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271B1 -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271B1
KR101702271B1 KR1020160129515A KR20160129515A KR101702271B1 KR 101702271 B1 KR101702271 B1 KR 101702271B1 KR 1020160129515 A KR1020160129515 A KR 1020160129515A KR 20160129515 A KR20160129515 A KR 20160129515A KR 101702271 B1 KR101702271 B1 KR 101702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ace
accommodating
magnetic for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
Original Assignee
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 filed Critical 이용
Priority to KR102016012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6Electrically operated valves, e.g. using electromagnetic or piezoelectr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는,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마그네트 밸브에 있어서,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공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상기 전원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연결부에 인가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자기장형성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폐쇄시키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커넥터 및 상기 전기커넥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장형성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포위한 채,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하우징이 제공하는 상기 중공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제공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외면을 따라 권취된 채, 상기 전원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부에 인가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일부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전자기장의 형성 여부에 따라 자력을 띠는 자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코일부가 접촉된 채, 권취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상기 코일부가 상기 권취부를 이탈하지 않도록 경계를 설정하는 경계설정부를 구비하고,상기 경계설정부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통과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코일부의 타측이 통과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부는, 일측은 상기 제1 돌출부를 통과한 채, 상기 전원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에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으며, 타측은 상기 제2 돌출부를 통과한 채, 상기 자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력부가 자력을 띠게 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계설정부의 상기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Magnet valve and a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마그네트 밸브(일종의 자동차용 브란자(plunger)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란자란 디젤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연료 압송, 분배 장치로 정식명칭은 분사펌프(Injection pump)이다. 펌프 내부 의 플런져 밸브(plunger valve)를 지칭하던 용어가 지금의 현장용어인 브란자로 불리게 된 것이다.
소형 디젤 기관이 진보됨에 따라 분사 펌프의 크기, 무게, 가격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한층 간단하고 소형이며, 가벼운 분사 펌프가 필요하여 만든 것이 분배형 분사 펌프이다.  그 특징은 열형 분사 펌프가 각 실린더마다 독립된 플런저를 가지고 있어, 펌프의 캠축의 1회전에 1행정을 끝내는 데 비해 분배형 펌프는 1개의 플런저가 회전을 하면서 왕복 운동을 하여 각 실린더에 연료를 분배한다.  
또한, 열형 분사 펌프는 이러한 장치가 모두 펌프 하우징 안에 결합되어 있다. 부품수도 열형 펌프의 반 이하이므로 소형이고 가벼운 점에서 소형 자동차용 디젤 기관에 널리 쓰이고 있다.
마그네트 밸브는, 분사 펌프의 분사 스위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1-0022998호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시되어 있으나, 외부의 전원에 의한 마그네트가 균일하게 생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엔진의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연료 분사 펌프의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폐하여 자동차의 연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마그네트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는,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마그네트 밸브에 있어서,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공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상기 전원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연결부에 인가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자기장형성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폐쇄시키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커넥터 및 상기 전기커넥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장형성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포위한 채,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하우징이 제공하는 상기 중공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제공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외면을 따라 권취된 채, 상기 전원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부에 인가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일부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전자기장의 형성 여부에 따라 자력을 띠는 자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코일부가 접촉된 채, 권취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상기 코일부가 상기 권취부를 이탈하지 않도록 경계를 설정하는 경계설정부를 구비하고,상기 경계설정부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통과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코일부의 타측이 통과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부는, 일측은 상기 제1 돌출부를 통과한 채, 상기 전원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에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으며, 타측은 상기 제2 돌출부를 통과한 채, 상기 자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력부가 자력을 띠게 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계설정부의 상기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전자기장형성부는, 상기 제1 돌출부를 통과한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상기 자력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삽입된 상기 커버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삽입부 및 상기 커버부삽입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도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경계설정부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도움부까지 절개되어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상기 제1 