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753B1 -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753B1
KR101702753B1 KR1020150077378A KR20150077378A KR101702753B1 KR 101702753 B1 KR101702753 B1 KR 101702753B1 KR 1020150077378 A KR1020150077378 A KR 1020150077378A KR 20150077378 A KR20150077378 A KR 20150077378A KR 101702753 B1 KR101702753 B1 KR 10170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unit
supply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547A (ko
Inventor
조호원
Original Assignee
조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호원 filed Critical 조호원
Priority to KR102015007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7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8Impression cylinders
    • B41F13/187Impression cylinders for rotograv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은박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액체가 임시저장되는 액체저장부, 롤러를 갖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에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를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기 위한 층형성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를 상기 층형성부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은박지에 형성된 액체층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액체저장부에 일정량의 액체가 저장되도록 자동으로 공급하는 액체자동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용 은박지에 층 형성 시,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종래 액체 공급을 위해 작업을 중단하거나 작업자가 액체를 직접공급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Automatic liquid supply possible packaging foil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속적으로 이송되는 은박지에 층을 형성하되, 사용되는 액체 사용량에 따라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종래 액체 공급을 위해 작업을 중단하거나 작업자가 액체를 직접공급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의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차단성을 가지는 포장용 필름지의 경우, 폴리염화비닐(PVC)와 폴리비닐,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염화비닐리덴 필름(PVDC), 폴리비닐알코올(PVA), 알루미나(Al2O3) 및, 산화실리카(Siox) 등의 필름성분을 활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필름은 해당 제품에 대한 문구나 문양 등을 인쇄한 후, 포장상자의 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어 수납된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 포장지 제조를 살펴보면, 공개특허 10-2008-0107832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원단을 이송시키며 단계별로 가공하고, 접착제나 잉크 등의 액체를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접착제나 잉크에 의한 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해당 액체를 공급하고, 공급된 액체를 이송되는 원단에 도포 또는 인쇄한 후, 건조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포 또는 인쇄를 위한 해당 롤러를 액체저장부에 일정량 저장된 액체에 일부가 잠기도록 위치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제조과정에서 저장된 액체를 다 소모할 경우, 공정을 잠시 멈춰 액체를 공급하거나 공정과정에서 작업자가 직접 액체를 공급함에 따라,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기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포장용 은박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액체가 임시저장되는 액체저장부, 롤러를 갖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에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를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기 위한 층형성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를 상기 층형성부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은박지에 형성된 액체층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액체저장부에 일정량의 액체가 저장되도록 자동으로 공급하는 액체자동공급부,를 포함하여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종래 액체 공급을 위해 작업을 중단하거나 작업자가 액체를 직접공급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포장용 은박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액체가 임시저장되는 액체저장부, 롤러를 갖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에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를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기 위한 층형성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를 상기 층형성부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은박지에 형성된 액체층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액체저장부에 일정량의 액체가 저장되도록 자동으로 공급하는 액체자동공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체자동공급부는,상기 액체저장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상기 공급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밸브, 상기 액체저장부의 약체에 부유하는 부표, 및 일단이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부표와 연결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 저장량에 따라 상기 부표가 이동되어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되며, 이 회전레버에 의해 상기 밸브가 작동되어 액체가 공급 또는 중단되어 일정 저장량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저장부에 구비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표와 회전레버의 오작동 시, 상기 공급제어부에 의해 밸브가 제어되어 액체저장부의 일정 저장량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액체자동공급부는, 상기 엑체저장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상기 공급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밸브, 상기 층형성부의 롤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회전수 이상일 