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303B1 -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303B1
KR101700303B1 KR1020160058367A KR20160058367A KR101700303B1 KR 101700303 B1 KR101700303 B1 KR 101700303B1 KR 1020160058367 A KR1020160058367 A KR 1020160058367A KR 20160058367 A KR20160058367 A KR 20160058367A KR 101700303 B1 KR101700303 B1 KR 101700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water
filter
head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동
이재익
황필강
조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휘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16005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303B1/ko
Priority to PCT/KR2017/004936 priority patent/WO20171961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원수가 유입되고 정수가 배출되는 헤더와, 상기 하우징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더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 및 상기 누수감지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누수가 상기 누수감지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누수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WATER FILTER EQUIPPED WITH SENSING MEANS FOR WATER LEAKAGE}
본 발명은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워터필터의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에 관한 것이다.
물은, 예를 들어 미립자, 유해한 화학 물질, 그리고 박테리아, 기생충, 원생동물, 바이러스 등과 같은 미생물을 포함하는 많은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다양한 환경에서, 이물질은 물이 사용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어떠한 유해한 이물질도 물이 음용되기 전에 물로부터 제거되어 정수되어야 하는데, 즉 음용에 적합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물질을 정수하고, 정수된 양질의 음용수를 일시적으로 보관 및 공급하는 장치로는 워터필터가 있다. 워터필터는 다단계의 여과 과정을 경유하여 정수된 양질의 음용수를 냉수와 온수의 형태로 제공하는 냉/온 정수기, 냉장고 등 오염물을 정화한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에 사용된다.
그러나 워터필터는 정수 또는 원수가 흐르는 유로관, 워터필터의 결함 또는 연결부위의 결함 등에 의해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누수로 인하여 워터필터가 사용된 정수시스템에 구비된 전기회로 등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필터에 누수가 발생한 경우 워터필터의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는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원수가 유입되고 정수가 배출되는 헤더와, 상기 하우징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더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 및 상기 누수감지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누수가 상기 누수감지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누수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수가이드부는 상기 누수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누수감지부 측으로 하향 경사진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가이드부는 상기 유로의 둘레에 형성되는 가이드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를 통해 가이드된 누수가 상기 누수감지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벽의 상기 누수감지부 상측 부분은 절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벽의 절개된 부분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누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수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가이드부는 상기 누수가 상기 누수유입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누수가 유입되는 제1 및 제2 누수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가이드부는 상기 누수를 상기 제1 및 제2 누수유입홀 측으로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및 제2 누수유입홀 사이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유입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에 따르면, 누수가 누수감지용 센서로 유입되도록, 내부에 필터가 구비된 하우징 외측의 누수감지용 센서 측으로 구배되어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누수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구배된 형상의 누수가이드부의 유로를 통하여 미량의 누수도 누수감지용 센서로 유입되어 상기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는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함에 따라 누수발생시 헤더를 통해 필터에 유입되는 원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누수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누수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누수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워터필터는 하우징(10), 헤더(30), 누수감지부(50) 및 누수가이드부(7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갖으며 형성되고, 상기 헤더(30)는 개방된 하우징(10)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하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개방된 하우징(10)의 상부에 개방된 헤더(30)의 하부가 결합되어 하우징(10)의 내부는 밀폐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필터부(11) 및 디스크(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11)는 원수가 유입되고 정수가 배출되는 헤더(30)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를 정수화하도록, 필터헤더(11-1)와, 필터헤더(11-1)를 통과한 물 즉 정수화 대상물인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체(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부(11)는 필터체(11-2)로 둘러싸여져 이루어지며 필터체(11-2)를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진 물 즉 정수가 유입되는 공간인 정수유입공간(11-3)을 포함한다. 