돌출부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절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절개부는, 상기 경계설정부의 상기 외주면의 접선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는, 상기 제1 함입부가 함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2 함입부가 함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직선은 서로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제1 돌출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2 돌출부는, 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자력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코일부는, 상기 권취부에 중첩해서 권취되는 경우, 상호 쇼트를 방지하도록 절연 부재로 코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원연결부에 연결되는 일측 및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타측은 상기 절연 부재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코일부는, 상기 권취부에 중첩해서 권취된 경우, 상기 권취부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권취된 코일부의 외면이 니스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수용부삽입부, 상기 수용부삽입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수용부삽입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삽입 한계를 결정하는 삽입한계부 및 상기 삽입한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탄성부가 삽입되는 탄성부삽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탄성부삽입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표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전자기장에 의한 자력이 상기 끝단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삽입한계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와 접촉되고,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권취부는, 상기 코일부가 권취되는 경우, 상기 코일부가 일정 영역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 공간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분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분배부는, 상기 권취부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수용부는, 외주면을 따라 함입된 함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는 함입홈대응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부의 외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상기 함입홈은,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은,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위치이동부를 수용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마그네트 밸브를 제조하는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전기커넥터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전기커넥터를 사출 금형에 삽입한 후, 사출액을 상기 사출 금형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주입시켜 상기 사출액이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촉방지부가 되도록 하는 제2 단계, 상기 위치이동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준비하는 제3 단계, 상기 수용부를 사출 금형에 삽입한 후, 사출액을 상기 사출 금형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주입시켜 상기 사출액이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는 공간제공부가 되도록 하는 제4 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간제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을 권취하는 제5 단계, 상기 코일의 일측은 상기 공간제공부의 제1 돌출부에 삽입된 채,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의 타측은 상기 공간제공부의 제2 돌출부에 삽입된 채, 자력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6 단계, 상기 자력부를 상기 수용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하는 제7 단계, 일측에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노출되며, 타측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수용공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커넥터, 상기 접촉방지부, 상기 수용부, 상기 공간제공부 및 상기 자력부를 하우징에 삽입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코킹(caulking)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전기커넥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코일이 상기 공간제공부에 중첩해서 권취되는 경우, 상호 쇼트를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의 외면을 전열 부재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간제공부에 권취된 상기 코일이 상기 공간제공부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권취된 코일의 외면을 니스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절연 부재로 코팅된 코일의 일측이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코일의 일측에 코팅된 절연 부재를 벗겨 내고, 상기 절연 부재로 코팅된 코일의 타측이 상기 자력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코일의 타측에 코팅된 절연 부재를 벗겨 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코일의 일측이 상기 자력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의 일측에 커버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자력부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자력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고무링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코일 상호 간의 쇼크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권취부에 권취되는 코일이 상호 어긋나게 중첩되지 않고, 균일하게 권취되어 형성된 전자기장의 세기와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전자기장형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위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권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제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제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는,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에 배치되어 자동차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1)는, 하우징(10), 전원연결부(20), 전자기장형성부(30) 및 위치이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중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의 일측과 타측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중공의 일측의 크기는 타측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공의 일측은 상기 전원연결부(20)가 삽입된 채, 상기 전원연결부(20)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의 타측은 상기 전자기장형성부(30)가 삽입된 채,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은 상기 연료 분사 펌프에 삽입 고정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에 의한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하도록, 렌치에 의한 회전력이 인가되기 용이한 각진 외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20)는,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된 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공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부(20)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커넥터(22) 