경우,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제어부는 층형성부의 회전수에 따른 액체 사용량이 기설정된 상태로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수신하여 액체공급을 위한 일정 회전수 이상 측정될 경우, 밸브를 제어하여 액체를 공급하고, 액체 공급 상태로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수신하여 액체공급중단을 위한 일정 회전수 이상 측정될 경우, 밸브를 제어하여 액체 공급을 중단하고, 이를 반복하여 액체저장부의 일정 저장량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저장부에 수위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는 상기 공급제어부로 전송되어 액체저장부의 일정 저장량을 기준으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공급제어부는 밸브를 제어하여 액체저장부의 일정 저장량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는 접착제이고, 상기 층형성부는, 상기 액체저장부에 일부가 담기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접착롤러, 상기 제1접착롤러와 접촉하여 회전됨에 따라 제1접착롤러에 부착된 접착제를 표면에 접착시킨 후, 상기 은박지에 도포하는 제2접착롤러, 및 상기 제1접착롤러와 제2접착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접착제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착롤러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은박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는 잉크고, 상기 층형성부는, 표면에 음각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저장부의 에 일부가 담기며, 상기 은박지에 잉크를 인쇄하기 위한 그라비어롤러, 상기 잉크가 음각에만 존재하도록 상기 그라비어롤러의 외주면을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그라비어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비어롤러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은박지에 잉크를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이송되는 은박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발열부를 통과시켜 은박지로 송풍시킴에 따라, 은박지에 형성된 액체를 건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층이 형성된 은박지를 가열하여 상기 액체층이 은박지에 열융착되어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열처리부는, 상기 액체층이 형성된 상기 은박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열처리이송부, 상기 열처리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 면 외측에 위치되는 열처리프레임,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열처리프레임에 구비되는 다수의 발열램프, 상기 열처리프레임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열처리프레임의 타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은박지가 이송되면, 상기 승강부에 의해 열처리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액체층을 녹여 상기 은박지에 열융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에 의하면, 포장용 은박지에 층 형성 시,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종래 액체 공급을 위해 작업을 중단하거나 작업자가 액체를 직접공급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의 액체자동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자동공급부에 수위센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자동공급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형성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형성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에 열처리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의 액체자동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자동공급부에 수위센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자동공급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형성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형성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에 열처리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10)는 이송부(100)와 액체저장부(200), 층형성부(300), 가압부(400), 건조부(500) 및 액체자동공급부(600)로 구성된다.
이송부(100)는 포장용 은박지(20)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가이드롤(110)을 갖는다.
그리고 액체저장부(200)는 액체(30)가 임시저장되며, 층형성부(300)는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20)에 액체저장부(200)의 액체를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가압부(400)는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20)를 층형성부(300)로 가압하고, 건조부(500)는 은박지(20)에 도포된 액체를 건조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액체자동공급부(600)는 액체저장부(200)에 일정량의 액체(30)가 저장되도록 자동으로 공급하여 일정량을 유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액체자동공급부(600)에 의해 액체저장부(200)로 액체(30)가 자동으로 공급됨에 따라, 종래 액체 공급을 위해 작업을 중단하거나 작업자가 직접 공급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액체자동공급부(6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관(610)과 밸브(620), 부표(630) 및 회전레버(640)로 구성된다.
공급관(610)은 액체저장부(200)로 액체(30)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고, 밸브(620)는 공급관(610)을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부표(630)는 액체저장부(200)의 액체(30) 상에 부유하고, 회전레버(640)는 일단이 밸브(620)에 연결되고, 타단이 부표(6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액체자동공급부(6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액체저장부(200)의 액체(30) 저장량에 따라 부표(630)가 이동되어 회전레버(640)가 회전되며, 이 회전레버(640)에 의해 밸브(620)가 작동되어 액체(30)가 공급 또는 중단되어 일정 저장량을 유지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자동공급부(600)에 수위센서(650)와 공급제어부(660)가 더 구비된다.
이 수위센서(650)는 액체저장부(200)에 구비되어 저장된 액체(30)의 수위를 측정하고, 공급제어부(660)는 수위센서(650)의 신호를 수신하여 밸브(620)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수위센서(650)와 공급제어부(660)는 부표(630)와 회전레버(640)의 오작동 시, 공급제어부(660)에 의해 밸브(620)가 제어되어 액체저장부(200)의 일정 저장량을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잉크자동공급부(600')는 공급관(610')과 밸브(620'), 엔코더(630') 및 공급제어부(640')로 구성된다.
