성된 IDC 파라미터들에 기초함 -;
- 적응에 기초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예컨대,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것, 셀 변경을 수행하는 것, 무선 링크 모니터링 등)에 대해 수행된 측정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IDC 가능 사용자 장비(10)에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 디바이스내 외부 무선 시스템에 대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E-UTRAN 동작이 없는 경우 사용자 장비(10)가 IDC 갭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예컨대, 자율 거부, IDC 서브프레임 등)으로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하는 단계;
- 구성된 IDC 방식에 따라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생성된 IDC 갭에 의존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절차들을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적응은 다음과 같은 것들 중 하나 이상이다:
- UE 거부를 나타내는 조건(들)에 기초하여 측정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 조건(들)은 임계치 또는 더미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 응답과 비교하는 것에 의한 신호 품질 측정일 수 있다.
- 그 자신의 측정 기간에 기초하여 허용 자율 거부 시간을 결정하는 것.
- 예컨대, 사용자 장비(10)가 유효 시간 내에 그의 허용 거부 서브프레임들 전부를 소비했을 때,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자 장비(10)를 보다 공격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장비(10)로부터의 인지된 거부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스케줄링을 적응시키는 것.
E-UTRAN 동작이 없는 IDC 갭과 중복하지 않도록, 측정 갭 또는 자율 갭(예컨대, CGI)을 필요로 하는 측정을 구성하는 것.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는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IDC 가능 사용자 장비(10)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 측정 샘플링과 관련하여 E-UTRAN 동작이 없는 경우, 측정 시간 또는 평가 시간, 측정 샘플링 레이트, IDC 자율 갭의 생성 및/또는
- 하나 이상의 IDC 파라미터로 구성될 때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규칙 및/또는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적응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그의 능력을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 및 양태들에 따르면, 방법들 및 장치들은 IDC에 대한 간섭 회피가 사용자 장비(10) 및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이러한 문제점들을 적어도 완화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 및 양태들에 따르면, 방법들 및 장치들은 사용자 장비(10)가 IDC에 대한 간섭 회피를 위한 방식들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안 E-UTRAN 절차들이 중단되지 않거나 이러한 문제점들을 적어도 감소시킨다는 것을 제공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 및 양태들에 따르면, 방법들 및 장치들은 사용자 장비(10)가 IDC에 대한 간섭 회피를 위한 방식들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UE 요구사항들이 충족된다는 것을 제공한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노드가 IDC 간섭 회피를 위해 사용되는 해결책에 기초하여 측정 기간 및 측정 샘플링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장비(10)가 IDC 방식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측정, 데이터 스케줄링 등의 면에서 일관성있는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IDC 간섭 회피가 사용될 때의 측정 방법들을 제공한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또한, 무선 관련 측정 동작들을 보호하기 위해, IDC 간섭 회피 해결책들에 관계된 파라미터들의 적응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 요약되어 있는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들 및 회로들은, 예를 들어, 공존하는 무선 전송/수신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는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들에서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NodeB, 위치 결정 노드, D2D UE, eNodeB, RBS, 기타 등등)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개시 내용이 앞서 요약된 특징들 및 장점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통상의 기술자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보고 첨부 도면을 살펴보면, 부가의 특징들 및 장점들을 잘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기술되어 있다. 그렇지만, 실시예들이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이 실시예들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로부터의 구성요소들 또는 특징들이 다른 실시예에서 존재하거나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포함은 적당하다.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서빙 무선 노드(12), 위치 결정 노드(13) 등]는 또한 하나 이상의 사전 정의된 규칙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치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예시적인 사전 정의된 규칙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갭 및 IDC 방식 둘 다를 동일한 UE에 대해 동시에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10)에 의해 수신 및/또는 전송되는 IDC 갭 및 몇몇 특정의 신호들이 중복하지 않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만 중복하기만 한다면, 측정 갭 및 IDC 방식 둘 다를 동일한 사용자 장비(10)에 대해 동시에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그렇지만, 해결책들이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이 실시예들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로부터의 구성요소들 또는 특징들이 다른 실시예에서 존재하거나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포함은 적당하다.