및 상기 전기커넥터(22)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커넥터(22)와 상기 하우징(1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기커넥터(2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이하 설명할 코일부(34)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방지부(24)는, 불소를 포함한 절연 부재로 형성되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하여 상기 전기커넥터(22)로 인가된 전원에 의한 발열에도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접촉방지부(24)는, 상기 전기커넥터(22)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형성부(30)는,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중공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의 수용공간(S)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인가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S)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제1 위치(도 1의 실선)에서 제2 위치(도 1의 점선)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통로란,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통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인가된 전원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인가된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위치이동부(40)의 위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전자기장형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1)의 전자기장형성부(30)는, 수용부(31), 공간제공부(32), 코일부(34) 및 자력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채, 수용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S)은 일종의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32)는, 상기 수용부(31)를 포위한 채, 상기 수용공간(S)이 상기 하우징(10)이 제공하는 상기 중공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수용부(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32)는, 불소를 포함한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32)는, 중공이 형성된 실타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중공에는 상기 수용부(31)가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31)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공간제공부(32)에 의해 은닉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제공부(32)는, 상기 코일부(34)가 접촉된 채, 권취되는 권취부(322) 및 상기 권취부(322)에 권취되는 상기 코일부(34)가 상기 권취부(3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경계를 설정하는 경계설정부(3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322)는, 원기둥 형상으로 외면을 따라 상기 코일부(34)가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경계설정부(324)는, 상기 권취부(322)의 양 끝단에 위치하되, 상기 권취부(32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권취부(322)에 권취된 코일부(34)가 상기 권취부(3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경계설정부(324)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이 통과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돌출부(3241) 및 상기 제1 돌출부(3241)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이 통과하는 제2 돌출부(32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241)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부(3242)는, 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이란, 상기 권취부(322)에 권취되는 상기 코일부(34)의 시작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이란, 상기 권취부(322)에 권취된 상기 코일부(34)의 말미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코일부(34)는, 상기 권취부(322)에 중첩해서 권취되는 경우, 상호 쇼트를 방지하도록 절연 부재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연결되는 일측 및 상기 접촉부(352)에 접촉되는 타측은 상기 절연 부재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부(34)가 상기 권취부(322)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권취부(322)의 외면을 따라 중첩되어 권취될 수 있는데, 이 때 코일부(34)를 구성하는 코일 상호 간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34)에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기적 성질을 띠게 되고, 이 때 코일 상호 간은 전기적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코일의 외면은 얇은 절연 부재로 코팅되어 상호 접촉되더라도 전기적 쇼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34)가 상기 권취부(322)에 중첩해서 권취된 경우, 상기 권취부(322)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권취된 코일부(34)의 외면이 니스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권취된 코일부(34)는 상호간의 별도의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으므로, 권취된 형태가 바뀌거나 느슨해 질 수 있으나 상기 니스에 의해 일정 고정력이 부가되어 상기 코일부(34)가 풀어지거나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코일부(34)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와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코일부(34)의 텐션과 중첩된 형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장의 세기와 균일성은 변화할 수 있는데, 상기 코일부(34)가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일수록 또, 균일하게 중첩될수록 상기 전자기장의 세기와 균일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코일부(34)는, 상기 공간제공부(32)의 외면을 따라 권취된 채,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인가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S)에 상기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부(34)는, 일측은 상기 제1 돌출부(3241)를 통과한 채,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으며, 타측은 상기 제2 돌출부(3242)를 통과한 채, 상기 자력부(35)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력부(35)가 자력을 띠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34)의 일측과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은 상기 절연 부재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은 상기 전원연결부(20)와,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은 상기 자력부(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코일부(34) 상호간의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코팅된 절연부재는 상기 코일부(34)의 일측과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에는 부재(不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코일부(34)의 일측 및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은 물리적으로 코팅된 절연부재를 벗겨 내거나, 열에 의해 녹여 유실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장형성부(30)는, 상기 제1 돌출부(3241)를 통과한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이 상기 자력부(35)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부(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6)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6)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기 