공급관(610')은 액제저장부(200)로 액체(30)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고, 밸브(620')는 공급관(610')을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엔코더(630')는 층형성부(300)의 롤러 회전수를 측정하고, 공급제어부(640')는 엔코더(6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회전수 이상일 경우, 밸브(620')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공급제어부(640')는 층형성부(300)의 회전수에 따른 액체(30) 사용량이 기설정된 상태로 엔코더(6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액체공급을 위한 일정 회전수 이상 측정될 경우, 밸브(620')를 제어하여 액체(30)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액체(30)가 공급되는 상태로 엔코더(630')의 신호를 계속 수신하여 액체공급중단을 위한 일정 회전수 이상 측정될 경우, 밸브(620')를 제어하여 액체(30) 공급을 중단하고, 이를 반복하여 액체저장부(200)의 일정 저장량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액체저장부(200)에 수위센서(650')가 더 구비되며, 이 수위센서(650')의 신호는 공급제어부(640')로 전송되어 액체저장부(200)의 일정 저장량을 기준으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공급제어부(640')는 밸브(620')를 제어하여 액체저장부(200)의 일정 저장량을 유지한다.
이때, 각 실시 예의 액체자동공급부(600, 600')의 공급관(610, 610')은 별도로 설치된 저장탱크와 연결되거나 이동가능한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저장부(200)의 액체는 접착제이고, 층형성부(3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접착롤러(310)와 제2접착롤러(320) 및 접착제구동부(330)로 구성된다.
제1접착롤러(310)는 액체저장부(200)에 일부가 담기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접착롤러(320)는 제1접착롤러(310)와 접촉하여 회전됨에 따라 제1접착롤러(310)에 부착된 접착제를 표면에 접착시킨 후, 은박지(20)에 도포하게 된다.
또한 접착제구동부(330)는 제1접착롤러(310)와 제2접착롤러(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비된다.
이러한 제2접착롤러(320)는 가압부(400)에 의해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은박지(2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31)을 형성한다.
그리도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저장부(200)의 액체(20)는 잉크고, 층형성부(300')는 그라비어롤러(310')와 스크레이퍼(320') 및 인쇄구동부(330')로 구성된다.
그라비어롤러(310')는 표면에 음각이 형성되고, 액체저장부(200)의 잉크에 일부가 담기며, 은박지(20)에 잉크를 인쇄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스크레이퍼(320')는 잉크가 음각에만 존재하도록 그라비어롤러(310')의 외주면을 스크레이핑하게 된다.
인쇄구동부(330')는 그라비어롤러(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비된다.
이러한 그라비어롤러(310')는 가압부(400)에 의해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은박지(20)에 잉크를 인쇄하여 인쇄층(32)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압부(400)는 스프링 등에 의해 인쇄부(300)의 그라비어롤(310) 방향으로 가압되는 가압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부(500)는 발열부(510)와 송풍팬(520)으로 구성된다.
발열부(510)는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송풍팬(520) 발열부(510)와 이송되는 은박지(20) 사이에 위치되어 발열부(510)를 통과시켜 은박지(20)로 송풍시킴에 따라, 은박지(20)에 인쇄된 액체(30)를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층이 형성된 은박지(20)를 가열하여 액체층이 은박지(20)에 열융착되어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부(700)가 더 포함된다.
이 열처리부(700)는 열처리이송부(710)와 열처리프레임(720), 발열램프(730), 힌지부(740) 및 승강부(750)로 구성된다.
열처리이송부(710)는 액체층이 형성된 은박지(20)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열처리프레임(720)은 열처리이송부(710)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20) 면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발열램프(73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열처리프레임(720)에 다수 개 구비된다.
