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442B1 - 필터 박스 - Google Patents

필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442B1
KR101702442B1 KR1020160088441A KR20160088441A KR101702442B1 KR 101702442 B1 KR101702442 B1 KR 101702442B1 KR 1020160088441 A KR1020160088441 A KR 1020160088441A KR 20160088441 A KR20160088441 A KR 20160088441A KR 101702442 B1 KR101702442 B1 KR 10170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unit
filt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씨
Priority to KR102016008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격벽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통로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접착에 의해 격벽유닛의 전면 또는 후면에 포집함으로써,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박스에 관한 것으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관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달라붙도록 전면과 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격벽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 박스{filter box}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연결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축되는 아파트나 오피스빌딩 또는 주상복합 등의 건물은 냉난방 에너지의 소비를 최대로 줄이기 위하여 매우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고 있다. 건물의 기밀이 유지된다는 의미는 건물 내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건물의 콘크리트는 물론 벽이나 마루 또는 천장 등의 시공시 사용되는 다양한 화공약품은 독성이 있으므로 건물의 기밀성이 높을수록 환기는 필수적이며 별도의 환기시스템을 적용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강제적인 환기를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사무실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곳은 수시로 환기를 시켜야 하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전열교환 방식을 이용한 환기시스템이 이용되며, 이것은 실내공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외부공기를 급기하고, 실내공기를 배기하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환기시스템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는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하며 이와 동시에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전열교환기가 있다.
상기 전열교환기는 내부에 설치되는 팬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부로 유입된 신선한 공기를 배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급한다.
또한,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실외로 배출한다.
상기 전열교환기에는 전열교환유니트가 구비되고,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양측에는 전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열교환기는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조화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전열교환기는 장시간 사용시 또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많을 경우 상기 필터가 쉽게 막혀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필터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실외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함은 물론, 필터의 막힘으로 인해 팬에 송풍부하가 걸려 기계적 효율도 급격히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패키지화되어 있는 전열교환기를 뜯고 그 내부의 필터를 교체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작업이므로 일반인이 쉽게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일반적이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filtering) 할 경우, 필터의 메쉬를 미세먼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촘촘히 형성해야 하는데 이때, 필터의 메쉬가 너무 촘촘하여 공기의 여과 및 순환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3036호
상기와 같은 종래 필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존 전열교환기와 같은 공기조화장치 또는 덕트 내외부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공기조화장치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격벽유닛의 접착에 의해 필터링함으로써, 필터 막힘으로 인해 공기조화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예방할 수 있고, 격벽유닛의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공기정화장치 및 덕트의 기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박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관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달라붙도록 전면과 후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격벽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는, 하우징의 전면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유닛의 후방에 상기 격벽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터박스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격벽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격벽유닛의 접착에 의해 포집함으로써,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박스는 하우징 내부의 격벽유닛과 필터유닛의 교체가 간단 용이하여, 필터박스의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필터박스와 연결되는 공기조화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및 내부 모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격벽유닛 모식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및 내부 모식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의 내부에 격벽유닛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및 내부 모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필터박스의 분해도, 내부도, 격벽유닛의 모식도 및 격벽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관통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표면에 달라붙도록 전면과 후면에 접착층(10a)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격벽유닛(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가 빈 육면체 또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가로 폭이 하우징(100)의 가로 폭보다 작은 판 형상의 격벽유닛(10)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데, 상기 격벽유닛(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고, 하우징(100)의 좌우측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최선단에 배치되는 격벽유닛(10)은 하우징(100)의 좌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격벽유닛(10)의 우측단부와 상기 하우징(100)의 우측면에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격벽유닛(10)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재그 형의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며,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한 공기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최후단에 배치되는 격벽유닛(10)과 하우징(100)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유닛(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레일(30)에 테두리부(좌우측단부와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고정레일(30)은 내부에 홈이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레일이 상기 격벽유닛(10)의 형상에 대응하여 "ㅁ"자 형상으로 하우징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유닛(10)의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부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凹"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30)은 상기 격벽유닛(10)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좌우로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고, 상기 격벽유닛(10)의 좌우측 및 하단의 테두리부가 끼워져 지지함으로써 상기 격벽유닛(10)을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단단히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30)은 상기 격벽유닛(10)의 좌우측 양단부만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소정거리 이격된 "11"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격벽유닛(10)의 일측단부와 하단의 테두리부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유닛(10)의 테두리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격벽프레임(11)이 형성되는데, 상기 격벽유닛(10)이 상기 고정레일(30)에 삽입/분리시 상기 격벽유닛(10)의 테두리부를 보호할 수 있고, 상기 고정레일(3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101)은 덮개와 같이 하우징(100)에서 분리/결합되거나 힌지와 같은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가 상기 상면(101)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격벽유닛(10)의 교체시,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열어 하우징(100)의 상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격벽유닛(10)을 하우징(100) 상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고정레일(30)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꺼낸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101)에 상기 격벽유닛(1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개폐 가능한 창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101)을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창을 통해 격벽유닛(10)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101)에는 상기 격벽유닛(10)의 상단부가 전후방향 걸리도록 돌출된 가이드레일(101a)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격벽유닛(10)은 상기 고정레일(30)과 상기 가이드레일(101a)에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단단히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격벽유닛(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층(10a)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층(10a)은 상기 격벽유닛(10)의 전면 및 후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격벽유닛(10)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격벽프레임(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격벽유닛(10)의 전면과 후면의 접착층(10a)에 달라붙어 필터링(filtering)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즉,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일반적이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할 경우, 필터의 메쉬를 미세먼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촘촘히 형성해야 하는데 이때, 필터의 메쉬 간격이 너무 촘촘하게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촘촘한 메쉬에 이물질이 낄 경우 공기의 여과 및 순환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격벽유닛(10)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지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격벽유닛(10)의 전면과 후면의 접찹층(10a)에 접착되어 포집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하우징(100)을 관통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모두 필터링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및 내부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2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전면에 필터유닛(20)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유닛(20)의 후방에는 상기 격벽유닛(10)이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유닛(20)은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섬유 형태의 메쉬필터, 이오나이저, 정전 현상을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포집하는 콜렉터 또는 악취 등의 냄새성분을 탈취하기 위한 탈취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20)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 선단부의 좌우측면과 바닥면에 "凹"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레일(30)에 삽입/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상기 필터유닛(20)은 상술한 상기 격벽유닛(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고정레일(30)에 끼움으로써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외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유입시,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상기 필터유닛(20)에 의해 1차로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유닛(20)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된 공기가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격벽유닛(10)의 접착층(10a)에 접촉되어 공기 중에 잔존하는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접착층(10a)에 의해 2차로 필터링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유닛(20)과 격벽유닛(1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기되어 실내로 급기된다.
또한, 상기 격벽유닛(10)의 일측에는 오존을 발생시켜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 또는 멸균시키는 오존발생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유닛의 배치를 나타낸 내부 평면도이다.
상기 격벽유닛(1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좌우측면에 대하여 소정 각 기울어진 사선형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격벽유닛(10)의 일측단부(하우징의 측벽에 접하지 않고 내부로 향하는 일단부)로 갈수록 하우징(100)의 후면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하여(공기 유입방향과 동일한 방향),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을 통해 유입되어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막힘없이 잘 유동하면서도 상기 격벽유닛(10)에 의해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으며,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져 소음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격벽유닛(10)은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향하는 일측단부로 갈수록 하우징(100)의 전면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하여(공기 유입방향에 역방향),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격벽유닛(10)에 잘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이물질의 필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격벽유닛(10)의 전면에 가로방향의 그루브(groove,10c)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상기 격벽유닛(10)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증대시켜 많은 양의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격벽유닛(10)의 접착층(10a)에 접착되어 포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부 공기를 효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면적도 증가하게 되어 공기의 순환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박스는 전열교환기와 같은 공기조화장치 또는 덕트와 같이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조화기 내외부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공기조화장치 또는 덕트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유닛(20)과 격벽유닛(10)에 의해 2중으로 필터링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격벽유닛 10a : 접착층
11 : 격벽프레임 20 : 필터유닛
30 : 고정레일 100 : 하우징
101 : 하우징 상면 101a : 가이드레일

