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207B1 -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207B1
KR101699207B1 KR1020160066196A KR20160066196A KR101699207B1 KR 101699207 B1 KR101699207 B1 KR 101699207B1 KR 1020160066196 A KR1020160066196 A KR 1020160066196A KR 20160066196 A KR20160066196 A KR 20160066196A KR 101699207 B1 KR101699207 B1 KR 10169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
support
horizontal
detecto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진
Original Assignee
김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진 filed Critical 김갑진
Priority to KR102016006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20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 F41H11/22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the elements being excavation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뢰 매설이 의심되는 지역에서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탐지하는 지뢰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퀴 또는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버켓 또는 지뢰 제거기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고정구; 상기 본체 고정구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지지봉이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지지봉에 장착되고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탐지하는 지뢰 탐지기; 상기 지뢰 탐지기가 설치되는 지지봉에 장착되고 지뢰 탐지 부분에 지뢰를 표시하는 지뢰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 또는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포크레인 등의 본체에 지뢰 탐지시 부착되고 비사용시에는 탈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사용시 부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landmine}
본 발명은 지뢰 매설이 의심되는 지역에서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탐지하는 지뢰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포크레인 등의 본체에 지뢰 탐지시 부착되고 비사용시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한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뢰는 전시 또는 우리나라와 같이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특수한 상황에서 주요 군사시설이나 진지 또는 적의 침입으로부터 취약하거나 그 침입이 예상되는 지역 등에 방어 목적으로 매설해 놓는 일종의 살상 무기이다.
그러나 실제 지뢰로 인한 피해는 군인들보다는 민간인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데, 그 이유는 지뢰를 매설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사실상 관리의 소홀로 인하여 방치될 수밖에 없으므로 차후 민간인들이 그 지뢰로부터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에 의해 강이나 하천으로 유실되면 그 하류의 주민이나 관광객들이 지뢰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오래된 지뢰는 풍화작용에 의해 조금의 충격에 의해서도 폭발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며, 이를 제거할 때에도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설치된 지뢰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러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훈련된 작업자가 탐침봉을 이용하여 직접 지면을 찔러 지뢰를 탐지하거나, 불도저와 같은 장비로 지면을 갈아엎거나, 금속탐지기를 이용하여 탐지하는 방법들이 있었다.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지뢰탐지장치를 이용하여 지뢰를 탐지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지뢰탐지장치(20)는 지뢰(10)를 감지하는 센서 헤드부(21)와, 센서 헤드부(21)를 지지하는 연결부재(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뢰탐지장치(20)는 사람이 연결부재(22)에 팔을 끼고 잡은 상태에서 지뢰(10) 매설이 의심되는 지역을 돌아다니며 지뢰(10)를 탐지한다.
즉, 종래의 지뢰탐지장치(20)는 센서 헤드부(21)를 지면(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킨 후 센서 헤드부(21)를 통해 획득한 단일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뢰(10)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지뢰탐지장치(20)는 지뢰탐지시 다수의 사람이 투입돼야 함으로써 인력과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작업자의 능력에 의하여 지뢰 탐지를 의존해야할 뿐만 아니라 지뢰탐지과정에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6167호(원격 지뢰 제거 시스템)에는 기매설된 대전차 지뢰, 대인지뢰 등을 탐색하고 제거하는 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 지뢰 제거 시스템은 지뢰의 위치를 확인 및 표시하고 표시된 지뢰를 안전하게 지면 밖으로 노출시켜 이를 로봇팔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지뢰 탐지 설비 및 장치가 고정구조이므로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없고 비사용시 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즉, 지뢰 탐지라는 일이 항시 있는 일이 아닌데, 상기 등록실용신안과 같은 장비는 지뢰탐지시에만 사용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장비가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599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61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퀴 또는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포크레인 등의 본체에 지뢰 탐지시 부착되고 비사용시에는 탈착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지체의 지지봉과 지뢰 탐지기의 탐지기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통해 이동시 지뢰탐지기가 뒤집히거나 수직으로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버켓 또는 지뢰 제거기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고정구; 상기 본체 