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884B1 -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 - Google Patents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884B1
KR101703884B1 KR1020150133156A KR20150133156A KR101703884B1 KR 101703884 B1 KR101703884 B1 KR 101703884B1 KR 1020150133156 A KR1020150133156 A KR 1020150133156A KR 20150133156 A KR20150133156 A KR 20150133156A KR 101703884 B1 KR101703884 B1 KR 101703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input
document
setting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강성공
Original Assignee
(주)대진코스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코스탈 filed Critical (주)대진코스탈
Priority to KR102015013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이 인가되거나, 정지버튼을 누를 때 마다 투입구의 센서감도를 리셋팅하여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문서세단기의 운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장치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에 의하면 문서세단기를 새롭게 설치할 경우 한번 투입감지센서에 최초설정값을 입력하기만 하면 전원을 켰다 껐다 할 때마다 계속 기준값으로 자동으로 재설정해주기 때문에 편리하고, 하루 중 시간대별 일사량의 변화에 대하여도 자동으로 기준값을 설정하므로 투입감지센서가 오작동하지 않으며, 오작동이나 기계이상을 의심할 때 정지버튼을 잠깐 누르는 간단한 작업으로 센서감도 재설정 또는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Description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PAPER SHREDDER AUTOMATIC CALIBRATING FOR }
본 발명은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이 인가되거나, 정지버튼을 누를 때 마다 투입구의 센서감도를 리셋팅하여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문서세단기의 운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장치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문서세단기는 사무실이나 은행 등에서 보안을 요하는 문서나 거래명세서 및 마이크로 필름 등을 잘게 절단하거나, 골판지 박스나 폐지 등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잘게 절단하는 기기를 말한다.
종래의 문서세단기는 상단에 문서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방하단에 도어가 형성된 박스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다수개의 절단칼날이 한 쌍의 커터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호교차되면서 문서투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폐문서를 잘게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상기 절단장치의 하단에 형성되고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이하, 폐문서칩이라 함)가 쌓이는 폐문서함이 구성된다.
그러므로, 대기시에는 모터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있다가 문서가 투입되면 문서투입에 응답하여 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절단칼날이 회전되면서 문서를 잘게 절단하게 된다.
상기 문서세단기의 문서투입구에 설치되는 투입감지센서는 광검출센서를 사용한다. 광검출센서는 한 쌍의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어 발광부로부터 발생 된 광(光)을 수광부에 조사하고 이 광로(光路) 상에 문서와 같은 차단물이 발광부의 빛을 차단하게 되는 것을 수광부가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감지센서의 구동회로는 직류구동전압(Va3a3)과 접지사이에 저항(R1) 및 발광다이오드(Pa4)를 직렬로 연결하여서 발광부를 구성한다. 또한 직류구동전압(Va3a3)과 접지 사이에 저항(R2), 포토 트랜지스터(PT) 및 저항(R3) 양단에 전압이 걸리게 되고 이 전압을 마이콤(U1)에서 검출하여 광차단여부를 검출한다.
본원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05-0123006호에 '재설정이 가능한 문서세단기용 문서투입감지센서'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투입감지센서가 채용된 문서세단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문서세단기의 고장 원인 중 환경변화로 인한 90%가 투입감지센서의 오류에서 발생한다.
(2) 문서세단기를 설치하는 환경마다 인위적으로 센서의 감도를 재설정해주어야 한다.