단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본 개시 내용의 이들 및 기타 실시예들이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무선 단말들(사용자 장비 또는 "UE"라고도 함)과 통신하는 RAN에서 동작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의 실시예들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멤버쉽에 의해 표준화된, W-CDMA(Wideband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및/또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개시 내용이 이러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또는 사용자 장비라는 용어들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말할 수 있고, 이동 전화("셀룰러" 전화), 랩톱/휴대용 컴퓨터, 포켓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및/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상황들에서, 예를 들어, NodeB 또는 무선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는 "기지국" 그리고 "UE" 또는 "사용자 장비"로 종종 지칭되는 "무선 단말", "이동 단말"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용어의 사용이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통신 링크의 2개의 특정 노드 간의 특정한 계층적 관계를 꼭 암시할 필요는 없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예컨대, "NodeB") 및 무선 단말(예컨대, "UE")은 와이어리스 무선 채널(wireless radio channel)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각자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논의된 실시예들이 NodeB로부터 UE로의 하향링크에서의 무선 전송에 중점을 두고 있을 수 있지만, 개시된 기법들이 또한, 예를 들어, 어떤 상황들에서 상향링크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수신기 회로(1301, 1501)의 수정된 버전들을 비롯한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몇몇 실시예들이 다양한 무선 단말들, 기지국들, 또는 둘 다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할 수 있다. 물론, 안테나, 안테나 인터페이스 회로, 무선 주파수 회로, 그리고 다른 제어 및 기저대역 회로를 비롯한 부수 회로의 상세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의 특정의 응용에 따라 달라질 것임을 잘 알 것이다. 이 상세들이 본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 상세들은 일반적으로 이하의 논의에서 그리고 첨부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통신 수신기 설계에 익숙한 자라면 잘 알 것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몇몇 기능들이 디지털 로직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 디지털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단일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서 또는 2개 이상의 개별 디바이스들(이들 사이에 적절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가짐)에서와 같이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방법들 중 일부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의 다른 기능 구성요소들과 공유되는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앞서 논의된 송수신기 처리 회로들의 기능 요소들 중 일부는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것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고,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ROM(read-only memory),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이들로 제한되지 않음)를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드웨어(종래의 하드웨어 및/또는 커스텀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수신기의 설계자는 이 설계 선택사항들에 내재된 비용, 성능, 및 유지 관리 트레이드오프를 잘 알 것이다.
이상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비제한적인 예를 나타낸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들 및 기법들이 이상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본 개시 내용이 이하의 청구항들 및 그의 법적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약어들
BS Base Station
CID Cell Identity
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DL Downlink
ID Identity
IDC In-Device Coexistence
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L1 Layer 1
L2 Layer 2
LTE Long Term Evolution
MAC Medium Access Control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HICH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RAT Radio Access Technology
RE Resource Element
RB Resource Block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SFN Single Frequency Network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UE User Equipment
UL Uplink
RSTD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SON Self Organizing Network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O&M Operational and Maintenance
OSS Operational Support Systems
OTDOA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Claims (38)

  1.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1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10)는 디바이스내 공존(In Device Coexistent)(IDC) 가능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1)에서 네트워크 노드(12, 13)에 의해 서비스되며(served),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IDC scheme)에 대한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IDC autonomous denial parameter)들을 포함하는 IDC 구성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13)로부터 수신하는 단계(603, 1202); 및
    상기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IDC 자율 거부 유효 기간(IDC autonomous denial validity period)에 걸쳐 M개 이하의 IDC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IDC autonomous denial subframe)들을 포함하기만 한다면,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605, 12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IDC 구성이 상기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604, 1203)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10)의 능력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13)에 보고하는 단계(601, 1201)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능력은, 상기 IDC 구성이 상기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상기 사용자 장비(10)가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방법.
  4. 사용자 장비(10)가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12, 13)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10)는 디바이스내 공존(IDC) 가능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1)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13)에 의해 서비스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IDC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하는 단계(603, 1404) - 상기 IDC 구성은, 상기 IDC 구성이 특정한 IDC 자율 거부 유효 기간에 걸쳐 M개 이하의 IDC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기만 한다면, 상기 사용자 장비(10)가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함 -, 및
    일관성있는 사용자 장비 거동(consistent user equipment behaviour)을 보장하게 될 그리고/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10)가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도록 보장하게 될 규칙에 따라 상기 IDC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602, 14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10)의 능력을 나타내는 보고를 상기 사용자 장비(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601, 140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능력은, 상기 IDC 구성이 상기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상기 사용자 장비(10)가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IDC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602, 1403); 및/또는
    상기 수신된 능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 또는 조치들을 수행하는 단계(606, 1405)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디바이스내 공존(IDC)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10)로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1)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10)에 서비스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2, 13)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IDC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301); 및
    상기 수신된 IDC 구성이 특정한 IDC 자율 거부 유효 기간에 걸쳐 M개 이하의 IDC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기만 한다면,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회로(13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IDC 구성이 상기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회로(1303)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1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10)의 능력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13)에 보고하도록 구성된 보고 회로(1304)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능력은, 상기 IDC 구성이 상기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상기 사용자 장비(10)가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장비(10).