Claims (7)

  1.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를 관통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지그재그의 공기유동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표면에 달라붙도록 전면과 후면에 접착층(10a)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격벽유닛(10);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유닛(10)은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소정 깊이 파인 그루브(10c)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20)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유닛(10)이 상기 필터유닛(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유닛(10)의 일측에는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공기유동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하는 오존발생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상기 격벽유닛(10) 및 필터유닛(20)의 테두리부를 지지하여 상기 격벽유닛(10) 및 필터유닛(20)을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레일(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박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88441A 2016-07-13 2016-07-13 필터 박스 KR10170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41A KR101702442B1 (ko) 2016-07-13 2016-07-13 필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41A KR101702442B1 (ko) 2016-07-13 2016-07-13 필터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442B1 true KR101702442B1 (ko) 2017-02-03

Family

ID=5815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441A KR101702442B1 (ko) 2016-07-13 2016-07-13 필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4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03Y1 (ko) * 2001-06-08 2001-10-22 김현채 작물 재배 시설용 공기 정화기
KR100343036B1 (ko) 2000-08-11 2002-07-02 김광영 전기집진기를 포함한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1259073B1 (ko) * 2012-08-03 2013-04-29 조정웅 방습방진기가 구비된 케이스
KR20150095487A (ko) * 2014-02-13 2015-08-21 (주)토텍 흡연부스용 건식 정화시스템
KR20160007305A (ko) * 2014-07-12 2016-01-20 이지윤 점착성 미로통로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036B1 (ko) 2000-08-11 2002-07-02 김광영 전기집진기를 포함한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KR200247003Y1 (ko) * 2001-06-08 2001-10-22 김현채 작물 재배 시설용 공기 정화기
KR101259073B1 (ko) * 2012-08-03 2013-04-29 조정웅 방습방진기가 구비된 케이스
KR20150095487A (ko) * 2014-02-13 2015-08-21 (주)토텍 흡연부스용 건식 정화시스템
KR20160007305A (ko) * 2014-07-12 2016-01-20 이지윤 점착성 미로통로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CN100383464C (zh) 通风系统
KR100617082B1 (ko) 초박형 환기장치
KR20100082430A (ko)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2081237B1 (ko) 환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기청정기
US9388996B2 (en) Air curtain HVAC system
US20060199509A1 (en) Ventilating system
KR100587359B1 (ko)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
KR100587315B1 (ko) 환기시스템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JP2024036429A (ja) 空調換気システム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1702442B1 (ko) 필터 박스
JP2003021375A (ja) 多機能給気扇および住宅用換気システム
KR102448119B1 (ko) 공기순환기의 필터수명 연장구조
KR100587314B1 (ko) 환기시스템
KR20200003471A (ko) 교체 가능한 창호용 환기 장치
KR20080047119A (ko) 정압실을 형성한 격벽형 에어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용이중창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KR100587313B1 (ko)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
JP2008020127A (ja) 放射冷暖房装置
KR100577289B1 (ko) 환기시스템
KR100640825B1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