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509B1 - 황토 단열 벽체 - Google Patents

황토 단열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509B1
KR101702509B1 KR1020150040849A KR20150040849A KR101702509B1 KR 101702509 B1 KR101702509 B1 KR 101702509B1 KR 1020150040849 A KR1020150040849 A KR 1020150040849A KR 20150040849 A KR20150040849 A KR 20150040849A KR 101702509 B1 KR101702509 B1 KR 10170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loess
finish layer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397A (ko
Inventor
현기환
김명규
Original Assignee
매이크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이크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이크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5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에 황토마감층으로 마감을 하여 황토 집 등 건축물의 자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황토 단열 벽체를 쉽게 조립할 수 있어 건축물의 제작공정이 간단한 황토 단열 벽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사각프레임 및 상기 사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황토 단열 패널로 구성되는 황토 단열 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황토 단열 패널은 판상의 단열재; 상기 단열재 양 측면에 구비되는 황토마감층; 및 상기 단열재 및 황토마감층의 측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장착프레임; 으로 구성되되, 상기 장착프레임은 단면 중앙에 단열재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단열재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 양측에 황토마감층이 결합되도록 상기 단열재 수납부의 개방된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황토마감층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단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황토마감층 외측 일부를 감싸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황토마감층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의 날개부 외측면에는 날개부보다 길이가 길어 지지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각프레임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 단열 벽체{Clay insulation wall}
본 발명은 단열재에 황토마감층으로 마감을 하여 건축물의 자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황토 단열 벽체를 쉽게 조립할 수 있어 건축물의 제작공정이 간단한 황토 단열 벽체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고자 거주 시설에도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한 건축물들이 지어지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적인 건축물의 재료 중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이 황토(黃土, red clay)이다. 황토는 일반적으로 누르고 거무스름한 흙 황양을 말하는 것으로, 바람에 의해 운반되어 퇴적된 담황색의 미세한 모래와 점토는 실트 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황토는 탄산칼륨에 의해 느슨하게 교절되어 대개 균질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공극률이 크다. 또한, 전체 지표면 중 약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약 35%의 토양이 황토로 이루어져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황토는 약성이 뛰어나고 독성이 없어 외부에서 침입하는 나쁜 기운을 제거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로를 풀어주며 면역력도 높여준다. 또한, 황토 속에 포함된 카달라아제라는 효소는 노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능이 있다. 아울러 황토는 습도가 높은 경우 습기를 흡수하고, 실내가 건조하면 습기를 공기중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어 건물 벽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병이라 불리는 아토피에 좋은 효과가 있어 황토를 이용한 황토 집이 근래에 많이 선호 받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황토 집 등 황토를 건축자재로 하는 건축물을 지을 때 물에 갠 황토를 지지틀에 차곡차곡 올려가며 벽체를 만들어 황토가 건조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였다. 따라서 제작기간이 많이 걸리고 완성된 황토 부재는 콘크리트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개특허 제10-2014-0115580호 "조립식 친환경 복합단열 벽체구조물"에서는 황토를 접목시킨 조립벽체를 이용하여 간단한 조립으로 빨리 구조물을 지을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조립벽체는 단열재인 하이폴패널과의 일 표면을 황토모르타르 층으로 미장하고, 타 표면을 시멘트모르타르 층으로 미장한 조립벽체를 종단이음바, 횡단이음바 및 둘레홈으로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립벽체는 일 표면만이 황토모르타르 층으로 되어 있고 타 표면은 시멘트모르타르 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어렵다.