  10. 사용자 장비(10)가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되어 있는 네트워크 노드(12, 13)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10)는 디바이스내 공존(IDC) 가능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13)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1)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10)에 서비스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13)는:
    적어도 하나의 IDC 방식에 대한 IDC 자율 거부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IDC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10)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 회로(1501) - 상기 IDC 구성은, 상기 IDC 구성이 특정한 IDC 자율 거부 유효 기간에 걸쳐 M개 이하의 IDC 자율 거부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기만 한다면, 상기 사용자 장비(10)가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함 -, 및
    일관성있는 사용자 장비 거동을 보장하게 될 그리고/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10)가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도록 보장하게 될 규칙에 따라 상기 IDC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회로(1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12, 13).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10)의 능력을 나타내는 보고를 상기 사용자 장비(1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회로(1503)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능력은, 상기 IDC 구성이 상기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키기만 한다면, 상기 사용자 장비(10)가 상기 무선 측정에 관계된 하나 이상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는 무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노드(12, 13).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IDC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회로(1504); 및/또는
    상기 수신된 능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동작 작업들 또는 조치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회로(1505)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 13).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57011127A 2012-10-01 2013-09-19 수신된 디바이스내 공존(idc) 구성에 따른 무선 측정들의 조건부 수행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idc 가능 사용자 장비의 구성 KR101704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8340P 2012-10-01 2012-10-01
US61/708,340 2012-10-01
US13/860,325 US9497644B2 (en) 2012-10-01 2013-04-10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US13/860,325 2013-04-10
PCT/IB2013/058651 WO2014053939A2 (en) 2012-10-01 2013-09-19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779A KR20150065779A (ko) 2015-06-15
KR101704318B1 true KR101704318B1 (ko) 2017-02-07

Family

ID=5038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127A KR101704318B1 (ko) 2012-10-01 2013-09-19 수신된 디바이스내 공존(idc) 구성에 따른 무선 측정들의 조건부 수행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idc 가능 사용자 장비의 구성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9497644B2 (ko)
EP (3) EP2904840B1 (ko)
JP (1) JP6046823B2 (ko)
KR (1) KR101704318B1 (ko)
CN (1) CN104885503B (ko)
AU (3) AU2013326162A1 (ko)
ES (1) ES2615109T3 (ko)
HK (1) HK1214457A1 (ko)
IN (2) IN2015DN03271A (ko)
TW (1) TWI606733B (ko)
WO (2) WO20140539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7950B2 (en) * 2008-01-25 2012-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RAT/ frequency automatic neighbor relation list management
CA2813799C (en) 2010-10-04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ment
WO2012129730A1 (en) * 2011-03-31 2012-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estimating timing offset differences in a cellular network
US9445426B2 (en) * 2012-08-06 2016-09-13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related to improvements in autonomous denial prohibition mechanisms
US9497644B2 (en) 2012-10-01 2016-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WO2014069838A1 (en) * 2012-10-31 2014-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utonomous denial in wireless communicatinon system
US9420511B2 (en) 2012-11-01 2016-08-16 Intel Corporation Signaling QoS requirements and UE power preference in LTE-A networks
US20140126552A1 (en) * 2012-11-02 2014-05-08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denial configurations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20140140247A1 (en) * 2012-11-19 2014-05-2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ING RELIABILITY OF VoLTE EMERGENCY CALLS
US10257849B2 (en) * 2013-01-17 2019-04-09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US20150319643A1 (en) * 2013-01-28 2015-11-05 Qualcomm Incorporated Ue transmitter sharing
WO2014119918A1 (ko) * 2013-02-0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단말
US20140226501A1 (en) * 2013-02-13 2014-08-14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al channel measurement operations based on measurement timing criterion
US20140226500A1 (en) * 2013-02-13 2014-08-14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al channel measurement operations based on resource availability
WO2014184668A2 (en) * 2013-04-05 2014-11-20 Nokia Corporation Relaxed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offloading measurements
US20140328271A1 (en) * 2013-05-06 2014-11-06 Mediatek Inc. Methods for prevent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US10314092B2 (en) 2013-08-16 2019-06-04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GB2517911B (en) * 2013-08-29 2016-06-22 Nec Corp Radio measurement reporting
US9674727B2 (en) 2014-01-17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cell mode and CSI feedback rules for cell on-off procedure
