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390B1 -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390B1
KR101701390B1 KR1020160110998A KR20160110998A KR101701390B1 KR 101701390 B1 KR101701390 B1 KR 101701390B1 KR 1020160110998 A KR1020160110998 A KR 1020160110998A KR 20160110998 A KR20160110998 A KR 20160110998A KR 101701390 B1 KR101701390 B1 KR 10170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late
inner space
collecting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슨
Priority to KR102016011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11/1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는, 측면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야드 트랙터; 그리고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에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 내에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급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급전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급전용 코일; 그리고 상기 급전용 코일을 이동시켜 상기 급전용 코일과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APPARATUS FOR CHARGING YARD TRACTOR}
본 발명은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의 하역을 위해 항만의 육상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선박에 의한 해상운송과 트럭, 열차 등에 의한 육상운송이 연결되는 거점으로서, 선박(컨테이너선)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을 유기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컨테이너 물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도로와 철도를 포함한 육상 운송과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항만에서 컨테이너 물류를 적체 없이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선박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 관련 시설을 충분하게 확보는 것이 중요하다.
컨테이너의 하역(landing)/승역(lifting)과 관련해서, 컨테이너 터미널 등에 설치되는 갠트리 크레인은 문(門) 형태 또는 다리 형태의 항만용 크레인으로서, 야드 트랙터 또는 야드 트레일러(이하 트랙터라고 총칭하여 언급함)에서 실려오는 컨테이너를 야적하거나, 혹은 야적된 컨테이너를 야드 트랙터로 승적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항만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터미널은 컨테이너 화물을 실은 화물선(1000)이 항만에 도착하면, 일차적으로 항만에 설치된 컨테이너 크레인(2000)에 의해 컨테이너가 일차적으로 하역되고, 하역된 컨테이너를 야드트랙터(yard tractor)에 적재되어 야적지역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컨테이너를 갠트리 크레인(3000)이 야적하게 된다. 반대로 야드 트랙터에 의해 운반되어온 컨테이너를 화물선(1000)에 선적하는 것도 작업 과정이 반대인 것을 제외하면 위와 동일하다.
야드 트랙터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 야드 샤시를 견인하여 부두와 컨테이너 야드간에 컨테이너를 운송하는데, 통상적으로 야드 트레일러의 운행속도는 약 50km/hr 이하의 저속으로 이동하며, 하역작업 특성상 단시간에 일정속도에 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속도가 높은 고출력의 엔진을 사용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야드 트랙터는 컨테이너 야드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용도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적재 영역 A, B, C, D의 구역을 이동하게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1-0058576호(2011.06.01.)
본 발명의 목적은 야드 트랙터에 손쉽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는, 측면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야드 트랙터; 그리고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에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 내에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급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급전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급전용 코일; 그리고 상기 급전용 코일을 이동시켜 상기 급전용 코일과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중앙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개구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각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다각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리조절유닛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을 가지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종동축; 그리고 상기 나사산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종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에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일면에 상기 급전용 코일이 고정되는 이동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급전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급전용 코일로부터 발생한 전자파를 차폐가능한 차폐시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급전용 코일과 집전장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전원 공급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항만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항만용의 갠트리 크레인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급전부(또는 급전유닛)가 설치되는 위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항만용의 야드 트랙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야드 트랙터의 집전부의 집전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유닛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다각프레임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이동플레이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베이스 및 차폐시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에 도시한 급전유닛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은 크레인(100)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크레인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를 갖는 갠트리 크레인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100)은 트롤리(110), 스프레더(130), 몸체부(140) 및 바퀴부(150a, 150b)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크레인(100)의 좌측에 설치된 바퀴부(150a)를 제1 바퀴부라 하고, 우측에 설치된 바퀴부(150b)를 제2 바퀴부로 명명하기로 한다.
트롤리(110)는 크레인(100)의 상부 프레임(141)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상부 프레임(141)의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트롤리(110)에는 지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로프(101)를 통해 스프레더(130)가 연결되어 있다.
스프레더(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101)를 통해 트롤리(110)와 연결되고, 트롤리(110)와 연동하여 상부 프레임(1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스프레더(130)는 트롤리(110)와 연결된 로프(101)의 상하운동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몸체부(140)는 크레인(1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141)과 지지 프레임(142)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41)에는 가이드 레일(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41)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142)과 일체형으로 설치되거나 혹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바퀴부(150a, 150b)는 크레인(100)의 양측, 즉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크레인(100)을 주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장치로서, 복수개의 타이어 바퀴(151a, 151b), 타이어 바퀴(151a, 151b)를 잡아주는 포크(152a, 152b) 및 연결 프레임(153a, 153b)을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153a, 153b)은 포크(152a, 152b)와 몸체부(140)의 지지 프레임(142)을 연결하며, 상면이 평탄한 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은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에 정차하여 승역 또는 하역 작업을 실행하는 트랙터 등과 같은 운송 수단에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부(또는 급전유닛)(1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급전부(19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다리부의 측면 프레임(169)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크레인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도 2에서 참조번호 169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갠트리 크레인의 측면 프레임(169) 자체에 급전선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른 부분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항만의 육상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전부(190)는 항만의 안벽 영역에서 선박으로부터 일차적으로 화물을 하적하거나 승적하기 위한 안벽 크레인 또는 트롤리 크레인(5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급전부(190)의 설치는 안벽 크레인(500)의 측면 프레임이나 크레인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전부(190)는 야드 영역에서 화물 컨테이너를 트랙터에 승적하거나 하적하기 위한 야드 크레인인 갠트리 크레인(100)에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도면에서 급전부(190)는 갠트리 크레인(100)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크레인의 적당한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항만용의 야드 트랙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야드 트랙터(200)는 통상의 트랙터 형상을 가지며, 야드 트랙터(200)에는 야드 샤시 또는 야드 트레일러(290)가 결합되고 야드 샤시 또는 야드 트레일러(290)에 컨테이너(291)가 적재되거나, 야드 샤시 또는 야드 트레일러(290)로부터 컨테이너(291)가 하역된다.