또한, 외관이 시멘트모르타르 층으로 되어 있어 페인트 칠을 해야 하기 때문에 황토 집을 짓는 곳에 사용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상기 단열 조립벽체를 목조프레임에 설치할 경우 목조프레임 상부에 단순히 얹혀 놓는 것이기 때문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어려우며, 목조프레임이 수축하게 되면 단열 조립벽체와 목조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생겨 접합부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단열 성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판상의 단열재 양 측면에 황토마감층이 구비되어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황토마감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황토 집 등의 건축물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황토 단열 패널의 장착프레임이 사각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레일홈에 삽입되어 안착되기 때문에, 황토 단열 패널과 사각프레임의 결합이 견고한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각프레임이 목질인 경우 사각프레임이 수축하게 되더라도 접합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며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사각프레임 및 상기 사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황토 단열 패널로 구성되는 황토 단열 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황토 단열 패널은 판상의 단열재; 상기 단열재 양 측면에 구비되는 황토마감층; 및 상기 단열재 및 황토마감층의 측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장착프레임; 으로 구성되되, 상기 장착프레임은 단면 중앙에 단열재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단열재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 양측에 황토마감층이 결합되도록 상기 단열재 수납부의 개방된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황토마감층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단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황토마감층 외측 일부를 감싸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황토마감층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의 날개부 외측면에는 날개부보다 길이가 길어 지지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각프레임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황토 단열 패널측 내측면 중앙에는 상기 황토 단열 패널 장착프레임의 단열재 수납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황토 단열 패널과 사각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덮개부는 날개부 단부에서 외측으로 180°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덮개부 후면 일단에는 날개부 단부가 삽입 장착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단열재 양 측면에는 메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메쉬부는 와이어,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황토마감층은 단열재 외측면에 구비되는 1차 황토마감층 및 상기 1차 황토마감층 외측면에 구비되는 2차 마감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단열재 양 측면에 황토마감층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안팎으로 황토가 숨을 쉬어 실내 습도 조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벽체 외관이 황토마감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황토 집 등의 건축물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며 다시 황토 미장을 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단열재 및 황토마감층의 측단을 감싸도록 구비된 황토 단열 패널의 장착프레임이 사각프레임을 구성하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안착되기 때문에, 황토 단열 패널을 사각프레임에 쉽고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다.
넷째,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된 레일홈에 황토 단열 패널이 삽입되기 때문에, 목재로 된 사각프레임의 경우라도 목재의 수축에 의해 황토 단열 패널과의 접착 부분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기밀성 및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섯째, 장착프레임의 날개부 외측면에 덮개부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황토 단열 패널과 사각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을 가려줘 미관상 보기 좋으며 기밀성 및 단열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황토 단열 패널의 장착프레임과 사각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더 구비하여, 서로 다른 재료의 접합을 우수하게 할 수 있고 기밀성 및 단열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토 단열 패널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장착프레임을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장착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장착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장착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황토 단열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황토마감층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황토 단열 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황토 단열 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황토 단열 벽체의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토 단열 패널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장착프레임을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토 단열 패널(10)은 판상의 단열재(110), 상기 단열재(110) 양 측면에 구비되는 황토마감층(120) 및 상기 단열재(110) 및 황토마감층(120)의 측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장착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프레임(130)은 단면 중앙에 단열재(11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단열재 수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110) 양측에 황토마감층(120)이 결합되도록 상기 단열재 수납부(131)의 개방된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황토마감층(120)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2a)와 상기 지지부(132a) 단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황토마감층(120) 외측 일부를 감싸는 날개부(132b)로 구성되는 황토마감층 수납부(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황토 단열 패널(10)은 황토 집 등 황토를 이용한 건축물을 짓기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단열재(110) 양 측면에 황토마감층(120)으로 마감을 하여,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도 따로 황토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할 필요가 없다.
상기 황토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해독작용, 노폐물 배출 및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질병 예방 및 치료에 많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110) 양 측면으로 황토가 구비되어 있어 안팎으로 황토가 숨을 쉬며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실내가 건조하지 않으며 장마철에도 실내가 습하지 않다.
아울러 황토 단열 패널(10)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 기간이 단축되어 제작비용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단열재(110)는 건축용 단열패널에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단열성이 우수하며 방습성이 뛰어나고 경량이면서 제조가 용이한 발포 폴리스타일렌이나 발포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포 폴리스타일렌 단열재는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제품으로 건축 자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차음저감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방음 효과가 좋다.