고정구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지지봉이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지지봉에 장착되고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탐지하는 지뢰 탐지기; 상기 지뢰 탐지기가 설치되는 지지봉에 장착되고 지뢰 탐지 부분에 지뢰를 표시하는 지뢰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 지지판; 상기 회전 지지판의 후방에 형성되고 본체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 결합부와 고정핀을 통해 고정되는 회전 결합부; 상기 회전 지지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평 회전판 및 상기 수평 회전판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수평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수평 회전부; 상기 수평 회전부의 상부에 수직 고정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 고정블록에는 회전축이 돌출형성되는 수직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회전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하부에 장착되고 회전체를 구성하는 수직 고정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블록 결합구;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에 장착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지지봉을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시키는 길이 조절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뢰 탐지기는 상기 지지봉에 장착되는 탐지 회전구; 소정의 지름과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탐지기; 일 측이 탐지 회전구에 결합되고 반대 측이 탐지기에 결합되는 수평 유지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탐지 회전구는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평 유지구는 탐지기의 상부에는 장착되는 수직 부재와 탐지 회전구에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이 수직 부재와 결합되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의 연결부분을 결합하는 부재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뢰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고 표시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통; 상기 지지봉의 하부와 지뢰 탐지기를 구성하는 탐지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사노즐; 일 측이 유체통과 연결되고 반대 측이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봉의 끝단에는 카메라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 또는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포크레인 등의 본체에 지뢰 탐지시 부착되고 비사용시에는 탈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사용시 부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체의 지지봉과 지뢰 탐지기의 탐지기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통해 이동시 지뢰탐지기가 뒤집히거나 수직으로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지뢰 탐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뢰탐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봉의 길이 변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지뢰 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본체 고정구와 회전체 및 지지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체의 작동에 따른 지지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지뢰 탐지기와 지뢰 표시부 및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지뢰 탐지기와 지뢰 표시부 및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봉의 길이 변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지뢰 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본체 고정구와 회전체 및 지지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며,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체의 작동에 따른 지지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지뢰 탐지기와 지뢰 표시부 및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구성하는 지뢰 탐지기와 지뢰 표시부 및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원발명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100)는 본체(200), 본체 고정구(300), 회전체(400), 지지체(500), 지뢰 탐지기(600), 지뢰 표시부(700), 카메라(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100)는 본체(200)를 제외한 본체 고정구(300), 회전체(400), 지지체(500), 지뢰 탐지기(600), 지뢰 표시부(700), 카메라(800)는 비사용시 상기 본체(200)에서 분리된 후 별도 보관된다.
아울러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원부는 구성과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지된 제어수단 또는 제어장치 및 전원수단 또는 전원장치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200)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장치(210)로 구동되는 장치를 택일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200)는 바퀴에 의해 구동되는 지뢰 탐지 차량 또는 무한궤도장치(210)가 구비되는 중장비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본체(200)는 하부 양측에 무한궤도장치(210)가 장착되고 상부에는 지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비가 장착되는 포크레인으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포크레인(200)은 무한궤도장치(210)를 통한 원활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붐(220)의 전방에 장착되는 아암(230)에 장착되는 버켓(240)을 통해 원활하게 지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지뢰를 제거하는 버켓을(240)을 대신하여 도시된 도 4 및 5와 같은 지뢰 제거기(25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지뢰 제거기(250)는 지뢰가 매설되는 위치와 환경 및 지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 고정구(300)는 본체(200)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체(400)와 결합된다.