야드 트랙터(200)는 비접촉 전원 공급 방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비접촉 전원 공급 방식이란 집전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급전부와 집전부 사이에서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충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접촉 전원 공급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크레인 등에 급전유닛(또는 급전부)(190)이 설치되고 크레인 등의 급전유닛(19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트랙터에는 집전부(210)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드 트랙터(200)는 트랙터의 측면 프레임에 집전부(210)를 포함하며, 집전부(210)는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와 집전용 구동 수단부(211)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드 트랙터(200)에 설치되는 집전부(2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전부(210)는 상기 급전부(190)로부터의 자기 변화와 감응하는 픽업 수단(또는 급전반)(213)과 픽업 수단으로부터 취득된 유도 전력을 부하로 동작하는 모터(212)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집전용 구동 수단부(211)를 포함한다.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는 집전용 코일(도시안함)을 포함하며, 집전용 코일은 급전유닛(19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자기장 유도에 의한 유도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야드 트랙터(200)는 승역/하역의 작업을 위해 크레인(100)에 정차를 할 때 크레인에 설치된 급전부(190)로부터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집전부(210)의 픽업 수단(213)은 야드 트랙터의 측면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급전유닛(130)은 앞서 설명한 비접촉 전원 공급 방식을 이용하여 집전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비접촉 방식의 전원 공급이란 집전부와 이후 상기 집전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급전부 사이에서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급전부(190)는 통상적으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충전에 사용되는 구조가 채용되며, 통상적으로 급전선(파워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급전유닛(130)은 베이스(232) 및 다각프레임(132), 그리고 커버플레이트(234)를 구비하며, 야드 트랙터(200)의 정차위치에 설치되어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다각프레임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각프레임(132)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이며, 내부는 다각형을 이룬다. 다각형은 다각프레임(132)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플레이트(13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삼각형이나 오각형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평면을 가지면 이동플레이트(134)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이동플레이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플레이트(134)는 다각프레임(132)의 내부에 삽입되며, 다각프레임(132)의 내부와 대체로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다각프레임(132)의 내부가 하나 이상의 평면을 가지면 이동플레이트(134)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134)는 다각프레임(132)의 내부에서 베이스(232)를 향해 이동하거나 커버플레이트(234)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134)는 종동축(138)에 의해 관통되는 개구(도시안함)를 가지며, 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종동축(138)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된다. 이동플레이트(134)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종동축(138)이 회전할 경우, 이동플레이트(134)는 다각프레임(132)의 내부에서 베이스(232)를 향해 이동하거나 커버플레이트(234)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급전용 코일(135)은 커버플레이트(234)에 대향되는 이동플레이트(134)의 일면에 고정된다. 급전용 코일(135)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집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급전용 코일(135)은 커버플레이트(234)와 함께 베이스(232)를 향해 이동하거나 커버플레이트(234)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를 통해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베이스 및 차폐시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베이스(232)는 사각 평판 형상이며, 중앙에 형성된 개구(132a)를 가진다. 후술하는 종동축(138)은 개구(132a)를 관통하며, 종동축(138)의 선단은 내부공간(132b)에 위치하여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이동플레이트(134)와 나사체결된다. 차폐시트(133)는 베이스(232)의 일면에 부착되어 급전용 코일(135)로부터 발생한 자기장이나 전자파 등을 차폐한다. 차폐시트(133)는 다각프레임(132)의 내부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234)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으며, 다각프레임(132)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내부공간(132b)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종동축(138)은 구동축(142)과 기어를 통해 연결되며, 본 실시예와 달리 벨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동축(142) 상에 연결된 구동기어(144)와 종동축(138) 상에 연결된 종동기어(139)는 맞물리며, 기어비를 통해 종동축(138)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다. 구동축(142)은 구동모터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에 도시한 급전유닛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통해 급전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급전용 코일(135)과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는 리츠와이어라는 전력 케이블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비접촉 전원 공급 방식(또는 무선전력전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진을 맞추는 것이다. 공진을 좌우하는 변수 중 인덕턴스는 자기 인덕턴스와 상호 인덕턴스로 분류할 수 있으며, 자기 인덕턴스는 급전용 코일(135)과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가 각각 가지고 있는 고유값인 반면에, 상호 인덕턴스는 급전용 코일(135)과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가 마주보고 있을 때 결정되는 값이다. 이때, 급전용 코일(135)과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가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호 인덕턴스가 달라지며, 공진이 형성되지 않아 전원 공급 효율(전력전송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급전용 코일(135)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호 인덕턴스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원 공급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를 통해 발생되는 유도 전류의 발생량을 측정하고(전류 검출기 또는 검류기를 통해) 측정값을 통해 급전용 코일(13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기를 통해 측정값을 근거로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구동축(142)을 회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4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종동축(13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플레이트(134) 및 급전용 코일(135)은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를 향해 접근하여 이격거리(d1)는 감소한다. 반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4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종동축(13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플레이트(134) 및 급전용 코일(135)은 급전용 픽업 플레이트(213)로부터 이격되어 이격거리(d2)는 증가한다. 이를 통해 급전용 코일(135)과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213) 사이의 거리를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30 : 급전유닛
