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177B1 -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177B1
KR101701177B1 KR1020140136681A KR20140136681A KR101701177B1 KR 101701177 B1 KR101701177 B1 KR 101701177B1 KR 1020140136681 A KR1020140136681 A KR 1020140136681A KR 20140136681 A KR20140136681 A KR 20140136681A KR 101701177 B1 KR101701177 B1 KR 10170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moving
uppermost
movable frame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187A (ko
Inventor
김선국
홍원기
임채연
허주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1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이동프레임유닛(20)을 이용하여 PC보 및 PC기둥을 포함한 PC부재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유닛(20)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프레임(23); 상기 2개의 측면프레임(23)의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정면프레임(21); 상기 측면프레임(23) 하부에 세로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다리(25); 상기 다리(25)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27); 및, 상기 측면프레임(23)과 상기 정면프레임(21)의 결합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거푸집조립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이동프레임유닛(20)은 상기 다리(25)의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다리(25)의 길이가 가장 긴 것부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으로 명명하고,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각각의 다리(25)는 이동중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은 순차 또는 역순으로 이동하여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각각의 거푸집조립체(10)에 철근이 배근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the precast concrete material producing apparatus and the precast concrete material 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PC기둥과 PC보로 대표되는 PC부재를 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거푸집을 여러 레이어로 상하로 적층하는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기둥과 PC보 등의 PC부재는 공장에서 바닥에 1층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수작업을 통하여 생산하여 왔다. 따라서 종래 공법은 공간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진동다짐을 인력을 통하여 하는 등 생산품질을 보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는 PC기둥과 PC보로 대표되는 PC부재를 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거푸집을 여러 레이어로 상하로 적층하는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을 개발하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6557호 ‘PC보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보 생산방법’, 2012년12월31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7683호 ‘PC기둥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기둥 생산방법’, 2012년12월3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PC기둥과 PC보로 대표되는 PC부재를 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거푸집을 여러 레이어로 상하로 적층하는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이동프레임유닛(20)을 이용하여 PC보 및 PC기둥을 포함한 PC부재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유닛(20)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프레임(23); 상기 2개의 측면프레임(23)의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정면프레임(21); 상기 측면프레임(23) 하부에 세로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다리(25); 상기 다리(25)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27); 및, 상기 측면프레임(23)과 상기 정면프레임(21)의 결합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거푸집조립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이동프레임유닛(20)은 상기 다리(25)의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다리(25)의 길이가 가장 긴 것부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으로 명명하고,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각각의 다리(25)는 이동중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은 순차 또는 역순으로 이동하여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각각의 거푸집조립체(10)에 철근이 배근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기둥과 PC보로 대표되는 PC부재를 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거푸집을 여러 레이어로 상하로 적층하는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랙구조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개선된 파이프렉구조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3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우진동다짐과 상하진동다짐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좌우진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상하진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PC부재 생산장치
도 1은 종래의 파이프랙구조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개선된 파이프렉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철골 위주의 파이프랙구조를 개선하여 PC부재를 사용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킨 파이프랙구조에 사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파이프랙구조의 PC부재 외에도 다른 구조물의 PC부재 생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3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는 다수개의 이동프레임유닛(20)을 이용하여 PC보 및 PC기둥을 포함한 PC부재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유닛(20)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프레임(23); 상기 2개의 측면프레임(23)의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정면프레임(21); 상기 측면프레임(23) 하부에 세로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다리(25); 상기 다리(25)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27); 및, 상기 측면프레임(23)과 상기 정면프레임(21)의 결합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거푸집조립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이동프레임유닛(20)은 상기 다리(25)의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다리(25)의 길이가 가장 긴 것부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으로 명명하고,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각각의 다리(25)는 이동중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은 순차 또는 역순으로 이동하여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각각의 거푸집조립체(10)에 철근이 배근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조립체(10)는, 하부의 거푸집바닥판(11); 상기 거푸집바닥판(1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호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거푸집측면판(13); 및 상기 다수개의 거푸집측면판(13) 양단부를 밀폐하는 거푸집정면판(15)과 거푸집후면판(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3)은 도 3(b)와 같이 