코일부(34)를 외부와 단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241)는,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이 삽입된 상기 커버부(36)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삽입부(3241a) 및 상기 커버부삽입부(3241a)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36)의 삽입을 용아하게 하는 삽입도움부(324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삽입부(3241a)는, 상기 커버부(36)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36)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도움부(3241b)는, 상기 커버부삽입부(3241a)의 일부분이 유실되어 형성된 형태로 상기 삽입도움부(3241b)가 제공하는 공간에 의해 상기 커버부삽입부(3241a)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커버부(36)의 삽입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계설정부(324)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도움부(3241b)까지 절개되어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이 상기 제1 돌출부(3241)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절개부(32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243)는, 상기 경계설정부(324)의 외주면의 접선(B)과 예각(A2)을 형성하도록 절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경계설정부(324)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3241)까지의 절개 경로의 길이를 확장하는 효과를 주어 상기 절개부(3243)를 따라 이동한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이 상기 절개부(3243)를 이탈하기 어렵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코일부(34)가 상기 경계설정부(324)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은 상기 절개부(3243)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돌출부(324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324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36)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커버부(36)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돌출부(324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3243)는 상기 삽입부(351)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제1 함입부(3522)를 규정하는 내면에 의해 상기 삽입도움부(3241b)가 커버되도록, 상기 외주면의 접선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6)의 일측으로 노출된 상기 코일부(34)의 일측은 상기 전원연결부(20)의 상기 전기커넥터(2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돌출부(3242)는,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이 삽입된 채,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돌출부(3242)는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부(322)를 따라 권취된 상기 코일부(34)의 끝 단 즉, 말미 부분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채,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일부(34) 타측의 고정은 상기 제2 돌출부(3242)를 열에 의해 가공하여 액상화 한 후, 상기 삽입공과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이 결합된 채, 건조되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력부(35)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되어 상기 전자기장의 형성 여부에 따라 자력을 띨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력부(35)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S)에 삽입되는 삽입부(351) 및 상기 삽입부(35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계설정부(324)의 상기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52)는, 상기 제1 돌출부(324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32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함입부(3521) 및 상기 제2 돌출부(324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돌출부(32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함입부(35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입부(3521) 및 상기 제2 함입부(3522)는 상기 접촉부(35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접촉부(352)의 중심을 향하여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241)의 상기 제1 함입부(3521)로의 삽입과 상기 제2 돌출부(3242)의 상기 제2 함입부(3522)로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접촉부(352)는 상기 경계설정부(324)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 운동이 제한되게 된다.
상기 제1 함입부(3521)가 합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직선(L1)과 상기 제2 함입부(3522)가 함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직선(L2)은 서로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함입부(3521)와 상기 제2 함입부(3522)의 함입되는 방향은 서로 평각을 이루지 않고, 둔각(A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함입부(3521)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돌출부(3241)와 상기 제2 함입부(3522)에 삽입되는 상기 제2 돌출부(3242) 또한 상기 제1 함입부(3521)와 상기 제2 함입부(35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돌출부(3241)에 삽입되는 상기 코일부(34)의 일측 및 상기 제2 돌출부(3242)에 삽입되는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에 작용하는 모멘트 힘이 상호 상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코일부(34)의 일측 및 상기 코일부(34)의 타측이 상기 권취부(3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력부(35)는, 상기 삽입부(351)가 상기 수용부(31)에 수용된 경우, 상기 수용부(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부(351)와 상기 수용부(31)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링(3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력부(35)의 상기 삽입부(351)는 상기 수용부(31)의 수용공간(S)에 삽입된 채, 상기 수용공간(S)에 동시에 수용된 상기 위치이동부(40)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삽입부(351)는 상기 수용공간(S) 내에서 위치 이동되지 않아야 상기 위치이동부(40)의 위치 이동이 정확히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351)와 상기 수용부(31) 사이에 고무링(37)을 위치 시키며, 상기 삽입부(351)와 상기 위치이동부(4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 또는 상기 위치이동부(4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이 상기 고무링(37)과 상기 수용부(3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351)는, 상기 위치이동부(40)의 탄성부(44)가 삽입되는 탄성부삽입부(35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4)는, 일종의 스프링으로 일측은 상기 탄성부삽입부(3512)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이동부(40)의 수용부삽입부(42)에 접촉된 채, 상기 위치이동부(4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44)는 상기 위치이동부(4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인가된 전원이 해제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4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록 한다.