132 : 다각프레임
134 : 이동플레이트
138 : 종동축
142 : 구동축
232 : 베이스

Claims (5)

  1. 측면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야드 트랙터; 및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에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 내에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급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급전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급전용 코일; 및
    상기 급전용 코일을 이동시켜 상기 급전용 코일과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중앙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개구의 둘레에 배치되는 다각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다각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거리조절유닛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을 가지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종동축; 및
    상기 나사산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종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을 따라 상기 집전용 픽업 플레이트에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일면에 상기 급전용 코일이 고정되는 이동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급전용 코일로부터 발생한 전자파를 차폐가능한 차폐시트를 더 구비하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KR1020160110998A 2016-08-30 2016-08-30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KR10170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98A KR101701390B1 (ko) 2016-08-30 2016-08-30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98A KR101701390B1 (ko) 2016-08-30 2016-08-30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390B1 true KR101701390B1 (ko) 2017-02-01

Family

ID=5810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998A KR101701390B1 (ko) 2016-08-30 2016-08-30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3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408A (ja) * 1992-08-20 1994-03-11 Daifuku Co Ltd 移動車の給電装置
JPH0730504U (ja) * 1993-11-16 1995-06-06 石川島運搬機械株式会社 給電式自走台車の床装置
JPH09213378A (ja) * 1996-01-30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JPH1051960A (ja) * 1996-07-29 1998-02-20 Hitachi Cable Ltd 移動車の自動充電装置
US20110058576A1 (en) 2008-09-12 2011-03-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clock stabi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408A (ja) * 1992-08-20 1994-03-11 Daifuku Co Ltd 移動車の給電装置
JPH0730504U (ja) * 1993-11-16 1995-06-06 石川島運搬機械株式会社 給電式自走台車の床装置
JPH09213378A (ja) * 1996-01-30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JPH1051960A (ja) * 1996-07-29 1998-02-20 Hitachi Cable Ltd 移動車の自動充電装置
US20110058576A1 (en) 2008-09-12 2011-03-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clock st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434B1 (ko) 크레인과 트랙터 사이의 충전 시스템
US9771245B2 (en) Tired gantry crane and straddle carrier for receiving power in contactless fashion
US10365397B2 (en) Container inspection system and port facility
US11702323B2 (en) Automatically guided lifting gantry device for contai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lifting gantry device
CN106290420A (zh) 可移动式物品检查系统及检查方法
CN109070294A (zh) 用于运输容器的运输系统和运行具有运输系统的制造设备的方法
US11338687B2 (en) Charging station for a container transport vehicle, container transport vehicle, and system comprising same
US11242229B2 (en) Arrangement of a gantry lifting device and of a row of spaced-apart marking elements
KR20010113831A (ko) 개별 탁송 화물용, 특히 iso 컨테이너용 로딩/언로딩장치
KR101489405B1 (ko)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AU2012252262A1 (en) System for determination of a container's position in a vehicle and/or in its trailer to be loaded with containers
CN105980287A (zh) 一种具有可移动传感器总成的自动导向的集装箱跨车装置
WO2011008200A1 (en) A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tandem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CN111347958A (zh) 一种agv运送小车及控制方法
JP5588446B2 (ja) 旋回装置およびそこから吊設される昇降フレームを備えたブリッジクレーン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WO2020192388A1 (zh) 一种多功能货物转运车及方法
KR101701390B1 (ko) 전원 공급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야드 트랙터 충전 설비
KR101058644B1 (ko)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야드 트랙터 및 그 제어 방법
CN206020303U (zh) 移动式物品检查系统及港口
CN107973221B (zh) 一种基于红外线测量的智能起重机
US20230088378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reception device
JP2014189393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KR101992809B1 (ko)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CN211592989U (zh) 一种航空集装器自动运输车
KR20150048143A (ko) 선적 및 하역 플랜트 내에서 컨테이너, 특히 iso 컨테이너의 비접촉 검사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