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097B1 -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097B1
KR101703097B1 KR1020147027580A KR20147027580A KR101703097B1 KR 101703097 B1 KR101703097 B1 KR 101703097B1 KR 1020147027580 A KR1020147027580 A KR 1020147027580A KR 20147027580 A KR20147027580 A KR 20147027580A KR 101703097 B1 KR101703097 B1 KR 10170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isr
tmsi
guti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353A (ko
Inventor
고우헤이 고또
마사시 가나우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ISR(Idle mode Signalling Reduction) 상태의 불일치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ISR을 유효로 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1)가,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이미 위치 등록된 무선 액세스 기술 간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1)를, 새로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때,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ISR의 유효 또는 무효의 상태가 상이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2)가 휴대 단말 장치(1)에 ISR의 유효화를 지시해도, 휴대 단말 장치(1)는 그 지시를 무시한다.

Description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RADIO ACCESS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Radio Access Technology)과의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는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화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로서 규정되는 통신 방식에서는, 복수의 RAT와의 통신 방식(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 장치가 다른 RAT 간을 이동할 때에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위치 등록 처리의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ISR(Idle mode Signalling Reduction)이라는 기능이 도입되고 있다. ISR이 유효한 경우, 휴대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GSM이나 UMTS 관련 위치 등록 정보 파라미터와, LTE 관련 위치 등록 정보 파라미터를 양쪽 모두를 유지하고(hold), 이미 위치 등록 처리를 실시한 GSM/UMTS 에리어와 LTE 에리어 사이를, 네트워크와의 위치 등록 처리를 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SR의 개요에 대해서는, 3GPP 사양서인 비특허문헌 1 내지 3에 규정되어 있다.
TS23.401: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enhancements 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access(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23401.htm) TS24.301: Non-Access-Stratum(NAS) protocol for Evolved Packet System(EPS); Stage 3)(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24301.htm TS24.008: Mobile radio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Core network protocols; Stage 3(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24008.htm)
그런데, 3GPP에 있어서의 ISR 동작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가 유지하는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 만료 후에 네트워크로부터 ISR 유효화가 지시되면, 그 후, 휴대 단말 장치는, ISR 무효화 타이머를 개시하지 않고, ISR 유효인 상태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는 ISR 무효로서 동작하지만, 휴대 단말 장치측은 ISR 유효인 상태로 동작한다고 하는 상태 불일치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휴대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가 위치 등록 상태를 동기하기 위해서, 각각 유지하는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의 길이는, 완전하게는 동일하지 않고, 네트워크가 유지되는 타이머 쪽이 길게 설정되는 사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네트워크와 휴대 단말 장치 간에서 ISR의 상태 불일치가 발생한 상태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가 다른 RAT의 에리어로 이동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실시하면, 네트워크는 다른 RAT의 에리어 간에서 휴대 단말 장치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수 없게 된다.
그 이유는, 휴대 단말 장치가 RAT를 크로스 오버(cross over)하는 방식으로 에리어 이동을 행한 경우, 휴대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에 설정하는 단말기 고유 식별자(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P-TMSI(Packet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은, ISR의 유효/무효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와 휴대 단말 장치 간에서 ISR의 상태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가 ISR 유효로서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 3GPP 상에서는, 네트워크 내부에서 에리어 이동 전의 RAT로부터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수 없는 사양으로 되어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가 다른 RAT의 에리어를 이동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실시하지만, 네트워크는 다른 RAT의 에리어 간에서 휴대 단말 장치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로부터 불필요한 등록 해제 처리 요구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는, 네트워크는 다른 RAT의 에리어 간에서 휴대 단말 장치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수 없는 경우, 휴대 단말 장치의 올바른 위치 등록 정보를 얻기 위해서, 한번 휴대 단말 장치에 등록 해제 처리를 행하고, 다시 위치 등록 처리의 실시를 요구하는 것이, 네트워크 동작으로서 허용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ISR 상태의 불일치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ISR을 유효로 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가,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과의 사이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이미 위치 등록된 무선 액세스 기술 간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를, 새로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하는 무선 액세스 방식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ISR의 유효 또는 무효의 상태가 상이할 가능성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가 휴대 단말 장치에 ISR의 유효화를 지시해도, 휴대 단말 장치는 그 지시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방식이 제공된다.