본원발명에서 상기 본체 고정구(300)는 포크레인(200)의 전방 일 측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고정구(30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수평 고정판(310)과 상기 수평 고정판(310)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는 관통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 결합구(320)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 고정구(300)는 포크레인(200)의 일 측에 수평 고정판(310)을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고정하고 전방에는 회전체(4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 결합구(320)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 고정구(300)를 구성하는 고정 결합구(320)의 형상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회전체(400)는 본체 고정구(300)와 결합되고 지지체(500)를 수직 또는 수평 또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400)는 회전 지지판(410)과, 상기 회전 지지판(410)의 후방에 형성되고 고정 결합부(320)와 고정핀(430)을 통해 고정되는 회전 결합부(420)와, 상기 회전 지지판(4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평 회전판(440a) 및 상기 수평 회전판(440a)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수평 구동모터(440b)로 구성되는 수평 회전부(440)와, 상기 수평 회전부(440)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직 고정블록(450a) 및 회전축(450c) 돌출형성되는 수직 구동모터(450b)로 구성되는 수직 회전부(4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체(400)는 본체 고정구(300)의 고정 결합부(320)에 회전 결합부(420)를 끼움 결합하면서 고정핀(430)을 통해 고정 결합부(320)와 회전 결합부(420)를 고정한 후, 상기 회전 지지판(410)을 포크레인(200)의 상부에 장착한 다음, 상기 회전 지지판(4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수평 회전부(440)를 장착한 후, 상기 수평 회전부(44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작동되는 수직 회전부(450)를 장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모터(450b)의 회전축(450c)을 돌출형성한 것은 상기 지지체(500)와 원활하게 결합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체(500)와 결합되는 수직 회전부(450)의 높이는 지지체(500)의 작동에 따른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 구동모터(440b)와 수직 구동모터(450b)는 정역회전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500)는 회전체(400)에 결합되고 수평 회전부(440)와 수직 회전부(45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500)는 지지블록(510)과, 상기 지지블록(5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수직 고정모터(450b)의 회전축(450c)과 결합되는 블록 결합구(520)와, 상기 지지블록(510)의 상부에 장착되고 길이 조절되는 지지봉(530)과, 상기 지지봉(530)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지지봉(530)을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시키는 길이 조절모터(5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체(500)는 수직 회전부(450)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회전부(440)의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직 회전부(45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절모터(540)를 통해 지지봉(5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 고정모터(450b)의 회전축(450c)과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블록 결합구(520)에는 단단한 결속 및 고정을 위하여 볼팅 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지지봉(530)은 도시된 도면과 같은 안테나식 구성 이외에도 전·후 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공지된 구성을 택일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지뢰 탐지기(600)는 지지체(500)의 지지봉(530)에 장착되고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뢰 탐지기(600)는 지지봉(5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탐지 회전구(610)와 소정의 지름과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탐지기(620) 및 일 측이 탐지 회전구(610)에 결합되고 반대 측이 탐지기(620)에 결합되는 수평 유지구(6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뢰 탐지기(600)는 지지봉(530)에 탐지 회전구(61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후, 상기 탐지 회전구(610)의 하부에 수평 유지구(630)를 장착한 다음, 상기 수평 유지구(630)의 하부에 탐지기(620)를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탐지 회전구(610)와 수평 유지구(630)는 포크레인(200)의 이동시에도 탐지기(6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탐지 회전구(610)는 지지봉(5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평 유지구(630)는 탐지기의 상부에는 장착되는 수직 부재(632)와 탐지 회전구(610)에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이 수직 부재(632)와 결합되는 수평 부재(634) 및 상기 수직 부재(632)와 수평 부재(634)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부재 회전축(63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탐지 회전구(610)와 수평 유지구(630)의 수평 부재(634)는 지지봉(530)의 이동 및 유동에 따라 회전작동하여 탐지기(620)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뢰 표시부(700)는 지뢰 탐지기(600)가 설치되는 지지체(500)의 지지봉(53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뢰 표시부(700)는 포크레인(200)의 일 측에 장착되고 표시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통(710)과, 상기 지지봉(530)의 하부와 탐지기(6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사노즐(720)과, 일 측이 유체통(710)과 연결되고 반대 측이 분사노즐(720)과 연결되는 연결호스(7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뢰 표시부(700)는 지뢰 탐지기(600)를 통한 지뢰 탐지 후, 탐지 장소에 유체통(710)에 수용된 표시 유체를 연결호스(730)를 이용하여 분사노즐(720)에 전달한 다음, 상기 분사노즐(720)을 통해 지뢰 탐지 장소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 유체를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체라 함은 압축공기 또는 소화기에 사용되는 분사액과 같은 액체를 의미하며, 이는 탐지된 장소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지지봉(530)의 외면 또는 내부에 장착되는 연결호스(730)는 지지봉(530)의 길이 조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름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카메라(800)는 지지체(500)를 구성하는 지지봉(530)에 장착된다.