또한, 필터부(11)의 내부는 하우징(10), 필터헤더(11-1), 및 디스크(13)로 둘러싸여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13)는 상기 원수와 상기 정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필터부(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누수감지부(50)는 누수가이드부(70) 하측의 하우징(10) 외측에 형성되며, 누수가이드부(70)로부터 가이드되어 유입된 상기 누수에 의해 헤더(30)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한다. 누수감지부(5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해질이 묻어있는 종이 등 반도체와 연결된 누수감지용 센서가 내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해질이 묻어있는 종이 등 반도체는 상기 누수에 의해 젖은 상태인 경우 통전되고, 마른 상태인 경우 통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부(50)는 누수가이드부(70)로부터 가이드되어 유입된 상기 누수가 상기 내장된 반도체에 유입되도록,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하나의 누수유입홀(5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용 센서는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통신방식을 활용하여 외부의 누수 감지 장치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누수가이드부(70)에 의해 가이드되어 누수유입홀(51)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누수에 의해 상기 전해질이 묻어있는 종이가 젖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전해질이 묻어있는 종이와 상기 누수감지용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누수를 상기 누수감지용 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통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누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의 누수 감지 장치로 전송할 수 있거나 통신 장애를 유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더(30)로의 원수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누수가이드부(70)는 누수감지부(50)의 상측에 형성되며, 헤더(30)에서 누수발생시 상기 누수를 가이드 하는 유로(71)와, 유로(71)에 의해 가이드되는 누수가 유로(71)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로(71)의 둘레에 형성되는 가이드벽(7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71)를 통해 가이드된 누수가 누수감지부(50)의 누수유입홀(51)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벽(73)의 누수유입홀(51) 상측 부분(A)은 절개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벽(73)의 절개된 부분(A)은 상기 누수가 미량이라도 누수유입홀(51) 측으로 유입되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Y"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수가이드부(7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30)의 테두리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71)는 헤더(30)의 테두리를 감싼 형상과 같이 헤더(30)의 테두리로부터 소정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수가 미량이라도 유로(71)를 통하여 가이드되어 누수유입홀(51)로 유입되도록, 누수가이드부(70)는 누수감지부(50) 측으로 하향 경사진 유로(71)를 포함한다.
즉, 상기 누수가 유로(71) 및 가이드벽(73)의 절개된 부분(A)을 통하여 누수유입홀(51)로 유입되도록, 유로(71)는 절개된 부분(A)과 대향하는 부위(B)로부터 절개된 부분(A)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수가이드부(7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누수감지부(50) 측으로 하향 경사진 유로(71)만 헤더(30)에 형성하고, 가이드벽(73), 및 가이드벽(73)의 절개된 부분(A)이 누수감지부(50) 상측의 하우징(10)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누수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워터필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워터필터의 제2 실시예는 하나의 누수유입홀(51)이 형성된 본 발명의 워터필터의 제1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누수유입홀(5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 누수유입홀 즉 두 개의 누수유입홀(51)이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과 헤더(3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필터는 누수감지부(50)가 제1 및 제2 누수유입홀 즉 두 개의 누수유입홀(51)을 포함하고, 누수가이드부(70)에 포함된 가이드벽(73)의 절개된 부분(A)도 두 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된 부분(A)의 개수는 누수유입홀(51)의 개수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 누수가이드부(70)는 헤더(30)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두 개의 누수유입홀(51) 측으로 가이드하는 유로(71)를 포함하며, 유로(71)는 두 개의 누수유입홀(51) 사이의 일 지점으로부터 각각의 누수유입홀(51)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수가이드부(70)는 헤더(30)의 테두리 둘레에 형성되며, 헤더(30)에서 누수발생시 상기 누수를 가이드 하는 유로(71)와, 유로(71)에 의해 가이드되는 누수가 유로(71)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로(71)의 둘레에 형성되는 가이드벽(7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71)를 통해 가이드된 누수가 누수감지부(50)의 두 개의 누수유입홀(51)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벽(73)의 누수유입홀(51) 각각의 상측 부분(A)은 절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된 부분(A)은 두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벽(73)의 절개된 부분(A) 각각은 상기 누수가 미량이라도 누수유입홀(51) 측으로 유입되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Y"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로(71)는 헤더(30)의 테두리를 감싼 형상과 같이 헤더(30)의 테두리로부터 소정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수가 미량이라도 유로(71)를 통하여 가이드되어 누수유입홀(51)로 유입되도록, 누수가이드부(70)는 누수감지부(50) 측으로 하향 경사진 유로(71)를 포함한다.