휴대 단말 장치가, ISR이 무효인 상태에서, 그때까지 위치 등록되어 있던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 별도의 무선 액세스 기술로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경우는, 네트워크가 휴대 단말 장치에 ISR의 유효화를 지시해도, 휴대 단말 장치는 ISR을 무효인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 단말 장치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로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후에, 그때까지 위치 등록되어 있던 무선 액세스 기술로 이동해서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과 그때까지 위치 등록되어 있던 무선 액세스 기술과의 사이에서 위치 등록에 관한 정보를 이어받을 수 있는 설정으로, 네트워크에 위치 등록 처리를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는, ISR이 유효인 상태에서, 그때까지 위치 등록되어 있던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할 수 없는 경우라도, 그 시간이 경과하고나서 소정 시간 후에 ISR을 무효로 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휴대 단말 장치에 ISR의 유효화를 지시해도, 휴대 단말 장치는 그 지시를 무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의 통신 방식으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부와,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 각각에 대해서, 무선부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갖고, 통신 제어부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 각각에 대해서,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이미 위치 등록된 무선 액세스 기술 간에서는, 새로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하는 ISR을 실행함과 함께,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ISR의 유효 또는 무효인 상태가 상이할 가능성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 ISR의 유효화가 지시되어도, 그 지시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ISR 상태의 불일치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액세스 방식의 이용예와 함께, 무선 액세스 방식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3GPP 사양 요구 사항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휴대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ISR에서 사용되는 ISR 무효화 타이머 동작에 대해서, 휴대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액세스 방식의 이용예와 함께, 무선 액세스 방식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는, 복수의 RAT 통신 방식으로 통신가능하다. 여기에서는, RAT로서, E-UTRAN(LTE)과, GERAN/UT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2개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ISR을 유효로 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1)가, 복수의 RAT와의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이미 위치 등록된 RAT 간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1)를, 새로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ISR의 유효 또는 무효인 상태가 상이할 가능성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2)가 휴대 단말 장치(1)에 ISR의 유효화를 지시해도, 휴대 단말 장치(1)는 그 지시를 무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휴대 단말 장치(1)는, 복수의 RAT의 통신 방식으로 네트워크(2)와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부(3)와, 복수의 RAT 각각에 대해서, 무선부(3)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4)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 장치(1)는 또한, 무선부(3) 및 통신 제어부(4)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5)와, 주제어부(5)로부터 지시되는 정보를 유지하고, 읽어들이기나 기입에 대응하는 메모리(6)를 구비한다.
통신 제어부(4)는, 대향하는 네트워크(2) 내의 E-UTRAN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LTE 제어부(7)와, GERAN/UTRAN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2G/3G 제어부(8)를 구비한다.
LTE 제어부(7)는, LTE 송수신 제어부(9)와, LTE 송수신 처리부(10)를 구비한다. LTE 송수신 제어부(9)는, 통신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어, 대향하는 네트워크(2)와 송수신하는 메시지나 데이터를 제어한다. LTE 송수신 처리부(10)는, 대향하는 네트워크(2)와 송수신하는 메시지나 데이터를, LTE 송수신 제어부(9)가 취급하는 형식과 무선부(3)가 취급하는 형식 사이에서 변환한다.
2G/3G 제어부(8)는, 2G/3G 송수신 제어부(11)와, 2G/3G 송수신 처리부(12)를 구비한다. 2G/3G 송수신 제어부(11)는, 통신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어, 대향하는 네트워크(2)와 송수신하는 메시지나 데이터를 제어한다. 2G/3G 송수신 처리부(12)는, 대향하는 네트워크(2)와 송수신하는 메시지나 데이터를, 2G/3G 송수신 처리부(12)가 취급하는 형식과 무선부(3)가 취급하는 형식 사이에서 변환한다.
통신 제어부(4)는 또한, 무선부(3)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서,
·ISR 상태(유효/무효)(3GPP 상은, 휴대 단말 장치의 내부 파라미터인 TIN(Temporary Identity used in Next update)에 의해 관리된다)
·LTE 네트워크에의 위치 등록 정보(TAU Periodic Timer, E-UTRAN deactivate ISR timer,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등)
·GERAN/UTRAN 네트워크에의 위치 등록 정보(RAU Periodic Timer, GERAN/UTRAN Deactivate ISR timer, P-TMSI(Packet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
를 관리한다.