(3) 사무실 환경에서 하루 중 일사량의 변화 또는 실내조명의 영향에 의해서 투입감지 센서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스스로 작동해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4) 투입감지센서의 재설정 수단이 적어서 고장 날 때마다 조사하여야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문서세단기의 문서투입구에 수광부와 발광부가 나란하게 설치된 투입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최초 설치시 투입감지센서의 최초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에서
전원을 켜면 안전램프가 점등되는 전원인가단계와; 상기 전원인가단계 후에 문서세단기의 상면에 인디케이터가 순차 점등 및 소등하면서 투입감지센서의 수광부의 감도를 측정값으로 측정하는 감도측정단계와;
상기 감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와 작을 경우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측정값에 투입감지센서의 오차값을 더해서 이를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오버기준값설정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최초설정값을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노말기준값설정단계와;
상기 안전램프가 소등되고, 현재 기준값이 지정되어 정상작동하는 설정완료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이 계속 켜진 상태에서 정지버튼을 길게 눌렀을 경우에도 현재 기준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정지버튼을 길게 누르면 안전램프가 점등되는 램프점등단계와;
인디케이터가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이때 투입감지센서의 수광부의 입력신호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얻는 샘플수광단계와;
상기 샘플수광단계에서 입력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센서파손 또는 부착상태의 불량을 인지하고 인디케이터를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불량단계와;
상기 샘플수광단계에서 입력신호가 있으면 투입감지센서가 정상적이라고 인식하고, 상기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와 작을 경우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측정값에 투입감지센서의 오차값을 더해서 이를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오버기준값설정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최초설정값을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노말기준값설정단계와;
상기 안전램프가 소등되고, 현재 기준값이 지정되어 정상작동하는 설정완료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문서세단기에서 가장 많이 고장 나는 투입감지센서의 오류를 자동으로 잡아줄 수 있다.
(2) 문서세단기를 새롭게 설치할 경우 한번 투입감지센서에 최초설정값을 입력하기만 하면 전원을 켰다 껐다 할 때마다 계속 기준값으로 자동으로 재설정해주기 때문에 편리하다.
(3) 하루 중 시간대별 일사량의 변화에 대하여도 자동으로 기준값을 설정하므로 투입감지센서가 오작동하지 않는다.
(4) 오작동이나 기계이상을 의심할 때 정지버튼을 잠깐 동안 누르는 간단한 작업으로 센서감도 재설정 또는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투입감지센서의 회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의 투입구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이 채용된 문서세단기의 개념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의 투입구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의 투입구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문서세단기의 문서투입구(110)에 수광부(122)와 발광부(121)가 나란하게 형성된 투입감지센서(120)가 설치되고, 최초 설치시 투입감지센서(120)의 최초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에서,
전원을 켜면 안전램프가 점등되는 전원인가단계(a1)와; 상기 전원인가단계(a1) 후에 문서세단기의 상면에 인디케이터(150)가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하면서 투입감지센서의 수광부의 감도를 측정값으로 측정하는 감도측정단계(a2)와;
상기 감도측정단계(a2)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최초 설정값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판단단계(a3)와;
상기 판단단계(a3)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측정값에 투입감지센서의 오차값을 더해서 이를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오버기준값설정단계(a4)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최초설정값을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노말기준값설정단계(a5)와;
상기 안전램프가 소등되고, 현재 기준값이 지정되어 정상작동하는 설정완료단계(a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문서세단기는 상부에 문서를 절단하는 상부몸체(100)와, 절단된 폐문서칩이 보관되는 하부몸체(2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부에는 문서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문서투입구(110)의 하단에 상부몸체(100)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서 상호교차회전하는 절단칼날(130)이 형성되며, 전체회로를 컨트롤하는 콘트롤박스(140)가 형성되며, 하부몸체(200)에는 폐문서함(210)이 형성된다.
상기 문서투입구(110)는 개구된 형태로 상하부로 이격 되는데, 발광부(121)와 수광부(122)가 일체로 형성된 투입감지센서(12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감지센서(120)는 이격되게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투입감지센서(120)로 접근되는 것이 폐문서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최하 종이크기를 정하고 이를 셋팅할 수 있다.
즉, 이격된 위치의 투입감지센서(120)에서 모두 감지되지 않으면 종이로 인식하지 않으므로서 이물질 등이 어느 하나의 투입감지센서(120)에 감지된다면 작동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최초설정값은 설치환경에서 반사되어 입력되는 발광부(121)로 부터의 적외선을 수광부(122)가 그 설치환경에서 가장 잘 받을 수 있도록 감도를 전위차단위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전원인가단계(a1)는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로, 완전히 껐다가 켜거나, 슬립(sla5a5p)모드에서 재작동할 때로 설정가능하다.
상기 감도측정단계(a2)는 인디케이터(150)가 순차 점등 및 소등되는데, 이때는 수광부가 현재 감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으로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측정값 역시 전위차단위로 나타나고, 이러한 측정값과 최초설정값의 크기를 비교판단하는 판단단계(a3)가 수행된다.