상기 탄성부삽입부(3512)는, 상기 탄성부(44)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35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삽입부(3512)는, 끝단으로 갈수록 표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전자기장에 의한 자력이 상기 끝단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위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1)의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수용공간(S)에 삽입되는 수용부삽입부(42), 상기 수용부삽입부(42)와 상기 수용공간(S)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351)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44), 상기 수용부삽입부(42)의 상기 수용공간(S)으로의 삽입 한계를 결정하는 삽입한계부(46) 및 상기 삽입한계부(46)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4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삽입부(42)는, 상기 수용부(31)의 수용공간(S)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삽입부(351)가 자력을 띠게 되면, 상기 수용부삽입부(42)는 상기 삽입부(351)와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수용부(31) 내로 위치 이동되며 이 때, 상기 탄성부(44)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삽입한계부(46)는, 상기 수용부삽입부(42)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S)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삽입부(42)가 상기 수용공간(S)으로 삽입되는 중에 상기 수용부(31)와 접촉되어 상기 수용부삽입부(42)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부삽입부(42)와 상기 삽입부(351)는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48)는, 상기 삽입한계부(46)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이동부(4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연료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위치이동부(4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연료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권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1)의 권취부(322)는, 상기 코일부(34)가 권취되는 경우, 상기 코일부(34)가 일정 영역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 공간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분배부(32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34)는, 상기 권취부(322)의 외면을 따라 권취되는 과정에서 서로 이격되지 않고, 텐션이 유지된 상태에서 중첩되어 권취되어야 하는데, 이 때 권취되는 과정에서 상기 코일부(34)를 구성하는 코일 간에 상호 꼬이거나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3221)는, 상기 권취부(322)의 외면을 따라 이격된 채,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부(34)를 구성하는 코일이 권취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부(3221)는, 상기 권취부(322)의 외면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복수의 분배부(3221)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권취부(322)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의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1)의 수용부(31)는, 외주면을 따라 함입된 함입홈(3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함입홈(312)은, 상기 수용부(31)를 포위하는 상기 공간제공부(32)의 접촉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제공부(32)와의 접촉 영역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간제공부(32)와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부(31)와 상기 공간제공부(3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제공부(32)는, 상기 함입홈(312)에 삽입되는 함입홈대응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부(31)의 외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입홈(312)은, 상기 수용부(31)의 외주면으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입홈(312)은, 상기 수용부(31)의 외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갈수록 홈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입홈대응부(미도시)는 상기 함입홈(312)에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입홈대응부가 상기 함입홈(312)에 삽입되면, 상기 함입홈(312)의 형상에따라 상기 함입홈(312)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입홈(312)은, 상기 수용부(3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입홈대응부 또한 상기 함입홈(312)과 대응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이하, 제조방법)은,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위치이동부를 수용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마그네트 밸브를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마그네트 밸브는 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마그네트 밸브에 관한 도면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이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마그네트 밸브의 각 구성요소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체적인 효과는 상술한 마그네트 밸브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전기커넥터(122)를 준비하는 제1 단계(S1)를 진행(도 12의 (a)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전기커넥터(122)를 사출 금형(P1)에 삽입한 후, 사출액(Q1)을 상기 사출 금형(P1)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주입시켜 상기 사출액(Q1)이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촉방지부(124)가 되도록 하는 제2 단계를 진행(도 12의 (b), (c)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2)는 일종의 인서트 사출 성형일 수 있다. 