또한, 상기 발포 폴리스타일렌 단열재는 열전달 현상이 낮아 단열효과에 우수한 제품으로 단열재(110)로 적합한 재료이다.
상기 장착프레임(130)은 황토 단열 패널(10)의 마구리부로써 단열재(110)와 황토마감층(120)의 측단을 감싸주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측단면의 형상을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프레임(130)은 단열재(110)가 수납되도록 중앙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단열재 수납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130)은 황토마감층(120)이 수납될 수 있도록 황토마감층 수납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황토마감층 수납부(132)는 단열재 수납부(131)의 개방된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지지부(132a) 및 상기 지지부(132a) 단부에서 수직 절곡시켜 형성된 날개부(132b)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 수납부(131)에 단열재(110)의 측단부가 쉽게 삽입될 수 있어, 단열재(110)를 장착프레임(130) 내측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130)에는 황토마감층 수납부(13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황토마감층(120)을 일정한 두께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132b)는 황토마감층(120)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되어 있어 황토마감층(120)이 건조되기 전 쉽게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 수납부(131) 및 황토마감층 수납부(132)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단열재(110)와 황토마감층(120)의 두깨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황토 단열 패널(1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착프레임(130)은 다양한 재질로 사용할 수 있으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금속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는 장착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프레임(130)의 날개부(132b) 외측면에는 덮개부(150)가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150)는 날개부(132b)보다 길이가 길어 지지부(132a)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50)는 길이를 길게 하여 지지부(132a)측으로 더 나오도록 제작해야 한다.
이러한 덮개부(150)는 후술할 사각프레임(20) 및 황토 단열 패널(10)이 만나는 이음부의 공간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에, 틈새를 차단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틈새로 바람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밀 성능 및 단열 성능의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50)는 다양한 재질로 사용할 수 있으나, 미관상 후술할 사각프레임(20)과 같은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150)와 장착프레임(130)의 날개부(132b) 외측면 사이에는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여 덮개부(150)를 장착프레임(13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이질재를 접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50)는 날개부(132b) 단부에서 외측으로 180°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장착프레임(13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덮개부(150)는 장착프레임(130)과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150)는 날개부(132b)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해야 하기 때문에 금속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50) 후면 일단에는 날개부(132b) 단부가 삽입 장착되는 끼움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장착프레임(130)의 또 다른 실시예로 끼움부(151)는 덮개부(150)를 상기 날개부(132b)의 단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접착제의 사용 없이도 쉽게 덮개부(150)를 날개부(132b)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끼움부(151)에 의하여 덮개부(150)의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덮개부(150)를 손 쉽게 탈착할 수도 있다.
도 6은 황토 단열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 단열 패널(10)의 단열재(110) 양 측면에는 메쉬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140)를 단열재(110) 양 측면에 잘 고정하도록 단열재(110)의 일 측면에 위치한 메쉬부(140)와 타 측면에 위치한 메쉬부(140)는 단열재(110)를 관통시켜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메쉬부(140)는 일 방향으로 고정돌기(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단열재(110) 측면에 메쉬부(14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메쉬부(140)는 메쉬구멍마다 황토마감층(120)이 채워져서, 단열재(110) 측면의 황토마감층(120)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메쉬부(140)는 단열재(110)와 황토마감층(120)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보강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황토 단열 패널(10)의 강도를 높여 줄 수 있다.
상기 메쉬부(140)는 와이어,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메쉬는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황토 단열 패널(10)의 보강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 메쉬는 인장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보강재로 적합하고, 두께가 얇고 가벼워 경량의 황토 단열 패널(10)을 제작하는데 적합한 소재이다.
도 7은 황토마감층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황토마감층(120)은 단열재(110) 외측면에 구비되는 1차 황토마감층(121) 및 상기 1차 황토마감층(121) 외측면에 구비되는 2차 마감층(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차 황토마감층(121)은 외측면을 거칠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차 황토마감층(121) 외측면에 구비되는 2차 마감층(122)이 잘 고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차 마감층(122)은 1차 황토마감층(121)의 마감을 위한 것으로, 고르게 펴서 발라야 하며 1차 황토마감층(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바를 수 있다.