상기 판단단계(a3)는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와 작을 경우로 나뉘어서 나타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측정값에 투입감지센서의 오차값을 더해서 현재 기준값으로 재설정하는 오버기준값설정단계(a4)를 진행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측정값을 버리고 최초설정값을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노말기준값설정단계(a5)로 형성된다.
상기 설정완료단계(a6)는 감도측정단계에서 켜졌던 문서세단기에서 안전램프가 소등되어 설정완료를 나타내는 단계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사용자가 임의로 투입감지센서의 재설정을 원한다면 전원이 계속 켜진 상태에서 정지버튼을 길게 누르면, 안전램프가 점등되는 램프점등단계(b1)와;
인디케이터(150)가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이때 투입감지센서의 수광부의 입력신호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얻는 샘플수광단계(b2)와;
상기 샘플수광단계(b2)에서 입력신호가 없으면 센서파손 또는 부착상태의 불량을 인지하고 인디케이터를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불량단계(b3)와;
상기 샘플수광단계(b2)에서 입력신호가 있으면 투입감지센서가 정상적이라고 인식하고, 상기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와 작을 경우를 판단하는 판단단계(b4)와;
상기 판단단계(b5)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측정값에 투입감지센서의 오차값을 더해서 이를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오버기준값설정단계(b6)와;
상기 판단단계(b5)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최초설정값을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노말기준값설정단계(b7)와;
상기 안전램프가 소등되고, 현재 기준값이 지정되어 정상작동하는 설정완료단계(b8)로 구성된다.
만약, 투입감지센서가 여러개일 경우에는 평균값을 산정하는 평균값산정단계가 추가될 수 있고, 평균값을 산정할 때 인식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인식되지 작게 인식되거나 인식되지 않을 때에는 고장신호를 알려주는 고장신호전송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은 문서세단기를 처음 설치할 때 조명환경을 한번 인식하여 최초설정값을 맞춰놓은 상태에서 시작된다.
상기와 같이 최초설정값을 맞추어 놓아도 하루 중 일사량의 변화 등에 의해서 조명환경이 계속적으로 변할 수 있고, 이럴 때에 전원을 켜거나 임의로 재설정하는 방법으로 투입감지센서를 재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투입감지센서 재설정에서는 안전램프가 점등되는데, 이는 문서세단기의 사용이 중단된 것을 의미하고, 인디케이터는 조명을 인식하는 정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판단단계는 최초설정값과 비교하여 노말상태 또는 오버상태를 나타내어 최초설정값을 기준값으로 재설정하거나 최초설정값을 그대로 센서의 감도로 유지하는 등으로 감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에 의하면 문서세단기를 새롭게 설치할 경우 한번만 투입감지센서에 최초설정값을 입력하기만 하면 전원을 켰다 껐다 할 때마다 계속 기준값으로 재설정해주기 때문에 편리하고, 하루 중 시간대별 일사량의 변화에 대하여도 자동으로 기준값을 설정하므로 투입감지센서가 오작동하지 않으며, 오작동이나 기계이상을 의심할 때 정지버튼을 잠깐 누르는 간단한 작업으로 센서감도 재설정 또는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상부몸체 110 : 문서투입구
120 : 투입감지센서 121 : 발광부
122 : 수광부 130 : 절단칼날
140 : 컨트롤박스 150 : 인디케이터
200 : 하부몸체 210 : 폐문서함

Claims (4)

  1. 문서세단기의 문서투입구에 수광부와 발광부가 나란하게 형성된 투입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최초 설치시 투입감지센서의 최초설정값이 입력된 상태에서,
    전원을 켜면 안전램프가 점등되는 전원인가단계(a1)와; 상기 전원인가단계(a1) 후에 문서세단기의 상면에 인디케이터가 순차 점등 및 소등하면서 투입감지센서의 수광부의 감도를 측정값으로 측정하는 감도측정단계(a2)와;
    상기 감도측정단계(a2)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와 작을 경우를 판단하는 판단단계(a3)와;
    상기 판단단계(a3)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측정값에 투입감지센서의 오차값을 더해서 이를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오버기준값설정단계(a4)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최초설정값을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노말기준값설정단계(a5)와;
    상기 안전램프가 소등되고, 현재 기준값이 지정되어 정상작동하는 설정완료단계(a6)로 구성되되,
    투입감지센서가 여러 개가 설치될 경우 평균값을 산정하는 평균값산정단계가 추가되고, 평균값을 산정할 때 인식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인식되지 않거나 작게 인식되지 않았을 때에 고장신호를 알려주는 고장신호전송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2. 사용자가 임의로 투입감지센서의 재설정을 원한다면 전원이 계속 켜진 상태에서 정지버튼을 길게 누르면, 정지버튼을 누르면 안전램프가 점등되는 램프점등단계(b1)와;
    인디케이터가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이때 투입감지센서의 수광부의 입력신호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얻는 샘플수광단계(b2)와;
    상기 샘플수광단계(b2)에서 입력신호가 없으면 센서파손 또는 부착상태의 불량을 인지하고 인디케이터를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불량단계(b3)와;