도 2는, 3GPP 사양 요구 사항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여기서, 휴대 단말 장치(1)의 초기 상태가, ISR이 무효인 것으로 한다(스텝 S1). 이때, 네트워크(2) 내의 LTE 네트워크(21)는,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등록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스텝 S2). 이것은, 이 시점까지, 휴대 단말 장치(1)가 LTE 네트워크(21)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실시하여, 성공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 네트워크(2) 내의 GERAN/UTRAN 네트워크(22)는,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등록 정보는 유지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한다(스텝 S3). 이것은, 현재, 휴대 단말 장치(1)로부터 GERAN/UTRAN 네트워크(22)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가 실시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위치 등록한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휴대 단말 장치(1)로부터 다시 네트워크(2)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시도하는 동작이, 3GPP 상 규정되어 있다. 이 일정 시간의 경과는, 통신 제어부(4) 내에서,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TAU(Tracking Area Update) Periodic Timer, RAU(Routing Area Update) Periodic Timer 등)의 만료에 의해 검출된다. 도 2의 예에서는, TAU Periodic Timer의 만료가 검출된다.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TAU Periodic Timer)가 만료하면(스텝 S4), TAU 등 위치 등록 처리의 개시가 요구된다. 그러나, LTE 에리어의 권외이었던 경우 등, 위치 등록 처리를 개시할 수 없는 상황에 있어서는, 위치 등록 처리는 개시되지 않는다. 이 경우, 다음에 위치 등록 처리를 개시할 수 있는 상황이 될 때까지 위치 등록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 것이, 3GPP 상 규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1)가 GERAN/UTRAN 네트워크(22)의 에리어로 이동하고, GERAN/UTRAN 에리어의 권내에 들어가는 것으로 한다(스텝 S5). 휴대 단말 장치(1)는, GERAN/UTRAN 네트워크(22)에 대하여, RAU(Routing Area Update) 등의 위치 등록 처리를 개시하기 위해서, RAU REQUEST 등의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6). 이에 대해, GERAN/UTRAN 네트워크(22)는, 휴대 단말 장치(1)로부터의 요구를 받아들인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RAU ACCEPT 등)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 내부의 파라미터에 의해, 네트워크(2)는, 휴대 단말 장치(1)에 대하여, ISR의 유효화를 지시한다(스텝 S8).
도 2의 예에서는, 스텝 S4에서 휴대 단말 장치(1) 측의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가 만료하고 있지만, LTE 네트워크(21)에 대한 위치 등록은 행해지지 않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LTE 네트워크(21) 측이 갖는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Mobile reachable timer 등)가 만료하지 않고 있을 때, LTE 네트워크(21)는, 위치 등록이 아직까지도 유효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로 인해, GERAN/UTRAN 네트워크(22)도 위치 등록이 성공하고(스텝 S7), LTE, GERAN/UTRAN의 양 네트워크(21, 22)가 위치 등록 성공 상태로 되어, 네트워크(2)가 ISR을 유효로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스텝 S6의 위치 등록 처리의 후에 LTE 네트워크(21)의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가 만료하고(스텝 S10), LTE 네트워크(21)가 유지하는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등록 정보는 해방된다(스텝 S11). 이때, 네트워크(2) 측은 ISR이 무효로 된 것을 인식하지만, 휴대 단말 장치(1) 측은, 스텝 S6의 위치 등록 처리에서 GERAN/UTRAN 네트워크(22)로부터 지시된 대로, ISR을 유효한 것으로 인식한다(스텝 S8). 이로 인해,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ISR의 상태가 불일치로 된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ISR의 상태가 불일치로 되면, 휴대 단말 장치(1)가 ISR을 유효로 하여, 이전의 RAT(도 2의 경우에는 LET 네트워크(21)) 이동해서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자 해도(스텝 S12), 네트워크(2)로부터 절단된다(스텝 S13). 이것은, 휴대 단말 장치(1)가 네트워크(2)에 송신하는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에 설정하는 단말기 고유 식별자가 ISR의 유효/무효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3GPP 상에서는, 네트워크(2) 내부에서 에리어 이동 전의 RAT로부터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수 없는 사양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 동작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1)가, ISR이 무효인 상태에서, 그때까지 위치 등록되어 있던 RAT(이 예에서는E-UTRAN(LTE))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지 않고, 별도의 RAT(GERAN/UTRAN)에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경우는, 네트워크(2)가 휴대 단말 장치(1)에 ISR의 유효화를 지시해도, 휴대 단말 장치(1)는 ISR을 무효인 상태로 한다.