상기 2차 마감층(122)은 황토뿐 아니라 기타 외장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황토 단열 패널(10)을 제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열재(110) 양 측면에 메쉬부(140)를 고정시킨다.
둘째, 상기 단열재(110) 네 측단면에 장착프레임(130)의 단열재 수납부(131)에 삽입하여 끼운다.
셋째, 메쉬부(140)가 구비된 상기 단열재(110)의 일 측면에 1차 황토마감층(121)의 외측면이 거칠게 형성되도록 황토를 바른 후 건조시킨다.
이때, 단열재(110)의 일 측면과 장착프레임(130)의 황토마감층 수납부(134) 사이에도 황토마감층(12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꼼꼼하게 황토를 바른다.
넷째, 건조된 1차 황토마감층(121) 외측면에 2차 마감층(122)을 형성하도록 황토를 고르게 펴면서 바른 후 건조시킨다.
다섯째, 상기 황토 단열 패널(10)의 일 측면에 구비된 황토마감층(120)이 완전히 건조되면 뒤집어 타 측면에도 셋째 및 넷째와 같은 방법으로 황토마감층(120)을 형성하도록 황토를 바른 후 건조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황토 단열 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황토 단열 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황토 단열 벽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 단열 벽체(1)는 수평부재(210)와 수직부재(220)로 구성되는 사각프레임(20) 및 상기 사각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되는 황토 단열 패널(10)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프레임(20)은 다양한 재질로 사용할 수 있으나 황토 집 제작을 위해서는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재(210)와 수직부재(220)의 황토 단열 패널(10)측 내측면 중앙에는 상기 황토 단열 패널 장착프레임(130)의 단열재 수납부(131)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레일홈(200)이 형성되어 상기 황토 단열 패널(10)과 사각프레임(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재 수납부(131)와 대응되도록 수평부재(210)와 수직부재(220)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된 레일홈(200)에 단열재 수납부(131)가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황토 단열 벽체(1)의 조립이 쉽고 견고하다.
특히, 상기 레일홈(200)에 단열재 수납부(131)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목재의 사각프레임(20)을 사용해도 황토 단열 패널(10)과 상기 사각프레임(20)의 접합 부분이 목재의 수축에 의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황토 단열 벽체(1)의 기밀성 및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210)와 수직부재(220)가 만나는 모서리 면에는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여 사각프레임(20)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레일홈(200)에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여 사각프레임(20)과 황토 단열 패널(10)의 접합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착력도 우수할 뿐 아니라 탄성력이 좋아 충격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에 의해 황토 단열 패널(10)과 사각프레임(20) 사이의 공간을 확실히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기밀성 및 단열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1: 황토 단열 벽체 10: 황토 단열 패드
110: 단열재 120: 황토마감층
121: 1차 황토마감층 122: 2차 마감층
130: 장착프레임 131: 단열재 수납부
132: 황토마감층 수납부 132a: 지지부
132b: 날개부 140: 메쉬부
150: 덮개부 151: 끼움부
20: 사각프레임 200: 레일홈
210: 수평부재 220: 수직부재

Claims (8)

  1. 수평부재(210)와 수직부재(220)로 구성되는 사각프레임(20) 및
    상기 사각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되는 황토 단열 패널(10)로 구성되는 황토 단열 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황토 단열 패널(10)은 판상의 단열재(110);
    상기 단열재(110) 양 측면에 구비되는 황토마감층(120); 및
    상기 단열재(110) 및 황토마감층(120)의 측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장착프레임(13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장착프레임(130)은 단면 중앙에 단열재(11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단열재 수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110) 양측에 황토마감층(120)이 결합되도록 상기 단열재 수납부(131)의 개방된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황토마감층(120)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2a)와 상기 지지부(132a) 단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황토마감층(120) 외측 일부를 감싸는 날개부(132b)로 구성되는 황토마감층 수납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프레임(130)의 날개부(132b) 외측면에는 날개부(132b)보다 길이가 길어 지지부(132a)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각프레임(20)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