US10721720B2 (en) * 2014-01-30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Cell On-Off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US9985761B2 (en) * 2014-02-26 2018-05-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ceiving device-to-device termina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165078B (zh) * 2014-03-17 2019-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方法和装置
US9277430B2 (en) * 2014-04-02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TD-SCDMA to LTE measurement reporting
US9998934B2 (en) 2014-05-29 2018-06-12 Apple Inc. Device and method for idle mode power saving
BR112017001759A2 (pt) * 2014-08-08 2017-11-21 Huawei Tech Co Ltd método e aparelho para reportar capacidade do dispositivo do terminal
US9735926B2 (en) 2014-08-26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of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98922A1 (en) * 2014-09-24 2017-08-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of d2d measurements
US9853863B1 (en) 2014-10-08 2017-12-26 Servicenow, Inc. Collision detection using state management of configuration items
US10271307B2 (en) * 2014-11-06 2019-04-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denying transmiss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17702A4 (en) * 2014-11-07 2017-11-01 Ntt Docomo, Inc. User device, base station, and uplink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method
US10588135B2 (en) * 2014-11-14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handling bursty interference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KR102423756B1 (ko) * 2015-01-29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셀 집적 시스템에서 하향 제어 채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US10624049B2 (en) * 2015-02-19 2020-04-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ement of candidates synchronization references by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US10411847B2 (en) * 2015-04-10 2019-09-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s with carrier selection, switching and measurements
US9894708B2 (en) * 2015-04-21 2018-02-13 Mediatek Inc. Coordination of Wi-Fi P2P and LTE data traffic
JP2018517375A (ja) * 2015-06-11 2018-06-28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Drxの実施方法、drxの構成方法、および関連するデバイス
EP3337224B1 (en) * 2015-09-01 2022-02-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US20170086210A1 (en) * 2015-09-23 2017-03-23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Procedure Concurrency
EP3400734B1 (en) * 2016-01-08 2021-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adapting ue measurement period to radio conditions
EP3403345B1 (en) * 2016-01-13 2019-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ng measurement procedure of nb-iot
EP3437243B1 (en) 2016-03-30 2020-06-17 IDAC Holdings, Inc. Long term evolution-assisted nr flexible radio access
WO2018029269A1 (en) * 2016-08-12 2018-02-15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ng position reference signals
US10045325B2 (en) 2016-08-12 2018-08-07 Innovative Technology Lab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09080B2 (en) 2016-10-14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measurements
US11140612B2 (en) * 2016-10-21 2021-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E for triggering sidelink resource reselection
EP3324688B1 (en) * 2016-11-18 2020-07-22 Centre National d'Etudes Spatiales Transmission of gnss signals using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O2018142229A1 (en) 2017-02-03 2018-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ic neighbour relation (anr) based on detection and reporting of unkown cell based on measurement triggering criterion
US10624108B2 (en) * 2017-04-05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interference mitigation in wireless systems
US10772052B2 (en) * 2017-06-16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coexistent radio systems in a wireless device
CN109151922B (zh) 2017-06-16 2021-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方法、测量配置方法和相关设备
CN109413690B (zh) * 2017-08-18 2020-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波束的测量上报方法、移动终端及网络侧设备
MX2020001982A (es) * 2017-09-11 2020-07-13 Ericsson Telefon Ab L M Configuraciones de filtrado de medicion mejoradas para la administracion de enlaces de radio y la administracion de recursos de radio.
CN111345050B (zh) * 2017-11-17 2022-06-28 苹果公司 对无线通信设备能力的临时处理
CN109982349B (zh) * 2017-12-28 2022-04-29 中国移动通信集团湖北有限公司 Lte异系统邻区的配置方法、配置装置、设备及介质
CN108401537A (zh) * 2018-02-11 2018-08-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内共存干扰协调方法、装置、用户设备及通信设备
US11503562B2 (en) * 2018-02-26 2022-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ing parallel measurement gap patterns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positioning measurements
US10924950B2 (en) * 2018-05-11 2021-02-16 Mediatek Inc. Conditional extension of evaluation period for radio link monitoring in new radio mobile communications
US11895516B2 (en) * 2018-05-14 2024-02-06 Mediatek Inc. Spatial quasi-co-location for radio link monitoring in new radio mobile communications
CN109644334B (zh) 2018-10-30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自干扰处理方法及装置
CN109451531B (zh) * 2018-11-08 2021-12-03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lte小区范围内的场强测量系统及方法