즉,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텝 S6까지 진행하고, 스텝 S6의 위치 등록 처리에 있어서 네트워크(2)로부터 ISR의 유효가 지시된 경우에 있어서도, 휴대 단말 장치(1)는, ISR의 상태를 유효로 하지 않고, 무효인 상태로 한다(스텝 S21).
이에 의해, 그 후, 휴대 단말 장치(1)가 LTE 네트워크(21)의 권내로 이동하고(스텝 S9), LTE 네트워크(21)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TAU REQUEST 등의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때에 설정하는 단말기 고유 식별자는, ISR의 무효시의 것으로 된다(스텝 S22). 이때, 휴대 단말 장치(1)는, LTE 네트워크(21)에 대하여, GERAN/UTRAN 네트워크(22)가 유지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필요가 있는 것을 통지한다. 이에 의해, LTE 네트워크(21)는, GERAN/UTRAN 네트워크(22)로부터, 스텝 S7에서 유지하고 있는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수 있다(스텝 S23). 이어받기가 성공하는 경우, 네트워크(2) 측에서는 ISR이 유효해지고, LTE 네트워크(21)로부터 휴대 단말 장치(1)에 송신되는 메시지에 있어서도, ISR의 유효가 통지된다(스텝 S24). 이것을 받아, 휴대 단말 장치(1)는, ISR의 상태를 유효로 한다(스텝 S25).
여기에서는, LTE 네트워크(21)에 대한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가 만료하고, GERAN/UTRAN 네트워크(22)로부터 LTE 네트워크(21)에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이와는 반대로, GERAN/UTRAN 네트워크(22)에 대한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가 만료하고, LTE 네트워크(21)로부터 GERAN/UTRAN 네트워크(22)에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수도 있다.
또한, 스텝 S21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1) 내부의 ISR의 상태를 실제로 무효로 설정하지 않아도, 스텝 S22에 있어서 네트워크(2)에 대하여 ISR 무효로서 단말기 식별자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휴대 단말 장치(1)가, 네트워크(2)로부터의 ISR의 유효화를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ISR에서 사용되는 ISR 무효화 타이머의 동작에 대해서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ISR이 유효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1)에서 ISR이 유효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스텝 S31), LTE 네트워크(21)는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등록 정보를 유지하며(스텝 S32), GERAN/UTRAN 네트워크(22)도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등록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스텝 S33). 이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서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가 만료해도(스텝 S34), LTE 에리어의 권외이었던 경우 등 위치 등록 처리를 개시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위치 등록 처리를 실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ISR 무효화 타이머(3GPP 상에서는 E-UTRAN deactivate ISR timer(T3423), GERAN/UTRAN Deactivate ISR timer(T3323)가 정의된다)가 개시된다(스텝 S35).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ISR 무효화 타이머가 만료하면(스텝 S37), 휴대 단말 장치(1)는, ISR 상태를 무효로 변경한다(스텝 S38). 또한, LTE 네트워크(21)에서도,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가 만료하면(스텝 S39),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등록 정보를 해방한다(스텝 S40). 이와 같이, 네트워크(2) 측의 ISR 상태가 무효로 된 경우에도, 휴대 단말 장치(1)와 네트워크(2)와의 사이에서 ISR의 상태가 무효로 일치하는 것이, 3GPP 사양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 장치(1)에서 ISR을 무효로 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 장치(1)에서는 ISR이 유효인 상태이고, 네트워크(2)에서는 ISR이 무효로 되어, ISR의 상태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ISR 무효화 타이머를 개시할 수 없는 조건에서는, 네트워크(2)에 ISR의 유효화가 지시되어도, 휴대 단말 장치(1)는, 그 지시를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ISR 무효화 타이머를 개시할 수 없는 조건이란, 네트워크로부터 ISR 유효가 지정되지만, 이미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T3412 등)가 만료되어 있는 상태 등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ISR이 유효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가 만료하고, 그 후 별도의 RAT에서 실시한 위치 등록에서 네트워크(2)로부터 ISR 유효화가 지시되어도, 휴대 단말 장치(1) 측이 그 지시를 무시해 ISR을 유효화하지 않도록 동작하도록 했으므로, ISR이 유효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1)가 유지하는 위치 등록 주기 타이머 만료 후에 네트워크(2)로부터 ISR 유효화가 지시된 경우에도, 네트워크(2)와 휴대 단말 장치(1) 사이의 ISR 상태의 불일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불필요한 위치 등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네트워크(2)와의 사이의 트래픽의 감소, 휴대 단말 장치(1)의 배터리 소비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휴대 단말 장치(1)가 RAT를 크로스 오버하는 방식으로 에리어 이동을 행한 경우, 휴대 단말 장치(1)가, 네트워크(2)에 송신하는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에 설정하는 단말기 고유 식별자로서, ISR의 유효/무효에 맞춰서 적절한 값을 설정하도록 했으므로, 네트워크(2)와 휴대 단말 장치(1)와의 사이의 ISR 상태의 불일치를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1)가 다른 RAT의 에리어를 이동해 위치 등록을 실시할 경우에, 네트워크(2)는, 다른 RAT의 에리어 간에서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어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2)로부터 불필요한 등록 해제 처리 요구를 수신할 가능성이 없어진다. 