트러스부재(23`)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각각의 다리(25) 간격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순으로 줄어들어,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이 각기 독립적으로 이동하더라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다수개의 이동프레임유닛(30)을 이용하여 PC보 및 PC기둥을 포함한 PC부재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유닛(30)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프레임(33); 상기 2개의 측면프레임(33)의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정면프레임(31); 상기 정면프레임(31) 양단의 하부에 세로로 결합되는 2개의 다리(35); 상기 다리(35)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37); 상기 측면프레임(23)과 상기 정면프레임(21)의 결합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거푸집조립체(10); 및, 상기 측면프레임(33)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이동프레임유닛(30)은 상기 다리(35)의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다리(35)의 길이가 가장 긴 것부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으로 명명하고,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각각의 다리(35)는 이동중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정프레임(40)의 레일(41)을 상기 롤러(34)가 활주하여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은 순차 또는 역순으로 이동하여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각각의 거푸집조립체(10)에 철근이 배근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은 다수개의 레일(41);이 여러층 구성되고 다수개의 상기 레일(45)을 수평으로 고정하는 가로프레임(42);과 다수개의 상기 레일(41)을 수직으로 고정하는 고정프레임다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조립체(10)는, 하부의 거푸집바닥판(11); 상기 거푸집바닥판(1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호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거푸집측면판(13); 및 상기 다수개의 거푸집측면판(13) 양단부를 밀폐하는 거푸집정면판(15)과 거푸집후면판(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각각의 다리(35) 간격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순으로 줄어들어,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이 각기 독립적으로 이동하더라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각각의 다리(35) 간격은 정면에서 볼 때, 서로 같아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의 다리(35)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은 도 2 내지 4의 상기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a) 준비단계;
(b)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이동단계;
(c)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하층거푸집설치단계;
(d)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이동단계;
(e)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중간층거푸집설치단계;
(f)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이동단계;
(g)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상층거푸집설치단계;
(h)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재이동단계;
(i)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하층타설단계;
(j)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재이동단계;
(k)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간층타설단계;
(l)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재이동단계;
(m)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상층타설단계; 및,
(n) 상기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는 진동다짐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은 도 2 내지 4의 상기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a) 준비단계;
(b)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이동단계;
(c)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하층거푸집설치단계;
(d)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이동단계;
(e)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중간층거푸집설치단계;
(f)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이동단계;
(g)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상층거푸집설치단계;
(h)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에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상층타설단계;
(i)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재이동단계;
(j)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간층타설단계;
(k)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재이동단계;
(l)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하층타설단계;
(m)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재이동단계; 및,
(n) 상기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는 진동다짐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은 도 9 및 10의 상기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a) 준비단계;
(b)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이동단계;
(c)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하층거푸집설치단계;
(d)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이동단계;
(e)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중간층거푸집설치단계;
(f)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이동단계;
(g)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상층거푸집설치단계;
(h)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재이동단계;
(i)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하층타설단계;
(j)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재이동단계;
(k)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간층타설단계;
(l)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재이동단계;
(m)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상층타설단계; 및,
(n) 상기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는 진동다짐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은 도 9 및 10의 상기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a) 준비단계;
(b)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이동단계;
(c)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하층거푸집설치단계;
(d)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이동단계;
(e)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중간층거푸집설치단계;
(f)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이동단계;
(g)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상층거푸집설치단계;
(h)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상층타설단계;
(i)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재이동단계;
(j)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간층타설단계;
(k)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재이동단계;
(l)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하층타설단계;
(m)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재이동단계; 및,