상기 사출액(Q1)은 불소를 포함한 재질로 형성되어 절연성과 내열성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위치이동부(14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31)를 준비하는 제3 단계(S3)를 진행(도 13의 (a)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1)를 사출 금형(P2)에 삽입한 후, 사출액(Q2)을 상기 사출 금형(P2)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주입시켜 상기 사출액(Q2)이 상기 수용부(131)와 연결되는 공간제공부(132)가 되도록 하는 제4 단계(S4)를 진행(도 13의 (b), (c)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S4)는 일종의 인서트 사출 성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액(Q2)은 불소를 포함한 재질로 형성되어 절연성과 내열성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수용공간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간제공부(132)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134)을 권취하는 제5 단계(S5)를 진행(도 14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134)의 일측은 상기 공간제공부(132)의 제1 돌출부(13241)에 삽입된 채, 상기 전기커넥터(122)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134)의 타측은 상기 공간제공부(132)의 제2 돌출부(13242)에 삽입된 채, 자력부(135)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6 단계(S6)를 진행(도 14 참조)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자력부(135)를 상기 수용부(131)의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하는 제7 단계(S7)를 진행(도 15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에는 상기 전기커넥터(122)가 노출되며, 타측에는 상기 수용부(131)의 상기 수용공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커넥터(122), 상기 접촉방지부(124), 상기 수용부(131), 상기 공간제공부(132) 및 상기 자력부(135)를 하우징(110)에 삽입하는 제8 단계(S8)를 진행(도 16 참조)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을 코킹(caulking)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전기커넥터(1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9 단계(S9)를 진행(도 17 참조)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제5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제5 단계는, 상기 코일(134)이 상기 공간제공부(132)에 중첩해서 권취되는 경우, 상호 쇼트를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의 외면을 전열 부재로 코팅하는 단계(S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5-a)는 상기 제5 단계(S5)에 선행하여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S5-a)는 상기 코일부(134)가 상기 공간제공부(132)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공간제공부(132)의 외면을 따라 중첩되어 권취될 수 있는데, 이 때 코일부(134)를 구성하는 코일 상호 간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34)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기적 성질을 띠게 되고, 이 때 코일 상호 간은 전기적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코일의 외면은 얇은 절연 부재로 코팅되어 상호 접촉되더라도 전기적 쇼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는(S5)는, 상기 공간제공부(132)에 권취된 상기 코일(134)이 상기 공간제공부(132)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권취된 코일의 외면을 니스로 코팅하는 단계(S5-b)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S5-b)는, 상기 제5 단계(S5)가 진행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b)를 진행하는 이유는, 상기 권취된 코일부(134) 상호간의 별도의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으므로, 권취된 형태가 바뀌거나 느슨해 질 수 있으나 상기 니스에 의해 일정 고정력이 부가되어 상기 코일부(134)가 풀어지거나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또한 상기 코일부(134)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와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코일부(134)의 텐션과 중첩된 형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장의 세기와 균일성은 변화할 수 있는데, 상기 코일부(134)가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일수록 또, 균일하게 중첩될수록 상기 전자기장의 세기와 균일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의 제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제6 단계는, 상기 절연 부재로 코팅된 코일(134)의 일측이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코일의 일측에 코팅된 절연 부재를 벗겨 내고, 상기 절연 부재로 코팅된 코일(134)의 타측이 상기 자력부(135)와 연결되도록 상기 코일의 타측에 코팅된 절연 부재를 벗겨 내는 단계(S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6-a)는, 상기 제6 단계(S6)에 선행되어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S6-a)는, 상기 코일(34)의 일측은 상기 전기커넥터(122)와, 상기 코일(34)의 타측은 상기 자력부(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코일(134) 상호간의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코팅된 절연부재는 상기 코일(134)의 일측과 상기 코일(134)의 타측에는 부재(不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코일(34)의 일측 및 상기 코일(34)의 타측은 물리적으로 코팅된 절연부재를 벗겨 내거나, 열에 의해 녹여 유실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6 단계(S6)는, 상기 코일(134)의 일측이 상기 자력부(135)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134)의 일측에 커버부(136)를 삽입하는 단계(S6-b)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S6-b)는 상기 단계(S6-a)와 상기 제6 단계(S6) 중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6)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6)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삽입된 상기 코일(34)과 외부가 단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7 단계(S7)는, 상기 자력부(135)를 상기 수용부(131)에 수용된 경우, 상기 수용부(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자력부(135)와 상기 수용부(131) 사이에 고무링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력부(135)는 상기 수용부(131)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채, 상기 수용공간에 동시에 수용된 상기 위치이동부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자력부(135)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위치 이동되지 않아야 상기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정확히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력부(135)와 상기 수용부(131) 사이에 고무링을 위치 시키며, 상기 자력부(135)와 상기 위치이동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 또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이 상기 고무링과 상기 수용부(13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마그네트 밸브
10: 하우징
20: 전원연결부
30: 전자기장형성부
31: 수용부
32: 공간제공부
34: 코일부
35: 자력부
36: 커버부
37: 고무링
40: 위치이동부

Claims (23)

  1.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마그네트 밸브에 있어서,
    중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공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