    상기 샘플수광단계(b2)에서 입력신호가 있으면 투입감지센서가 정상적이라고 인식하고, 상기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와 작을 경우를 판단하는 판단단계(b4)와;
    상기 판단단계(b4)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클 경우에 측정값에 투입감지센서의 오차값을 더해서 이를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오버기준값설정단계(b6)와;
    상기 판단단계(b4)에서 측정값이 최초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에 최초설정값을 현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노말기준값설정단계(b7)와;
    상기 안전램프가 소등되고, 현재 기준값이 지정되어 정상작동하는 설정완료단계(b8)로 구성되되,
    투입감지센서가 여러 개가 설치될 경우 평균값을 산정하는 평균값산정단계가 추가되고, 평균값을 산정할 때 인식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인식되지 않거나 작게 인식되지 않았을 때에 고장신호를 알려주는 고장신호전송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50133156A 2015-09-21 2015-09-21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 KR101703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156A KR101703884B1 (ko) 2015-09-21 2015-09-21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156A KR101703884B1 (ko) 2015-09-21 2015-09-21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884B1 true KR101703884B1 (ko) 2017-02-22

Family

ID=5831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156A KR101703884B1 (ko) 2015-09-21 2015-09-21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35B1 (ko) 2021-03-22 2021-06-25 (주)대진코스탈 투입감지센서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문서세단기 및 그 작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883B2 (ja) * 1989-05-16 1994-11-02 株式会社明光商会 シュレッダ
JP2015107440A (ja) * 2013-12-03 2015-06-1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シュレッ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883B2 (ja) * 1989-05-16 1994-11-02 株式会社明光商会 シュレッダ
JP2015107440A (ja) * 2013-12-03 2015-06-1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シュレッ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35B1 (ko) 2021-03-22 2021-06-25 (주)대진코스탈 투입감지센서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문서세단기 및 그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5023158B1 (pt) Aparelho de refrigeração e método de controle de um dispensador
KR101703884B1 (ko) 문서세단기의 투입감지센서 자동감도조절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문서세단기
AU2010202665B2 (en) Circuitry to monitor and control source of radiant energy in smoke detector
US20120072147A1 (en) Self check-type flame detector
KR100591078B1 (ko) 재설정가능한 문서세단기용 문서투입감지센서
KR20120106396A (ko) 자기진단모드를 갖는 눈부심 방지 장치
KR101742091B1 (ko) 설치환경대응형 투입감지센서를 채용한 문서세단기
KR102323827B1 (ko) 모듈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KR102269635B1 (ko) 투입감지센서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문서세단기 및 그 작동방법
KR20160047868A (ko) 화재 예방을 위한 오동작 방지기능이 탑재된 연기감지기
KR20170003499A (ko) 정수기용 수위 검출 센서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수위 검출 장치
KR101564915B1 (ko) 먼지 센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US9564045B2 (en) Alarm system testing device
JP5029838B2 (ja) 用紙積載装置
JPH0540030A (ja) 重送検出装置
US20190152241A1 (en) Paper tray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mount of paper and method of detecting amount of paper with paper tray device
JPH0143177Y2 (ko)
US4191954A (en) Interrupted circuit test with memory and display device
JP2014240039A (ja) シュレッダ
JP2015231326A (ja) ソーラー発電診断装置
JPH08323231A (ja) シュレッダ
JP2012228860A (ja) プリンタ
KR101191235B1 (ko) 센서 자동보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464131B1 (ko)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CN202562057U (zh) 一种外置co监测报警装置的燃气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