  2. 제1항에서,
    상기 수평부재(210)와 수직부재(220)의 황토 단열 패널(10)측 내측면 중앙에는 상기 황토 단열 패널 장착프레임(130)의 단열재 수납부(131)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레일홈(200)이 형성되어 상기 황토 단열 패널(10)과 사각프레임(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
  3. 제1항에서,
    상기 덮개부(150)는 날개부(132b) 단부에서 외측으로 180°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
  4. 제1항에서,
    상기 덮개부(150) 후면 일단에는 날개부(132b) 단부가 삽입 장착되는 끼움부(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
  5. 제1항에서,
    상기 단열재(110) 양 측면에는 메쉬부(1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
  6. 제5항에서,
    상기 메쉬부(140)는 와이어,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
  7. 제1항에서,
    상기 황토마감층(120)은 단열재(110) 외측면에 구비되는 1차 황토마감층(121) 및 상기 1차 황토마감층(121) 외측면에 구비되는 2차 마감층(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단열 벽체.
  8. 삭제
KR1020150040849A 2015-03-24 2015-03-24 황토 단열 벽체 KR10170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49A KR101702509B1 (ko) 2015-03-24 2015-03-24 황토 단열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849A KR101702509B1 (ko) 2015-03-24 2015-03-24 황토 단열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97A KR20160114397A (ko) 2016-10-05
KR101702509B1 true KR101702509B1 (ko) 2017-02-06

Family

ID=5715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849A KR101702509B1 (ko) 2015-03-24 2015-03-24 황토 단열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511A (ko) * 2015-08-13 2018-06-20 리텔퓨즈 세미컨덕터 (우시) 씨오., 엘티디. 과전압 보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4254A (zh) * 2019-05-29 2019-10-25 北京工业大学 装配式玄武岩纤维再生混凝土外挂复合墙板结构及制作方法
CN111305464B (zh) * 2019-12-27 2022-03-15 赵静青 一种夹芯板及夹芯板墙面
KR102484287B1 (ko) * 2022-08-03 2023-01-02 김정언 단열기능을 가지는 목조 건축용 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31B1 (ko) * 2006-11-07 2007-11-13 김쌍도 조립식 황토벽체
KR20130014998A (ko) * 2012-01-25 2013-02-12 노유학 클린룸용 이중창조립체의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511A (ko) * 2015-08-13 2018-06-20 리텔퓨즈 세미컨덕터 (우시) 씨오., 엘티디. 과전압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97A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509B1 (ko) 황토 단열 벽체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US9388583B2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KR20180075349A (ko) 조립식 모듈, 조립식 주택 및 조립식 주택 시공방법.
KR20041875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JP2009270299A (ja)
KR19990014402A (ko) 건축용 황토패널의 구조
KR20080087566A (ko) 패널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황토 패널
KR101068591B1 (ko)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1848535B1 (ko) 건식 바닥구조
KR102164638B1 (ko) 스티로폼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JPH0257619B2 (ko)
KR20100049524A (ko) 난방 수단이 구비된 황토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250680B1 (ko) 건식욕실건조방법
US1397301A (en) Structural framework for walls, partitions, roofs, &c.
KR101748783B1 (ko) 조립 블록과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KR102560587B1 (ko) 천장용 마감몰딩
KR101432702B1 (ko) 실내 습기조절이 가능한 개량형 생태구조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생태건축물
JP4442998B2 (ja) 木造建築物の壁構造体
JP6611975B1 (ja) 胴縁
KR100990560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1851445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부 마감재
KR101140629B1 (ko)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KR200223770Y1 (ko) 목재를 이용한 건축용 판넬
KR20040016234A (ko) 외장 단열판넬 고정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