    상기 전원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전원연결부에 인가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자기장형성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폐쇄시키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커넥터 및 상기 전기커넥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상기 하우징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장형성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포위한 채,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하우징이 제공하는 상기 중공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제공부, 상기 공간제공부의 외면을 따라 권취된 채, 상기 전원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부에 인가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코일부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전자기장의 형성 여부에 따라 자력을 띠는 자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코일부가 접촉된 채, 권취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상기 코일부가 상기 권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경계를 설정하는 경계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계설정부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통과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코일부의 타측이 통과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부는,
    일측은 상기 제1 돌출부를 통과한 채, 상기 전원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으며, 타측은 상기 제2 돌출부를 통과한 채, 상기 자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력부가 자력을 띠게 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계설정부의 상기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는,
    상기 접촉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중심을 향하여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자기장형성부는,
    상기 제1 돌출부를 통과한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상기 자력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삽입된 채, 포위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삽입된 상기 커버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삽입부 및 상기 커버부삽입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도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계설정부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도움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코일부의 일측이 상기 제1 돌출부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절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제1 함입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의해 상기 삽입도움부가 커버되도록, 상기 외주면의 접선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경계설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코일부의 타측이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코일부의 타측이 통과하면 가공에 의해 절개된 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입부가 함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직선과 상기 제2 함입부가 함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직선은 서로 둔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2 돌출부는, 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권취부에 중첩해서 권취되는 경우, 상호 쇼트를 방지하도록 절연 부재로 코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원연결부에 연결되는 일측 및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타측은 상기 절연 부재가 코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권취부에 중첩해서 권취된 경우, 상기 권취부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권취된 코일부의 외면이 니스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수용부삽입부, 상기 수용부삽입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수용부삽입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삽입 한계를 결정하는 삽입한계부 및 상기 삽입한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탄성부가 삽입되는 탄성부삽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삽입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표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전자기장에 의한 자력이 상기 끝단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한계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와 접촉되고,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코일부가 권취되는 경우, 상기 코일부가 일정 영역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 공간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권취부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외주면을 따라 함입된 함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는 함입홈대응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부의 외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홈은,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18. 자동차 엔진의 연료 분사 펌프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분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료통로에서 플런저(plunger)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위치이동부를 수용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마그네트 밸브를 제조하는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전기커넥터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전기커넥터를 사출 금형에 삽입한 후, 사출액을 상기 사출 금형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주입시켜 상기 사출액이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결되는 접촉방지부가 되도록 하는 제2 단계;
    상기 위치이동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를 준비하는 제3 단계;
    상기 수용부를 사출 금형에 삽입한 후, 사출액을 상기 사출 금형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주입시켜 상기 사출액이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는 공간제공부가 되도록 하는 제4 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간제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을 권취하는 제5 단계;