그 결과로서, 네트워크(2)로부터의 불필요한 등록 해제 처리 요구에 의해 유저가 제공되는 호(call)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휴대 단말 장치
2: 네트워크
3: 무선부
4: 통신 제어부
5: 주제어부
6: 메모리
7: LTE 제어부
8: 2G/3G 제어부
9: LTE 송수신 제어부
10: LTE 송수신 처리부
11: 2G/3G 송수신 제어부
12: 2G/3G 송수신 처리부
21: LTE 네트워크
22: GERAN/UTRAN 네트워크

Claims (24)

  1. UE(User Equipment)로서
    RAU(Routing Area Update)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TIN(Temporary Identity used in Next update)이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로 현재 설정되어 있고, 상기 RAU 수락 메시지가 ISR(Idle mode Signalling Reduction)이 유효화되었다는 지시(indication)를 포함하고, 주기적 추적 영역 갱신 타이머(periodic tracking area update timer)가 이미 만료된 경우, 상기 TIN을 P-TMSI(Packet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
    을 포함하는 U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AU 수락 메시지는 상기 UE에 의해 송신된 RAU 요구 메시지가 받아들여진 경우 수신되는, UE.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P-TMSI로 설정되는 것은 상기 ISR이 무효화되는 것에 대응되는, UE.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GUTI로 설정되는 것은 상기 ISR이 무효화되는 것에 대응되는, UE.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P-TMSI로 설정된 경우, 이전 GUTI로서 "GUTI from P-TMSI"를 포함하는 TAU(Tracking Area Update)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UE.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닛은 상기 TIN을 RAT(radio access technology) 관련 TMSI로 설정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UE.
  7. UE(User Equipment)로서
    TAU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TIN이 P-TMSI로 현재 설정되어 있고, 상기 TAU 수락 메시지가 ISR이 유효화되었다는 지시를 포함하고, 주기적 추적 영역 갱신 타이머가 이미 만료된 경우, 상기 TIN을 GUTI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
    을 포함하는 UE.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AU 수락 메시지는 상기 UE에 의해 송신된 TAU 요구 메시지가 받아들여진 경우 수신되는, UE.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GUTI로 설정되는 것은 상기 ISR이 무효화되는 것에 대응되는, UE.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P-TMSI로 설정되는 것은 상기 ISR이 무효화되는 것에 대응되는, UE.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GUTI로 설정된 경우, 이전 P-TMSI로서 "P-TMSI from GUTI"를 포함하는 TAU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UE.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닛은 상기 TIN을 RAT 관련 TMSI로 설정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UE.
  13. 페이징 처리 방법(paging processing method)으로서,
    UE에 의해, RAU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TIN이 GUTI로 현재 설정되어 있고, 상기 RAU 수락 메시지가 ISR이 유효화되었다는 지시를 포함하고, 주기적 추적 영역 갱신 타이머가 이미 만료된 경우, 상기 TIN을 P-TMSI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AU 수락 메시지는 상기 UE에 의해 송신된 RAU 요구 메시지가 받아들여진 경우 수신되는, 페이징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P-TMSI로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ISR이 무효화되는 것에 대응되는, 페이징 처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GUTI로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ISR이 무효화되는 것에 대응되는, 페이징 처리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P-TMSI로 설정된 경우, 이전 GUTI로서 "GUTI from P-TMSI"를 포함하는 TAU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처리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TIN을 P-TMSI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TIN을 RAT 관련 TMSI로 설정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처리 방법.