본원발명에서 상기 카메라(800)는 지지봉(530)의 끝단에 장착되어 지뢰 탐지 지역을 관찰함과 동시에 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800)를 지지봉(530)의 끝단에 장착한 것은 지뢰 탐지기(600)를 구성하는 탐지기(620)의 작동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800)를 인지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양측에 무한궤도장치(210)가 장착되고 붐(220)의 전방에 장착되는 아암(230)에는 지뢰 제거기(250)가 장착되는 포크레인(20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포크레인(200)의 일 측 전방에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수평 고정판(310)과 상기 수평 고정판(310)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부는 관통형성되는 중공형상의 고정 결합구(320)로 형성되는 본체 고정구(3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 고정구(30)의 전방에 위치한 포크레인(20)의 상부로 회전 지지판(410)과, 상기 회전 지지판(410)의 후방에 형성되고 고정 결합부(320)와 고정핀(430)을 통해 고정되는 회전 결합부(420)와, 상기 회전 지지판(4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평 회전판(440a) 및 상기 수평 회전판(440a)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수평 구동모터(440b)로 구성되는 수평 회전부(440)와, 상기 수평 회전부(440)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직 고정블록(450a) 및 회전축(450c) 돌출형성되는 수직 구동모터(450b)로 구성되는 수직 회전부(450)로 구성되는 회전체(4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400)의 수직 회전부(450)에 지지블록(510)과, 상기 지지블록(5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수직 고정모터(450b)의 회전축(450c)과 결합되는 블록 결합구(520)와, 상기 지지블록(510)의 상부에 장착되고 길이 조절되는 지지봉(530)과, 상기 지지봉(530)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지지봉(530)을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시키는 길이 조절모터(540)로 구성되는 지지체(5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체(500)를 구성하는 지지봉(530)의 전방 끝단 부분으로 지지봉(5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탐지 회전구(610)와 소정의 지름과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탐지기(620) 및 일 측이 탐지 회전구(610)에 결합되고 반대 측이 탐지기(620)에 결합되는 수평 유지구(630)로 구성되는 지뢰 탐지기(6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포크레인(200)의 일 측에 장착되고 표시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통(710)과, 상기 지지봉(530)의 하부와 탐지기(6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사노즐(720)과, 일 측이 유체통(710)과 연결되고 반대 측이 분사노즐(720)과 연결되는 연결호스(730)로 구성되는 지뢰 표시부(7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500)를 구성하는 지지봉(530)의 끝단으로 카메라(800)를 장착하면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크레인(200)에 동력을 제공하여 무한궤도장치(210)를 통해 지뢰가 매설되는 부분으로 이동 및 진행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400)를 구성하는 수직 회전부(450)의 수직 구동모터(450b)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체(500)와 지뢰 탐지기(600) 및 카메라(800)를 지면에 접근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체(400)의 수직 회전부(450)의 작동을 멈춤 후, 상기 수평 회전부(440)의 수평 구동모터(440b)를 회전작동시켜 수평 회전판(440a)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작동시키면, 상기 지지봉(530)에 장착된 지뢰 탐지기(600)는 지지봉(53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작동하면서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 회전부(45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서 수평 회전부(440)의 작동시 함께 작동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지뢰 탐지기(600)의 탐지기(620)는 회전작동하는 탐지 회전구(610) 및 수평 유지구(630)의 작동을 통해 수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530)의 끝단에 장착되는 카메라(800)는 지뢰 탐지 과정을 전송 또는 녹화하고, 상기 지뢰 표시부(700)는 지뢰 탐지기(600)를 통한 지뢰 탐지시 지뢰 매설부분에 유체통(710)에 수용된 유체를 연결호스(730)와 분사노즐(720)을 통해 표시 유체를 분사하여 육안으로 지뢰의 매설부분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100)를 통해 지뢰 매설 지역의 지뢰 탐지가 끝나면, 상기 포크레인(200)에 장착된 본체 고정구(300), 회전체(400), 지지체(500), 지뢰 탐지기(600), 지뢰 표시부(700), 카메라(800)는 분리 및 보관되고, 포크레인(200)은 본래의 사용목적에 맞게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200 : 본체, 210 : 무한궤도장치,
220 : 붐, 230 : 아암,
240 : 버켓, 250 : 지뢰 제거기,
300 : 본체 고정구, 310 : 수평 고정판,
320 : 고정 결합구, 400 : 회전체,
410 : 회전 지지판, 420 : 회전 결합부,
430 : 고정핀, 440 : 수평 회전부,
450 : 수직 회전부, 500 : 지지체,
510 : 지지블록, 520 : 블록 결합구,
530 : 지지봉, 540 : 길이 조절모터,
600 : 지뢰 탐지기, 610 : 탐지 회전구,
620 : 탐지기, 630 : 수평 유지구,
700 : 지뢰 표시부, 710 : 유체통,
720 : 분사노즐, 730 : 연결호스,
800 : 카메라.