즉, 상기 누수가 유로(71) 및 가이드벽(73)의 절개된 부분(A)을 통하여 누수유입홀(51)로 유입되도록, 유로(71)는 절개된 부분(A)과 대향하는 부위(B)로부터 절개된 부분(A)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유로(71)는 두 개의 상기 절개된 부분(A) 사이의 중앙부위(C)로부터 각각의 절개된 부분(A)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는 헤더에서 발생되는 누수가 누수감지용 센서로 유입되도록, 내부에 필터가 구비된 하우징 외측의 누수감지용 센서 측으로 구배되어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누수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구배된 형상의 누수가이드부의 유로를 통하여 미량의 누수도 누수감지용 센서로 유입되어 상기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는 누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감지함에 따라 누수발생시 헤더를 통해 필터에 유입되는 원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1 : 필터부
13 : 디스크 30 : 헤더
50 : 누수감지부 51 : 누수유입홀
70 : 누수가이드부 71 : 유로
73 : 가이드벽

Claims (6)

  1.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원수가 유입되고 정수가 배출되는 헤더;
    상기 하우징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헤더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 및
    상기 누수감지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누수가 상기 누수감지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누수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가이드부는 상기 누수가 가이드되도록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누수가이드부는 상기 유로의 둘레에 형성되는 가이드벽을 구비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가이드된 누수가 상기 누수감지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벽의 상기 누수감지부 상측 부분은 절개된 워터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누수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누수감지부 측으로 하향 경사진 워터필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누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수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가이드부는 상기 누수가 상기 누수유입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워터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누수가 유입되는 제1 및 제2 누수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가이드부는 상기 누수를 상기 제1 및 제2 누수유입홀 측으로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및 제2 누수유입홀 사이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유입홀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워터필터.
KR1020160058367A 2016-05-12 2016-05-12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KR101700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67A KR101700303B1 (ko) 2016-05-12 2016-05-12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PCT/KR2017/004936 WO2017196120A1 (ko) 2016-05-12 2017-05-12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367A KR101700303B1 (ko) 2016-05-12 2016-05-12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303B1 true KR101700303B1 (ko) 2017-02-17

Family

ID=5826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367A KR101700303B1 (ko) 2016-05-12 2016-05-12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0303B1 (ko)
WO (1) WO20171961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120A1 (ko) * 2016-05-12 2017-11-16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7260A2 (en) * 2004-06-21 2006-01-19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Fluid filter assembly for a dispensing fauc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202Y1 (ko) * 2002-07-11 2002-10-18 변상훈 정수장치용 누수 차단장치
KR101065674B1 (ko) * 2003-07-25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42439A (ko) * 2008-10-16 2010-04-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누수감지가능한 정수필터
KR101700303B1 (ko) * 2016-05-12 2017-02-17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7260A2 (en) * 2004-06-21 2006-01-19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Fluid filter assembly for a dispensing fauc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120A1 (ko) * 2016-05-12 2017-11-16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6120A1 (ko)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52B1 (ko)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EP2607882B1 (en) Particle number counting apparatus
US201400730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Sensors To A Sterile Flow Stream
KR101700303B1 (ko) 누수감지수단을 구비한 워터필터
EP2501455B1 (en) Filter cartridge with anti-drip feature
ATE470465T1 (de) Filterpatron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filtern von flüssigkeiten
KR101382473B1 (ko) 중공사 분리막 모듈의 유체 분배 장치
WO2008073818A3 (en) Improved exfiltration device
KR102053784B1 (ko) 정수기용 냉수 탱크
WO2017059568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concentrate distributor
JP2020512193A (ja) 空気清浄化システム及び装置
RU2018138387A (ru) Полый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газа
ITUB20154053A1 (it) Dispositivo filtrante a percolazione
JP2012176372A (ja) 連結部材および分離膜モジュール
KR101944073B1 (ko) 막 증류 방식의 모듈 누수 방지 구조
KR101707026B1 (ko) 가정용 수처리 장치
KR101182097B1 (ko) 케미칼 필터 모듈
DK3055045T3 (en) FILTER FITTING WITH A DIVERGENT CLEANING PIPE WITH INTERNAL SEPARATIONS
CN110582343B (zh) 膜组件和用于检测膜组件中的沉积物的方法
KR101214775B1 (ko) 케미칼 필터 모듈
KR102482488B1 (ko) 체액 수집 장치
KR100380043B1 (ko) 미생물 검출용 중공사막 채집 캡슐
CN107109332A (zh) 细胞捕获器件
KR101764352B1 (ko) 워터필터
KR102238929B1 (ko) 멤브레인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