    상기 코일의 일측은 상기 공간제공부의 제1 돌출부에 삽입된 채,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의 타측은 상기 공간제공부의 제2 돌출부에 삽입된 채, 자력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6 단계;
    상기 자력부를 상기 수용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하는 제7 단계;
    일측에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노출되며, 타측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수용공간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커넥터, 상기 접촉방지부, 상기 수용부, 상기 공간제공부 및 상기 자력부를 하우징에 삽입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코킹(caulking)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전기커넥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코일의 일측이 상기 자력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의 일측에 커버부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간제공부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코일의 일측이 삽입된 상기 커버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삽입부 및 상기 커버부삽입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도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제공부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도움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절개되어 코일부의 일측이 상기 제1 돌출부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절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제1 함입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의해 상기 삽입도움부가 커버되도록, 상기 외주면의 접선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경계설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절개되어 코일부의 타측이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되, 코일부의 타측이 통과하면 가공에 의해 절개된 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코일이 상기 공간제공부에 중첩해서 권취되는 경우, 상호 쇼트를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의 외면을 절연 부재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간제공부에 권취된 상기 코일이 상기 공간제공부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권취된 코일의 외면을 니스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절연 부재로 코팅된 코일의 일측이 상기 전기커넥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코일의 일측에 코팅된 절연 부재를 벗겨 내고, 상기 절연 부재로 코팅된 코일의 타측이 상기 자력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코일의 타측에 코팅된 절연 부재를 벗겨 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자력부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자력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고무링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밸브 제조방법.
KR1020160129515A 2016-10-07 2016-10-07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515A KR101702271B1 (ko) 2016-10-07 2016-10-07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515A KR101702271B1 (ko) 2016-10-07 2016-10-07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271B1 true KR101702271B1 (ko) 2017-02-22

Family

ID=5831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515A KR101702271B1 (ko) 2016-10-07 2016-10-07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2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1641U (ja) * 1991-04-15 1992-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スイツチのソレノイドコイル用ボビン
JPH08312678A (ja) * 1995-05-17 1996-11-26 Ogura Clutch Co Ltd 電磁連結装置の励磁装置
JP2002043122A (ja) * 2000-07-31 2002-02-08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ソレノイドの製造方法
WO2002091403A2 (en) * 2001-05-08 2002-11-14 Kelsey-Hayes Company Solenoid valve coil having an integrated bobbin and flux r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1641U (ja) * 1991-04-15 1992-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スイツチのソレノイドコイル用ボビン
JPH08312678A (ja) * 1995-05-17 1996-11-26 Ogura Clutch Co Ltd 電磁連結装置の励磁装置
JP2002043122A (ja) * 2000-07-31 2002-02-08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ソレノイドの製造方法
WO2002091403A2 (en) * 2001-05-08 2002-11-14 Kelsey-Hayes Company Solenoid valve coil having an integrated bobbin and flux rin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9787B2 (en) Electromagnetic switch of starter
JP4631845B2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KR100836251B1 (ko) 최소화된 전자기스위치를 구비한 스타터
US7289012B2 (en) Electromagnetic coil assembly
KR101602599B1 (ko) 솔레노이드
US6062200A (en) Motor fuel dispenser
CN102800470A (zh) 内燃机用点火线圈
US6409144B1 (en) Solenoid valve with integrated yoke and bobbin
JP2007182962A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US20120293284A1 (en) Electromagnetic switch
US7802584B2 (en) Fuel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nufacture
KR101702271B1 (ko) 마그네트 밸브 및 그 제조방법
US9748054B2 (en) Contact device
EP0843394B1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626481B2 (en) Ignition coil
US6191674B1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081807B2 (ja) 電磁弁
US6816050B2 (en) Size-reduced magnet coil carrier
TW201716714A (zh) 電磁閥
US9729024B2 (en) Solenoid actuator
US20080079521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Comprising An Electromagnet With A Coil Secured To A Permanent Magnet, And A Method Of Assembling Such An Actuator
US20090058579A1 (en) Magnet assembly for a magnet valve
JP2002260512A (ja) マグネットスイッチ
CN209839136U (zh) 控制阀装置
KR20180120513A (ko) 전자클러치의 코일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