(n) 상기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는 진동다짐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은 도 15의 상기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a) 준비단계;
(b)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상층거푸집설치단계;
(c)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이동단계;
(d)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중간층거푸집설치단계;
(e)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이동단계;
(f)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하층거푸집설치단계;
(g)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하층타설단계;
(h)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재이동단계;
(i)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간층타설단계;
(j)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재이동단계;
(k)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상층타설단계; 및,
(l) 상기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는 진동다짐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우진동다짐과 상하진동다짐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좌우진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상하진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n, l) 진동다짐단계;는,
동력원(M); 상기 동력원(M)과 연결된 체인(C); 및, 상기 거푸집바닥판(11) 측면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체인(C)에 연결된 편심 또는 타원의 진동롤러(V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우진동장치(50);가 좌우진동을 일으키고,
동력원(M); 상기 동력원(M)과 연결된 체인(C); 및, 상기 거푸집바닥판(11) 바닥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체인(C)에 연결된 편심 또는 타원의 진동롤러(V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하진동장치(60);가 상하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하진동장치(60)의 상기 진동롤러(VR)는 회전축(RA)에 다수개가 부착되어 상기 체인(C)이 상기 회전축(RA)을 회전시키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M: 동력원
C: 체인
VR: 진동롤러
RA: 회전축
10: 거푸집조립체
11: 거푸집바닥판
13: 거푸집측면판
15: 거푸집정면판
16: 거푸집후면판
20, 30: 이동프레임유닛
20`, 30`: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
20``, 30``: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
20```, 30```: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
21, 31: 정면프레임
23, 33: 측면프레임
23`: 트러스부재
25, 35: 다리
27, 37: 이동수단
34: 롤러
40: 고정프레임
41: 레일
42: 가로프레임
43: 고정프레임다리
50: 좌우진동장치
60: 상하진동장치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수개의 이동프레임유닛(30)을 이용하여 PC보 및 PC기둥을 포함한 PC부재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유닛(30)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프레임(33); 상기 2개의 측면프레임(33)의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되는 정면프레임(31); 상기 정면프레임(31) 양단의 하부에 세로로 결합되는 2개의 다리(35); 상기 다리(35)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37); 상기 측면프레임(23)과 상기 정면프레임(21)의 결합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거푸집조립체(10); 및, 상기 측면프레임(33)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개의 상기 이동프레임유닛(30)은 상기 다리(35)의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다리(35)의 길이가 가장 긴 것부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으로 명명하고,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각각의 다리(35)는 이동중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정프레임(40)의 레일(41)을 상기 롤러(34)가 활주하여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은 순차 또는 역순으로 이동하여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각각의 거푸집조립체(10)에 철근이 배근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거푸집조립체(10)는,
    하부의 거푸집바닥판(11);
    상기 거푸집바닥판(1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호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거푸집측면판(13); 및
    상기 다수개의 거푸집측면판(13) 양단부를 밀폐하는 거푸집정면판(15)과 거푸집후면판(1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각각의 다리(35) 간격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순으로 줄어들어,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이 각기 독립적으로 이동하더라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과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그리고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각각의 다리(35) 간격은 정면에서 볼 때, 서로 같아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의 다리(35)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5항 또는 제6항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a) 준비단계;
    (b)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이동단계;
    (c)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하층거푸집설치단계;
    (d)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이동단계;
    (e)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중간층거푸집설치단계;
    (f)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이동단계;
    (g)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상층거푸집설치단계;
    (h)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재이동단계;
    (i)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하층타설단계;
    (j)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재이동단계;
    (k)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간층타설단계;
    (l)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재이동단계;
    (m)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상층타설단계; 및,
    (n) 상기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는 진동다짐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12. 제5항 또는 제6항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a) 준비단계;
    (b)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이동단계;
    (c)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하층거푸집설치단계;
    (d)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이동단계;
    (e)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중간층거푸집설치단계;
    (f) 상기 거푸집조립체(10)가 제외된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이동단계;
    (g)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상층거푸집설치단계;
    (h)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상층타설단계;
    (i)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재이동단계;
    (j)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간층타설단계;
    (k)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재이동단계;
    (l)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하층타설단계;
    (m)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하층유닛재이동단계; 및,