WO2020123633A1 (en) 2018-12-12 2020-06-18 Google Llc Facilitating self-organizing network (son) enhancement
US11083005B2 (en) * 2019-07-11 2021-08-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for reporting scheduling decisions by a communication tester
WO2021020952A1 (en) * 2019-08-01 2021-02-04 Samsung Electronics Co.,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s by a wtru in a 3gpp networks
KR20210098129A (ko) * 2020-01-31 202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상호 간섭에 영향을 받은 주파수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0620A1 (en) 2010-08-12 2012-02-16 Mediatek Inc. Method to trigge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mitigation in mobile cellular systems
US20120082140A1 (en) 2010-10-01 2012-04-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of TDM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5134B2 (en) * 2006-10-27 2012-01-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measurement
US8838046B2 (en) 2010-06-18 2014-09-16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of hybrid FDM/TDM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US8842546B2 (en) 2010-07-22 2014-09-23 Mediatek Inc.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device with co-existence radio
EP2945452A1 (en) 2010-08-13 2015-1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CA2813799C (en) * 2010-10-04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ment
WO2012061765A1 (en) 2010-11-05 2012-05-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Wtru measurements handling to mitigate in-device interference
US20120195298A1 (en) 2011-02-01 2012-08-0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avoid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24918A2 (en) 2011-03-14 2012-09-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88924B2 (en) 2011-04-01 2015-07-21 Mediatek Inc. Signaling design to support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US9144084B2 (en) 2011-06-13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US9419740B2 (en) 2011-11-04 2016-08-16 Blackberry Limited Access procedures fo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US10880907B2 (en) 2011-11-04 2020-12-29 Sharp Kabushiki Kaisha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IDC)
WO2013085256A1 (en) 2011-12-05 201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user equipment
US20130165049A1 (en) 2011-12-27 2013-06-27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97114A1 (zh) * 2011-12-28 2013-07-04 富士通株式会社 自动拒绝的控制方法和系统、基站以及用户设备
US20140355471A1 (en) 2012-02-07 2014-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IDC Interfere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for Same
US9326162B2 (en) 2012-03-16 2016-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transmission of in-device coexistence indication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04057B2 (en) 2012-05-11 2016-11-22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evice coexistence detection and mitigation
WO2014000193A1 (zh) * 2012-06-27 2014-01-03 富士通株式会社 设备内共存配置信息的处理方法、装置和系统
US9445426B2 (en) 2012-08-06 2016-09-13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related to improvements in autonomous denial prohibition mechanisms
US9497644B2 (en) * 2012-10-01 2016-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0620A1 (en) 2010-08-12 2012-02-16 Mediatek Inc. Method to trigge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mitigation in mobile cellular systems
US20120082140A1 (en) 2010-10-01 2012-04-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of TDM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23813*
3GPP R2-12477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26163B2 (en) 2016-09-29
US20160021554A1 (en) 2016-01-21
WO2014053939A3 (en) 2014-05-30
JP6046823B2 (ja) 2016-12-21
EP2904839A2 (en) 2015-08-12
CN104885503B (zh) 2019-08-02
IN2015DN02517A (ko) 2015-09-11
AU2013326163A1 (en) 2015-04-30
TW201419777A (zh) 2014-05-16
EP3145238B1 (en) 2019-03-06
WO2014053938A3 (en) 2014-05-30
US10154420B2 (en) 2018-12-11
US9497644B2 (en) 2016-11-15
JP2016502771A (ja) 2016-01-28
AU2016213878B2 (en) 2017-12-07
AU2016213878A1 (en) 2016-09-01
IN2015DN03271A (ko) 2015-10-09
WO2014053938A2 (en) 2014-04-10
US20140094125A1 (en) 2014-04-03
US20170026865A1 (en) 2017-01-26
ES2615109T3 (es) 2017-06-05
HK1214457A1 (zh) 2016-07-22
US20140092761A1 (en) 2014-04-03
WO2014053939A2 (en) 2014-04-10
US9578523B2 (en) 2017-02-21
TWI606733B (zh) 2017-11-21
AU2013326162A1 (en) 2015-04-30
EP2904840B1 (en) 2016-11-09
KR20150065779A (ko) 2015-06-15
EP2904840A2 (en) 2015-08-12
CN104885503A (zh) 2015-09-02
US9185573B2 (en) 2015-11-10
EP3145238A1 (en) 2017-03-22
EP2904839B1 (en)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318B1 (ko) 수신된 디바이스내 공존(idc) 구성에 따른 무선 측정들의 조건부 수행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idc 가능 사용자 장비의 구성
US11133911B2 (en) UE, network node and methods of assisting measurements in mixed signal configuration
US9832778B2 (en)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9948414B2 (en) WTRU measurements handling to mitigate in-device interference
KR102341305B1 (ko) 비허가된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에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기술들
CN113767710B (zh) 基于dl cca操作信息适配ue服务小区过程
TW201631996A (zh) 於lte未授權頻譜上基於信號強度量測之無線電資源管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