Claims (4)

  1. 바퀴 또는 무한궤도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는 버켓 또는 지뢰 제거기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고정구;
    상기 본체 고정구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고 지지봉이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지지봉에 장착되고 땅속에 매설된 지뢰를 탐지하는 지뢰 탐지기;
    상기 지뢰 탐지기가 설치되는 지지봉에 장착되고 지뢰 탐지 부분에 지뢰를 표시하는 지뢰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회전 지지판;
    상기 회전 지지판의 후방에 형성되고 본체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 결합부와 고정핀을 통해 고정되는 회전 결합부;
    상기 회전 지지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평 회전판 및 상기 수평 회전판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는 수평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수평 회전부;
    상기 수평 회전부의 상부에 수직 고정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 고정블록에는 회전축이 돌출형성되는 수직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회전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하부에 장착되고 회전체를 구성하는 수직 고정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블록 결합구;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에 장착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지지봉을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시키는 길이 조절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뢰 탐지기는,
    상기 지지봉에 장착되는 탐지 회전구;
    소정의 지름과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탐지기;
    일 측이 탐지 회전구에 결합되고 반대 측이 탐지기에 결합되는 수평 유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탐지 회전구는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평 유지구는 탐지기의 상부에는 장착되는 수직 부재와 탐지 회전구에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이 수직 부재와 결합되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의 연결부분을 결합하는 부재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뢰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고 표시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통;
    상기 지지봉의 하부와 지뢰 탐지기를 구성하는 탐지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사노즐;
    일 측이 유체통과 연결되고 반대 측이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KR1020160066196A 2016-05-30 2016-05-30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KR10169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96A KR101699207B1 (ko) 2016-05-30 2016-05-30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96A KR101699207B1 (ko) 2016-05-30 2016-05-30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207B1 true KR101699207B1 (ko) 2017-01-23

Family

ID=5798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196A KR101699207B1 (ko) 2016-05-30 2016-05-30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2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997A (ja) * 1998-03-20 1999-10-05 Komatsu Ltd 作業機械
KR200286167Y1 (ko) 2002-03-12 2002-08-22 심재석 원격 지뢰 제거 시스템
KR20030081196A (ko) * 2003-07-08 2003-10-17 임환 지뢰 제거 장비
KR100555991B1 (ko) 2003-10-15 2006-03-03 김기호 다용도 지뢰제거용 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997A (ja) * 1998-03-20 1999-10-05 Komatsu Ltd 作業機械
KR200286167Y1 (ko) 2002-03-12 2002-08-22 심재석 원격 지뢰 제거 시스템
KR20030081196A (ko) * 2003-07-08 2003-10-17 임환 지뢰 제거 장비
KR100555991B1 (ko) 2003-10-15 2006-03-03 김기호 다용도 지뢰제거용 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398A (en) Vehicle mounted fire fighting system
US8374754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subsurface objects with a reach-in arm
US8858124B2 (en) Excavation system
US7683821B1 (en) Sensor sweeper for detecting surface and subsurface objects
KR101060836B1 (ko) 건설 기계의 후방 감시 장치
EP3222392B1 (en) Robotic telescopic articulated arm
US5291819A (en) Battlefield debris clearing apparatus
ES2525754T3 (es) Robot telecomandado para operaciones especiales
CN203510225U (zh) 一种仿人形排爆机器人
KR101699207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지뢰탐지장치
KR100555991B1 (ko) 다용도 지뢰제거용 차
KR100446259B1 (ko) 지뢰 제거 장비
KR101783111B1 (ko) 시인성이 향상된 굴삭기
RU2648659C1 (ru) Самоходное бронирова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разминирования и подготовки объектов к разрушению и крепление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вес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0488198B1 (ko) 무인지뢰제거 시스템
CN113758377B (zh) 一种探排雷一体化设备及其探排雷方法
FR2922240A1 (fr) Machine pour l'enlevement de plaques fibrociment des toitures contenant de l'amiante et autres composants
JPH11211397A (ja) 地雷処理装置
RU224729U1 (ru) Машина разминирования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RU166926U1 (ru) Скрывающееся модульное огнев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1725731B1 (ko) 재난구호장치
WO2019112535A2 (en) A robotic arm
KR101725732B1 (ko) 재난구호장치
JP3207048U (ja) 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
KR200286167Y1 (ko) 원격 지뢰 제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