    (n) 상기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는 진동다짐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13. 제8항의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것으로,
    (a) 준비단계;
    (b)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상층거푸집설치단계;
    (c)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이동단계;
    (d)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중간층거푸집설치단계;
    (e)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이동단계;
    (f)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조립체(10)를 설치하는 최하층거푸집설치단계;
    (g) 상기 최하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하층타설단계;
    (h)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층유닛재이동단계;
    (i) 상기 중간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의 상기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간층타설단계;
    (j)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최상층유닛재이동단계;
    (k) 상기 최상층이동프레임유닛(30`) 상부에 거푸집조립체(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최상층타설단계; 및,
    (l) 상기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는 진동다짐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서,
    상기 (n) 진동다짐단계;는,
    동력원(M); 상기 동력원(M)과 연결된 체인(C); 및, 상기 거푸집바닥판(11) 측면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체인(C)에 연결된 편심 또는 타원의 진동롤러(V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우진동장치(50);가 좌우진동을 일으키고,
    동력원(M); 상기 동력원(M)과 연결된 체인(C); 및, 상기 거푸집바닥판(11) 바닥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체인(C)에 연결된 편심 또는 타원의 진동롤러(V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하진동장치(60);가 상하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17. 제12항에서,
    상기 (n) 진동다짐단계;는,
    동력원(M); 상기 동력원(M)과 연결된 체인(C); 및, 상기 거푸집바닥판(11) 측면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체인(C)에 연결된 편심 또는 타원의 진동롤러(V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우진동장치(50);가 좌우진동을 일으키고,
    동력원(M); 상기 동력원(M)과 연결된 체인(C); 및, 상기 거푸집바닥판(11) 바닥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체인(C)에 연결된 편심 또는 타원의 진동롤러(V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하진동장치(60);가 상하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18. 제13항에서,
    상기 (l) 진동다짐단계;는,
    동력원(M); 상기 동력원(M)과 연결된 체인(C); 및, 상기 거푸집바닥판(11) 측면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체인(C)에 연결된 편심 또는 타원의 진동롤러(V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우진동장치(50);가 좌우진동을 일으키고,
    동력원(M); 상기 동력원(M)과 연결된 체인(C); 및, 상기 거푸집바닥판(11) 바닥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체인(C)에 연결된 편심 또는 타원의 진동롤러(V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하진동장치(60);가 상하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부재 생산장치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KR1020140136681A 2014-10-10 2014-10-10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KR10170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81A KR101701177B1 (ko) 2014-10-10 2014-10-10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81A KR101701177B1 (ko) 2014-10-10 2014-10-10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187A KR20160043187A (ko) 2016-04-21
KR101701177B1 true KR101701177B1 (ko) 2017-02-14

Family

ID=5591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81A KR101701177B1 (ko) 2014-10-10 2014-10-10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1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579B1 (ko) 2003-05-28 2006-01-20 브이.오.에프. 휴마보 콘크리트 머시너리 앤드 몰드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KR200410658Y1 (ko) * 2005-12-16 2006-03-09 주식회사 케이엠에스 몰 가변 접철식 진열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720B1 (ko) * 2009-08-13 2011-09-28 김백현 배수공이 형성된 공동구 뚜껑 성형용 거푸집
KR20120024330A (ko) * 2010-09-06 2012-03-14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회전 교반력을 이용한 건축용 원형기둥의 원심 성형장치
KR101217683B1 (ko) 2011-08-08 2012-12-31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Pc기둥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기둥 생산방법
KR101216557B1 (ko) 2011-08-08 2012-12-31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Pc보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보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579B1 (ko) 2003-05-28 2006-01-20 브이.오.에프. 휴마보 콘크리트 머시너리 앤드 몰드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KR200410658Y1 (ko) * 2005-12-16 2006-03-09 주식회사 케이엠에스 몰 가변 접철식 진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187A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1295B2 (en) Upright concrete wall panel form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905805B1 (ko) 비정형 거푸집 모듈
CN105856398A (zh) 预制构件成组立模设备及利用其的立模生产方法
KR101540406B1 (ko) 암거제작용 거푸집장치
CN102581939A (zh) 内有交叉孔的预制钢筋砼空心模板及其立模成型设备
JP655749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101648851B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JP2015001139A (ja) 移動式型枠、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RU2645025C2 (ru) Способ отливки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01177B1 (ko)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생산방법
CN105415487B (zh) 伸缩式模台、布模驱动装置、布模装置及预制件生产系统
CN206174456U (zh) 用于快速浇筑预制过梁的可调式模板系统
TN2009000505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concrete double wall panels
JP2013014944A (ja) 建屋の建設方法
KR200494539Y1 (ko) 타설막이
CN204054300U (zh) 便携式混凝土垫块浇筑设备
WO201408966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building blocks and a mold for manufacturing row building blocks or corner building blocks
CN204195954U (zh) 防止边模板中空区漏浆的叠合楼板内振拉模机成型模
CN102601853B (zh) 砌块成型机、易脱模的成型模板及可变厚度的板材
CN107700834B (zh) 方形华夫筒内部支撑结构
KR20100021027A (ko) 슬라브거푸집지지바
EA200500634A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ногослой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блоков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лицев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KR101459207B1 (ko) 곡선교량 제작용 거푸집
CN108127770B (zh) 构件预制模具
CN114619545B (zh) 一种石膏模盒空心楼板制作装置和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