  19. 페이징 처리 방법으로서
    UE에 의해, TAU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TIN이 P-TMSI로 현재 설정되어 있고, 상기 TAU 수락 메시지가 ISR이 유효화되었다는 지시를 포함하고, 주기적 추적 영역 갱신 타이머가 이미 만료된 경우, 상기 TIN을 GUTI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징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TAU 수락 메시지는 상기 UE에 의해 송신된 TAU 요구 메시지가 받아들여진 경우 수신되는, 페이징 처리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GUTI로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ISR이 무효화되는 것에 대응되는, 페이징 처리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P-TMSI로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ISR이 무효화되는 것에 대응되는, 페이징 처리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TIN이 GUTI로 설정된 경우, 이전 P-TMSI로서 "P-TMSI from GUTI"를 포함하는 TAU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처리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TIN을 GUTI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TIN을 RAT 관련 TMSI로 설정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처리 방법.
KR1020147027580A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KR101703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2860 2010-04-28
JPJP-P-2010-102860 2010-04-28
PCT/JP2011/059413 WO2011136053A1 (ja) 2010-04-28 2011-04-15 無線アクセス方式および携帯端末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31029A Division KR101495413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683A Division KR101826829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353A KR20140129353A (ko) 2014-11-06
KR101703097B1 true KR101703097B1 (ko) 2017-02-06

Family

ID=4486136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683A KR101826829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KR1020147027580A KR101703097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KR1020187003262A KR101867258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KR20127031029A KR101495413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683A KR101826829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262A KR101867258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KR20127031029A KR101495413B1 (ko) 2010-04-28 2011-04-15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9) US8655359B2 (ko)
EP (2) EP2566252B1 (ko)
JP (6) JP5835213B2 (ko)
KR (4) KR101826829B1 (ko)
CN (2) CN102972067B (ko)
AU (1) AU2011246318B2 (ko)
BR (1) BR112012027567B1 (ko)
ES (1) ES2770425T3 (ko)
MY (1) MY177426A (ko)
RU (5) RU2542942C2 (ko)
WO (1) WO2011136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42942C2 (ru) * 2010-04-28 2015-02-27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а радиодоступа и портативно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573156B1 (ko) * 2011-08-12 201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시그널링 감소에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JP5229403B1 (ja) * 2012-01-26 2013-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局、移動局の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GB2500723A (en) 2012-03-30 2013-10-02 Nec Corp Intersystem reselection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of different types
GB2501278A (en) 2012-04-18 2013-10-23 Nec Corp Rendering ineffective a ready timer depending on an initiated inter-system change
CN103458505B (zh) * 2012-05-29 2018-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节电模式下控制信令发送的方法和系统
JP5387790B2 (ja) * 2013-03-01 2014-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局、移動局の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30241A (ko) * 2014-12-22 2018-03-21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sgw, 단말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 방법, sgw 의 수신 방법, 및 단말기의 수신 방법
EP3932146B1 (en) * 2019-02-27 2023-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mobility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1265767B2 (en) * 2019-06-18 2022-03-01 Mediatek Inc. Enhancement for multi-access PDU session
US11228997B2 (en) 2019-06-18 2022-01-18 Mediatek Inc. Handling of multi-access PDU session when inter-system chan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0427A1 (en) 2007-10-16 2010-05-13 Guo Xiaolong Method and system for dual registration processing