힌지부(740)는 열처리프레임(720)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승강부(750)는 힌지부(740)를 기준으로 열처리프레임(720)의 타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열처리부(7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열처리이송부(710)에 의해 은박지(20)가 이송되면, 승강부(750)에 의해 열처리프레임(72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액체층을 녹여 은박지(20)에 열융착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20 : 은박지
30 : 액체 100 : 이송부
200 : 액체저장부 300, 300' : 층형성부
400 : 가압부 500 : 건조부
600, 600' : 액체자동공급부 610, 610' : 공급관
620, 620' : 밸브 630 : 부표
630' : 엔코더 640 : 회전레버
640', 660 : 공급제어부 650, 650' : 수위센서

Claims (8)

  1. 포장용 은박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액체가 임시저장되는 액체저장부;
    롤러를 갖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에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를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기 위한 층형성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은박지를 상기 층형성부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은박지에 형성된 액체층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액체저장부에 일정량의 액체가 저장되도록 자동으로 공급하는 액체자동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자동공급부는,
    상기 액체저장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상기 공급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밸브;
    상기 층형성부의 롤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회전수 이상일 경우,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제어부는 층형성부의 회전수에 따른 액체 사용량이 기설정된 상태로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수신하여 액체공급을 위한 일정 회전수 이상 측정될 경우, 밸브를 제어하여 액체를 공급하고,
    액체 공급 상태로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수신하여 액체공급중단을 위한 일정 회전수 이상 측정될 경우, 밸브를 제어하여 액체 공급을 중단하고,
    이를 반복하여 액체저장부의 일정 저장량을 유지하는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부에 수위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는 상기 공급제어부로 전송되어 액체저장부의 일정 저장량을 기준으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공급제어부는 밸브를 제어하여 액체저장부의 일정 저장량을 유지하는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는 접착제이고,
    상기 층형성부는,
    상기 액체저장부에 일부가 담기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접착롤러;
    상기 제1접착롤러와 접촉하여 회전됨에 따라 제1접착롤러에 부착된 접착제를 표면에 접착시킨 후, 상기 은박지에 도포하는 제2접착롤러; 및
    상기 제1접착롤러와 제2접착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접착제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착롤러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은박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는 잉크고,
    상기 층형성부는,
    표면에 음각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저장부의 에 일부가 담기며, 상기 은박지에 잉크를 인쇄하기 위한 그라비어롤러;
    상기 잉크가 음각에만 존재하도록 상기 그라비어롤러의 외주면을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레이퍼; 및
    상기 그라비어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비어롤러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은박지에 잉크를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이송되는 은박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발열부를 통과시켜 은박지로 송풍시킴에 따라, 은박지에 형성된 액체를 건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KR1020150077378A 2015-06-01 2015-06-01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KR10170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78A KR101702753B1 (ko) 2015-06-01 2015-06-01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78A KR101702753B1 (ko) 2015-06-01 2015-06-01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547A KR20160141547A (ko) 2016-12-09
KR101702753B1 true KR101702753B1 (ko) 2017-02-03

Family

ID=5757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378A KR101702753B1 (ko) 2015-06-01 2015-06-01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072A (ja) * 2003-11-14 2005-06-09 Fischer & Krecke Gmbh & Co グラビア印刷シリンダのイン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19B1 (ko) * 2005-05-06 2007-11-16 신동안 우산자동포장기용 비닐봉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29871B1 (ko) * 2006-11-09 2008-05-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 시트 제조 장치 및 인쇄 시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072A (ja) * 2003-11-14 2005-06-09 Fischer & Krecke Gmbh & Co グラビア印刷シリンダのイン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547A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041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US56667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line printing on a water soluble film
JP2018118516A (ja) フレキソ印刷コーティングユニットを清浄するための清浄用装置および方法
KR101507067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장치
KR101702753B1 (ko) 액체 자동공급 가능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KR101867782B1 (ko) 종이 코팅 장치
JP6251246B2 (ja) フレキソ・コーティング装置のオンデマンド動作
KR101689469B1 (ko) 접합력이 향상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CN215551752U (zh) 无底热敏纸标签用速干型柔印机
JP2014188816A (ja) 記録装置
JP7214200B2 (ja) 印刷塗工装置
KR200352601Y1 (ko) 주름종이 제조장치
JP6776165B2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フィルム製造装置
KR20150107298A (ko) 종이의 수분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오바코팅기
KR101753115B1 (ko) 그라비아 인쇄장치
KR20100050085A (ko) 인쇄장치
JP2004078077A (ja) 含水調整装置及び平版印刷版の製造方法
KR102326084B1 (ko) 원사의 무수 염색용 전사시트 제조 시스템
KR102326085B1 (ko) 원사의 무수 염색용 전사시트 제조 방법
JP2006231593A (ja) 印刷機またはコーティング機
US20230234092A1 (en) System with sealing chamber
JP2012201062A (ja) 記録装置
JP2010089455A (ja) デジタル印刷機の乾燥装置
CN217477603U (zh) 用于制造小袋的系统
KR101336339B1 (ko) 후막필름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