US20110312348A1 (en) 2009-01-30 2011-12-22 Alexei Kulakov Reducing signalling loads from a mobile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2135B2 (en) * 2002-01-10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election and acquisi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3924502B2 (ja) * 2002-07-04 2007-06-06 富士通株式会社 モバイル通信方法および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
CN1283072C (zh) * 2003-07-03 2006-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用户终端网络选择信息的处理方法
US7770204B2 (en) * 2003-09-30 2010-08-03 Novell, Inc. Techniques for securing electronic identities
CN101155429A (zh) * 2006-09-30 2008-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在空闲模式下ms进行mip去注册的方法及本地代理装置
ATE476836T1 (de) * 2007-08-20 2010-08-15 Mitsubishi Elec R&D Ct Europ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ermöglichung der bestimmung, ob die weiterreichung einer kommunikation, in der ein mobiles endgerät beteiligt ist, von der ersten basisstation zur zweiten basisstation ausgeführt werden muss
CN101483850B (zh) * 2008-01-07 201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网络的方法及系统
CN101572942B (zh) * 2008-04-30 2012-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隐分离方法、系统和装置
US8989733B2 (en) * 2008-07-1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Preferred system selection enhancements for multi-mode wireless systems
JP2010093455A (ja) * 2008-10-06 2010-04-22 Ntt Docomo Inc 移動局
US10743251B2 (en) * 2008-10-31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for multiple access modes for home base stations
EP2214444A1 (en) * 2009-01-30 2010-08-04 Nec Corporation Method for optimizing the reduction of mobility signalling at inter-rat change
US20100260108A1 (en) * 2009-04-13 2010-10-14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reverse link data transmi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RU2542942C2 (ru) * 2010-04-28 2015-02-27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а радиодоступа и портативно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0427A1 (en) 2007-10-16 2010-05-13 Guo Xiaolong Method and system for dual registration processing
US20110312348A1 (en) 2009-01-30 2011-12-22 Alexei Kulakov Reducing signalling loads from a mobile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23.401 V9.4.0,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enhancements 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access(Release 9)’, 2010년 3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763A (ko) 2018-02-13
JP6551554B2 (ja) 2019-07-31
US20200092708A1 (en) 2020-03-19
RU2730893C1 (ru) 2020-08-26
US20170215130A1 (en) 2017-07-27
JP2019161669A (ja) 2019-09-19
JP5835213B2 (ja) 2015-12-24
JP2018082492A (ja) 2018-05-24
JP6881657B2 (ja) 2021-06-02
CN102972067B (zh) 2017-03-29
RU2015105196A (ru) 2015-06-27
US11146942B2 (en) 2021-10-12
JP6741127B2 (ja) 2020-08-19
JP2016040942A (ja) 2016-03-24
EP2566252A1 (en) 2013-03-06
JPWO2011136053A1 (ja) 2013-07-18
US9282526B2 (en) 2016-03-08
US20210274336A1 (en) 2021-09-02
JP2020182224A (ja) 2020-11-05
US20150181510A1 (en) 2015-06-25
KR20170018082A (ko) 2017-02-15
RU2718956C1 (ru) 2020-04-15
US8655359B2 (en) 2014-02-18
KR20130031273A (ko) 2013-03-28
US20190191291A1 (en) 2019-06-20
EP2566252B1 (en) 2019-11-06
US10524112B2 (en) 2019-12-31
US9936446B2 (en) 2018-04-03
CN102972067A (zh) 2013-03-13
US20130095830A1 (en) 2013-04-18
RU2015105196A3 (ko) 2018-10-26
JP6008156B2 (ja) 2016-10-19
MY177426A (en) 2020-09-15
EP3598810B1 (en) 2021-07-28
EP3598810A1 (en) 2020-01-22
KR101867258B1 (ko) 2018-06-12
KR20140129353A (ko) 2014-11-06
US9084219B2 (en) 2015-07-14
AU2011246318B2 (en) 2014-05-15
JP2017028722A (ja) 2017-02-02
US20180167872A1 (en) 2018-06-14
US10154451B2 (en) 2018-12-11
US20150319736A1 (en) 2015-11-05
RU2542942C2 (ru) 2015-02-27
BR112012027567A2 (pt) 2016-08-02
BR112012027567B1 (pt) 2022-06-28
RU2676883C2 (ru) 2019-01-11
US20140113627A1 (en) 2014-04-24
CN106879064B (zh) 2020-05-12
CN106879064A (zh) 2017-06-20
US20180035362A9 (en) 2018-02-01
KR101826829B1 (ko) 2018-02-07
ES2770425T3 (es) 2020-07-01
RU2012150841A (ru) 2014-06-20
US9226264B2 (en) 2015-12-29
WO2011136053A1 (ja) 2011-11-03
RU2699252C1 (ru) 2019-09-04
JP6278084B2 (ja) 2018-02-14
KR101495413B1 (ko) 2015-02-24
EP2566252A4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097B1 (ko) 무선 액세스 방식 및 휴대 단말 장치
AU2019203071B2 (en) Radio access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AU2014201838B2 (en) Radio access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